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3653B1 -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653B1
KR102063653B1 KR1020190061063A KR20190061063A KR102063653B1 KR 102063653 B1 KR102063653 B1 KR 102063653B1 KR 1020190061063 A KR1020190061063 A KR 1020190061063A KR 20190061063 A KR20190061063 A KR 20190061063A KR 102063653 B1 KR102063653 B1 KR 10206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heet
modified asphalt
waterproof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충모
여종동
임진선
김동범
박완구
Original Assignee
티알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피건설(주) filed Critical 티알피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06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수분 및 먼지를 제거하는 바닥면 청소단계; 바닥면 상 일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면 및 프라이머층 상에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개질아스팔트 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상에는 무기질 코팅층을 형성하는 무기질 코팅층 형성단계; 상기 무기질 코팅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형성하는 도막방수재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 ~ 70중량%, SBS 6 ~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 ~ 8중량%, CR 고무 6 ~ 8중량%, 석유수지 3 ~ 5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돌로마이트 3 ~ 5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3 ~ 5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 및 산화아연 0.5 ~ 1중량%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하부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로 구성되어 상기 비접착부는 규사가 추가 도포되어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서 접착되어 바닥면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Complex water proofing method}
본 발명은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노출 또는 노출형태로 콘크리트 상에 부분접착으로 복합방수를 실시하는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의 방수는 총 공사비의 1~3% 이하를 차지하여 금액적인 측면에서는 미비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 융해, 유해 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가속화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는 영향력이 큰 중요한 공정이다.
건출물의 방수에 사용되는 비노출 방수공법은 노출 방수공법 시공단가의 약 50% 수준에서 시공이 가능한 공법으로서 국내 옥상 방수공법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단가로 인해 노출 방수공법에 비해 고성능의 방수 재료가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며, 사용되는 재료의 약 90% 이상이 아스팔트계 재료이다.
불과 수년전까지만 해도 비노출 방수공법의 약 80%는 아스팔트 열공법, 개량아스팔트 토치공법, 개량 아스팔트 열공법 등이 주로 사용되면서 냄새로 인한 환경오염, 민원발생, 토치 및 열풍기 사용으로 인한 전문인력 요구, 과열로 인한 재료의 손상 및 변형부착 또는 바탕기재와의 부착력 약화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비노출 도막 방수재는 일반적으로 합성고분자 수지 등을 바탕면에 전면접착을 통해 방수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시공되어진 방수층은 바탕 콘크리트의 균열 또는 거동으로 연속성(방수성)을 상실하게 되며, 방수층의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고무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를 활용하여 비노출형 방수공법으로 적용하던 중 진동 및 균열이 발생 되었거나,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구조물의 경우 바탕 콘크리트에 방수층을 부착시킴으로써 방수층의 동반 파괴 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이 지적되었다. 이는 구조물 장기 내구성 감소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비노출 방수공법의 경우 접착방식은 전면접착을 원칙으로 하였는 데, 이는 전면접착시 아스팔트 성분이 콘크리트에 오일성분 등이 빠져 나가 방수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도막재의 단점과 시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막재와 시트를 함께 사용하는 복합공법의 사용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시트는 대부분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하였는데, 방수 처리 후 시간이 지나면 방수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콘크리트와 접착면적이 커지면 아스팔트의 오일 성분 등이 빠져 나가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아스팔트가 연질 성질이 상실되고 취성 성질로 전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아스팔트 시트에 포함된 아스팔트의 오일 성분 등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방수성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방수공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바닥면과 접착시 아스팔트의 오일 성분 등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포함된 방수시트를 노출 또는 비노출 방식으로 복합방수공법을 실시할 수 있으며, 비노출 방식으로 작업하더라도 절연접착이 가능한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분 및 먼지를 제거하는 바닥면 청소단계; 바닥면 상 일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면 및 프라이머층 상에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개질아스팔트 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상에는 무기질 코팅층을 형성하는 무기질 코팅층 형성단계; 상기 무기질 코팅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형성하는 도막방수재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 ~ 70중량%, SBS 6 ~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 ~ 8중량%, CR 고무 6 ~ 8중량%, 석유수지 3 ~ 5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돌로마이트 3 ~ 5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3 ~ 5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 및 산화아연 0.5 ~ 1중량%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하부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로 구성되어 상기 비접착부는 규사가 추가 도포되어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서 접착되어 방수시트가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비노출 형태로 작업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접착부 접착되는 절연접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의 접착부는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 1m 길이당 15 ~ 20cm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기질 코팅층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 35~65중량%, 규사 20~40중량%, 기능성 시멘트 10~16중량%, 물 2~5중량%, 점토 1.5~5중량%, 소포제 0.01~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막방수재는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20 ~ 30중량%, 체질안료 50 ~ 60중량%, 숯 10 ~ 18중량%, 가교제 1.3 ~ 1.5중량%, 가소제 1.5 ~ 2.0중량%, 침강방지제 0.5 ~ 0.8중량%, 분산제 0.2 ~ 0.5중량%, 소포제 0.3 ~ 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상부에 부직포가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장섬유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시트 1kg 당 200 ~ 230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를 복수개로 부착하는 경우 시트와 시트 사이에는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공법은 내구성이 좋으며, 콘크리트 바닥면과 접착시 아스팔트의 오일 성분 등이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방수성능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수공법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포함된 방수시트를 노출 또는 비노출 방식으로 복합방수공법을 실시할 수 있으며, 비노출 방식으로 작업하더라도 절연접착이 가능하여 장기간의 방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방수공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방수공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합방수공법은 수분 및 먼지를 제거하는 바닥면 청소단계; 바닥면 상 일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면 및 프라이머층 상에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개질아스팔트 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상에는 무기질 코팅층을 형성하는 무기질 코팅층 형성단계; 상기 무기질 코팅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형성하는 도막방수재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 ~ 70중량%, SBS 6 ~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 ~ 8중량%, CR 고무 6 ~ 8중량%, 석유수지 3 ~ 5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돌로마이트 3 ~ 5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3 ~ 5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 및 산화아연 0.5 ~ 1중량%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하면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로 구성되어 상기 비접착부는 규사가 추가 도포되어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서 접착되어 바닥면과 고정되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면 청소 및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먼저, 방수처리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있는 수분 및 먼지 등을 제거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바닥면 상에 방수를 실시하는 것으로 바닥면을 깨끗하게 청소한 이후에 바닥면 상 일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즉, 개질아스팔트 시트가 부착되는 부위에만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본 용제에 아스팔트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데, 이는 특별히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개질아스팔트 시트 형성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구성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 ~ 70중량%, SBS 6 ~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 ~ 8중량%, CR 고무 6 ~ 8중량%, 석유수지 3 ~ 5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돌로마이트 3 ~ 5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3 ~ 5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 및 산화아연 0.5 ~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는 콘크리트와 접착시 아스팔트의 오일 성분 등이 빠져 나가는 현상을 최소화시켜 장기간의 방수가 안정적으로 가능한 장점이 있다.
180~190℃로 가열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 다른 구성물질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원유를 상압, 감압증류 장치 등을 통하여 경질분을 제거했을 때 마지막으로 남는 물질로 분해되지 않는 역청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침입도가 약 40 이하는 주로 공업용으로, 침입도 약 40 이상인 것은 도로포장용이나 수리를 위한 구조물용으로 사용한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신도가 크고 점착성, 방수성이 우수한 반면 탄력성이 떨어지며 연화점이 낮아 온도 변화에 민감하며 내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도막 방수재의 주성분으로써, 그 종류로 AP-3 또는 AP-5를 이용할 수 있는 데, AP-3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BS는 물성강화 및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개질하기 위해 혼합된다.
또한,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은 고도화로 수소처리된 증류오일로 아스팔트와 호완하여 SBS 혼합시 SBS내부로 빠르게 침투하여 SBS의 분산 향상시켜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파라핀 계열의 오일만을 사용하면 일정한 온도 이상(80℃ 이상) 혼합물의 연화작용이 발생하여 고온 내열성능을 저하시켜 내열성능이 우수한 나프텐계 오일을 일정비율 이상 혼합한 혼합오일이다. 혼합하는 비율은 파라핀계 50~60중량% 및 나프텐계 40~50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CR 고무(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는 시트성형 후 치수안정성, 피로성능을 향상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데,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는 6 ~ 8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유수지는 C5~C9 석유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점착부여 역할 및 내열성을 지니게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석유수지는 비중 10~12, 연화점 95~105℃, 산가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석유수지는 탄소체인 길이가 길어질수록 기계적 물성은 상승하나 Tacky성이 감소된다. C5~C9 석유수지는 비중 10~12, 연화점 95~105℃, 산가 0.05 이하인 이유는 가장 중요한 점착부여제의 역할과 연화점이 90도이상의 내열성을 지니게 하기 위해서 적정 연화점 및 산가를 맞춰야 Tacky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충진제의 역할로서 시트의 쳐짐 방지 등의 가공안정성을 높여준다.
상기 돌로마이트는 흡유량이 최소 32% 이상으로써, 시트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오일의 계면을 제거하여 접착성능을 향상시키며 표면 인장강도가 향상되어 장시간 접착성능을 유지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가 포함되는 데, 혼합되는 각각의 재료들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며, 혼합되는 CR 고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SBS와 CR 고무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개질아스팔트의 표면 접착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화 마그네슘은 CR고무의 가황제 역할을 하며 SBS와 같은 미가황 고무의 경화제로 사용되어 가황속도를 지연시켜 이질고무간의 혼합 상용성을 증진하고, 가류속도를 조절하여 가공안정성이 향상되며 개질아스팔트 시트 성형후 미가황된 개질아스팔트를 지속적으로 가황을 시켜 시트의 내구성능 및 내후성능 향상으로 장시간 방수층 형성을 유지하며 바탕면에 의한 탈유현상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산화 아연은 가황촉진제로 저장안정성을 향상 시키며 내열 성능을 향상 시키고 열전도성능을 향상시켜 개질아스팔트의 접착성능 향상 및 장시간 방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 성분은 그 자체로 점착성능을 가지고 있어 바닥면과의 접착이 가능하며,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하부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접착부에만 콘크리트 바닥면과 접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으로 제조된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노출 또는 비노출 방식의 복합방수공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비노출 방식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전면접착을 실시하지만, 본 발명은 접착부에 절연접착(부분접착)만으로도 방수 및 접착유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합방수시트를 절연접착으로 접착하는 경우 통기성이 확보되어 내부에서 증기 등이 빠져나가는 통로를 마련해 줄 수 있으며, 누수 부위가 발생할 경우 이를 발견하기 용이하며, 보수할 수 있는 영역을 명확히 해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질아스팔트 하부의 접착부는 시트 길이 1m당 15 ~ 20cm로 형성되며 시트의 중간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개질아스팔트 시트의 가장자리 부분은 다음에 설명하는 도막방수재에 의해서 바닥면과 접착이 가능하다.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하부의 비접착부에 규사를 도포함으로써 일부만 접착되는 절연접착이 가능하다.
상기 규사는 천연규사 또는 인공규사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규사의 역할은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보관시 롤 형태로 말거나, 운반시 롤 형태로 말린 상태에서 방수시트가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부 접착부로 절연접착되었을 때, 통기성 확보 및 누수부위 탐지가 쉬어지는 장점이 있다.
성형된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 하부면 비접착부에 0.1~0.3mm 규사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 상부에 장섬유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200 ~ 230g/kg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 1kg당 200 ~ 230g의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시트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스테르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가 포함된 시트를 120~140℃의 상태에서 부직포의 두께가 1.5~3.0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한다.
무기질 코팅층 형성
상기 시트 상부에는 무기질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 코팅층의 구성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 35~65중량%, 규사 20~40중량%, 기능성 시멘트 10~16중량%, 물 2~5중량%, 점토 1.5~5중량%, 소포제 0.01~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은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도막을 형성하면서 시멘트와의 혼화성이 우수하다.
에멀젼과 무기질을 혼합할 때 통기성과 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통기성 기능을 갖는 아크릴 에스테르 에멀젼을 결합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질로는 기능성 시멘트, 규사, 점토를 포함하여 모듈식 시트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며 신율과 같은 경화후의 방수특성과 방수도막 물성의 증대에 기여하며, 결합제와의 작용을 통해 방수도막에 미세한 기공을 형성시키게 하여 투수성과 투습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물은 도장 작업성 향상을 위해 사용하며, 에멀젼과 파우더의 혼합작용을 용이하게 하고 별도의 희석수 첨가를 하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을 신속성을 도모하게 한다.
상기 소포제는 에멀젼과 파우더의 혼합제조시에 파우더의 혼합에 따른 기포발생을 억제한다.
도막방수재 형성
무기질 코팅층 상부에는 도막방수재를 형성할 수 있는 데, 상기 도막방수재의 제조는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20 ~ 30중량%, 체질안료 50 ~ 60중량%, 숯 10 ~ 18중량%, 가교제 1.3 ~ 1.5중량%, 가소제 1.5 ~ 2.0중량%, 침강방지제 0.5 ~ 0.8중량%, 분산제 0.2 ~ 0.5중량%, 소포제 0.3 ~ 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렌글리콜을 산화프로필렌과 반응시켜서 제조하는 분자량이 약 500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도막방수재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가 감소되고,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향상되며, 온도의존성 및 부착강도도 장점이 있다.
한편, 개질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복수개로 바닥면에 부착할 때 시트와 시트 사이는 0.5 ~ 3mm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간격 사이에는 도막방수재가 스며들어가서 바닥면과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바닥면 청소 및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방수처리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있는 수분 및 먼지를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개질아스팔트 시트 형성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구성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중량%, SBS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중량%, CR 고무 6중량%, 석유수지 5중량%, 탄산칼슘 4중량%, 돌로마이트 4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4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중량% 및 산화아연 0.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AP-3 아스팔트를 사용하였으며, 약 180℃로 가열한 AP-3 아스팔트에 다른 구성물질을 혼합하여 시트를 완성하였다.
개질아스팔트 시트의 하부면의 중간부위에는 길이 1m당 20cm로 접착부를 형성하였으며, 그외에는 비접착부로 규사를 도포하였다.
시트의 상부에는 장섬유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형성하였는 데, 시트 1kg당 200 ~ 230g의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형성하였다.
무기질 코팅층 형성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 상부에는 무기질 코팅층을 형성하는 데, 무기질 코팅층의 구성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 40중량%, 규사 35중량%, 기능성 시멘트 15중량%, 물 5중량%, 점토 4.5중량%, 소포제 0.5중량%로 형성하였다.
도막방수재 형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의 제조를 위해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25중량%, 체질안료 55.5중량%, 숯 15중량%, 가교제 1.5중량%, 가소제 2.0중량%, 침강방지제 0.5중량%, 분산제 0.2중량%, 소포제 0.3중량%를 포함하도록 하여 도막방수재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중량%, SBS 8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중량%, CR 고무 6중량%, 석유수지 5중량%, 탄산칼슘 5중량%, 돌로마이트 4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4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1중량% 및 산화아연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5중량%, SBS 6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중량%, CR 고무 6중량%, 석유수지 4중량%, 탄산칼슘 4중량%, 돌로마이트 4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4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중량% 및 산화아연 0.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70중량%, SBS 6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중량%, CR 고무 6중량%, 석유수지 3중량%, 탄산칼슘 2중량%, 돌로마이트 3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3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중량% 및 산화아연 0.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층으로 구성되는 복합방수시트를 제조하되,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구성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AP-5 아스팔트 65중량%, SBS 10중량%, CR 고무 10중량%, 석유수지 5중량%, 탄산칼슘 1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층으로 구성되는 복합방수시트를 제조하되,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와 도막방수재의 구성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AP-5 아스팔트 65중량%, SBS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7중량%, CR 고무 3중량%, 석유수지 5중량%, 탄산칼슘 1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도막방수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25중량%, 체질안료 36중량%, 탄산칼슘 35중량%, 가교제 0.5중량%, 가소제 2.5중량%, 침강방지제 0.5중량%, 분산제 0.2중량%, 소포제 0.3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서 제조된 복합방수시트에 대하여 KS F 3211 건설용 도막방수재의 시험규격에 따른 시험방법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평가는 인장성능, 열화처리 후 인장성능 및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인장
성능
인장강도(N/㎟) 13.8 14.5 15.7 16.2 12.5 12.8
신장률(%) 68 65 63 60 59 56
열화처리후
인장성능
황산 인장강도 13.0 13.5 15.0 15.6 10.5 10.6
신장률 67 70 64 65 61 58
염산 인장강도 12.7 13.6 14.7 15.4 10.3 10.5
신장률 70 66 68 61 62 59
질산 인장강도 12.9 13.6 14.8 15.1 10.4 10.5
신장률 69 68 69 63 60 57
알칼리 인장강도 13.3 14.2 15.6 16.0 10.8 10.9
신장률 65 63 57 57 57 53
염화
나트륨
인장강도 13.5 14.3 15.4 15.8 11.8 12.0
신장률 65 65 60 60 58 55
내구성능 가열
처리
인장강도 비 85.3 87.8 87.6 89.2 82.5 80.3
신장률 비 85.9 86.7 84.1 86.3 80.2 80.5
촉진
노출
인장강도 비 83.5 85.4 85.2 86.2 82.6 81.3
신장률 비 82.4 84.6 84.1 85.0 80.5 80.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복합방수시트는 비교예들의 방수시트에 비해 인장강도 및 신장률와 열화처리후 인장성능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가열처리 및 촉진노출 이후에도 인장강도 및 신장률의 저하가 85% 이상으로 내구성능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수분 및 먼지를 제거하는 바닥면 청소단계;
    바닥면 상 일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층 형성단계;
    상기 바닥면 및 프라이머층 상에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를 형성하는 개질아스팔트 시트 형성단계; 및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상에는 무기질 코팅층을 형성하는 무기질 코팅층 형성단계;
    상기 무기질 코팅층 상에 도막방수재를 형성하는 도막방수재 형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 ~ 70중량%, SBS 6 ~ 10중량%, 수소처리된 파라핀 증류오일 6 ~ 8중량%, CR 고무 6 ~ 8중량%, 석유수지 3 ~ 5중량%, 탄산칼슘 2 ~ 5중량%, 돌로마이트 3 ~ 5중량%, 디이소노릴프타레이트 3 ~ 5중량% 및 산화마그네슘 0.5 ~ 1중량% 및 산화아연 0.5 ~ 1중량%를 포함하여 형성하며,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하부에는 접착부 및 비접착부로 구성되어
    상기 비접착부는 규사가 추가 도포되어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접착부는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서 접착되어 방수시트가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는 비노출 형태로 작업하되, 상기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접착부 접착되는 절연접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의 접착부는 개질아스팔트 방수시트 1m 길이당 15 ~ 20cm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코팅층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에멀젼 35~65중량%, 규사 20~40중량%, 기능성 시멘트 10~16중량%, 물 2~5중량%, 점토 1.5~5중량%, 소포제 0.01~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는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20 ~ 30중량%, 체질안료 50 ~ 60중량%, 숯 10 ~ 18중량%, 가교제 1.3 ~ 1.5중량%, 가소제 1.5 ~ 2.0중량%, 침강방지제 0.5 ~ 0.8중량%, 분산제 0.2 ~ 0.5중량%, 소포제 0.3 ~ 0.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 상부에 부직포가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장섬유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시트 1kg 당 200 ~ 230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아스팔트 시트를 복수개로 부착하는 경우 시트와 시트 사이에는 상기 도막방수재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공법.
KR1020190061063A 2019-05-24 2019-05-24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Active KR10206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63A KR102063653B1 (ko) 2019-05-24 2019-05-24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063A KR102063653B1 (ko) 2019-05-24 2019-05-24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653B1 true KR102063653B1 (ko) 2020-01-08

Family

ID=6915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063A Active KR102063653B1 (ko) 2019-05-24 2019-05-24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6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120B1 (ko) * 2021-08-12 2022-08-30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접합부 상호결합형 시트
US20230234336A1 (en) * 2020-07-28 2023-07-27 Tianjin Joaboa Technology Co., Ltd. Self-adhesive waterproof coiled material of super-strong cross laminated film and preparation process
KR102669684B1 (ko) * 2023-06-15 2024-05-29 세림종합건설 주식회사 인열강도가 보강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761087B1 (ko) * 2023-11-14 2025-02-04 송현규 학교용 다용도 건축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54B1 (ko) * 2003-12-10 2006-02-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1117183B1 (ko) * 2011-05-18 2012-03-07 (주)삼성방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454B1 (ko) * 2003-12-10 2006-02-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엠보싱 폴리비닐시트와 다공성 세라믹 열가소성 수지계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부분절연 블록형 비노출복합방수층 구조 및 복합방수공법
KR101117183B1 (ko) * 2011-05-18 2012-03-07 (주)삼성방수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4336A1 (en) * 2020-07-28 2023-07-27 Tianjin Joaboa Technology Co., Ltd. Self-adhesive waterproof coiled material of super-strong cross laminated film and preparation process
US12350921B2 (en) * 2020-07-28 2025-07-08 Tianjin Joaboa Technology Co., Ltd. Self-adhesive waterproof coiled material of super-strong cross laminated film and preparation process
KR102438120B1 (ko) * 2021-08-12 2022-08-30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접합부 상호결합형 시트
KR102669684B1 (ko) * 2023-06-15 2024-05-29 세림종합건설 주식회사 인열강도가 보강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761087B1 (ko) * 2023-11-14 2025-02-04 송현규 학교용 다용도 건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653B1 (ko) 절연접착 복합방수공법
KR101964680B1 (ko)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KR101117183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KR100671412B1 (ko)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100958884B1 (ko)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0992952B1 (ko)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제와 양면규사시트의 접착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38923B1 (ko) 방수 도막용 우레탄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축물 보수용복합 방수 구조 및 복합 방수 공법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791587B1 (ko) 건축용 아스팔트 방수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CA2857557A1 (en) Asphalt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properties and related coatings and methods
KR102113548B1 (ko) 거동 대응형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20140122831A (ko) 방수기능을 갖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시공방법
KR101019550B1 (ko) 저온용융 개질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88825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834160A (zh) 可延展加橡胶沥青毡以及具有沥青玛帝脂铺展膜和所述毡的叠层防水材料
KR101993615B1 (ko) 도막 방수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막 방수 코팅층의 시공방법
RU2330867C1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 бетон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крытия
KR100585225B1 (ko) 스프레이식 고무화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재 및 그제조방법.
KR102002817B1 (ko) 방수 아스콘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방수 아스콘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방수 아스콘 시공방법
KR102058021B1 (ko)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 조성물과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940350B1 (ko)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460723B1 (ko) 아스팔트씰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627580B1 (ko)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구조물 시공용 탄성봉합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02085B1 (ko) 변성실리콘계 폴리머를 포함한 냉 공법 무용제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