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50036B1 -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036B1
KR102050036B1 KR1020187008019A KR20187008019A KR102050036B1 KR 102050036 B1 KR102050036 B1 KR 102050036B1 KR 1020187008019 A KR1020187008019 A KR 1020187008019A KR 20187008019 A KR20187008019 A KR 20187008019A KR 102050036 B1 KR102050036 B1 KR 10205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apsulant
flat member
package
bending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8741A (ko
Inventor
타다시 하시모토
히사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퓨쳐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05845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282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0718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60035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퓨쳐라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퓨쳐라보
Publication of KR2018004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0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5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the tear-lines being broken by deformation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7/00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 B65B47/04Apparatus or devices for forming pockets or receptacles in or from sheets, blanks, or webs, comprising essentially a die into which the material is pressed or a folding di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moved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75/32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the compartments being interconnected, e.g. by small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7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75/36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the compartments being interconnected, e.g. by small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밀봉이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 이용되는 시트 부재(20)를 제조할 때에, 시트 기재 (200)의 표면에 홈(23)을 부설하는 홈 부설 공정(a)과, 봉지 기재(400)로부터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을 차례로 행할 때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소정의 깊이(D1)로 파고들게 하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 (2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봉지재(40)의 두께(E1)보다 낮은 돌출부(24)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한다.

Description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등에서, 액상, 페이스트형태, 분말 형태, 과립형태, 정제와 같은 내용물을 개별 포장하는 절곡(折曲)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상기와 같은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 포장하고 그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서 꺼낼 수 있는 포장체로서는 여러 가지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포장체도 이런 포장체들 중 하나이다.
특허문헌 1의 포장체는, 내용물이 충전된 수납 오목부의 개구부를 덮개재로 밀폐해서, 덮개재의 상면에 형성된 하프 컷을 가리도록 보호 테이프를 박리 가능하게 첩착(貼着)한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마름모꼴의 볼록 리브를 하프 컷과 교차해서 덮개재의 상면(표면) 중앙부에 형성한다.
또한, 상술한 보호 테이프를 덮개재의 표면에 붙이면, 보호 테이프가 테이프기재의 두께만큼 덮개재의 보다 위쪽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다수의 포장체를 한꺼번에 운반하거나 수송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할 때에, 다른 쪽의 포장체의 덮개체에 붙은 보호 테이프의 가장자리부(緣部)에, 한쪽 포장체가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보호 테이프의 단부(端部)를 손가락으로 집어서 덮개체의 상면에서 박리하기 전에, 보호 테이프가 박리되거나 감겨 말리기 쉬워서 하프 컷을 가리도록 첩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덮개재에 형성한 하프 컷이 외부로 노출되기 쉬워서 하프 컷의 일부가 파열되는 것만으로도 수납 오목부에 충전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소64-37370호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折曲部)를 가지는 평탄(平坦) 부재로 구성되고, 그 절곡부의 절곡 동작에 수반하여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封止材)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이며,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周緣部)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되고,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고 또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緣部)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릴 수 있는 절곡부를 가지는 평탄 부재로 구성되며, 그 절곡부의 구부림 동작에 따라서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방법이며, 상기 개봉부를 띠(帶)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그 평탄 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부설하는 개봉부 부설 공정과, 띠 모양으로 형성된 봉지 부재를, 상기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봉지재 압절(押切;press cut) 형(型;틀)으로 잘라 분리하고, 상기 봉지 부재에서 잘라 분리된 상기 봉지재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할 때에,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상기 봉지재 압절 형으로 압착하여,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고, 또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을, 이 순서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절곡 개봉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고 있어서, 예를 들면 다수의 포장체를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의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게 되거나 해도, 평탄 부재의 표면을 파고들게 한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한쪽의 포장체가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절곡할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평탄 부재의 봉지재가 압착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만져도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손끝이 걸리는 일이 없이 양호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재를 평탄 부재에 대해서 평면적으로 압착하는 것에 비해, 봉지재의 주연부를 평탄 부재에 파고들게 하는 것이, 파고들게 한 부분의 압착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봉지재를 평탄 부재에 대해서 강하게 압착할 수 있다.
상술한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부란, 예를 들면 봉지재의 주연부의 둘레 전체(全周)와, 봉지재의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평탄 부재는, 예를 들면 아몰퍼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A-PET), 폴리프로필렌(PP),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혹은 PETG, 판지, 금속 시트와 같은 단체(單體) 시트나 복합 시트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PE),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혹은 금속(알루미늄) 등의 단체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형성한 필름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탄 부재의 재질, 두께는, 예를 들면 내용물의 종류, 혹은 포장체 본체의 내부 형상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개봉부는, 예를 들면, 홈이나 슬릿, 혹은 특허공보 제5802769호, 특허공보 제5858413호, 특표2010-504888호, 특개소59-103866호 공보에 개시되는 구조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봉지재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스테인리스박, 동박, 철박, 수지 필름과 같은 두께가 얇은 박체(箔體)로 구성할 수 있다. 박체의 일례로서, 두께가 5μ~35μ인 알루미늄박을 봉지재로서 이용한 경우, 투습성, 가스 투과성, 절곡 개봉성이 양호한 절곡 개봉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가스 투과성이란, 예를 들면 산소, 수분, 부식성 가스 등의 투과를 억제하는 가스 차단성을 말한다.
또한, 알루미늄박을 대신하는 투습성, 가스 투과성이 좋은 다른 재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리덴제의 필름이나, 다른 합성수지와 복합한 복합재, 알루미늄 증착한 가스 투과성이 좋은 필름 등등, 내용물의 특성이나 물성에 따른 재질로 구성해도 좋으며, 찢어짐 강도가 약한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고, 또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 위로 이동하고자 해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쪽 포장체는, 다른 쪽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넘어서 봉지재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체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손끝이나 손톱 등이,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기 어렵고,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넘어서 봉지재 위로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양호한 감촉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면서 동시에,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하고 있어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게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은 돌출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 들게 한 상태로 압착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따라서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대해서 어떤 방향에서 접촉되어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체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손끝이나 손톱 등이,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어느 방향에서도 걸리기 어렵고, 평탄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넘어서 봉지재 위로 스무스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더 양호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주연부에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향해서 서서히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의 포장체의 평탄 부재에 형성된 돌출부에 대해서 접촉되었을 때, 돌출부의 외면을 따라서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돌출부를 올라탈 때의 저항이 작고 돌출부를 넘어서게 해서 봉지재 위로 스무스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포장체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걷어 올려지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절곡할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손끝이나 손톱 등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올라타기 쉽고, 돌출부를 넘어서 봉지재 위로 스무스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양호한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약 50% 이상의 높이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돌출부의 높이를, 예를 들면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약 30% 이하로 형성했을 경우, 운반시나 수송시에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 다른 포장체의 평탄 부재에 압착된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쳐지기 쉽다. 또한, 예를 들면, 손끝이나 손톱 등이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기 쉬워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돌출부 높이를, 예를 들면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약 50% 이상으로 형성한 경우,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의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스칠 때, 다른 쪽 포장체의 평탄 부재에 돌출된 돌출부를 넘어서 봉지재 위로 이동하므로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체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아서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손톱 등이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걸리기 어렵고,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를 타고 넘어 봉지재 위로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하거나 걷어 올려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면 포장체, 혹은 손가락 끝이나 손톱 등이 걸리기 어렵고 양호한 감촉을 얻을 수 있으면, 돌출부의 높이를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약 30% 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대해서 미세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다수 부설할 수 있다.
상술한 오목부와 볼록부는, 예를 들면, 단면 대략 사각뿔 형상, 단면 대략 원뿔 형상, 단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돌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부설되지 않은 봉지재의 두께에 비해 미세한오목부와 볼록부가 부설된 봉지재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할 때의 파단 저항이 작고,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파단되기 때문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를 보다 쉽게 파괴하여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어가게 한 상태로 압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등 해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포장체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말리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동봉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의 둘레 전체를 상기 평탄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이 어느 방향에서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어느 방향에서 서로 스쳐져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체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감겨 말리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재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일부의 가장자리부, 혹은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의 전체 둘레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봉지재의 중앙부에서 외주부를 향해서 서서히 파고들어가는 것이 깊어지도록 압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쳐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체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하거나 감겨 말리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 압절 형에, 상기 평탄 부재에 대해서 상기 개봉부를 덮도록 맞춰 겹쳐진 상기 봉지재를 상기 평탄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봉지재 가압부를 설치해도 좋다.
상술한 봉지재 가압부는, 예를 들면 단면 대략 평탄 형상의 평탄 가압부, 단면 대략 사다리꼴 모양의 사다리꼴 가압부, 단면 대략 반구 형상의 반구형 가압부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평탄 부재에 대해서 개봉부를 덮도록 맞춰 겹쳐진 봉지재를, 봉지재 압절 형의 봉지재 가압부에 의해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가압되지 않은 봉지재의 두께에 비해, 봉지재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봉지재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할 때의 파단 저항이 작고,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에 따라 평탄 부재의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파단하여 개봉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봉지재를 평탄 부재에 대해서 붙이는 것이 아니라 봉지재 가압부에 의해 압착하기 때문에 봉지재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개봉부를 덮도록 확실히 압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 가압부에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대해서 미소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다수 부설하는 요철 부설부를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 개봉부가 봉지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평탄 부재에 대해서 개봉부를 가리도록 맞춰 겹쳐진 봉지재를 봉지재 가압부의 요철 부설부에 의해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고, 미소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봉지재의 표면에 대해서 다수 부설한다.
이로써, 오목부와 볼록부가 부설되지 않은 봉지재의 두께에 비해 오목부와 볼록부가 부설된 봉지재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할 때의 파단 저항이 더 작고,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에 수반하여 봉지재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파열되기 때문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를 더 간단하게 파괴하여 개봉할 수 있다.
게다가, 봉지재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평면적으로 압착하는 것에 비해, 봉지재를 요철형상으로 변형시켜서 평탄 부재에 압착한 쪽이, 봉지재와 평탄 부재와의 압착 면적이 더 커지기 때문에 봉지재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더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오목부와 볼록부가 봉지재 표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부설되어 있으면, 봉지재의 압착 상태가 거의 균일하고, 봉지재 전체가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확실히 압착되어 있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요철 부설부를, 상기 봉지재 가압부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개봉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의 개봉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파단하여 개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평탄 부재에 대해서 개봉부를 덮도록 맞춰 겹쳐진 봉지재를, 봉지재 가압부의 요철 부설부에 의해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할 때에 오목부과 볼록부를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의 개봉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다수 부설한다.
이로써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의 개봉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의 개봉부와 대응하는 부분을 확실히 파단하여 개봉할 수고, 봉지재에서의 개봉부 이외의 부분이 파괴되어 개봉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 가압부의 가압측 주연부에, 상기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상기 봉지 부재를 눌러 잘라 분리하는 압절부(push-cut part)를 설치하고, 상기 압절부를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술한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란, 예를 들면, 봉지재 가압부의 가압측 주연부의 둘레 전체와, 봉지재 가압부의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평탄 부재에 대해서 개봉부를 덮도록 맞춰 겹쳐진 봉지 부재를, 봉지재 가압부의 압절부에 의해 평탄 부재의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눌러 잘라 분리했을 때에 봉지 부재에서 눌러 잘라 분리된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압절부에 의해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하면서 동시에 평탄 부재에서의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따른 부분을, 평탄 부재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은 돌출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된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형성한다.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의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 위로 이동하고자 하더라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쪽 포장체는, 다른 쪽 포장체의 평탄 부재의 표면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넘어서 봉지재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동시에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박리하거나 감겨 말리거나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압절부의 선단부를,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동시에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의 파고든 깊이가 그 봉지재의 중앙부에서 외주부를 향해서 서서히 깊어지는 소정의 잠식(파고듦) 각도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더 확실하게 파고들게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 또는 주연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봉지재의 중앙부에서 외주부를 향해서 파고들어가는 것이 깊어지도록 압착하면서 동시에,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잠기는 깊이로 압착한다.
이에 따라, 평탄 부재의 표면에 압착된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 또는 주변부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봉지재가 박리되거나 감겨 말리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릴 수 있는 절곡부를 가지는 평탄 부재로 구성되고, 그 절곡부의 구부림 동작에 수반하여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이며,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그 평탄 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고,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림 가능한 절곡부를 가지는 평탄 부재로 구성되고, 그 절곡부의 구부림 동작에 수반하여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개봉부를 띠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그 평탄 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부설하는 개봉부 부설 공정과, 띠 모양으로 형성된 봉지 부재를 상기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봉지재 압절 형으로 눌러 잘라 분리하고, 상기 봉지 부재에서 눌러 잘라 분리된 상기 봉지재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할 때에,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고,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을, 이 순서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절곡 개봉 포장체(이하, 포장체로 간략하게 표기한다)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등 해도 평탄 부재의 표면에 돌출한 돌출부가 방파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쪽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가장자리부에서 박리되거나, 감겨 말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할 때까지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에 봉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평탄 부재에서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평탄 부재에 대해서 표면 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데 충분한 강도가 얻어져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일부의 가장자리부란, 예를 들면 봉지재의 주연부의 둘레 전체와, 봉지재의 긴 쪽 방향 또는 짧은 쪽 방향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평탄 부재는, 예를 들면 아몰퍼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스티렌(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또는 PETG, 판지, 금속 시트 등의 단체(單體) 시트, 필름을 맞붙인 복합 시트로 구성해도 좋고, 평탄 부재의 두께는 0.1mm~5mm 정도의 열 가소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혹은, 예를 들면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PE),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혹은 금속(알루미늄) 등의 단체 재료, 혹은 복합 재료로 형성한 필름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평탄 부재의 재질, 두께는, 예를 들면 내용물의 종류, 혹은 포장체 본체의 내부 형상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개봉부는, 예컨대 직선 형상, 파도 형상, 호 형상, 이산(二山) 형상, 사다리꼴 형상, M자 형상, V자 형상, U자 형상 등으로 형성된 홈으로 구성해도 좋다. 혹은 특허 제5802769호 공보, 특허 제5858413호 공보, 특표2010-504888호 공보, 특개소59-103866호 공보에 개시되는 구성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개봉부의 크기나 형상은, 내용물의 종류나 포장체의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선정해도 좋다.
상술한 봉지재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 스테인리스박, 동박, 철박, 수지 필름 등의 두께가 얇은 박체(箔體)로 구성해도 좋고, 봉지재의 두께는, 5μ~50μ 정도가 바람직하다. 박체의 한 예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을 봉지재로서 이용한 경우, 투습성, 가스 투과성, 절곡 개봉성이 양호한 절곡 개봉 포장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가스 투과성이란, 예를 들면, 산소, 수분, 부식성 가스 등의 투과를 억제하는 가스 차단성을 말한다.
또한, 알루미늄박을 대신하는 투습성, 가스 투과성이 좋은 다른 재질로서,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리덴제의 필름이나, 다른 합성수지와 복합한 복합재, 알루미늄 증착한 가스 투과성이 좋은 필름 등등, 내용물의 특성이나 물성에 따른 재질로 구성해도 좋고 찢어짐 강도가 약한 재질의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0.5배 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상술의 0.5배 이상이란, 예를 들면 1배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이 해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등 했을 때, 한쪽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평탄 부재의 돌출부가 방파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쪽의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 폭을,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1배 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되는 등 해도 돌출부가 이지러지거나 변형되기 어렵고 방파제로서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서, 한쪽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평탄 부재에서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강성이 더 향상되기 때문에, 평탄 부재에 대해서 표면 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데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고,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평탄 부재에 압착된 상기 봉지재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 중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등 했을 때에,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의 포장체에서의 봉지재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한 평탄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평탄 부재의 돌출부가 방파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쪽의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거나, 혹은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봉지재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개봉부를 봉지재로 밀봉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내측의 부분에 대해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를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절곡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했을 때에, 한쪽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돌출부 및 봉지재의 돌출부 중 한쪽 돌출부에 대한 접촉이 회피되더라도 다른 쪽 돌출부에 대해서 접촉되기 때문에 한쪽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두 개의 돌출부가 방파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쪽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거나 혹은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가장자리부에서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의 구부림 동작에 따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할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평탄 부재에서의 2개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부분의 강성이 더 향상되기 때문에, 평탄 부재에 대해서 표면 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데 충분한 강도를 얻어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보다 높게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들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할 때에 한쪽의 포장체가 다른 쪽 포장체에서의 평탄 부재의 돌출부에 대해서 접촉이 회피되더라도 평탄 부재의 돌출부보다 높은 봉지재의 돌출부에 대해서 접촉되기 때문에 한쪽의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탄 부재의 돌출부가 방파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쪽 포장체가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거나, 혹은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표면에 생채기가 생기거나, 봉지재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의 구부림 동작에 따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하기 전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의 잠식 깊이를,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0.5배 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어가게 함으로써, 평탄 부재에서의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에 따른 부분이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를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이에 의해,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의 표면에 생채기가 생기거나, 봉지재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를,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를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개봉 포장체를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리기 전에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를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를, 평탄 부재의 돌출부로 덮고 있어서,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포장체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서로 스치거나 하는 등 해도, 한쪽의 포장체가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개봉부를 덮는 봉지재가 가장자리부에서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를 파단하여 개봉할 때까지는 봉지재에 의한 개봉부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개봉부를 봉지재로 봉지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봉지재 압절 형을, 상기 평탄 부재 및 상기 봉지 부재가 보내기 방향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압절 롤로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절곡 개봉 포장체를 연속해서 제조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압절 롤을, 평탄 부재 및 봉지 부재가 보내는 쪽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띠 모양으로 형성된 봉지 부재를, 평탄 부재의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모양으로 눌러 잘라 분리하고, 봉지 부재에서 눌러잘라 분리된 봉지재를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할 때에 봉지재의 주연부를 평탄 부재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고, 봉지재에서의 평탄 부재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절곡 개봉 포장체에 이용되는 봉지재가 압착된 평탄 부재를 연속해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구부림 각도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개봉부를 봉지재로 밀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 1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의 설명도이고,
도 3은,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의 설명도이고,
도 4는, 절곡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시트 부재에 사용되는 시트 기재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6은, 절곡 개봉 포장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7은, 압절 압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봉지재 압절 형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봉지 기재를 눌러 잘라 분리한 압절 압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봉지재를 시트 기재에 압착하는 압절 압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봉지재를 시트 기재에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형의 설명도이고,
도 12는, 실시 예 2의 다른 압착 예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실시 예 3의 기타 압착 예의 설명도이고,
도 14는, 실시 예 4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5는, 실시 예 5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6은, 실시 예 6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절곡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도 18은, 실시 예 7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19는, 실시 예 8의 봉지재가 압착된 시트 기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0은, 봉지재를 시트 기재에 압착한 압절 압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1은, 봉지재를 시트 기재에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형의 설명도이고,
도 22은, 실시 예 9의 돌출부를 봉지재의 주연부를 덮도록 압착한 시트 기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3은, 실시 예 10의 봉지재를 시트 기재에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형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4는, 실시 예 19의 오목부와 볼록부를 봉지재의 중앙부에 부설한 시트 기재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5는, 실시 예 11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26은, 절곡 개봉 포장체의 개봉 구조의 설명도이고,
도 27은,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절곡 동작의 설명도이고,
도 28은, 절곡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29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시트 부재에 사용되는 시트 기재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30은, 절곡 개봉 포장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설명도이고,
도 31은, 압절 압착 장치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32는, 압절 롤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33은, 봉지재를 시트 기재에 압착하는 압절 롤의 설명도이고,
도 34는, 실시 예 12의 시트 기재의 설명도이고,
도 35는, 실시 예 13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36은, 실시 예 14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37은, 실시 예 15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38은, 실시 예 16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39는, 실시 예 17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고,
도 40은, 도 39에 나타낸 절곡 개봉 포장체에서 내용물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고,
도 41은, 실시 예 18의 절곡 개봉 포장체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다음 도면을 근거로 해서 상술한다.
(실시 예 1)
도 1은, 실시 예 1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개봉 구조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a)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단면도, 2(b)는 (a)에 나타낸 a1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 동작의 설명도이고, 자세하게는 도 3(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구부리기 시작한 상태의 측면도, 도 3(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반 접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의 긴 쪽 방향(L)(길이방향)이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가지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긴 쪽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짧은 쪽 방향(W)(폭 방향)이란, 평면 방향에 있어서 긴 쪽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실시 예 1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는, 1회 사용에 필요한 양의 내용물(C)을 봉입(충전)한 소형의 포장체이며, 내용물(C)이 내부에 봉입된 포장체 본체(11)를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한 유연성을 가진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13)로 구성한다(도 1, 도 2 참조).
본체부(12)는, 소정 양의 내용물(C)이 봉입되는 주머니 모양의 수용부(14)를, 두께 150μ로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필름(구체적으로는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품의 상품명 다이아밀론 F)으로 형성한다(도 1, 도 2 참조).
덮개부(13)는, 포장체 본체(11)의 내부와 대응하는 쪽(도 2(a)의 하측)에 배치된 대략 평탄한 합성수지제의 시트 부재(20)와, 시트 부재(20)에서의 포장체 본체(11)의 외부와 대응하는 쪽(도 2(a)의 상측)에 압착한 알루미늄박제의 봉지재(40)로 구성하고 있다.
시트 부재(20)는, 본체부(12)의 개구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부재(20)의 이면측 주연부를 본체부(12)의 개구측 주연부에 열 용착해서 본체부(12)의 개구부를 덮개부(13)에 의해 폐색한다(도 2(a) 참조).
시트 부재(20)는, 두께 0.3mm로 형성한 아몰퍼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제의 시트 기부(20a)와, 두께 0.03mm로 형성한 폴리에틸렌제(PE)의 필름 실링재(20b)를 붙여맞춘 복합 시트로 구성한다(도 2(b) 참조).
필름 실링재(20b)는, 시트 기부(20a)의 표리 양면(혹은, 표리 양면 중 적어도 한쪽 면)을 덮도록 첩착한다.
또한, 시트 부재(20)를, 시트 기부(20a) 및 필름 실링재(20b)에 더하여, 도시하지 않은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제(OPET)의 시트를 맞붙인 복합 시트로 구성해도 좋다.
시트 부재(20)에서의 긴 쪽 방향(L)의 중앙부에는, 긴 쪽 방향(L)에 대해서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릴 수 있는 절곡부(21)를, 시트 부재(20)의 긴 쪽 방향(L)과 직교해서 짧은 쪽 방향(W)에 형성한다(도 1, 도 2 참조).
절곡부(21)에서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는, 도 1중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개봉 영역(22)을 설정하고 있다. 시트 부재(20)에서의 개봉 영역(22) 내의 중앙부 표면에는 시트 부재(20)의 절곡 동작에 수반하여 두께 방향(T)으로 관통 가능한 슬릿 형태의 홈(23)을 형성한다(도 1, 도 2 참조).
홈(23)은, 시트 부재(20)의 긴 쪽 방향(L)과 교차해서 짧은 쪽 방향(W)에 형성하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20)의 표면을 두께 방향(T)에서 보아 시트 부재(20)에서의 긴 쪽 방향(L)의 일단 측을 향해서 호상(弧狀)으로 돌출하는 호(弧) 형상으로 형성한다. 홈(23)의 폭(Wi)은 시트 부재(20)의 짧은 쪽 방향(W)의 폭 이하(바람직하게는 약 70% 이하)로 형성한다(도 1(b) 참조).
봉지재(40)는, 두께 0.02mm로 형성된 알루미늄박과, 알루미늄박의 표리 양면에 코팅한 가열 밀봉 가능한 아크릴·코폴리머로 구성한다(도 2(b) 참조).
봉지재(40)는 절곡부(21)의 개봉 영역(22)보다 한층 작고, 개봉 영역(22)의 홈(23)을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한다. 봉지재(40)의 파단 강도는, 시트 부재 (20)의 절곡부(21)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에 파단되는 강도로 설정한다(도 3, 도 4 참조).
봉지재(40)에서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압착되는 이면 측에는, 핫 멜트제 등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40a)을 거의 균일하게 코팅(또는 도포)한다(도 2(b) 참조).
즉, 봉지재(40)는,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를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릴 때에 산(山)쪽이 되는 개봉 영역(22) 내의 표면에 대해서는 개봉 영역(22)의 홈(23)을 가리도록 압착한다(도 1~도 3 참조).
봉지재(40)의 주연부(40b)보다 안쪽의 표면에는, 오목부(41)과 볼록부(42)를 다수 부설하면서 동시에 표면 전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해지도록 배치한다(도 2(b) 참조).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는,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 T 내측을 향해서 소정의 깊이(D1)를 파고들게 한다.
주연부(40b)의 잠식 깊이(D1)는 약 0.1mm로 설정한다. 오목부(41)와 볼록부(42)의 높낮이 차이(D2)는,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약 0.1배~약 1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차이로 설정하는데, 바람직하게는 5배 이내로 설정한다(도 2(a)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는, 덮개부(13)를 구성하는 시트 부재(20)의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 둘레 전체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꺼운 방향(T) 내측을 향해서 파고들도록 하고 있어서, 파고들게 한 부분의 압착 면적을 더 크게할 수 있다.
이로써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부재(20)에 대해서 보다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20)의 봉지재(40)가 압착된 부분을 손가락으로 만져도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손끝이 걸리는 일이 없어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운반이나 수송 등의 이동시에 있어서, 절곡 개봉 포장체 (10A)끼리 서로 접촉 또는 맞닿는 등 해도 봉지재(40)에서의 시트 부재(20)에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일부가 접촉 또는 맞닿아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면서 동시에 봉지재(40)가 박리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 또한, 봉지재(40)에서의 오목부(41) 및 볼록부(42)를 부설한 부분의 두께가 얇고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 동작에 따라서, 봉지재(40)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연속해서 파단되기 때문에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할 때의 파단 저항이 작고, 시트 부재(20)의 홈(23)을 덮는 봉지재(40)를 더 간단하고 확실하게 파괴하여 개봉할 수 있다.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포장체 본체(11)의 덮개부(13)가 하향이 되는 상태로 유지한 후, 절곡 방향(G)을 향해서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리기 시작한다.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에 절곡부(21)의 홈(23)이 두께 방향(T)으로 관통되면서 동시에 절곡부(21)의 개봉 영역(22)에 압착한 봉지재(40)가 파괴하여 개봉된다(도 3(a) 참조).
이에 따라, 시트 부재(20)의 홈(23)이 본체부(12)의 수용부(14)와 연통되기 때문에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 동작에 따라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을 홈(23)에서 밀어내도록 해서 꺼낼 수 있다(도 3(b), 도 4참조).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를 반 접기 했을 때에, 홈(23)의 설편부(舌片部)(23a)가 하측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내용물(C)이 설편부(23a)에 접촉하면서 밀어내지기 때문에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한꺼번에 밀어내지기 어렵고, 내용물(C)이 주위에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b), 도 4 참조).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밀봉이 해제되지 않고,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봉지재(40)에 의해 밀봉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시트 부재(20)에 사용되는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제조방법과,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사용하여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시트 부재(20)에 사용되는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6은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압절 압착 장치(402)의 단면도, 8은 봉지재 압절 형(404)의 확대 단면도, 도 9는 봉지 기재(400)를 눌러 잘라 분리한 압절 압착 장치(402)의 단면도, 도 10은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하는 압절 압착 장치(402)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형(404)의 설명이며, 자세하게는 도 11 (a)는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한 봉지재 가압부(405)의 확대 단면도, 도 11(b)는 봉지재(40)를 압착한 시트 기재(2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띠 모양으로 형성한 합성수지제의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부설하는 홈 부설 공정(a)과, 띠 모양으로 형성한 알루미늄박제의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홈(23)을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면서 동시에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과, 봉지재(40)가 분리된 폐기 기재(400a)를 롤 형태로 감아 돌려서 회수하는 기재 회수 공정(c)과,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롤 형태로 감아 돌리는 기재 권회 공정(d)을, 이 순서대로 수행한다(도 5 참조).
홈 부설 공정(a)은, 시트 장전부(201)에서 풀어내는 띠 모양의 시트 기재 (200)를, 보내기 방향(F)을 향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홈 부설 장치(202)로 이송한다. 홈 부설 장치(202)는, 슬릿 형태의 홈(23)을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 부설하면서 동시에 시트 기재(200)의 긴 쪽 방향(L)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부설하다(도 5 참조).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은, 봉지재 장전부(401)에서 풀어내는 띠 모양의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 표면에 대해서 홈(23)이 덮이도록 겹치게 하면서 시트 기재(200)를 보내기 속도와 동기해서 보내기 방향(F)을 향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압절 압착 장치(402)로 이송한다(도 5 참조).
또한, 봉지 기재(400)는,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홈(23)을 덮는 폭으로 형성한다.
압절 압착 장치(402)는, 시트 기재(200)를 거의 수평으로 지지하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 모양의 시트 받이 형(型)(403)과, 봉지 기재(400)를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는 봉지재 압절(押切) 형(型)(404)을 구비한다(도 7 참조).
시트 받이 형(403)은, 시트 기재(200)에 맞춰 겹쳐진 봉지기재(400)를 잘라 분리하는 위치의 하부에 배치한다. 봉지재 압절 형(404)은, 시트 받이 형(403)에 의해 지지된 시트 기재(200)에서의 봉지 기재(400)가 맞춰 겹쳐진 부분과 대향해서 봉지 기재(400)를 잘라 분리하는 위치의 상부에 배치한다(도 7 참조).
시트 받이 형(403)은, 시트 기재(200)에서의 봉지 기재(400)가 맞춰 겹쳐진 부분을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는 틀 형상으로 형성한다. 봉지재 압절 형(404)은, 시트 기재(200)에 맞춰 겹쳐진 봉지 기재(400)를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눌러 잘라 분리하는 틀 형상으로 형성한다(도 7 참조).
봉지재 압절 형(404)은, 봉지 기재(400)로부터 눌러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 표면에 대해서 압착하는 봉지재 가압부 (405)와,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는 압절부(406)와, 봉지재 압절 형(404)을 가열하는 가열 히터(407)를 구비한다(도 7 참조).
봉지재 압절 형(404)의 전체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 수단에 의해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봉지 기재(400)가 짓눌러지는 도면 중 아래 방향과, 시트 기재(200)에 대한 봉지 기재(400)의 눌림이 해제되는 도면 중 윗 방향으로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설치한다.
봉지 기재(400)를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고,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압착하는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압착 위치와, 봉지 기재(400)를 잘라 분리하기 전의 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대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된다.
봉지재 가압부(405)의 가압측 중앙부에는, 봉지재(40)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다수 부설하기 위한 요철 부설부(408)를 설치한다. 요철 부설부(408)의 부설면은, 봉지재(40)에 부설되는 오목부(41) 및 볼록부(42)와 대응한 요철 형상으로 형성한다(도 8 참조).
오목부(41)와 볼록부(42)는,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봉지재 압절 형(404)의 봉지재 가압부(405)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압착할 때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서 내측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부설된다(도 11(a), (b) 참조).
압절부(406)는, 봉지재 가압부(405)의 가압측 주연부를 하방을 향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면서 동시에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는 칼 모양으로 형성한다.
압절부(406)의 단면 형상은, 내측의 사면과 외측의 수직면이 교차하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한다. 선단부의 잠식 각도(θ2)는, 약 30도~약 110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각도로 설정한다. 요철 부설부(408)의 요철면의 고저 차이(D2)는 봉지재(40)에 부설되는 오목부(41) 및 볼록부(42)와 대응하는 차이로 설정한다(도 8 참조).
상술의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면, 홈 부설 공정(a)에 있어서, 홈 부설 장치(202)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부설하면서 동시에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이 덮이도록 겹쳐지게 하면서 보내기 방향(F)을 향해서 반송하고,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으로 이송한다(도 5, 도 7 참조).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에 있어서, 압절 압착 장치(402)의 봉지재 압절 형(404)을 봉지 기재(400)가 잘라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시트 기재(200)에 맞춰 겹쳐진 봉지 기재(400)를, 압절부(406)에 의해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한다(도 9 참조).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봉지재 가압부(405)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이 덮이도록 압착하고,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압착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히터(407)에 의해 약 200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1㎠당 약 500kg의 압력으로 약 0.1초 동안 가압한다(도 10 참조).
또한, 가열 히터(407)에 의해 가열하지 않고 압착해도 좋다.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서 내측의 표면을, 봉지재 가압부(405)의 요철 부설부(408)에 의해 두께 방향(T)을 향해서 수직으로 가압하고,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보다 내측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다수 부설한다.
봉지재(40)의 주연부(40b) 둘레 전체를, 봉지재 가압부(405)의 압절부(406)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 내측을 향해서 소정 깊이 (D1)만큼 파고들게 한다(도 11(a) (b) 참조).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시트 부재(20)에 이용되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연속해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봉지재(40)가 분리된 폐기 기재(400a)는 기재 회수 공정(c)에 있어서 롤 형태로 감아 돌려서 회수하고,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는 기재 권회 공정(d)에서 롤 형태로 감아돌린다(도 5 참조).
이어서, 상술한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이용하여,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주머니 모양의 수용부(14)가 형성된 필름 기재(300)와,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맞춰 겹쳐지게 하는 겹침 공정(e)과, 기재(200,300)끼리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긴 쪽 방향(L)으로 히트 밀봉하는 세로 실링 공정(f)과, 기재(200,300)끼리의 수용부(14)의 상하 겹침 부분을 짧은 쪽 방향(W)으로 히트 실링하는 가로 실링 공정(g)과, 세로 실링 및 가로 실링된 통형상 포장체(414) 내에 내용물(C)을 충전하는 충전 공정(h)과, 소정 양의 내용물(C)이 충전된 통형상 포장체(414)를 개개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로 분리하는 분단 공정(i)을, 이 순서대로 진행한다(도 6 참조).
시트 장전부(210)에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롤 형태로 감아돌려서 장전한다. 또한, 필름 장전부(310)에는, 수용부(14)가 성형되기 전의 필름 기재(300)를 롤 형태로 감아 돌려서 장전한다.
필름 기재(300)를 필름 장전부(310)로부터 풀어낼 때에 필름 기재(300)를 성형 드럼(311)의 둘레 면에 감아 붙이면서 성형 드럼(311)에 감아 붙여진 필름 기재(300)를 가열 히터(312)에 의해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주머니 모양으로 수용부 (14)를 필름 장전부(310)의 감아 붙인 쪽 면에 대해서 연속해서 성형한다(도 6 참조).
겹침 공정(e)은, 필름 장전부(310)에서 풀어 내어지는 필름 기재(300)의 수용부(14)가 형성된 부분과 반대 측의 부분과, 시트 장전부(210)에서 풀어 내어지는 시트 기재(200)의 봉지재(40)가 압착된 부분과 반대 측의 부분을 서로 겹치게 하면서 한쌍의 이송 롤(431)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세로 실링 공정(f)으로 이송한다(도 6 참조).
세로 실링 공정(f)은, 기재(200,300)끼리를 한 쌍의 세로 실링 롤(441)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기재(200,300)들에서의 수용부(14)보다 바깥쪽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세로 실링하고, 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 포장체(414)를 가로 실링 공정(g)으로 이송한다(도 6 참조).
가로 실링 공정(g)은, 통형상 포장체(414)를 한 쌍의 가로 실링 롤(451)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통형상 포장체(414)에서의 수용부(14)보다 하측의 겹침 부분과 상측의 겹침 부분을 가로 실링해서 분단 공정(i)으로 이송한다.
충전 공정(h)은, 충전 장치(421)의 충전관(421)에서 공급되는 내용물(C)을 통형상으로 형성한 통형상 포장체(414) 내에 상방에서부터 충전한다(도 6 참조).
분단 공정(i)은, 통형상 포장체(414)를 회전 칼날(461) 및 받이 롤(462)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통형상 포장체(414)의 세로 실링부 및 가로 실링부를 짧은 쪽 방향(W)으로 절단하고, 긴 쪽 방향(L)으로 연속하는 통형상 포장체(414)를 소정 양의 내용물(C)가 충전된 각각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로 분리한다(도 6 참조).
즉, 상술의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연속해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가 분리된 통형상 포장체(414)의 폐기 포장체 (417)는, 롤 형상으로 감아 돌려서 회수한다.
게다가,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제조할 때에,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포장체 본체(11)를 구성하는 덮개부(13)의 시트 부재(20)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필름 기재(300)를 포장체 본체(11)를 구성하는 본체부(12)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분리해서 사용하므로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시트 부재(20)를 제조할 때에 시트 부재(20)로 분리하기 전의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맞춰 겹쳐진 봉지재(40)를, 봉지재 압절 형(404)의 봉지재 가압부(405) 및 요철 부설부(408)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봉지재 가압부(405)에 의해 가압된 봉지재(40) 전체의 두께와, 요철 부설부(408)에 의해 오목부(41) 및 볼록부(42)가 부설된 부분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할 때의 파단 저항이 더 작고, 시트 부재(20)의 홈(23)을 덮는 봉지재(40)를 더 간단하고 확실하게 파괴하여 개봉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평면적으로 압착하기보다는 봉지재(40)를 요철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시트 기재(200)에 압착한 쪽이, 봉지재(40)와 시트 기재(200)의 압착 면적이 더 커지기 때문에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더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다.
즉, 오목부(41)와 볼록부(42)가 봉지재(40)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하게 부설되어 있으면 압력 상태가 거의 균일하고, 봉지재(40) 전체가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확실히 압착되어 있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예를 들면 접착제나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첩착하는 것이 아니라 봉지재 가압부(405)에 의해 압착하기 때문에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더 확실하게 압착할 수 있다.
이하,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서의 그 밖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상기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예 2)
상술한 실시 예 1에서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으로 파고들게 하는 압절부(406)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2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한 면이 되록 압착하는 압절부(41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예 2의 다른 압착 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2의 봉지재 압절 형(404)은, 압절부(416)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거의 평탄하게 누르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봉지재 가압부(405)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압착할 때에,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요철 부설부(408)에 의해 봉지재(40)의 표면에 대해서 부설하면서 동시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압절부(416)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과 대략 하나의 면이 되도록 압착한다.
이에 따라, 시트 기재(200)의 봉지재(40)가 압착된 부분을 손가락 끝으로 만져도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손끝이 걸리는 일이 없이 양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3)
상술한 실시 예 1에서는,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압절부(406)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3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압절부(426)와, 하방을 향해서 수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한 압절부(436)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 예 3의 기타 압착 예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3(a)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외측 비스듬히 하향으로 파고들게 한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3(b)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 (200)에 대해서 예각으로 파고들게 한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a)의 압절부(426)는, 외측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압절부(426)의 선단부의 각도 θ3를, 실시 예 1의 압절부(406)의 선단부의 각도 θ2보다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3(a)의 확대도 참조).
압절부(426)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두께 방향(T)과 교차해서 외측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예각으로 변형시키기 때문에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더 예각이며 깊게 파고들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보다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다.
도 13(b)의 압절부(436)는,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압절부(436)의 선단부의 각도 θ4를, 압절부(406)의 선단부의 각도( θ2)보다 둔각으로 형성하고 있다(도 13(b)의 확대도 참조).
압절부(436)은,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한 쌍의 사면이 교차하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파고들게 하기 위해, 파고들게 한 부분의 압착 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더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다.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에 가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4)
상술의 실시 예 1에서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 둘레 전체를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4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부분적으로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예 4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4(a)는 봉지재(40)의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를 시트 부재로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평면도, 도 14(b)는 봉지재(40)의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를 시트 부재(20)를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평면도이다.
실시 예 4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 중 짧은 쪽 방향(W)에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와,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의 연장된 부분을 시트 부재(20)의 표면으로 파고들게 한다(도 14(a) 참조).
또한, 봉지재(40)의 주연부(40b) 중 긴 쪽 방향(L)에 대향하는 한 쌍의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와,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의 연장한 부분을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파고들게 해도 좋다(도 14(b) 참조).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봉지재(40)에 의해 봉지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5)
상술의 실시 예 1에서는, 봉지재(40)를, 구부러짐 동작에 따라 파괴되어 개봉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5에서는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40)를 절곡 동작에 따라 박리하여 개봉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 이용한 다른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 예 5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5(a)는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사시도, 도 15(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실시 예 5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는, 시트 부재(20)에 형성된 홈(23)과, 필름 부재(30A)에 형성된 홈(33)과의 사이와 대응하는 개봉 영역(22) 내의 대향면끼리를 재박리가능한 점착력을 가지는 접착층으로 첩착한다. 오목부(41)와 볼록부(42)가 다수 부설된 봉지재(40)를, 부재(20,30)끼리의 절곡부(21)에 설정한 개봉 영역(22)내의 표면에 대해서 홈(23,33)을 덮도록 압착한다.
실시 예 5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부재(20,30)에서의 홈(23,33) 사이를 박리하여 개봉하면서 동시에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한다. 부재(20,30)의 홈(23,33)이 두께 방향(T)으로 관통되어,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을 홈(23,33)에서 꺼낼 수 있다.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A)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절곡할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홈(23,33)을 봉지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시 예 6)
상술의 실시 예 1에서는, 봉지재(40)를 시트 부재(20)에 맞붙인 절곡 개봉 포장체(10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6에서는,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한쪽 필름 부재(30B)에 맞붙인 절곡 개봉 포장체(10B)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 예 6의 절곡 개봉 포장체(10B)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6(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B)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6(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B)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절곡 개봉 포장체(10B)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7(a)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절곡 전의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단면도, 도 16(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B)에서 내용물(A)을 꺼낼 때의 측면도이다.
실시 예 6의 절곡 개봉 포장체(10B)는, 포장체 본체(11)를,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두 장의 필름 부재(30B)의 주연부끼리 서로 마주 붙여서 구성하고 있다.
한쪽 필름 부재(30B)의 표면에 형성된 개구부(34)와, 시트 부재(20B)에 형성된 홈(23)을 대응시켜서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필름 부재(30B)에 붙인다.
실시 예 6의 절곡 개봉 포장체(10B)의 절곡 동작에 수반하여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기 때문에 홈(23) 및 개구부(34)를 통해서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을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를 구부려서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할 때까지 봉지재(40)에 의한 봉지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7)
상술한 실시 예 7에서는, 두 장의 필름 부재(30B)를 서로 맞붙여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B)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실시 예 7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필름 부재(30C)를 반 접기 상태로 접어 겹쳐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 예 7의 절곡 개봉 포장체(10C)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8(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C)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8(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C)를 표면 쪽에서 본 평면도이다.
실시 예 7의 절곡 개봉 포장체(10C)는, 포장체 본체(11)를 2장 분량의 필름 부재(30B)와 대략 동등한 폭으로 형성한 필름 부재(30C)를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 설정한 도시하지 않은 가상 절곡선을 따라서 반 접기 상태로 접어 포갤 때에 대향하는 세 변의 가장자리부들을 서로 붙여 맞춰서 구성한다.
필름 부재(30C)의 한쪽 표면에 형성된 개구부(34)와, 시트 부재(20B)에 형성된 홈(23)을 대응시켜서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필름 부재(30C)에 첩착한다.
실시 예 7의 절곡 개봉 포장체(10C)의 절곡 동작에 수반하여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기 때문에 홈(23) 및 개구부(34)를 통해서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을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C)를 구부려서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할 때까지 봉지재(40)에 의한 봉지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8)
상술한 실시 예 1~7에서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한 절곡 개봉 포장체(10A~10C)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8에서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20)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D)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실시 예 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19(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19(b)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된 절곡 개봉 포장체(10D)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하는 압절 압착장치(402)의 단면도, 도 21은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형(404)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1(a)는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한 봉지재 가압부(405)의 확대 단면도, 도 21(b)는 봉지재(40)를 압착한 시트 기재(200)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의 전체 둘레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소정의 깊이(D1)를 파고들게 해서, 봉지재(40)의 중앙부에서 외주부를 향해서 잠식이 서서히 깊어지도록 압착하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20)의 표면에서 하방으로 잠기는 깊이로 압착한다(도 19(b)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시트 부재(20)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봉지재(40)의 두께(E1)보다 낮은 단면 대략 호상의 돌출부(24)를, 시트 부재(20)의 개봉 영역(22) 내의 표면에 대해서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지재(4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연속해서 형성한다(도 19(a), (b)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돌출부(24)의 폭(Wk)은 약 0.1mm로 형성한다. 돌출부(24)의 외면은, 시트부재(20)의 주연부에서 봉지재(40)의 주연부를 향해서 점차 높아지는 매끄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한다(도 19(b)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돌출부(24)의 높이(E2)는,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두께(E1)의 약 50% 이상의 높이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봉지재(40)의 두께 0.02mm(=20μ)에 대해서 돌출부(24)의 높이(E2)를 약 0.01mm(=10μ)로 형성한다(도 19(b)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봉지재(40)의 두께(E1)의 약 50% 이상의 높이라면, 돌출부(24)의 높이(E2)를 약 0.01mm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실시 예 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의 시트 부재(20)에 이용되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경우, 압절 압착 장치(402)의 봉지재 압절 형(404)을 하강시켜서 봉지재(40)를 봉지 기재(400)에서 눌러 잘라 분리한다(도 20 참조).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의 주연부(40b)의 전체 둘레를 압절부(406)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파고들게 하면서 동시에 시트 기재(200)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른 부분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약 150℃로 가열해서 시트 기재(200)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킨다(도 20의 확대도 참조).
이에 의해, 시트 부재(2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봉지재(40)의 두께(E1)보다 낮은 단면 대략 호상의 돌출부(24)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압착된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둘레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한다(도 21(a)(b) 참조).
봉지재 압절 형(404)에 의해 봉지재(40)를 가열할 때의 온도는 약 150℃로 설정한다. 봉지재 압절 형(404)에 의해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할 때의 압력은 1㎠(10mm×10mm)당 약 50kg으로 설정하고 있다. 봉지재 압절 형(404)에 의해 봉지재(40)를 잘라 분리하여 시트 기재(200)에 압착할 때의 강하 속도는 초속 약 10m/s로 설정하고 있다.
실시 예 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는, 시트 부재(20)의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를, 시트 부재(20)의 개봉 영역(22) 내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방향(T)으로 소정의 깊이(D1)를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2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연속한다(도 19 참조).
이로써 다수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일괄적으로 운반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D)들 중 한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가,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어느 방향에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어느 방향에서 서로 스쳐지거나 해도,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쳐지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한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가,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압착된 홈(23)을 덮는 봉지재(40) 위로 이동하려 할 때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돌출된 돌출부(24)에 접촉되므로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는,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24)를 타고넘어서 봉지재(40) 위로 원활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압착된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절곡 개봉 포장체(10D)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칠 때에 홈(23)을 덮는 봉지재(40)가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는 경우가 없으며, 절곡 개봉 포장체(D1)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손가락 끝으로 유지했을 때에, 손가락 끝이나 손톱이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압착된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어느 쪽에서라도 걸리기 어려우며,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24)를 타고 넘어서 봉지재(40) 위로 부드럽게 이동하므로 홈(23)을 덮는 봉지재(40)가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더 양호한 감촉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4)를 시트 부재(20)의 주연부에서 봉지재(40)의 주연부를 향해서 점차 높아지는 매끄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돌출부(24)를 타고 넘을 때의 저항이 작고, 돌출부(24)를 넘게 해서 봉지재(40) 위로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한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 혹은, 손가락 끝이나 손톱이, 돌출부(24)를 타고 넘어서 봉지재(40) 위로 부드럽게 이동하므로, 홈(23)을 덮는 봉지재(40)가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는 일이 없으므로 실시 예 1~8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9)
상술한 실시 예 1~8에서는, 돌출부(24)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형성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9에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4)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덮게 형성한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예 9의 돌출부(24)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덮도록 압착한 시트 기재(200)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9의 시트 기재(200)는, 시트 기재(200)에서의 개봉 영역(22) 내의 표면에 압착된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돌출부(24)로 감싸고 있다(도 22 참조).
이에 따라, 실시 예 9의 시트 기재(200)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수의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일괄적으로 운반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D)가 서로에게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쳐지거나 해도 홈(23)을 덮는 봉지재(40)가 박리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0D)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포장체 본체(11)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실시 예 1~8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10)
상술한 실시 예 1~9에서는, 오목부(41)과 볼록부(42)를 봉지재(40)에 부설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10에서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 (41) 및 볼록부(42)를 부설하지 않고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압착된 봉지재(40)를 거의 평탄하게 형성하거나, 혹은 대략 호상으로 형성하는 봉지재 압절 형(404)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실시 예 10의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형(404)의 확대 단면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3(a)는, 봉지재 가압부(405)의 가압면을 거의 평탄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봉지재 압절 형(404)의 확대 단면도, 도 23(b)는 봉지재 가압부(405)의 가압면을 상방을 향하여 대략 호상으로 움푹 파인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 봉지재 압절 형(404)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10의 봉지재 압절 형(404)은, 도 23(a)에 나타내는 봉지재 가압부(405)가 대략 평탄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봉지재 압절 형(404)과, 도 23(b)에 나타내는 봉지재 가압부(405)가 상방을 향해서 대략 호상으로 움푹 파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봉지재 압절 형(404)으로 구성하고 있다.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압착할 때에, 도 23(a)의 봉지재 가압부(405)로 가압하면 봉지재(40)의 주연부(40d)보다 내측 부분이 대략 평탄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3(b)의 봉지재 가압부(405)로 압착하면 봉지재(40)의 주연부(40d)보다 내측의 부분이 위쪽을 향해서 대략 호상으로 돌출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실시 예 10의 봉지재 압절 형(404)을 이용하여,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압착했을 때, 돌출부(24)가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형성되는 동시에, 봉지재(40)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연속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실시 예 1~9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11)
도 25는 실시 예 11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5(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25(b)는 (a)에 나타내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개봉 구조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26(a)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단면도, 26(b)은 (a)에 나타내는 a1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구부림 동작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27(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구부리기 시작한 상태의 측면도, 도 27(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반 접기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절곡 개봉 포장체 (10E)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아래 설명에서의 긴 쪽 방향(L)(길이방향)이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가지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긴 쪽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이며, 짧은 쪽 방향(W)(폭 방향)이란, 평면 방향에 있어서 긴 쪽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실시 예 11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는, 1회 사용에 필요한 양의 내용물(C)을 봉입(충전)한 소형의 포장체이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포장체 본체 (11)를, 주머니 모양으로 형성한 유연성을 가진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13)로 구성하고 있다(도 25, 도 26 참조).
본체부(12)는, 소정 양의 내용물(C)을 수용하는 주머니 모양의 수용부(14)를, 두께 150μ로 형성한 합성 수지제의 필름(구체적으로는 미츠비시 수지 주식회사 제품의 상품명 다이아밀론 F)으로 형성한다(도 25, 도 26 참조).
덮개부(13)는, 포장체 본체(11)의 내부와 대응하는 쪽(도 26(a)의 하측)에 배치된 대략 평탄한 합성수지제의 시트 부재(20)와, 시트 부재(20)에서의 포장체 본체(11)의 외부와 대응하는 측(도 26(a)의 상측)에 압착한 알루미늄박제의 봉지재(40)로 구성하고 있다.
시트 부재(20)는, 본체부(12)의 개구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부재(20)의 이면측 주연부를 본체부(12)의 개구측 주연부에 열 용착해서 본체부(12)의 개구부를 덮개부(13)에 의해 폐색하고 있다(도 26(a) 참조).
시트 부재(20)는, 두께 300μ로 형성한 아몰퍼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A-PET)제의 시트 기부(20a)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 기부(20a)의 표리 양면에는, 폴리에틸렌제(PE)제의 필름 실링재(20b)를 맞붙인다(도 26(b) 참조).
필름 실링재(20b)는, 시트 기부(20a)의 표리 양면(혹은, 표리 양면 중 적어도 한쪽 면)을 덮도록 붙인다.
또한, 시트 부재(20)를 시트 기부(20a) 및 필름 실링재(20b)와 함께 도시하지 않은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제(OPET)의 시트를 맞춰 붙인 복합 시트로 구성해도 좋다.
시트 부재(20)에서의 긴 쪽 방향(L)의 중앙부에는, 긴 쪽 방향(L)에 대해서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릴 수 있는 절곡부(21)를, 시트 부재(20)의 긴 쪽 방향(L)과 직교해서 짧은 쪽 방향(W)에 형성한다(도 25, 도 26 참조).
절곡부(21)에서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는, 도 25중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개봉 영역(22)을 설정한다. 시트 부재(20)에서의 개봉 영역(22) 내의 중앙부 표면에는 시트 부재(20)의 두께 방향(T)으로 관통된 슬릿 형태의 홈(23)을 형성한다(도 25, 도 26 참조).
홈(23)은, 시트 부재(20)의 긴 쪽 방향(L)과 교차해서 짧은 쪽 방향(W)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시트 부재(20)의 표면을 두께 방향(T)에서 보아 시트 부재(20)의 긴 쪽 방향(L)의 일단 측을 향하여 호상으로 돌출하는 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홈(23)의 폭(Wi)은, 시트 부재(20)의 짧은 쪽 방향(W)의 폭 이하(바람직하게는 약 70% 이하)로 형성한다(도 25(b) 참조).
봉지재(40)는, 두께 20μ로 형성한 알루미늄박으로 구성되어, 길이 20mm× 폭 10mm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알루미늄박의 이면에는, 가열 밀봉 가능한 아크릴·코폴리머를 코팅한다(도 26(b) 참조).
봉지재(40)는 절곡부(21)의 개봉 영역(22)보다 한층 작고,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를 반 접기 상태로 구부렸을 때에 산쪽(山側)이 되는 개봉 영역(22) 내의 표면에 대해서, 개봉 영역(22)의 홈(23)을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한다. 봉지재(40)의 파단 강도는,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을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렸을 때에 파단되는 강도로 설정한다(도 27, 도 28 참조).
봉지재(40)에서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압착되는 이면 측에는 핫 멜트제 등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접착층(40a)을 대략 균일하게 약 5μ코팅(또는 도포)하고 있다. 봉지재(40)의 주연부(40b)보다 안쪽의 표면에는,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다수 부설하면서 동시에 표면 전체에 대해서 거의 균일해지도록 배치한다(도 26(b) 참조).
봉지재(40)의 주연부(40b)는, 시트 부재(2)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소정의 깊이(D1)를 파고들게 해서 시트 부재(2)의 표면보다 하방으로 가라앉게 압착한다. 주연부(40b)는, 봉지재(40)의 중앙부에서 외주부를 향해서 서서히 잠식이 깊어지도록 압착하고 있다(도 26(a)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주연부(40b)의 잠식 깊이(D1)는,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두께(E1)의 약 0.5배 이상의 깊이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약 0.1mm로 설정하고 있다. 오목부(41)와 볼록부(42)의 높낮이 차이(D2)는,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약 0.1배~약 10배의 범위에 포함되는 차이로 설정하고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배 이내로 설정한다(도 26(a)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시트 부재(20)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른 부분에는, 봉지재(40)에서의 시트 부재(20)를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보다 높고,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매끄러운 곡면 형상의 돌출부(24a)를 형성하고 있다(도 26(a)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돌출부(24a)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형성하면서 동시에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돌출부(24a)의 폭(Wk)은,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두께(E1)의 약 1배 이상의 폭으로 형성한다. 돌출부(24a)의 바깥면은, 시트 부재(20)의 주연부에서 봉지재(40)의 주연부를 향해서 서서히 높아지는 매끄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도 26(a)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돌출부(24a)의 높이(E2)는,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두께(E1)의 약 0.5배 이상의 높이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를,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하고 있으며, 봉지재(40)의 두께 20μ에 대해서 돌출부(24a)의 높이(E2)를 약 60μ로 형성한다(도 26(a)에 나타내는 a2부 확대도 참조).
상술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들 중 한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가,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서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서의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돌출한 돌출부(24a)가 방파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가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본 접촉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쪽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서의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봉지재(40)가 가장자리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절곡 개봉 포장체(1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기 전까지는 홈(23)을 봉지재(40)로 봉지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봉지재(40)에 의해 밀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포장체 본체(11)에서의 본체부(12)의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시트 부재(20)에서의 돌출부(24a)와 대응하는 부분의 강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20)에 대해서 표면 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데 충분한 강도를 얻어져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봉지재(40)에서의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파고들게 하기 때문에 손끝이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걸리는 일이 없고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돌출부(24a)의 폭(Wk)을,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약 1배 이상의 폭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절곡 개봉 포장체(10E)가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에 접촉되어도 돌출부(24a)가 결손되거나 변형하기 어렵고 방파제로서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손가락을, 절곡 개봉 포장체(1A)에서의 짧은 변 쪽의 양 가장자리부에 걸고서,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포장체 본체(11)의 덮개부(13)가 하향이 되는 상태로 유지한 후, 절곡 방향(G)을 향해서 반 접기 상태로 구부리기 시작한다(도 27(a) 참조).
절곡 개봉 포장체(1A)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에, 절곡부(21)의 개봉 영역(22)에 압착된 봉지재(40)을 파괴하여 개봉하는 동시에 절곡부(21)의 홈(23)을 두께 방향(T)으로 개구한다(도 27(b) 참조).
이에 따라, 시트 부재(20)의 홈(23)이 본체부(12)의 수용부(14)와 연통되기 때문에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절곡 동작에 따라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을 홈(23)에서 밀어내게 해서 꺼낼 수 있다(도 28 참조).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를 반 접기 할 때에 홈(23)의 설편부(23a)가 하측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내용물(C)이 설편부(23a)에 접촉하면서 밀어내어지기 때문에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한꺼번에 밀어내어지기 어려워서 내용물(C)이 주위로 흩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27(b), 도 28 참조).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릴 때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봉지재(40)에 의해 봉지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시트 부재(20)에 사용되는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과,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이용하여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시트 부재(20)에 사용되는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30은 절곡 개봉 포장체(10E)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압절 압착 장치(402)의 확대 측면도, 도 32는 압절 롤(404)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3은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하는 압절 롤(404)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3(a)는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한 봉지재 가압부(405)의 확대 단면도, 33(b)는 봉지재(40)을 압착한 시트 기재(200)의 확대 단면도이다.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띠 모양으로 형성한 합성수지제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부설하는 홈 부설 공정(a)과, 띠 모양으로 형성한 알루미늄박제의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홈(23)을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면서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된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가열 압착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과, 봉지재(40)가 분리된 폐기 기재(400a)를 롤 형태로 감아 돌려서 회수하는 기재 회수 공정(c)과,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롤 형태로 감아돌리는 기재 권회 공정(d)을, 이 순서대로 수행한다(도 29 참조).
홈 부설 공정(a)은, 시트 장전부(201)에서 풀어 내어지는 띠 모양의 시트 기재(200)를, 보내기 방향(F)으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홈 부설 장치(202)로 이송한다. 홈 부설 장치(202)는, 슬릿 형태의 홈(23)을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 (W)의 중앙부에 부설하면서 동시에 시트 기재(200)의 긴 쪽 방향(L)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부설한다(도 29 참조).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은, 봉지재 장전부(401)에서 풀어 내어지는 띠 모양의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 표면에 대해서 홈(23)이 덮이도록 겹쳐지게 하면서 시트 기재(200)의 보내기 속도와 동기하여 보내기 방향(F)을 향해서 일정 속도로 반송하면서 압절 압착 장치(402)로 이송한다(도 29 참조).
또한, 봉지 기재(400)는,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폭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홈(23)을 덮는 폭으로 형성한다.
압절 압착 장치(402)는, 홈(23)이 형성된 시트 기재(200)를 받는 받이 롤(403)과, 봉지재(40)를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하여,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덮도록 가열 압착하는 압절 롤(404)을 구비한다(도 31 참조).
받이 롤(403)은, 시트 기재(200)에 겹쳐진 봉지 기재(400)를 잘라 분리하는 위치의 하부에 배치하고 있다. 압절 롤(404)은, 받이 롤(403)에 의해 지지된 시트 기재(200)의 봉지 기재(400)가 맞춰 겹쳐진 부분과 대향해서 봉지 기재(400)를 잘라 분리하는 위치의 상부에 배치한다. 롤(403,404)은,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보내기 속도와 동기해서 보내기 방향(F)을 향해서 일정 속도로 회전한다(도 31 참조).
압절 롤(404)은, 봉지 기재(400)를 봉지재(40)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기 위한 압절 형(4044)을, 압절 롤(404)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한다(도 31 참조).
압절 형(4044)은,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 표면에 대해서 압착하는 봉지재 가압부(405)와,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홈(23)을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눌러 잘라 분리하는 압절부(406)와, 압절 형(4044)을 가열하는 가열 히터(407)를 구비한다(도 31 참조).
봉지재 가압부(405)는, 지름 바깥방향 쪽으로 대략 호상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봉지재 가압부(405)의 가압측 중앙부에는 봉지재(40)의 표면에 대해서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다수 부설하기 위한 요철 부설부(408)를 설치하고 있다. 요철 부설부(408)의 부설면은, 봉지재(40)에 부설되는 오목부(41) 및 볼록부(42)와 대응한 요철 모양으로 형성한다(도 32 참조).
압절부(406)는, 봉지재 가압부(405)의 가압측 주연부를 압절 롤(404)의 지름 밖 쪽으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면서 동시에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하는 칼날(刃)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압절부(406)의 단면 형상은, 내측의 사면과 외측의 수직면이 교차하는 단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한다. 압절부(406)에서의 선단부의 잠식 각도 θ2는, 약 30도~약 110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각도 중 45도로 설정하고 있다. 요철 부설부(408)의 요철면의 고저 차이(D2)는 봉지재(40)에 부설되는 오목부(41) 및 볼록부(42)와 대응하는 차이로 설정한다(도 32 참조).
봉지재 가압부(405)와 압절부(406)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할 때에 평탄한 부분에 남은 공기를 빼기 위한 공기 제거홀(409)을 형성하고 있다. 공기 제거홀(409)은, 약 0.1mm~약 0.3mm 범위에 포함되는 구멍 지름으로 형성한다(도 32, 도 33 참조).
공기 제거홀(409)은,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에 압착할 때에 평탄한 부분에 남은 공기를 제거하므로, 봉지재(40)에서의 홈(23)에 압착된 부분에 잔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기 제거홀(409)의 구멍 지름을 크게 하면, 구멍 흔적이 봉지재(40)에 남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범위에 포함되는 구멍 지름이 바람직하다.
상술의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제조할 경우, 홈 부설 공정 (a)에 있어서, 홈 부설장치(202)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을 부설하면서 동시에 봉지 기재(40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이 덮이도록 맞춰 겹치면서 보내기 방향(F)으로 반송하여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으로 이송한다(도 29, 도 31 참조).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b)에 있어서, 압절 압착 장치(402)의 받이 롤(403) 및 압절 롤(404)을 보내기 방향(F)을 향해 일정 속도로 회전되면서 시트 기재(200)에 맞춰 겹쳐진 봉지 기재(400)를, 압절 형(4044)의 압절부(406)에 의해 홈(23)이 덮이는 크기 및 형상으로 잘라 분리한다(도 31, 도 33 참조).
봉지재(40)를 봉지재 가압부(405)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홈(23)이 덮이도록 압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압절 롤(404)의 압절 형(4044)을, 가열 히터(407)에 의해 약 130℃로 가열한 상태에서 1㎟당 약 10kg 정도의 압력으로 약 0.1초 동안 가압하다(도 31, 도 33 참조).
봉지재(40)를 봉지 기재(400)에서 잘라 분리할 때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를, 압절 형(4044)의 압절부(406)에 의해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D1)만큼 파고들게 하면서 시트 기재(200)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와 대응하는 부분을 가열하여 용융한다(도 33(a) 참조).
시트 기재(200)에서의 가열하여 용융된 부분을 압절 형(4044)의 압절부(406)에서 가압해서, 압절부(406)보다 바깥쪽으로 유동시키면서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대략 반원 형상으로 솟아오르게 한 상태로 돌출한다(도 33(a)에 나타내는 b1부 확대도, (b)에 나타내는 b2부 확대도 참조).
이에 의해, 시트 기재(20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매끄러운 곡면 형상의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형성하면서 동시에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봉지재(40)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압착할 때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보다 내측의 표면을, 봉지재 가압부(405)의 요철 부설부(408)에 의해 두께 방향(T)으로 가압하고,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보다 내측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균일하게 다수 부설한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시트 부재(20)로 이용되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연속해서 제조할 수 있다(도 33(b) 및 b2부 확대도 참조).
또한, 봉지재(40)가 분리된 폐기 기재(400a)는 기재 회수 공정(c)에 있어서 롤형태로 감아 돌려서 회수하고,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는 기재 권회 공정(d)에서 롤 형태로 감아 돌린다(도 29 참조).
이어서, 상술한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이용하여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은, 주머니 모양의 수용부(14)가 형성된 필름 기재(300)와,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보내기 방향 (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맞춰 겹치게 하는 겹침 공정(e)과, 기재(200,300)끼리의 양측 가장자리부를 긴 쪽 방향(L)으로 가열 밀봉하는 세로 실링 공정(f)과, 기재(200,300)끼리에서의 수용부(14)의 상하 겹침 부분을 짧은 쪽 방향(W)으로 가열 밀봉하는 가로 실링 공정(g)과, 세로 실링 및 가로 실링된 통형상 포장체(414) 내에 내용물(C)을 충전하는 충전 공정(h)과, 소정 양의 내용물(C)이 충전된 통형상 포장체(414)를 개개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로 분리하는 분단 공정(i)을, 이 순서대로 진행한다(도 30 참조).
시트 장전부(210)에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롤 형태로 감 아돌려서 장전한다. 또한, 필름 장전부(310)에는, 수용부(14)가 성형되기 전의 필름 기재(300)를 롤 형태로 감아 돌려서 장전한다(도 30 참조).
필름 기재(300)를 필름 장전부(310)에서 풀어낼 때에, 필름 기재(300)를 성형 드럼(311)의 둘레 면에 감아 붙이면서 동시에 성형 드럼(311)에 감아 붙인 필름 기재(300)를 가열 히터(312)에 의해 가열해서 연화시켜 주머니 형태로 수용부(14)를 필름 장전부(310)의 감아붙임 쪽 면에 대해서 연속해서 성형한다(도 30 참조).
겹침 공정(e)은, 필름 장전부(310)에서 풀어 내어지는 필름 기재(300)의 수용부(14)가 형성된 부분과 반대쪽 부분과, 시트 장전부(210)에서 풀어내는 시트 기재(200)의 봉지재(40)가 압착된 부분과 반대쪽 부분을 서로 맞춰 겹치면서, 한 쌍의 보내기 롤(431)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세로 실링 공정(f)으로 이송한다(도 30 참조).
세로 실링 공정(f)은, 기재(200,300)끼리를 한 쌍의 세로 실링 롤(441)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기재(200,300)끼리의 수용부(14)보다 바깥쪽의 양쪽 가장자리부를 세로 실링해서 통 형상으로 형성된 통형상 포장체(414)를 가로 실링 공정(g)으로 이송한다(도 30 참조).
가로 실링 공정(g)은, 통형상 포장체(414)를 한 쌍의 가로 실링 롤(451)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통형상 포장체(414)에서의 수용부(14)보다 아래쪽의 겹침 부분과 위쪽의 겹침 부분을 가로 실링해서 분단 공정(i)으로 이송한다.
충전 공정(h)은, 충전 장치(421)의 충전관(421)에서 공급되는 내용물(C)을 통형상으로 형성한 통형상 포장체(414) 내로 윗쪽에서 충전한다(도 30 참조).
분단 공정(i)은, 통형상 포장체(414)를 회전 칼날(461) 및 받이 롤(462)에 의해 보내기 방향(F)으로 세로 이송하면서 통형상 포장체(414)의 세로 실링부 및 가로 실링부를 짧은 쪽 방향(W)으로 절단하고, 긴 쪽 방향(L)으로 연속하는 통형상 포장체(414)를 소정 양의 내용물(C)이 충전된 각각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로 분리한다(도 30 참조).
상술한 제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연속해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가 분리된 통형상 포장체(414)의 폐기 포장체 (417)는, 롤형태로 감아돌려서 회수한다.
절곡 개봉 포장체(10E)을 제조할 때에,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기재(200)를, 포장체 본체(11)를 구성하는 덮개부(13)의 시트 부재(20)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필름 기재(300)를 포장체 본체(11)를 구성하는 본체부(12)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분리해서 이용하기 때문에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더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상술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서의 그 밖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 상기 구성과 동일 또는 동등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예 12)
상술한 실시 예 11에서는,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형성한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12에서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덮도록 형성한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4는 실시 예 12의 시트 기재(200)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4(a)는 돌출부(24a)를 변형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시트 기재(200)의 확대 단면도, 34(b)는 돌출부(24a)를 변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시트 기재(200)의 확대 단면도이다.
실시 예 12의 시트 기재(200)는,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뒤,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24a)를 단면 대략 문(門) 형상의 누름 형(型)(410)으로 두께 방향(T)으로 가압하고,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두께방향(T)으로 파고들게 한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덮도록 변형한다(도 34(a)(b), b3부 확대도 참조).
실시 예 12의 시트 기재(200)는, 봉지재(40)에서의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를, 시트 기재(200)의 표면에 돌출된 돌출부(24a)로 감싸고 있다. 누름 형(410)에서의 돌출부(24a)를 가압하는 부분은, 밖에서 안쪽을 향해서 서서히 높아지는 각도(약 0.5도~약 2도)로 경사져 있다.
실시 예 12의 시트 기재(200)에서 분리된 시트 부재(20)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하는 등 해도 돌출부(24a)로 덮인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23)을 덮는 봉지재(40)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시트 기재(200)에서의 파고들게 한 부분에서 봉지재(40)의 주연부(40b)가 감기거나 벗겨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연부(40b)의 오목부에 쓰레기나 먼지 등이 끼어드는 경우가 적어져서, 식품이나 약품 등을 개별 포장하기 위한 포장체로서 매우 적합하다.
이 결과, 절곡 개봉 포장체(1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기 전까지는, 홈(23)을 봉지재(40)로 봉지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실시 예 1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게다가,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파고들게 하고 있어서 홈(23)을 덮는 봉지재(40)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 13)
상술의 실시 예 12에서는,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시트 부재(20)에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13에서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40c)를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를 따라서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5는 실시 예 13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35(a)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단면도, 35(b)는 (a)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20)의 개봉 영역(22)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실시 예 13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는, 시트 부재(20) 및 봉지재(4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0c)를, 봉지재(40)에서의 주연부(40b)보다 내측의 부분에 대해서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를 따라서 형성하고 있다(도 35(a) (b) 참조).
돌출부(40c)의 높이(E3)는,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두께(E1)의 약 0.5배 이상의 높이로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봉지재(40)의 돌출부(40c)를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보다 높게 형성하고 있다(도 35(b) 및 (b)의 c부 확대도 참조).
실시 예 13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는 두 개의 돌출부(24a,40c)를 구비하고 있으며,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 및 봉지재(40)의 돌출부(40c) 중 한쪽 돌출부(24a)에 대한 접촉이 회피되더라도, 다른 쪽의 돌출부(40c)에 대해서 접촉되기 때문에 절곡 개봉 포장체(10E)가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와 봉지재(40)의 돌출부(40c)가 방파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표면에 상처를 내거나 봉지재(40)가 가장자리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기거나 하는 것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절곡 개봉 포장체(1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기 전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홈(23)을 봉지재(40)로 밀봉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2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봉지재(40)의 돌출부(40c)를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와 대략 동등한 높이로 형성해도 좋다.
(실시 예 14)
상술의 실시 예 11~13에서는, 돌출부(24a)를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 (40)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14에서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4a)를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과 거의 동등한 높이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6은 실시 예 14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6(a)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단면도, 36(b)는 (a)에 나타내는 시트 부재(20)의 개봉 영역(22)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실시 예 14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는, 봉지재(40)에서의 주연부(40b)보다 내측의 표면을 대략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다. 시트 부재(20)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따른 부분에는 봉지재(40)에서의 시트 부재(20)를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보다 높고, 시트 부재(2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라서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형성하고 있다(도 36(a)(b) 참조).
돌출부(44)의 높이(E2)는,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두께(E1)와 거의 동등해지는 높이로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부재(20)의 돌출부(24a)를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과 대략 동등해지는 높이로 형성하고 있다(도 36(b) 및 (b)의 d부 확대도 참조).
실시 예 14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해도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돌출한 돌출부(24a)가 방파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봉지재(40)가 가장자리부에서 박리되거나 감겨 말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절곡 개봉 포장체(1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고 개봉하기 전까지는 홈(23)을 봉지재(40)로 봉지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1~13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15)
상술한 실시 예 11~14에서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 둘레 전체를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15에서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부분적으로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7은 실시 예 15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7(a)는 봉지재(40)의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를 시트 부재(20)에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평면도, 도 37(b)는 봉지재(40)의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를 시트 부재(20)에 파고들게 한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평면도이다.
실시 예 15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는, 봉지재(40)의 주연부(40b) 중 짧은 쪽 방향(W)에 대향하는 한 쌍의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와,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의 연장된 부분을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파고들게 하고 있다(도 37(a) 참조).
또한, 봉지재(40)의 주연부(40b) 중 긴 쪽 방향(L)에 대향하는 한 쌍의 긴 변측 가장자리부(40b2)와,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의 연장된 부분을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파고들게 해도 좋다(도 37(b) 참조).
시트 부재(20)에서의 봉지재(40)의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 및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에 따른 부분에는,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a)를, 봉지재(40)의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40b1) 및 긴 변 쪽 가장자리부(40b2)를 따라서 형성하고 있다(도 37(a) (b) 참조).
이로써,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소정의 절곡 각도 θ1 이하로 구부리기 전까지는 봉지재(40)에 의한 홈(23)의 봉지가 해제되지 않고, 봉지재(40)에 의해 봉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수용부(14)에 봉입된 내용물(C)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16)
상술한 실시 예 11~15에서는,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실시 예 16에서는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지재(40)를 절곡 동작에 수반하여 박리하여 개봉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8은 실시 예 16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8(a)는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사시도, 도 38(b)는 (a)에 나타내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평면도이다.
실시 예 16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는, 시트 부재(20)에 형성된 홈(23)과, 필름 부재(30A)에 형성된 홈(33) 사이와 대응하는 개봉 영역(22) 내의 대향 면끼리를 재박리 가능한 점착력을 가진 접착층으로 찹착하고 있다. 호일(箔) 형태의 봉지재(40)를, 부재(20,30A)끼리의 절곡부(21)에 설정한 개봉 영역(22) 내의 표면에 대해서 홈(23,33)을 덮도록 압착한다(도 38(a) (b) 참조).
시트 부재(20)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르는 부분에는, 봉지재 (40)에서의 시트 부재(20)를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보다 높고, 시트 부재(20)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a)를 형성한다(도 38(a) (b) 참조).
실시 예 16의 절곡 개봉 포장체(10E)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E)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해도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돌출한 돌출부(24a)가 방파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봉지재(40)가 가장자리로부터 박리되거나 말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절곡 개봉 포장체(10E)의 절곡 동작에 따라 박리하여 개봉하기 전까지는 홈(23)을 봉지재(40)로 밀봉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볼 수 있다.
(실시 예 17)
상술의 실시 예 11에서는, 봉지재(40)를 시트 부재(20)에 맞붙인 절곡 개봉 포장체(10E)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실시 예 17에서는 도 39,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장의 필름 부재(30B)를 서로 맞춰 붙여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F)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9는 실시 예 17의 절곡 개봉 포장체(10F)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39(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F)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39(b)는 (a)에 나타내는 절곡 개봉 포장체(10F)의 평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나타내는 절곡 개봉 포장체(10F)에서 내용물(C)을 꺼낼 때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40(a)는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서 분단된 절곡 전의 절곡 개봉 포장체(10F)의 단면도, 도 39(b)는 절곡 개봉 포장체(10F)에서 내용물(A)을 꺼낼 때의 측면도이다.
실시 예 17의 절곡 개봉 포장체(10F)는, 포장체 본체(11)를,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두 장의 필름 부재(30B)들을 서로 겹치면서 동시에 필름 부재(30B)들의 서로 마주보는 주연부를 서로 맞춰 붙여서 구성하고 있다(도 39(a) (b), 도 40(a) 참조).
한쪽의 필름 부재(30B)의 표면에 형성된 개구부(34)와, 시트 부재(20B)에 형성된 홈(23)을 대응시켜서,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필름 부재(30B)에 첩착한다.
시트 부재(20B)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르는 부분에는, 봉지재 (40)에서의 시트 부재(20B)를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보다 높고, 시트 부재(20B)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a)를 형성한다( 39(a) (b) 참조).
실시 예 17의 절곡 개봉 포장체(10F)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F)들이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는 등 해도 시트 부재(20B)의 표면에 돌출한 돌출부(24a)가 방파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봉지재(40)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하거나 말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절곡 개봉 포장체(10F)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할 때까지(도 40(a)(b) 참조), 홈(23)을 봉지재(40)로 밀봉한 상태를 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 예 18)
실시 예 18에서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필름 부재(30C)를 반 접기 상태로 접어 겹쳐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10G)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1은 실시 예 1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G)의 설명도이며, 자세하게는 도 41(a)는 절곡 개봉 포장체(10G)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 도 41(b)는 (a)에 나타내는 절곡 개봉 포장체(10G)의 평면도이다.
실시 예 1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G)는, 포장체 본체(11)를, 긴 쪽 방향(L)으로 연장 설치된 두 장 분량의 필름 부재(30B)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 필름 부재(30C)를, 짧은 쪽 방향(W)의 중앙부에 설정한 미도시된 가상 절곡선을 따라서 반 접기 상태로 접어 포개면서 동시에 반으로 접은 상태의 필름 부재(30C)에서의 서로 마주하는 세 변의 가장자리부들을 서로 맞춰 붙여서 구성하고 있(도 41(a) (b) 참조).
필름 부재(30C)의 한쪽 표면에 형성한 개구부(34)와 시트 부재(20B)에 형성한 홈(23)을 대응시켜서,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필름 부재(30C)에 첩착한다.
시트 부재(20B)에서의 봉지재(40)의 주연부(40b)를 따른 부분에는, 봉지재(40)에서의 시트 부재(20B)를 파고들게 한 주연부(40b)보다 높고, 시트 부재(20B)에 압착된 봉지재(40)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4a)를 형성하고 있다(도 41(a)(b) 참조).
실시 예 18의 절곡 개봉 포장체(10G)를 다수 일괄해서 운반하거나 수송하거나 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10G)끼리 서로 접촉되거나, 혹은 서로 스치거나 해도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돌출한 돌출부(24a)가 방파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봉지재(40)의 주연부(40b)에 대해서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봉지재(40)가 가장자리부로부터 박리되거나, 감겨 말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절곡 개봉 포장체(10G)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를 파괴하여 개봉하기 전까지는 홈(23)을 봉지재(40)로 밀봉한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실시 예 11에 더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개봉부는, 실시 형태의 홈(23,33)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개봉부 부설 공정은, 홈 부설 공정(a)에 대응하고,
평탄 부재는, 시트 부재(20) 및 시트 기재(200)에 대응하고,
봉지 부재는, 봉지 기재(400)에 대응하고,
봉지재 압절 형은, 압절 롤(404)에 대응하는데,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제시된 기술 사상을 토대로 해서 응용할 수 있으며 많은 실시형태를 얻을 수 있다.
상술의 실시 예 1~10에서는,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봉지재(40)의 표면전체에 부설한 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홈(23)을 덮는 봉지재(40)의 중앙부에 부설한 실시 예19의 시트 기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에 의해, 봉지재(40)에서의 오목부(41)와 볼록부(42)를 부설한 부분의 두께가 더 얇아져서 절곡 개봉 포장체(10A)의 절곡 동작에 따라 봉지재(40)의 홈(23)과 대응하는 부분을 더 쉽게 파괴하여 개봉할 수 있다.
상술의 실시 예 6, 7에서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절곡 개봉 포장체(10B,10C)의 표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첩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절곡 개봉 포장체(10B,10C)의 표면 전체에 첩착해도 좋다.
또한,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에, 시트 부재(20)를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 괘선을 부설해도 좋다.
그리고 또한, 봉지재(40)의 주연부(40b)의 둘레 전체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소정의 깊이(D1)를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주연부(40b) 중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시트 부재(20)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T)으로 소정의 깊이(D1)를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해도 좋다.
상술의 실시 예 11~18에서는, 돌출부(24a)의 높이(E2)를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약 0.5배 이상의 높이로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돌출부(24a)의 높이(E2)를 봉지재(40)의 두께(E1)를 기준으로서 약 1배 이상의 높이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시트 부재(20)의 절곡부(21)에 시트 부재(20)를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 괘선을 부설해도 좋다.
또한, 실시 예 17, 18에서는, 봉지재(40)가 압착된 시트 부재(20B)를, 절곡 개봉 포장체(10F,10C)의 표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붙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절곡 개봉 포장체(10F,10C)의 표면 전체에 첩착해도 좋다.
C; 내용물
10A,10B,10C,10D,10E,10F,10G; 절곡 개봉 포장체
11; 포장체 본체
12; 본체부
13; 덮개부
14; 수용부
20; 시트 부재
21; 절곡부
22; 개봉 영역
23,33; 홈(切入)
24,24a; 돌출부
30A,30B,30C; 필름 부재
33; 홈
34; 개구부
40; 봉지재(封止材)
40b; 주연부(周緣部)
40b1; 짧은 변 쪽 가장자리부
40b2; 긴 변 쪽 가장자리부
40c; 돌출부
41; 오목부
42; 볼록부
200; 시트 기재
202; 홈 부설 장치
300; 필름 기재
400; 봉지 기재
402; 압절 압착 장치
403; 시트 받이 형(型)
404; 봉지재 압절(押切) 형(型)
4044; 압절 형(型)
405; 봉지재 가압부
406,416,426,436; 압절부
407; 가열 히터
408; 요철 부설부
414; 통형상 포장체
421; 충전 장치
422; 충전관
431; 보내기 롤
441; 세로 실링 롤
451; 가로 실링 롤
461; 회전 칼날
462; 받이 롤
a; 홈 부설 공정
b;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
c; 폐기재 회수 공정
d; 기재 권회 공정
e; 겹침 공정
f; 세로 실링 공정
g; 가로 실링 공정
h; 충전 공정
i; 분단 공정

Claims (29)

  1.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折曲部)를 가지는 평탄(平坦) 부재로 구성되고, 그 절곡부의 절곡 동작에 따라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封止材)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이며,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周緣部)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되고,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으며, 또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緣部)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따라서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평탄 부재의 주연부에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향해서 서서히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50%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대해서 미소(微小)한 오목부와 볼록부가 다수 부설된 절곡 개봉 포장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의 둘레 전체(全周)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일부의 가장자리부, 혹은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의 둘레 전체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봉지재의 중앙부에서 외주부(外周部)를 향해서 서서히 잠식이 깊어지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
  9.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가지는 평탄 부재로 구성되며, 그 절곡부의 절곡 동작에 따라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개봉부를,
    띠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그 평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부설하는 개봉부 부설 공정과,
    띠 모양으로 형성된 봉지 부재를,
    상기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봉지재 압절(押切) 형(型)으로 잘라 분리하고,
    상기 봉지 부재에서 잘라 분리된 상기 봉지재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할 때에,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상기 봉지재 압절 형으로 압착하고,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두께보다 낮으며 또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봉지재의 높이보다 낮은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을, 전술한 순서로 수행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따라서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주연부에서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향해서 점차 높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50% 이상의 높이로 형성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 압절 형에,
    상기 평탄 부재에 대해서 상기 개봉부를 덮도록 맞춰 겹쳐진 상기 봉지재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는 봉지재 가압부가 설치된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 가압부에,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대해서 미세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다수 부설하는 요철 부설부가 설치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부설부가,
    상기 봉지재 가압부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개봉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 가압부의 가압측 주연부에,
    상기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상기 봉지 부재를 눌러 잘라 분리하는 압절부(押切部)가 설치되고,
    상기 압절부가,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절부의 선단부가,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게 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동시에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의 잠식 깊이가 상기 봉지재의 중앙부에서 외주부를 향해서 서서히 깊어지는 소정의 잠식 각도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18.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의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가지는 평탄 부재로 구성되고, 그 절곡부의 절곡 동작에 따라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이며,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 중 적어도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그 평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되어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의 잠식 깊이가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0.5배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가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0.5배 이상으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폭이,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1배 이상으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평탄 부재에 압착된 상기 봉지재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를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보다 안쪽 부분에 대해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를 따라서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보다 높게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24. 삭제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를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형성된 절곡 개봉 포장체.
  26. 내용물을 봉입하는 포장체 본체 중 적어도 일부가, 반 접기 상태로 절곡 가능한 절곡부를 가지는 평탄 부재로 구성되며, 그 절곡부의 절곡 동작에 따라 파단하여 개봉되는 봉지재가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절곡부에 형성된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개봉부를,
    띠 모양으로 형성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그 평탄 부재의 긴 쪽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부설하는 개봉부 부설 공정과,
    띠 모양으로 형성된 봉지 부재를,
    상기 개봉부를 덮는 크기 및 형상으로 봉지재 압절 형으로 잘라 분리하고,
    상기 봉지 부재에서 잘라 분리된 상기 봉지재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상기 개봉부를 덮도록 압착할 때에,
    상기 봉지재의 주연부를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대해서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상태로 압착하고,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를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상기 봉지재의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상기 평탄 부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봉지재 압절 압착 공정을, 전술한 순서로 수행하는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 압절 형(型)을,
    상기 평탄 부재 및 상기 봉지 부재가 보내기 방향을 향해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압절(押切) 롤로 구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 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를,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0.5배 이상으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에서의 상기 평탄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파고들게 한 가장자리부의 잠식 깊이를,
    상기 봉지재의 두께를 기준으로서 0.5배 이상으로 형성한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KR1020187008019A 2016-08-03 2017-08-02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Active KR102050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3068 2016-08-03
JP2016153068 2016-08-03
JPJP-P-2016-205845 2016-10-20
JP2016205845A JP6172826B1 (ja) 2016-08-03 2016-10-20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7071887A JP6260035B1 (ja) 2017-03-31 2017-03-31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JP-P-2017-071887 2017-03-31
PCT/JP2017/028085 WO2018025917A1 (ja) 2016-08-03 2017-08-02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741A KR20180048741A (ko) 2018-05-10
KR102050036B1 true KR102050036B1 (ko) 2019-11-28

Family

ID=6107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019A Active KR102050036B1 (ko) 2016-08-03 2017-08-02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49873B2 (ko)
EP (1) EP3348492B1 (ko)
KR (1) KR102050036B1 (ko)
CN (1) CN108137208B (ko)
AU (1) AU2017307790B2 (ko)
BR (1) BR112018006447B1 (ko)
CA (1) CA3000015C (ko)
TW (1) TWI635991B (ko)
WO (1) WO20180259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644B1 (ko) * 2020-05-21 2021-10-21 윤용철 오염 확산방지를 위한 개별밀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149752A1 (it) * 2018-01-09 2019-07-09 V Shapes S R L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con apertura a rottura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IT201900001235A1 (it) * 2019-01-28 2020-07-28 V Shapes S R L Confezione monodose
US20210309431A1 (en) * 2019-04-15 2021-10-07 Contract Pharmaceuticals Limited Break-Open Single-Dose Packages
US20210316523A1 (en) * 2020-04-10 2021-10-14 Rst Automa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instruments or other items with bag making features
KR102315645B1 (ko) * 2020-05-21 2021-10-21 윤용철 신속 밀봉이 가능한 오염물 개별밀폐장치
IT202000025687A1 (it) * 2020-10-29 2022-04-29 V Shapes S R L Unita’ di taglio per la realizzazione di confezioni monodose
JP7529190B2 (ja) * 2022-03-04 2024-08-06 ファメッカニカ.データ エス.ピー.エー. 物品の連鎖に切れ目を入れるためのユニット、装置及び方法
IT202200013183A1 (it) * 2022-06-22 2023-12-22 Easysnap Tech S R L Confezione sigillata monodose per grandi formati di prodott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4716A (ja) 2012-03-07 2013-09-19 Deisupenpakku Japan:Kk 分配包装体
WO2014141728A1 (ja) * 2013-03-14 2014-09-18 株式会社開伸 破断開封包装体の破断開封構造、破断開封包装体、及び破断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5020803A (ja) 2013-07-23 2015-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分配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5801A (en) * 1964-05-18 1967-04-25 Lowry Dev Corp Dispenser package
US3986640A (en) * 1973-08-20 1976-10-19 Sanford Redmond Package for a flowable product and material for making such package
US4236652A (en) * 1979-03-20 1980-12-02 American Can Company Dispenser package
US4430013A (en) * 1979-07-23 1984-02-07 Kaufman Jack W Disposable swab article
US4493574A (en) * 1982-11-18 1985-01-15 Sanford Redmond Dispenser package having fault line protrusion
US4611715A (en) * 1984-10-16 1986-09-16 Sanford Redmond Dispenser package
US4724982A (en) * 1986-12-18 1988-02-16 Sanford Redmond Asymmetric stress concentrator for a dispenser package
JPS6437370A (en) 1987-07-29 1989-02-08 Mitsubishi Plastics Ind Distribution package
JP2983715B2 (ja) * 1991-09-13 1999-11-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
US5395031A (en) 1992-03-10 1995-03-07 Redmond; Sanford Stress concentrator aperture-forming means for sealed containers and packages
AU766573B2 (en) * 1999-09-02 2003-10-16 Snap Pak Industries (Aust) Pty Ltd Dispensing sachet by bending and method of sachet manufacture
EP1237799A1 (en) * 1999-12-14 2002-09-11 Malcom Melsetter Moodie Contain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iners
US20050178086A1 (en) * 2003-12-02 2005-08-18 Craig Bakken Dispensing package
US7506762B2 (en) * 2003-12-02 2009-03-24 The Tapemark Company Dispensing package
DE202005015085U1 (de) * 2005-09-28 2005-12-01 Klocke Verpackungs-Service Gmbh Verpackung
NZ547925A (en) * 2006-06-14 2007-11-30 Hugh Thomas Harry Davies Sachets and materials used in manufacture of sachets
BRPI0715256B1 (pt) * 2006-09-28 2018-12-04 Diapack Ltd embalagem hermética de dose única e de abertura por rompimento
ES2351237T3 (es) * 2007-09-17 2011-02-01 The Tapemark Company Envase de distribucion con aplicador.
EP2205505B1 (en) * 2007-09-24 2011-09-21 Diapack Limited Break-open single-dose sealed package
US8028837B2 (en) * 2008-12-18 2011-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k-open package with shaped die cut for storing and dispensing substrates
CA2690296C (en) * 2010-01-14 2014-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treating a stain in clothing
JP6172806B2 (ja) 2013-11-25 2017-08-02 株式会社フューチャーラボ 破断開封包装体の破断開封構造及び破断開封包装体
US9724724B2 (en) * 2014-03-17 2017-08-08 Eiras Medical Llc Substance applicator having a controllable substance flowrate
AU2015254855A1 (en) * 2014-04-30 2016-12-01 Easysnap Technology S.R.L. Sealed single-dose break-open package suited to be opened vertically
JP5858413B1 (ja) 2015-01-30 2016-02-10 橋本 忠 剥離開封包装体、及び剥離開封包装体の開封構造
WO2016210342A1 (en) * 2015-06-26 2016-12-29 C.R. Bard, Inc. Topical substance application device including applic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4716A (ja) 2012-03-07 2013-09-19 Deisupenpakku Japan:Kk 分配包装体
WO2014141728A1 (ja) * 2013-03-14 2014-09-18 株式会社開伸 破断開封包装体の破断開封構造、破断開封包装体、及び破断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4198601A (ja) 2013-03-14 2014-10-23 株式会社開伸 破断開封構造、破断開封包装体、及び破断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2015020803A (ja) 2013-07-23 2015-02-02 三菱樹脂株式会社 分配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644B1 (ko) * 2020-05-21 2021-10-21 윤용철 오염 확산방지를 위한 개별밀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07790B2 (en) 2019-04-04
TWI635991B (zh) 2018-09-21
TW201808746A (zh) 2018-03-16
CA3000015A1 (en) 2018-02-08
US20180208344A1 (en) 2018-07-26
WO2018025917A1 (ja) 2018-02-08
KR20180048741A (ko) 2018-05-10
EP3348492B1 (en) 2021-05-12
AU2017307790A1 (en) 2018-04-12
EP3348492A4 (en) 2019-06-12
EP3348492A1 (en) 2018-07-18
CN108137208A (zh) 2018-06-08
BR112018006447B1 (pt) 2022-11-01
CN108137208B (zh) 2019-05-14
BR112018006447A2 (pt) 2018-12-26
US10549873B2 (en) 2020-02-04
CA3000015C (en)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036B1 (ko) 절곡 개봉 포장체 및 절곡 개봉 포장체의 제조 방법
JP5802769B2 (ja) 破断開封包装体
JP6172806B2 (ja) 破断開封包装体の破断開封構造及び破断開封包装体
RU27632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кетов со сварным швом по периметру
KR102748783B1 (ko) 매끄러운 연부 및, 임의적으로, 박리 가능한 표면을 가지는 형성된 열가소성 물품
JP6172826B1 (ja)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5646142B2 (ja) 包装袋体
JP5727972B2 (ja) ブリスターパック、ブリスターパック製造装置及びブリスターパックの製造方法
JP5846810B2 (ja) 分配包装体
JP3215693U (ja) カプセル製剤収納用プレススルーパック蓋材およびカプセル製剤収納用プレススルーパック
JP6516359B2 (ja) 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598157B2 (ja) 折曲げ開封包装体、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260035B1 (ja) 折曲げ開封包装体及び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
JP6030266B1 (ja) 折曲げ開封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6213369A (ja) 易開封性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79965A (ja) 易開封包装体、易開封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8167871A (ja) 折曲げ開封包装体
JP4414698B2 (ja) 小分け用包装体
JP2008100690A (ja) プレススルーパッケージ
CN105934393B (zh) 服用物收容单元、条状包装体,以及服用物收容单元的制造方法
JP2000272659A (ja) ピール性包装体及びピール性包装方法
JP2004142828A (ja) 小分け圧縮押し出し容器
JPH11130131A (ja) シート状包装容器
JP2000168831A (ja) Ptp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