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60668B1 -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 Google Patents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668B1
KR102060668B1 KR1020170138519A KR20170138519A KR102060668B1 KR 102060668 B1 KR102060668 B1 KR 102060668B1 KR 1020170138519 A KR1020170138519 A KR 1020170138519A KR 20170138519 A KR20170138519 A KR 20170138519A KR 102060668 B1 KR102060668 B1 KR 10206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ogie
conveyor
chute
bal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671A (ko
Inventor
문양식
Original Assignee
문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양식 filed Critical 문양식
Priority to KR102017013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6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6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8B1/001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4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 B65G69/0408Spreading out the materials conveyed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Trimming heaps of loose materials by relatively moving an endless fee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41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 B65G2814/0247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spreading out the material over the whole surface to be loaded by displacement of the fee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는 이송물을 운반하는 제 1 컨베이어, 제 1 컨베이어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레일,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 1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트리퍼를 형성하는 제 1 대차부, 트리퍼의 단부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제 1 슈트부, 제 1 대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 2 레일,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대차부, 제 2 대차부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전달받아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컨베이어, 제 2 컨베이어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지면으로 안내하고, 하방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를 포함하는 트리퍼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를 통해 이송물을 양 방향으로 낙하시켜 적재할 수 있고, 제 1 대차부를 통해 제 1 대차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물을 고루 분산시켜 저장 공간의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 2 대차부를 통해 제 2 대차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물을 고루 분산시켜 저장 공간의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제 1 대차부 및 제 2 대차부의 레일 운동을 통해 이송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낙하시켜 저장 공간의 지면에 고루 분산 적재시킴으로써 저장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트리퍼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TRIPPER CAR THAT GUIDES THE DROP FEED}
본 발명은 트리퍼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이송물을 저장공간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트리퍼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밸트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무한궤도 구조를 갖고, 이를 통해 대량의 이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송물 등을 창고와 같은 저장 공간에 보관할 때에는 컨베이어 밸트에 단부에서 이송물이 호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트리퍼가 주로 사용한다. 더 나아가, 다수의 호퍼가 위치되는 경우 이를 컨베이어 밸트를 따라 정해진 구간을 주행할 수 있는 트리퍼카를 사용한다.
다만, 종래의 트리퍼카의 경우 컨베이어 밸트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로 이송물을 낙하시키기 때문에 저장 공간이 지면인 경우 이송물이 특정 좌표 또는 특정 선 상에 집중되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일어나 저장 공간을 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관한 경우 저장 공간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물을 운반하기 어려워 시간 및 비용 등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76237호(2010.07.06.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이송물이 낙하되는 영역을 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트리퍼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면으로 이송물을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이어, 제 1 컨베이어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레일, 제 1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 1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트리퍼를 형성하는 제 1 대차부, 트리퍼의 단부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안내하는 제 1 슈트부, 제 1 대차부에 구비되어 제 1 레일을 따라 제 1 대차부와 함께 이동되고 제 1 레일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레일, 제 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대차부, 제 2 대차부에 형성되어 제 1 슈트부를 통해 낙하하는 이송물을 상면으로 전달받아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컨베이어, 제 2 컨베이어의 일단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안내하고, 하방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2 슈트부 및 제 2 컨베이어의 타단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을 안내하고, 하방으로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 3 슈트부를 포함하는 트리퍼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를 통해 이송물을 양 방향으로 낙하시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대차부를 통해 제 1 대차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물을 고루 분산시켜 저장 공간의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대차부를 통해 제 2 대차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송물을 고루 분산시켜 저장 공간의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제 1 대차부 및 제 2 대차부를 통해 이송물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낙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장 공간의 지면에 고루 분산시켜 이송물을 적재할 수 있어 저장 공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대차부가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1 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대차부와 균형대차의 이동을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트리퍼에 형성된 잔여물 제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잔여물 제거부가 잔여물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의 자력부 및 수거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가 복수의 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2 슈트부 및 제 3 슈트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는 이송물(a)을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이어(100), 제 1 컨베이어(100)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레일(200),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고 트리퍼(400)를 형성하는 제 1 대차부(300), 트리퍼(400)의 단부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이송물(a)을 안내하는 제 1 슈트부(500),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되고 제 1 레일(20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레일(600),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대차부(700), 제 2 대차부(700)에 형성되어 낙하된 이송물(a)을 전달받아 일단 또는 타단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컨베이어(800),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송물(a)을 안내하는 제 2 슈트부(900), 제 2 컨베이어(800)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송물(a)을 안내하는 제 3 슈트부(9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 1 컨베이어(100)는 밸트 형 컨베이어로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회전 운동하는 무한 궤도를 구성한다. 제 1 컨베이어(100)는 상면으로 이송물(a)을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1 컨베이어(100)는 무한 궤도를 구성하고, 무한 궤도 운동을 통해 이송물(a)을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일 방향은 이송물(a)이 제 1 컨베이어(100)의 상면에 적재되는 방향이고, 타 방향은 이송물(a)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위치되는 방향이다. 제 1 컨베이어(100)의 일부는 후술하는 제 1 대차부(300)에 장착되어 트리퍼(400)를 형성한다.
제 1 레일(200)은 제 1 컨베이어(100)를 따라 형성된다. 제 1 레일(200)은 제 1 컨베이어(100)와 동일한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레일(20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레일(200)은 제 1 컨베이어(100)를 기준으로 제 1 컨베이어(100)를 따라 양 측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일(200)은 후술하는 제 1 대차부(300)가 위치되고, 제 1 대차부(300)가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 1 대차부(300)는 제 1 레일(200)에 위치되어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한다. 제 1 대차부(300)는 복수의 차륜이 구비되어 제 1 레일(20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1 대차부(300)는 제 1 레일(200)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 1 대차부(300)는 제 1 레일(200)에 위치되어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며, 제 1 컨베이어(100)가 장착된다. 제 1 대차부(300)는 제 1 컨베이어(100)가 장착되어 트리퍼(4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대차부(300)는 제 1 레일(200)에 장착되어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되, 제 1 컨베이어(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제 1 컨베이어(100)의 상면이 제 1 대차부(300)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트리퍼(400)를 형성할 수 있다. 대차부는 트리퍼(40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대차부(300)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고 제 1 컨베이어(100)에 권취되어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고, 이송물(a)이 제 1 슈트부(500)로 이동되도록 제 1 컨베이어(100)를 안내하는 제 1 메인 풀리(410)와 제 1 메인 풀리(41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 권취되어 진행 방향을 다시 반전시키는 제 2 메인 풀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컨베이어(100)는 제 1 메인 풀리(410)와 제 2 메인 풀리(420)로 인해 단면이 "S"형상을 갖는 트리퍼(4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송물(a)은 제 1 대차부(300)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제 1 메인 풀리(410)가 위치되는 단부에서 낙하된다. 따라서, 제 1 대차부(300)는 제 1 컨베이어(100)가 결합되는 제 1 메인 풀리(410) 및 제 2 메인 풀리(420)를 포함하는 트리퍼(400)카 일 수 있다.
제 1 슈트부(500)는 트리퍼(400)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 1 슈트부(500)는 트리퍼(400) 단부에서 낙하하는 이송물(a)이 후술하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상면에 낙하되도록 이송물(a)을 안내한다. 제 1 슈트부(500)는 제 1 메인 풀리(41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슈트부(500)는 덕트 또는 호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슈트부(500)는 제 1 메인 풀리(410)가 위치되는 트리퍼(400)의 단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a)을 후술하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상면으로 안내하고, 바람 등으로 인해 이송물(a)이 분진이 발생시키거나, 이송물(a)의 낙하 운동을 통해 이송물(a)이 분진을 발생시켜 주변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레일(600)은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된다. 제 2 레일(600)은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되어 제 1 대차부(300)와 함께 이동된다. 제 2 레일(600)은 제 1 레일(20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레일(200)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2 레일(600)은 X축과 수직ㄱ하는 Y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레일(600)은 제 2 대차부(700)가 장착되어 이동되고 이를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과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 2 대차부(700)는 제 2 레일(600)에 위치되어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한다. 제 2 대차부(700)는 제 2 레일(600)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 2 대차부(700)는 복수의 차륜이 구비되어 제 2 레일(60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 2 대차부(700)는 제 2 레일(600)에 위치되어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며, 후술하는 제 2 컨베이어(800)가 장착된다.
제 2 컨베이어(800)는 제 2 대차부(700)에 형성된다. 제 2 컨베이어(800)는 밸트 형 컨베이어로서 복수의 롤러가 구비되어 회전 운동하는 무한 궤도를 구성한다. 제 2 컨베이어(800)는 제 1 컨베이어(100)의 트리퍼(400)를 통해 낙하되는 이송물(a)을 상면으로 전달받는다. 따라서, 제 2 컨베이어(800)는 제 1 메인 풀리(410)가 위치되는 트리퍼(400)의 단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컨베이어(800)는 트리퍼(400)의 단부에서 낙하되는 이송물(a)을 안내하는 제 1 슈트부(500)로부터 이송물(a)을 전달받는다. 제 2 컨베이어(800)는 제 1 슈트부(500)로부터 이송물(a)을 전달받아 일 방향 궤도 운동 또는 타 방향 궤도 운동을 통해 상면으로 이송물(a)을 제 2 컨베이어(800)의 양 끝단인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 2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 2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서 낙하되는 이송물(a)이 수직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제 2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측이 덕트 또는 호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슈트부(900)는 하측이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낙하하는 이송물(a)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제 2 슈트부(900)는 복수의 관(910)이 포개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910)이 포개어진 경우 포개어진 관(910)을 하방으로 도 8의 b와 같이 연장시킴으로써 이송물(a)이 저장 공간의 지면까지 안내될 수 있다.
제 3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 3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타단에서 낙하되는 이송물(a)이 수직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제 3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타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하측이 덕트 또는 호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3 슈트부(900')는 하측이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낙하하는 이송물(a)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a를 참고하면, 제 3 슈트부(900')는 복수의 관(910)이 포개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910)이 포개어진 경우 포개어진 관(910)을 하방으로 도 8의 b와 같이 연장시킴으로써 이송물(a)이 저장 공간의 지면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따르면, 제 2 슈트부(900) 또는 제 3 슈트부(900')를 통해 이송물(a)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되, 제 1 대차부(300) 및 제 2 대차부(700)가 각각 제 1 레일(200) 및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낙하되는 이송물(a)이 지면에 고루 분산될 수 있다. 즉, 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대차부(300)와 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대차부(700)를 통해 이송물(a)을 지면에 고루 분산시킴으로써 저장 공간의 저장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저장 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저장 공간에 고루 분산된 적재물로 인해 비용 및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일례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 2 대차부(700)가 제 2 레일(600)을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 1 대차부(300)의 무게 중심이 변화되는데, 변화되는 무게 중심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무게 균형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무게 균형 수단은 제 3 레일(610), 균형 대차(620), 제 1 균형 풀리(630), 제 2 균형 풀리(640), 제 1 균형 로프(650) 및 제 2 균형 로프(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레일(610)은 제 2 레일(6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3 레일(610)은 제 2 레일(600)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동일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3 레일(610)은 제 2 레일(600)의 하측 방향에 제 2 레일(6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균형 대차(620)는 제 3 레일(610)에 위치된다. 균형 대차(620)는 제 3 레일(610)에 위치되어 제 3 레일(610)을 따라 이동한다.
제 1 균형 풀리(630)는 제 2 레일(600)의 일 끝단에 구비된다. 제 1 균형 풀리(630)는 후술하는 제 1 균형 로프(650)가 감기는 구성이다. 제 1 균형 풀리(630)는 제 1 균형 로프(650)가 감김으로써 균형 대차(620)부가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 1 균형 로프(650)는 제 2 대차부(700)와 균형 대차(620)를 서로 연결한다. 제 1 균형 로프(650)는 일단이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균형 대차(620)에 연결된다. 제 1 균형 로프(650)는 일단이 제 2 레일(6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레일(600)의 하측에 위치되는 균형 대차(620)에 연결된다. 제 1 균형 로프(650)는 제 1 균형 풀리(630)에 권취된다. 제 1 균형 로프(650)는 일단이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균형 풀리(630)에 감긴 뒤 균형 대차(620)에 연결된다.
제 2 균형 풀리(640)는 제 1 균형 풀리(630)와 대칭되는 구성으로서, 제 2 레일(600)의 타 끝단에 구비된다. 제 2 균형 풀리(640)는 후술하는 제 2 균형 로프(660)가 감기는 구성이다. 제 2 균형 풀리(640)는 제 2 균형 로프(660)가 감김으로써 균형 대차(620)부가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제 2 균형 로프(660)는 제 1 균형 로프(650)와 대칭되는 구성으로서, 제 2 균형 로프(660)는제 2 대차부(700)와 균형 대차(620)를 서로 연결한다. 제 2 균형 로프(660)는 일단이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균형 대차(620)에 연결된다. 제 2 균형 로프(660)는 일단이 제 2 레일(60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레일(600)의 하측에 위치되는 균형 대차(620)에 연결된다. 제 2 균형 로프(660)는 제 2 균형 풀리(640)에 권취된다. 제 2 균형 로프(660)는 일단이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균형 풀리(640)에 감긴 뒤 균형 대차(6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대차부(700)가 제 2 레일(60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 시 균형 대차(620)는 제 2 균형 로프(660)에 의해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대차부(700)가 타 방향으로 이동 시 균형 대차(620)는 제 1 균형 로프(650)에 의해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일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 2 대차부(700)가 제 2 레일(600)을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이에 대응되어 균형 대차(620)가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 1 대차부(300)를 기준으로 일 방향과 타 방향의 무게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때, 균형 대차(620)의 무게는 상기한 구성을 기초로 제 2 대차부(700)가 이동됨으로써 발생하는 무게 불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무게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는 제 1 대차부(300) 및 제 2 대차부(700)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에 대한 전력 공급 수단이 제안된다. 상세하게, 제 1 대차부(300)는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동력부(M1)가 구비되고, 제 2 대차부(700)는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제 2 동력부(M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력 공급 수단은 제 1 레일(200) 및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대차부(300) 및 제 2 대차부(700)와 외부 전력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력과 연결되고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는 제 1 레일(200),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되어 제 1 레일(200), 제 1 동력부(M1) 및 제 2 레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레일(200)로부터 제 1 동력부(M1) 및 제 2 레일(600)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 1 전도성 차륜부(301),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고 제 1 전도성 차륜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레일(600), 제 2 대차부(700)에 구비되어 제 2 레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 레일(600) 및 제 2 동력부(M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레일(600)로부터 제 2 동력부(M2)로 전류를 전달하는 제 2 전도성 차륜부(701)를 포함한다.
제 1 동력부(M1)는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되어 제 1 대차부(300)와 함께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한다.
제 1 레일(200)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고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레일(200)인 한 쌍인 경우 한 쌍의 레일은 각각 외부 전력과 음극 연결 및 양극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전도성 차륜부(301)는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된다. 제 1 전도성 차륜부(301)는 제 1 대차부(300)가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바퀴일 수 있다. 제 1 전도성 차륜부(301)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된다. 제 1 전도성 차륜부(301)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제 1 레일(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력으로부터 전류를 전달받는다. 제 1 전도성 차륜부(301)는 제 1 대차부(300)에 위치되는 제 1 동력부(M1)와 제 2 레일(60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레일(20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를 제 1 동력부(M1)와 제 2 레일(600)에 각각 공급한다. 따라서, 제 1 동력부(M1)는 제 1 레일(200) 및 제 1 전도성 차륜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레일(200) 및 제 1 전도성 차륜부(301)를 통해 외부 전력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제 2 동력부(M2)는 제 2 대차부(700)에 구비되어 제 2 대차부(700)와 함께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한다.
제 2 레일(600)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고, 제 1 전도성 차륜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레일(600)이 한 쌍인 경우 한 쌍의 레일은 각각 음극 전류 및 양극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전도성 차륜부(701)는 제 2 대차부(700)에 구비된다. 제 2 전도성 차ㅏ륜부는 제 2 대차부(700)가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바퀴일 수 있다. 제 2 전도성 차륜부(701)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된다. 제 2 전도성 차륜부(701)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제 2 레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력으로부터 전류를 전달받는다. 제 2 전도성 차륜부(701)는 제 2 대차부(700)에 위치되는 제 2 동력부(M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레일(60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를 제 2 동력부(M2)에 공급한다. 따라서, 제 2 동력부(M2)는 제 1 레일(200), 제1 전도성 차륜부 및 제 2 레일(600)을 순차적으로 전기적 연결 됨으로써 구동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는 제 1 컨베이어(100) 외면(상면)으로이송되는 이송물(a)이 잔존하는 잔여물(b)이 제 2 메인 풀리(420)에 권취되어 제 2 메인 풀리(4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잔여물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잔여물 제거부는 제 1 메인 풀리(410)와 연결되어 제 1 메인 풀리(410)와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청소용 롤러(431), 청소용 롤러(431)의 외주면에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432), 날개부(432)를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가압시키는 가압용 롤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용 롤러(431)는 제 1 컨베이어(100)의 내측 방향에 위치된다. 청소용 롤러(431)는 제 1 메인 풀리(410)와 연결되어 제 1 메인 풀리(410)와 함께 회전 운동한다. 청소용 롤러(431)는 제 1 메인 풀리(4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제 1 메인 풀리(410)와 함께 회전 운동하되, 제 1 메인 풀리(4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 일례로, 청소용 롤러(431)는 밸트 또는 기어 등을 통해 제 1 메인 풀리(410)와 연결되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날개부(432)는 청소용 롤러(43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날개부(432)는 판 형상으로 청소용 롤러(431)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432)는 청소용 롤러(431)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날개부(432)는 청소용 롤러(431)가 회전 운동 시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과 접하며, 소정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된다.
가압용 롤러(433)는 청소용 롤러(431)와 제 1 컨베이어(100) 사이에 위치되어 날개부(432)를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가압한다. 따라서, 날개부(432)가 청소용 롤러(431)와 함께 회전 운동하는 경우 가압용 롤러(433)에 의해 날개부(432)는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가압되고, 지속적인 회전 운동으로 인해 날개부(432)가 가압용 롤러(433)를 지나가는 경우 날개부(432)가 갖는 복원력에 의해 날개부(432)는 다시 그 형태가 복원된다. 이때, 날개부(432)가 복원되는 복원력을 통해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충격을 가함으로써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 위치되는 잔여물(b)이 제거된다. 상세하게, 날개부(432)는 가압용 롤러(433)에 의해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되,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과 근접 시 가압 롤러로부터 이격되어 가압력이 제거되고, 가압력이 제거된 날개부(432)는 날개부(432)가 갖는 소정의 복원력을 통해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잔여물(b)이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서 제거된다.
추가적인 일례로,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서 제거된 잔여물(b)이 제 2 컨베이어(800)로 다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수거용 슈트부(4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는 이송물(a)에 포함된 전도체 재질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2 슈트부(900) 또는 제 3 슈트부(900')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2 슈트부(900) 또는 제 3 슈트부(900')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는 전도체 재질의 자력부(950)와 제 2 슈트부(900) 또는 제 3 슈트부(900')의 중심축에 봉 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도체 재질의 수거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부(950)에 전류 인가 시 수거부(960)는 자력부(950)의 유도 전류로 인해 전자석으로 성질이 변화되고, 이송물(a)에 포함된 전도체 재질의 불순물이 자력을 갖는 수거부(960)에 달라부터 이송물(a)로부터 제거된다. 여기서, 자력부(950)는 솔레노이드 코일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트리퍼카는 제 2 슈트부(900) 및 제 3 슈트부(900')에 하방으로 연장이 가능한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 2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 2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서 낙하되는 이송물(a)이 수직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제 2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포개어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관(910)은 관 형상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포개어진 경우 포개어진 가이드관(910)을 하방으로 도 15와 같이 연장시킴으로써 이송물(a)이 저장 공간의 지면까지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관(910)의 상측 일단에는 둘레면의 내측 및 외측 양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제 1 걸림부(911)를 구비하고, 하측의 타단에는 둘레면의 외측 일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제 2 걸림부(912)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관(910)의 최하단에는 가이드관(9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관(920)이 형성된다. 조절관(920)의 상측 일단에는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걸림부(911)와 동일하게 둘레면의 내측 및 외측 양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제 3 걸림부(921)를 구비할 수 있다. 단, 제 3 걸림부(921)는 내측 방향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관(920)의 일단에 구비된 제 3 걸림부(921)의 상면에는 제 1 도르래(9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도르래(931)는 균형을 위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르래(931)는 제 3 걸림부(921)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움직 도르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슈트부(900)의 상측에는 제 2 도르래(932), 드럼(933) 및 고정부(9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도르래(932)는 고정 도르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934)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1 도르래(931) 및 제 2 도르래(932)에 연결되며, 드럼(933)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9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드럼(933)이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와이어(940)가 드럼(933)에 감기게 되며, 제 1 도르래(93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르래(931)와 연결되어 있는 조절관(920)이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절관(920)의 일단에 구비된 제 3 걸림부(921) 및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걸림부(911)가 서로 맞닿아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5와 같이 드럼(933)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드럼(933)에 감겨있던 와이어(940)가 풀어지게 되며, 제 1 도르래(93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르래(931)와 연결되어 있는 조절관(920)이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관(910)은 타단에 구비된 제 2 걸림부(912)에 다음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걸림부(911)가 걸리게 되면, 걸린 이드관(910)의 이동은 정지하고, 다음 가이드(910)관은 계속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례대로 가이드관(910)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관(910)은 하측에 위치한 가이드관(910)일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 형성된다. 제 3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에서 낙하되는 이송물(a)이 수직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제 3 슈트부(900')는 제 2 컨베이어(800)의 일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포개어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관(910)은 관 형상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서로 포개어질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포개어진 경우 포개어진 가이드관(910)을 하방으로 도 15와 같이 연장시킴으로써 이송물(a)이 저장 공간의 지면까지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가이드관(910)의 상측 일단에는 둘레면의 내측 및 외측 양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제 1 걸림부(911)를 구비하고, 하측의 타단에는 둘레면의 외측 일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제 2 걸림부(912)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관(910)의 최하단에는 가이드관(91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관(920)이 형성된다. 조절관(920)의 상측 일단에는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걸림부(911)와 동일하게 둘레면의 내측 및 외측 양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 형상의 제 3 걸림부(921)를 구비할 수 있다. 단, 제 3 걸림부(921)는 내측 방향보다 외측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관(920)의 일단에 구비된 제 3 걸림부(921)의 상면에는 제 1 도르래(9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도르래(931)는 균형을 위해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두 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르래(931)는 제 3 걸림부(921)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움직 도르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슈트부(900)의 상측에는 제 2 도르래(932), 드럼(933) 및 고정부(9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도르래(932)는 고정 도르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934)에 일단이 고정되고, 제 1 도르래(931) 및 제 2 도르래(932)에 연결되며, 드럼(933)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와이어(9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드럼(933)이 외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와이어(940)가 드럼(933)에 감기게 되며, 제 1 도르래(93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르래(931)와 연결되어 있는 조절관(920)이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절관(920)의 일단에 구비된 제 3 걸림부(921) 및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걸림부(911)가 서로 맞닿아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5와 같이 드럼(933)이 내측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드럼(933)에 감겨있던 와이어(940)가 풀어지게 되며, 제 1 도르래(931)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1 도르래(931)와 연결되어 있는 조절관(920)이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관(910)은 타단에 구비된 제 2 걸림부(912)에 다음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구비된 제 1 걸림부(911)가 걸리게 되면, 걸린 이드관(910)의 이동은 정지하고, 다음 가이드(910)관은 계속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차례대로 가이드관(910)이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관(910)은 하측에 위치한 가이드관(910)일수록 직경이 넓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걸림부(911), 제 2 걸림부(912) 및 제 3 걸림부(921)는 플랜지 형상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 1 컨베이어 200: 제 1 레일
300: 제 1 대차부 301: 제 1 전도성 차륜부
400: 트리퍼 410: 제 1 메인 풀리
420: 제 2 메인 풀리 431: 청소용 롤러
432: 날개부 433: 가압용 롤러
500: 제 1 슈트부 600: 제 2 레일
610: 제 3 레일 620: 균형 대차
630: 제 1 균형 풀리 640: 제 2 균형 풀리
650: 제 1 균형 로프 660: 제 2 균형 로프
700: 제 2 대차부 701: 제 2 전도성 차륜부
800: 제 2 컨베이어 900: 제 2 슈트부
900': 제 3 슈트부 910: 가이드관
920: 조절관 931: 제 1 도르래
932: 제 2 도르래 933: 드럼
934: 고정부 940: 와이어
950: 자력부 960: 수거부
M1: 제 1 동력부 M2: 제 2 동력부
a: 이송물 b: 잔여물

Claims (6)

  1. 상면으로 이송물(a)을 이동시키는 제 1 컨베이어(100);
    상기 제 1 컨베이어(100)를 따라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레일(200);
    상기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00)가 장착되어 트리퍼(400)를 형성하는 제 1 대차부(300);
    상기 트리퍼(400)의 단부에 형성되어 낙하하는 상기 이송물(a)을 안내하는 제 1 슈트부(500);
    상기 제 1 대차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레일(200)을 따라 상기 제 1 대차부(300)와 함께 이동되고 상기 제 1 레일(200)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레일(600);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대차부(700);
    상기 제 2 대차부(700)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슈트부(500)를 통해 낙하하는 상기 이송물(a)을 상면으로 전달받아 일단 또는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 컨베이어(800);
    제 2 슈트부(900) 및 제 3 슈트부(900')에 각각 서로 포개어지도록 구비되어 하방으로 연장시킴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가이드관(910);
    상기 복수의 가이드관(9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관(910)의 일단에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형상의 제 1 걸림부(911) 및 타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형상의 제 2 걸림부(912);
    상기 가이드관(910)의 외측에 포개어지도록 상기 복수의 가이드관(910) 최하단에 구비되고, 일단에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 3 걸림부(921)을 포함하는 조절관(920);
    상기 제 3 걸림부(921)에 구비되는 제 1 도르래(931);
    상기 제 2 슈트부(900) 및 상기 제 3 슈트부(900')의 각각 상측에 위치되는 드럼(933); 및
    일단이 상기 드럼(933)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도르래(931)를 통과하여 상기 제 2 슈트부(900) 및 상기 제 3 슈트부(900')의 상측에 고정되는 와이어(940);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933)이 상기 와이어(940)를 권취 또는 권출함으로써 상기 제 1 도르래(931)가 상기 조절관(920)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00')를 통해 상기 이송물(a)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되, 상기 제 1 대차부(300) 및 상기 제 2 대차부(700)가 각각 상기 제 1 레일(200) 및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낙하되는 상기 이송물(a)이 지면에 고루 분산되고,
    상기 트리퍼(400)는,
    상기 제 1 대차부(300)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이 권취되어 진행 방향을 반전시키고, 상기 이송물(a)이 상기 제 1 슈트부(500)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컨베이어(100)를 안내하는 제 1 메인 풀리(410);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이 권취되어 진행 방향을 다시 반전시키는 제 2 메인 풀리(420); 및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상기 제 2 메인 풀리(42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 달라붙은 잔여물(b)이 상기 제 2 메인 풀리(4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잔여물 제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물 제거부는,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측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함께 회전 운동하되, 상기 제 1 메인 풀리(4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청소용 롤러(431);
    상기 청소용 롤러(431) 외주면에 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청소용 롤러(431)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고, 상기 청소용 롤러(431)가 회전 운동 시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과 접하며, 소정의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432); 및
    상기 청소용 롤러(431)와 상기 제 1 컨베이어(1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날개부(432)를 상기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가압하는 가압용 롤러(43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432)는 상기 가압용 롤러(433)에 의해 상기 청소용 롤러(431)의 중심 방향으로 가압되되,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과 근접 시 가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소정의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내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잔여물(b)이 상기 제 1 컨베이어(100)의 외면에서 제거되며,
    상기 제거된 잔여물(b)이 상기 제 2 컨베이어(800)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수거용 슈트부(43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00')는 원형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00')의 외주면을 따라 코일 형상으로 권취되는 전도체 재질의 자력부(950); 및
    상기 제 2 슈트부(900) 또는 상기 제 3 슈트부(900')의 중심축에 봉 형상으로 구비되는 전도체 재질의 수거부(960);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부(950)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수거부(960)는 상기 자력부(950)의 유도 전류로 인해 전자석으로 성질이 변화되고, 상기 이송물(a)에 포함된 전도체 재질의 불순물이 자력을 갖는 상기 수거부(960)에 달라붙어 상기 이송물(a)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600)의 하측 방향에 상기 제 2 레일(6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레일(610);
    상기 제 3 레일(610)을 따라 이동하는 균형 대차(620);
    상기 제 2 레일(600)의 일 끝단에 구비되는 제 1 균형 풀리(630);
    일단이 상기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균형 풀리(630)에 감긴 뒤 상기 균형 대차(620)에 연결되는 제 1 균형 로프(650);
    상기 제 2 레일(600)의 타 끝단에 구비되는 제 2 균형 풀리(640);
    일단이 상기 제 2 대차부(7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균형 풀리(640)에 감긴 뒤 상기 균형 대차(620)에 연결되는 제 2 균형 로프(6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대차부(700)가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균형 대차(620)는 상기 제 2 대차부(700)와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대차부(300)를 기준으로 상기 일 방향과 상기 타 방향의 무게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차부(300)는 상기 제 1 레일(2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동력부(M1)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레일(200)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외부 전력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대차부(300)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레일(200)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 1 레일(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동력부(M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동력부(M1)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전도성 차륜부(301)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대차부(700)는 상기 제 2 레일(6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 2 동력부(M2)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레일(600)은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도성 차륜부(3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2 대차부(700)는 전도체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제 2 레일(600)과 접함으로써 상기 제 2 레일(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 동력부(M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2 동력부(M2)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전도성 차륜부(7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퍼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38519A 2017-10-24 2017-10-24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Active KR10206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19A KR102060668B1 (ko) 2017-10-24 2017-10-24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519A KR102060668B1 (ko) 2017-10-24 2017-10-24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71A KR20190045671A (ko) 2019-05-03
KR102060668B1 true KR102060668B1 (ko) 2019-12-30

Family

ID=6658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519A Active KR102060668B1 (ko) 2017-10-24 2017-10-24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10230B (zh) * 2020-09-09 2022-04-19 盐城市科博液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特大板布料的分离式搅笼分料机
CN115709910B (zh) * 2022-12-07 2023-09-15 江门市振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装卡系统和装卡方法
KR102804255B1 (ko) * 2023-03-30 2025-05-07 하동효 분산식 하역 컨베이어 장치
CN117963571B (zh) * 2024-03-29 2024-06-11 河南新乡市利果橡塑有限公司 一种智能铁精矿球团布料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595A (ja) * 2000-09-08 2002-03-27 Ohbayashi Corp 粉粒体の撒き出しシステム
JP2010107281A (ja) * 2008-10-29 2010-05-13 Mitsutoyo Corp 三次元測定機の昇降装置
KR101290242B1 (ko) * 2008-03-27 2013-07-30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크레인 급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237A (ko)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트리퍼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595A (ja) * 2000-09-08 2002-03-27 Ohbayashi Corp 粉粒体の撒き出しシステム
KR101290242B1 (ko) * 2008-03-27 2013-07-30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크레인 급전시스템
JP2010107281A (ja) * 2008-10-29 2010-05-13 Mitsutoyo Corp 三次元測定機の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671A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668B1 (ko) 낙하 이송물을 가이드하는 트리퍼카
CN102923427A (zh) 物品运送设备
JP5156828B2 (ja) 軌道の締結金具を収容しかつ貯蔵するための機械ならびに方法
JP2008531347A (ja) ばらで供給される管状のプレフォームを配向するための装置
KR102060654B1 (ko) 잔여물 제거가 가능한 트리퍼카
KR102060650B1 (ko) 양 방향 이동이 가능한 트리퍼카
CN104960082A (zh) 一种牵引小车驱动的运输料斗
JP2018122988A (ja) 仕分けコンベヤ
KR101791667B1 (ko) 트리퍼카
KR101637134B1 (ko) 소금 채취 및 적재 장치
KR101561225B1 (ko) 이송대차 시스템
CN111646248A (zh) 一种可移动式堆料输送机
KR101885302B1 (ko) 횡 철선을 정렬하면서 공급할 수 있는 횡 철선 공급 장치가 구비된 철망 제조기
CN210554926U (zh) 便于上料的物流箱运送装置
CN212475351U (zh) 一种便于物料存储的布料系统
KR20130046564A (ko) 트리퍼
CN107142574A (zh) 一种纱管自动运输装置
US4351431A (en) Heavy duty belt conveyor
KR20180136864A (ko) 트리퍼카
KR20130046567A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US3144927A (en) Flexible magnetic conveyor
CN110758978A (zh) 输送装置
KR100946717B1 (ko) 컨베이어벨트
CN112027807B (zh) 纱线管自动换向提升输送装置
CN211168462U (zh) 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