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654B1 -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 Google Patents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0654B1 KR102060654B1 KR1020170138512A KR20170138512A KR102060654B1 KR 102060654 B1 KR102060654 B1 KR 102060654B1 KR 1020170138512 A KR1020170138512 A KR 1020170138512A KR 20170138512 A KR20170138512 A KR 20170138512A KR 102060654 B1 KR102060654 B1 KR 1020606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bogie
- conveyor
- chute
- balan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08B1/001—
-
- B08B1/0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08—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by relatively moving an endless feed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41—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 B65G2814/0247—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by displacement of the fee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대차부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1 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대차부와 균형대차의 이동을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트리퍼에 형성된 잔여물 제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잔여물 제거부가 잔여물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자력부 및 수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300: 제 1 대차부 301: 제 1 전도성 차륜부
400: 트리퍼 410: 제 1 메인 풀리
420: 제 2 메인 풀리 431: 청소용 롤러
432: 날개부 433: 가압용 롤러
500: 제 1 슈트부 600: 제 2 레일
610: 제 3 레일 620: 균형 대차
630: 제 1 균형 풀리 640: 제 2 균형 풀리
650: 제 1 균형 로프 660: 제 2 균형 로프
700: 제 2 대차부 701: 제 2 전도성 차륜부
800: 제 2 컨베이어 900: 제 2 슈트부
910: 제 3 슈트부 920: 자력부
930: 수거부
M1: 제 1 동력부 M2: 제 2 동력부
a: 이송물 b: 잔여물
Claims (3)
- 상면으로 이송물(a)을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이어(100);
상기 제 1 컨베이어(100)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레일(200);
상기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00)가 장착되어 트리퍼(400)를 형성하는 제 1 대차부(300);
상기 트리퍼(400)의 단부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상기 이송물(a)을 안내하는 제 1 슈트부(500);
상기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레일(200)을 따라 상기 제 1 대차부(300)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 1 레일(20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레일(600);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대차부(700);
상기 제 2 대차부(700)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슈트부(500)를 통해 낙하하는 상기 이송물(a)을 상면으로 전달받아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컨베이어(800);
상기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상기 이송물(a)을 안내하고, 하방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슈트부(900); 및
상기 제 2 컨베이어(800)의 타단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상기 이송물(a)을 안내하고, 하방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슈트부(91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10)를 통해 상기 이송물(a)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되, 상기 제 1 대차부(300) 및 상기 제 2 대차부(700)가 각각 상기 제 1 레일(200) 및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낙하되는 상기 이송물(a)이 지면에 고루 분산되고,
상기 트리퍼(400)는,
상기 제 1 대차부(300)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이 권취되어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고, 상기 이송물(a)이 상기 제 1 슈트부(500)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컨베이어(100)를 안내하는 제 1 메인 풀리(410);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이 권취되어 진행 방향을 다시 반전시키는 제 2 메인 풀리(420); 및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상기 제 2 메인 풀리(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 달라붙은 잔여물(b)이 상기 제 2 메인 풀리(4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여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잔여물 제거부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측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함께 회전 운동하되,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청소용 롤러(431);
상기 청소용 롤러(431) 외주면에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청소용 롤러(431)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고, 상기 청소용 롤러(431)가 회전 운동 시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과 접하며, 소정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432); 및
상기 청소용 롤러(431)와 상기 제 1 컨베이어(1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날개부(432)를 상기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가압하는 가압용 롤러(43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432)는 상기 가압용 롤러(433)에 의해 상기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되,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과 근접 시 가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소정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잔여물(b)이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서 제거되며,
상기 제거된 잔여물(b)이 상기 제 2 컨베이어(800)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수거용 슈트부(43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10)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10)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는 전도체 재질의 자력부(920); 및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10)의 중심축에 봉 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도체 재질의 수거부(930);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부(920)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수거부(930)는 상기 자력부(920)의 유도 전류로 인해 전자석으로 성질이 변화되고, 상기 이송물(a)에 포함된 전도체 재질의 불순물이 자력을 갖는 상기 수거부(930)에 달라붙어 상기 이송물(a)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제 3 슈트부(910)는 복수의 관(90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901)이 포개어지도록 구성되되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이송물(a)은 저장 공간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600)의 하측 방향에 상기 제 2 레일(6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레일(610);
상기 제 3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는 균형 대차(620);
상기 제 2 레일(600)의 일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균형 풀리(630);
일단이 상기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균형 풀리(630)에 감긴 뒤 상기 균형 대차(620)에 연결되는 제 1 균형 로프(650);
상기 제 2 레일(600)의 타 끝단에 구비되는 제 2 균형 풀리(640);
일단이 상기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균형 풀리(640)에 감긴 뒤 상기 균형 대차(620)에 연결되는 제 2 균형 로프(6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차부(700)가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균형 대차(620)는 상기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대차부(300)를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의 무게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차부(300)는 상기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동력부(M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레일(200)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외부 전력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대차부(300)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레일(200)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 1 레일(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동력부(M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동력부(M1)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도성 차륜부(30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대차부(700)는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동력부(M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레일(600)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도성 차륜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대차부(700)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2 레일(600)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 2 레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동력부(M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동력부(M2)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도성 차륜부(7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8512A KR102060654B1 (ko) | 2017-10-24 | 2017-10-24 |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8512A KR102060654B1 (ko) | 2017-10-24 | 2017-10-24 |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5667A KR20190045667A (ko) | 2019-05-03 |
KR102060654B1 true KR102060654B1 (ko) | 2019-12-30 |
Family
ID=6658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8512A Active KR102060654B1 (ko) | 2017-10-24 | 2017-10-24 |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06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97445A (zh) * | 2019-11-06 | 2020-01-17 | 河南省德耀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 带式输料装置及料仓进料系统 |
CN111573310B (zh) * | 2020-06-16 | 2024-12-10 | 武汉轻工大学 | 粮食输送布料装置和布粮机器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7595A (ja) * | 2000-09-08 | 2002-03-27 | Ohbayashi Corp | 粉粒体の撒き出しシステム |
JP2010107281A (ja) * | 2008-10-29 | 2010-05-13 | Mitsutoyo Corp | 三次元測定機の昇降装置 |
KR101290242B1 (ko) * | 2008-03-27 | 2013-07-30 |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 크레인 급전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76237A (ko) | 2008-12-26 | 2010-07-06 | 주식회사 포스코 | 트리퍼 이송장치 |
-
2017
- 2017-10-24 KR KR1020170138512A patent/KR10206065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7595A (ja) * | 2000-09-08 | 2002-03-27 | Ohbayashi Corp | 粉粒体の撒き出しシステム |
KR101290242B1 (ko) * | 2008-03-27 | 2013-07-30 |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 크레인 급전시스템 |
JP2010107281A (ja) * | 2008-10-29 | 2010-05-13 | Mitsutoyo Corp | 三次元測定機の昇降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5667A (ko) | 2019-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0668B1 (ko) |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 |
JP5156828B2 (ja) | 軌道の締結金具を収容しかつ貯蔵するための機械ならびに方法 | |
CN102923427A (zh) | 物品运送设备 | |
KR102060654B1 (ko) |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 |
KR102060650B1 (ko) |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트리퍼카 | |
CN108569529B (zh) | 用于运输货物部件的输送系统和方法 | |
KR20090059619A (ko) | 벨트용 컨베이어 롤러의 탄성장치 | |
KR101791667B1 (ko) | 트리퍼카 | |
CN105501779A (zh) | 一种自动化多任务并行穿梭车 | |
CN211140678U (zh) | 滚轮翻面装置 | |
CN210554926U (zh) | 便于上料的物流箱运送装置 | |
KR100918696B1 (ko) |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 |
JP2012196602A (ja) | スラグ選別設備 | |
KR20130046564A (ko) | 트리퍼 | |
CN212475351U (zh) | 一种便于物料存储的布料系统 | |
KR20180136864A (ko) | 트리퍼카 | |
KR200434291Y1 (ko) | 충격력을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 클리너 | |
CN110758978A (zh) | 输送装置 | |
CN101767343A (zh) | 卷筒式纤维制品的废料处理装置 | |
US3144927A (en) | Flexible magnetic conveyor | |
JP2016107756A (ja) | 搬送設備および台車 | |
CN211168462U (zh) | 输送装置 | |
CN102897488B (zh) | 硅片运载装置 | |
KR100905110B1 (ko) | 벨트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따라 자동탈착이 가능한클리너장치 | |
KR100535983B1 (ko) | 차륜 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