[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5518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518B1
KR102065518B1 KR1020187007368A KR20187007368A KR102065518B1 KR 102065518 B1 KR102065518 B1 KR 102065518B1 KR 1020187007368 A KR1020187007368 A KR 1020187007368A KR 20187007368 A KR20187007368 A KR 20187007368A KR 102065518 B1 KR102065518 B1 KR 10206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raking
brake
protection device
r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175A (ko
Inventor
히데타카 이시구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5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56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 B66B5/0068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crushing by activating the safety brakes when the elevator car exceeds a certain upper or lower position in the eleva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는, 도어 열림 상태인 채로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허용하는 존인 허용 존이 설정되어 있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 열림 상태인 채 허용 존으로부터 벗어나면,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킨다. 또,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에 따라 허용 존의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도어 열림 주행을 방지하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검출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속도,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량, 및 층상 기준 위치를 검출한다. 안전 컨트롤러는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를,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대해서 설정된 엘리베이터 칸 속도의 이상 판정 임계치와 비교하여, 도어 열림 주행 이상을 판정한다. 또, 안전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하기 위한 착상 기준 위치와, 착상 기준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위치까지 사이의 판정 거리를 연산한다. 이상 판정 임계치는 판정 거리가 커질수록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상 판정 임계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 엘리베이터 칸을 소정 위치에 정지시킬 때의 감속도(減速度)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안에 승객이 없는 상태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制動) 능력을 확인하는 제동 능력 확인 모드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운전 모드에 포함되어 있다. 제동 능력 확인 모드에서는, 정격 속도로 주행중인 엘리베이터 칸을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비상 정지시키고, 엘리베이터 칸의 감속도와 제동 거리를 측정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의 특성 평가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강제 정지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 미분치의 변화 시점 간격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거리로부터 브레이크의 특성 평가를 자동적으로 행하여, 평가 결과를 감시 센터에 전송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추가로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안전 시스템에서는, 승강로의 특정 위치에 검출판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검출판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판의 특정 위치 및 간격을 나타내는 거리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에 격납되어 있다. 안전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센서의 출력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위치가 특정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또, 안전 컨트롤러는 간격 마다의 경과 시간과 거리 정보로부터 간격마다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산출하여, 과대 속도 판정 커브와 비교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4-13910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11-4248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공개 평 8-310759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공개 2014-51344호 공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는 레벨까지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제동 능력이 적정한 레벨로 복귀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휴지(休止)시키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서비스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여, 서비스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도어 열림 상태인 채로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허용하는 존(zone)인 허용 존이 설정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 열림 상태인 채 허용 존으로부터 벗어나면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에 따라 허용 존의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 열림 상태인 채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감시 기준 속도 이상이 되면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에 따라 감시 기준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 있어서의 허용 존의 범위가,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저하하면 허용 존의 범위를 좁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여, 서비스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 있어서의 감시 기준 속도가,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저하하면 감시 기준 속도를 낮게 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여, 서비스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일부 블록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검사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와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리레벨존releveling zone)의 제1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리레벨존의 제2 범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도어 열림 주행시의 제동 거리의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제1 감시 기준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2의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제2 감시 기준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일부 블록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2)는 구동 시브(3), 구동 시브(3)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 시브(3)의 회전을 제동하는 한쌍의 브레이크 장치(4a, 4b)를 가지고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구동 시브(3)로부터 간격을 두고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 5)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시브(3) 및 디플렉터 시브(5)에는, 현가체(6)가 감겨 있다. 현가체(6)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6)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7)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6)의 제2 단부에는, 균형 추(8)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7) 및 균형 추(8)는, 현가체(6)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고, 구동 시브(3)를 회전시킴으로써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브레이크 장치(4a, 4b)는 구동 시브(3)의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7)의 주행을 제동한다.
엘리베이터 칸(7)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9)가 탑재되어 있다. 복수의 정지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로(1) 내에는, 복수의 피검출 부재(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승강장 도어 장치(10) 및 피검출 부재(11)를 1개씩 나타내고 있다. 각 피검출 부재(11)는 대응하는 정지층의 리레벨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7)상에는, 피검출 부재(11)를 검출하는 존 검출 장치(12)가 탑재되어 있다.
리레벨존은 도어 열림을 허가하는 영역인 도어 존 보다도 좁은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승강로 내에는, 도어 존에 대응하는 복수의 착상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도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에는, 조속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조속기(13)는 조속기 시브(14)를 가지고 있다. 조속기 시브(14)에는, 조속기 로프(15)가 감겨 있다. 조속기 로프(15)는 승강로(1) 내에 환상(環狀)으로 부설(敷設)되어, 엘리베이터 칸(7)에 접속되어 있다. 또, 조속기 로프(15)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션 시브(tension sheave, 16)에 감겨 있다.
조속기 시브(14)는 엘리베이터 칸(7)의 승강에 따라서 회전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7)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15)가 순환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7)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시브(14)가 회전한다.
조속기 시브(14)에는,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로서는, 예를 들면, 조속기 시브(14)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코더 또는 리졸버(resolver) 등이 이용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7)의 운행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 또는 다른 검출 장치(예를 들면 구동 시브(3)의 회전을 검출하는 인코더 또는 리졸버 등)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의 위치 및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검출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칸(7)이 정지층에 착상하여 도어 열림 상태일 때 리레벨 운전을 행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리레벨 운전에 의해, 승객의 승강에 의해서 생기는 엘리베이터 칸 바닥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變位)를 보정하여, 엘리베이터 칸 바닥을 레벨 위치로 되돌린다.
존 검출 장치(12)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로부터의 신호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UCMP 장치)(19)에 보내진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에는, 도어 열림 상태인 채로의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을 허용하는 존인 허용 존이 설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리레벨존을 허용 존으로 하고 있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도어 열림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7)의 리레벨 운전을 행할 때 엘리베이터 칸(7)이 허용 존인 리레벨존으로부터 벗어나면, 릴레이 등으로 권상기(2)의 전원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장치(4a, 4b)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을 정지시킨다.
또,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도어 열림 상태로 엘리베이터 칸(7)의 리레벨 운전을 행할 때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감시 기준 속도 이상이 되면, 릴레이 등으로 권상기(2)의 전원을 차단하여, 브레이크 장치(4a, 4b)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을 정지시킨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7)의 운전 모드에는, 브레이크 검사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브레이크 검사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7) 내에 승객이 없는 상태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브레이크 토크)의 검사를 행한다. 즉,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브레이크 검사 장치를 겸하고 있다.
브레이크 검사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엘리베이터 칸(7)을 검사 속도(예를 들면 정격 속도)로 주행시킨 후, 브레이크 장치(4a, 4b)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 칸(7)을 긴급 정지시킨다. 그리고, 브레이크 장치(4a, 4b)를 동작시키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7)이 정지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거리인 검사 제동 거리를 검출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설정된 타이밍에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시하여,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를 검출하면 보수 업자의 원격 감시 장치(20)에 자동적으로 알람을 발행한다.
추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관한 정보를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에 보낸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 및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각각 독립된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서로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따라 리레벨존의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에는, 리레벨존의 범위로서, 도 3에 나타내는 제1 범위 R1과, 도 4에 나타내는 제2 범위 R2가 설정되어 있다. 제2 범위 R2는 제1 범위 R1 보다도 좁다(R1>R2). 또, 제2 범위 R2는 제1 범위 R1을 상하 균등하게 축소한 범위이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리레벨존의 범위를 제1 범위 R1로 설정하고,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미만이 되면, 리레벨존의 범위를 제2 범위 R2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동 능력을 나타내는 검사 결과의 값, 예를 들면 검사 제동 거리를 임계치와 비교하지만,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검사 결과의 값을 제동 능력이라고 칭한다.
또,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리레벨존의 범위를 제2 범위 R2에서 제1 범위 R1로 되돌린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에 있어서의 리레벨존의 범위가,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저하하면 리레벨존의 범위를 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어느 정도 저하한 상태에서 만일 도어 열림 주행이 발생하더라도,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7)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7)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여, 서비스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엘리베이터 칸(7)이 상방향으로 도어 열림 주행했을 경우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제동 거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저하함으로써,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가 도어 열림 주행을 검출하고 나서의 엘리베이터 칸(7)의 제동 거리는, 실선에 나타내는 거리로부터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거리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와 엘리베이터 칸 바닥 사이의 거리가 좁아진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과 같이, 제동 능력의 저하에 따라 리레벨존의 범위를 좁게 함으로써, 도어 열림 주행의 판정을 빠른 단계에서 행하여, 브레이크 장치(4a, 4b)를 조기에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동 거리가 연장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칸(7)을 정지시켰을 때의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와 승강장 출입구의 겹침(overlap)이 충분히 확보된다.
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리레벨존의 범위를 제1 범위 R1로 설정하고,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미만이 되면, 리레벨존의 범위를 제2 범위 R2로 변경하므로, 간단한 제어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7)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리레벨존의 범위를 제2 범위 R2로부터 제1 범위 R1로 되돌리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조정 또는 교환에 의해, 제동 능력이 정상 복귀되었을 경우에, 통상의 서비스를 스무스하게 재개(再開)할 수 있다.
추가로 또, 설정된 타이밍에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시하여,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를 검출하면 보수 업자의 감시 장치에 자동적으로 알람을 발행하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보수 계획을 조기에 발안(發案)하거나, 단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가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로부터 받아, 리레벨존의 범위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했지만, 리레벨존의 범위는 수동으로 전환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1에서는, 제동 능력의 임계치를 1개만 설정했지만, 2개 이상의 임계치를 설정함과 아울러, 리레벨존의 범위도 3개 이상 설정하여, 제동 능력의 저하의 정도에 따라서, 리레벨존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좁게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제동 능력의 임계치를 설정하고, 리레벨존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변경했지만, 제동 능력에 따라 리레벨존의 범위를 무(無)단계로 연속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추가로 또, 피검출 부재를 이용하여 리레벨존을 검출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변경 후의 리레벨존에 대응하는 피검출 부재를 추가함으로써, 범위가 상이한 2개 이상의 리레벨존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존 검출 장치(12)로부터의 신호와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로부터의 신호를 조합하여, 변경 후의 리레벨존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승강로 내의 절대 위치를 검출하는 절대 위치 검출 장치(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의해서 조작되는 스위치)로부터의 신호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량 검출 장치(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로부터의 신호를 조합하여, 피검출 부재(11)를 이용하지 않고, 리레벨존을 검출해도 된다.
추가로, 실시 형태 1에서는, 허용 존으로서 리레벨존을 이용했지만, 리레벨 운전을 행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층의 착상 위치의 상하에 허용 존을 적당히 설정하면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도 1)과 같다. 단, 실시 형태 2의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따라 감시 기준 속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에는, 감시 기준 속도로서, 도 6에 나타내는 제1 감시 기준 속도 V1과, 도 7에 나타내는 제2 감시 기준 속도 V2가 설정되어 있다. 제2 감시 기준 속도 V2는 제1 감시 기준 속도 V1 보다도 낮다(V1>V2).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미리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감시 기준 속도를 제1 감시 기준 속도 V1로 설정하고,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미만이 되면, 감시 기준 속도를 제2 감시 기준 속도 V2로 변경한다. 또,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미만으로 저하하면, 리레벨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저하시키는 지령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에 출력한다.
추가로,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감시 기준 속도를 제2 감시 기준 속도 V2에서 제1 감시 기준 속도 V1로 되돌린다. 추가로 또,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는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리레벨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변경 전의 속도로 되돌리는 지령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에 출력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에 있어서의 감시 기준 속도가,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저하하면 감시 기준 속도를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어느 정도 저하한 상태에서 만일 도어 열림 주행이 발생하더라도,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7)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7)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여, 서비스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감시 기준 속도를 제1 감시 기준 속도 V1로 설정하고,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미만이 되면, 감시 기준 속도를 제2 감시 기준 속도 V2로 변경하므로, 간단한 제어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7)의 운행 휴지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다.
추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감시 기준 속도를 제2 감시 기준 속도 V2에서 제1 감시 기준 속도 V1로 되돌리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조정 또는 교환에 의해, 제동 능력이 정상 복귀되었을 경우에, 통상의 서비스를 스무스하게 재개할 수 있다.
추가로 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저하하면, 리레벨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저하시키는 지령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에 출력하므로,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만일 도어 열림 주행이 발생하더라도, 보다 확실히 엘리베이터 칸(7)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 감시 기준 속도를 충분히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으로 복귀되면, 리레벨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변경 전의 속도로 되돌리는 지령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에 출력하므로, 제동 능력이 정상 복귀되었을 경우에, 리레벨 운전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가,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에 관한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로부터 받아, 감시 기준 속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도록 했지만, 감시 기준 속도의 범위는 수동으로 전환해도 된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제동 능력의 임계치를 1개만 설정했지만, 2개 이상의 임계치를 설정함과 아울러, 감시 기준 속도도 3개 이상 설정하여, 제동 능력의 저하의 정도에 따라서, 감시 기준 속도를 단계적으로 낮게 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제동 능력의 임계치를 설정하고, 감시 기준 속도를 단계적으로 변경했지만, 제동 능력에 따라 감시 기준 속도를 무단계로 연속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추가로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허용 존으로서 리레벨존을 이용했지만, 리레벨 운전을 행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1과 실시 형태 2를 조합하여 실시해도 된다. 즉, 브레이크 장치(4a, 4b)의 제동 능력의 저하에 따라서, 리레벨존의 범위 및 감시 기준 속도의 양방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의 임계치에 대해서, 허용되는 UCMP 제동 거리가 되는 제동 능력을 가지는 상태에서 검사했을 때의 검사 제동 거리를 미리 기억시켜, 이후의 검사시의 임계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추가로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시했지만, 수동으로 지령을 입력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2개의 브레이크 장치(4a, 4b)를 이용했지만, 브레이크 장치의 개수는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로부터의 지령으로 동작하는 브레이크 장치로서, 권상기(2)에 마련된 브레이크 장치(4a, 4b)를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현가체(6)를 파지(把持)하는 브레이크 장치 등, 다른 지점에 배치된 브레이크 장치여도 된다.
추가로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가 브레이크 검사 장치를 겸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검사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로부터 독립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19)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8)로부터 독립되어 있지만, 양자를 일체화하여, 양자의 기능을 공통의 컴퓨터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17)를 조속기(13)에 마련했지만,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는, 예를 들면 권상기에 마련된 인코더 또는 리졸버여도 된다.
추가로 또,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레이아웃은, 도 1의 레이아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및 권상기가 승강로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등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기계실을 가지는 엘리베이터 장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공통의 승강로 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이 배치되어 있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one-shaft multi-car system)의 엘리베이터 등, 모든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도어 열림 상태인 채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을 허용하는 존인 허용 존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 열림 상태인 채 상기 허용 존으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에 따라 상기 허용 존의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는, 상기 허용 존의 범위로서, 제1 범위와, 상기 제1 범위 보다도 좁은 제2 범위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허용 존의 범위를 상기 제1 범위로 설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면, 상기 허용 존의 범위를 상기 제2 범위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상기 허용 존의 범위를 상기 제1 범위로 되돌리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주행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도어 열림 상태인 채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감시 기준 속도 이상이 되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시키는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저하되면 상기 감시 기준 속도를 낮추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에는, 상기 감시 기준 속도로서, 제1 감시 기준 속도와, 상기 제1 감시 기준 속도보다도 낮은 제2 감시 기준 속도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임계치 이상일 때에는, 상기 감시 기준 속도를 상기 제1 감시 기준 속도로 설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상기 임계치 미만이 되면, 상기 감시 기준 속도를 상기 제2 감시 기준 속도로 변경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상기 임계치 이상으로 돌아오면, 상기 감시 기준 속도를 상기 제1 감시 기준 속도로 되돌리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저하하면, 리레벨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저하시키는 지령을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열림 주행 보호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이 복귀되면, 리레벨 운전시의 엘리베이터 칸 속도를 변경 전의 속도로 되돌리는 지령을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정된 타이밍에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능력의 저하를 검출하면 보수 업자의 감시 장치에 자동적으로 알람을 발행하는 브레이크 검사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삭제
KR1020187007368A 2015-08-21 2015-08-21 엘리베이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2065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3601 WO2017033238A1 (ja) 2015-08-21 2015-08-21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75A KR20180041175A (ko) 2018-04-23
KR102065518B1 true KR102065518B1 (ko) 2020-01-13

Family

ID=5810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68A Expired - Fee Related KR102065518B1 (ko) 2015-08-21 2015-08-21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69992B2 (ko)
JP (1) JP6403894B2 (ko)
KR (1) KR102065518B1 (ko)
CN (1) CN107922151B (ko)
DE (1) DE112015006825T5 (ko)
HK (1) HK1246756B (ko)
WO (1) WO2017033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0407A1 (ja) * 2017-12-26 2019-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並びにエレベーターの戸開走行保護方法
CN109368437B (zh) * 2018-12-15 2023-07-14 康达电梯有限公司 电梯的防坠系统
EP3744672B1 (de) * 2019-05-31 2025-03-19 Cedes AG Geschwindigkeitsgrenzkurvensteuerung für aufzüge
EP3750837A1 (en) * 2019-06-14 2020-12-16 KONE Corporation Elevator monitoring the traction of the hoisting machine and adjusting the emergency terminal speed limit threshold based on the traction.
EP3878788A1 (en) * 2020-03-09 2021-09-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s
CN116783131B (zh) * 2021-02-18 2024-02-20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制动距离的计测系统、电梯以及制动距离的计测方法
EP4219373A1 (en) * 2022-01-28 2023-08-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s with improved monitoring
JP7124982B1 (ja) 2022-01-28 2022-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617A (ja) * 2005-11-21 200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516729B2 (ja) * 2010-06-18 2014-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3055A (en) * 1989-01-24 1990-05-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afety mechanism for preventing unintended motion in traction elevators
JPH08310759A (ja) 1995-05-11 1996-11-26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の特性評価装置
US5773771A (en) * 1996-07-30 1998-06-30 Chatham; Charles Apparatus for preventing unintended movement of elevator car
JP2002020046A (ja) * 2000-07-11 2002-01-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床合せ装置
ES2360852T3 (es) * 2002-10-15 2011-06-09 Otis Elevator Company Detección de freno del ascensor y otra resistencia mediante la supervisión de la corriente del motor.
FI119767B (fi) * 2006-08-14 2009-03-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a menetelmä turvallisuuden varmistamiseksi hissijärjestelmässä
FI120828B (fi) * 2007-02-21 2010-03-31 Kone Corp Elektroninen liikkeenrajoitin ja menetelmä elektronisen liikkeenrajoittimen ohjaamiseksi
KR101034926B1 (ko) * 2007-06-14 2011-05-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EP2164790B1 (de) * 2007-06-18 2015-09-30 Inventio AG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r bremseinrichtung
WO2009008058A1 (ja) * 2007-07-10 2009-0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42480A (ja) 2009-08-24 2011-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FI20090335A7 (fi) * 2009-09-16 2011-03-17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WO2011101978A1 (ja) * 2010-02-19 2011-08-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2126558A (ja) * 2010-12-17 2012-07-05 Hitachi Ltd エレベータ乗りかごの制御装置
KR20130137670A (ko) * 2011-02-28 2013-12-17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승강장 구역에서의 엘리베이터 차체 이동 제어
JP5932577B2 (ja) 2012-09-06 2016-06-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安全システム
CN105209363B (zh) * 2013-03-07 2017-08-29 奥的斯电梯公司 悬停电梯轿厢的垂直振荡的主动衰减
FI124903B (fi) * 2013-11-01 2015-03-13 Kone Corp Hissi sekä menetelmä hissin ohjaus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korin kuorman valvomisessa ja/tai kuormitustilanteen määrittämiseksi
JP5741746B2 (ja) 2014-03-27 2015-07-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04079148U (zh) * 2014-07-31 2015-01-07 江苏联康电子有限公司 一种轿厢防移动装置
IL247342A (en) * 2016-08-18 2017-10-31 Yoram Madar Detection and control of an arrest prevented an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617A (ja) * 2005-11-21 2007-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516729B2 (ja) * 2010-06-18 2014-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69992B2 (en) 2020-02-25
KR20180041175A (ko) 2018-04-23
CN107922151A (zh) 2018-04-17
CN107922151B (zh) 2019-04-05
JP6403894B2 (ja) 2018-10-10
DE112015006825T5 (de) 2018-05-24
JPWO2017033238A1 (ja) 2017-10-26
US20180170711A1 (en) 2018-06-21
HK1246756B (zh) 2019-12-06
WO2017033238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51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CN101090854B (zh) 电梯装置
US9708158B2 (en) Multi-car elevator using an exclusion zone and preventing inter-car collision
JP43688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858218B2 (en) Elevator apparatus
HK1246756A1 (zh) 電梯裝置
KR20040099428A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N103130065B (zh) 电梯运行管理系统
US20220063955A1 (en) Elevator systems
US20180237260A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WO2012127560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JP201217177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5573300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5829869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KR100871514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CN101602457B (zh) 电梯装置
KR20070024560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08982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N109956381B (zh) 安全电梯系统
HK1226045A1 (zh) 具有用於双层轿厢的绝对位置检测系统的电梯设备
WO2024183880A1 (en)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elevator car travel path
KR20080078083A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04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6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1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10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6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3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