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175B1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8175B1 KR102048175B1 KR1020190033645A KR20190033645A KR102048175B1 KR 102048175 B1 KR102048175 B1 KR 102048175B1 KR 1020190033645 A KR1020190033645 A KR 1020190033645A KR 20190033645 A KR20190033645 A KR 20190033645A KR 102048175 B1 KR102048175 B1 KR 1020481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threshold
- probability
- distance
- interlayer conta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3—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by creating or determining hardware identification, e.g. serial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 생성 장치의 평면도(top view)와 단면도(cross sectional view)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 생성 장치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오버랩 디스턴스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오버랩 디스턴스에 따라 노드들 간의 전기적 단락의 확률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 생성 장치에서 제2 노드와 비아가 개방되는 경우에 식별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 생성 장치에서 제2 노드와 비아가 단락되는 경우에 식별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 생성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 생성 장치의 설계 및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3)
- 반도체 칩 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층간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노드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비아(via)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 및
상기 형성된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의 전기적 특성을 식별하여 식별 키를 제공하는 독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의 탑 뷰에서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이 상기 제2 노드와 중첩되는 거리인 오버랩 디스턴스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지 않는 디스턴스보다 크고,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는 디스턴스보다 작은, 식별 키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 및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지의 여부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의 제조 공정 상의 공정 편차에 의해 무작위적으로 결정되는 식별 키 생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 상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과 제1 임계값 이상 및 제2 임계값 이하의 오버랩 디스턴스를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소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대 값인,
식별 키 생성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개방되는 것을 보장하는 오버랩 디스턴스보다 큰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것을 보장하는 오버랩 디스턴스보다 작은 값인, 식별 키 생성 장치. - 각각 1-bit의 디지털 값을 생성하는 N 개의 단위 셀 - 단, 상기 N은 자연수임 -을 포함하여 N 비트의 식별 키를 생성하는 식별 키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단위 셀 중 적어도 하나는,
반도체 칩 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상기 제1 노드와 전기적으로 단락되고,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층간에 형성되는 비아(via)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 및
상기 형성된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의 전기적 특성을 식별하여 식별 키를 제공하는 독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의 탑 뷰에서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이 상기 제2 노드와 중첩되는 거리인 오버랩 디스턴스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지 않는 디스턴스보다 크고,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는 디스턴스보다 작은, 식별 키 생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 상에서,
상기 제2 노드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과 제1 임계값 이상 및 제2 임계값 이하의 오버랩 디스턴스를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소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대 값인,
식별 키 생성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개방되는 것을 보장하는 오버랩 디스턴스보다 큰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것을 보장하는 오버랩 디스턴스보다 작은 값인, 식별 키 생성 장치. - 반도체 기판 상에 서로 다른 층에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노드들의 층간에 비아(via)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의 전기적 특성을 식별하여 식별 키를 제공하는 독출부를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기판의 패턴 레이아웃의 탑 뷰에서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이 상기 제2 노드와 중첩되는 거리인 오버랩 디스턴스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지 않는 디스턴스보다 크고,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는 디스턴스보다 작은, 식별 키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패턴 레이아웃 상에서,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은 제1 임계값 이상 및 제2 임계값 이하의 오버랩 디스턴스를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소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대 값인,
식별 키 생성 장치의 제조 방법. -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에 서로 다른 레이어에 제1 노드 및 제2 노드를 배치하고,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층간에 비아(via)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의 전기적 특성을 판독하여 식별 키를 제공하는 독출부를 상기 패턴 레이아웃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의 탑 뷰에서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이 상기 제2 노드와 중첩되는 거리인 오버랩 디스턴스는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지 않는 디스턴스보다 크고,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는 디스턴스보다 작은, 식별 키 생성 장치의 설계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 상에서,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은 제1 임계값 이상 및 제2 임계값 이하의 오버랩 디스턴스를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소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대 값인,
식별 키 생성 장치의 설계 방법. - 반도체 칩 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된 제1 노드 및 제2 노드 사이에 전위차를 생성하는 단계; 및
독출부에서,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의 층간에 형성된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의 전기적 특성을 판독하여 식별키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의 탑 뷰에서 바라본 경우에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이 상기 제2 노드와 중첩되는 거리인 오버랩 디스턴스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지 않는 디스턴스보다 크고,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항상 단락되는 디스턴스보다 작은,
식별키 생성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패턴 레이아웃 상에서,
상기 제2 노드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은 제1 임계값 이상 및 제2 임계값 이하의 오버랩 디스턴스를 갖도록 조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소 값이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상기 비아 또는 인터레이어 컨택에 의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가 단락되는 확률과 단락되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상기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오버랩 디스턴스의 최대 값인,
식별 키 생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645A KR102048175B1 (ko) | 2019-03-25 | 2019-03-25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645A KR102048175B1 (ko) | 2019-03-25 | 2019-03-25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25930A Division KR20150028756A (ko) | 2014-09-22 | 2014-09-22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641A KR20190035641A (ko) | 2019-04-03 |
KR102048175B1 true KR102048175B1 (ko) | 2019-11-22 |
Family
ID=6616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3645A Active KR102048175B1 (ko) | 2019-03-25 | 2019-03-25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817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77856A1 (ko) | 2010-12-09 | 2012-06-1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3341B1 (ko) * | 2012-03-20 | 2016-10-14 | (주) 아이씨티케이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2019
- 2019-03-25 KR KR1020190033645A patent/KR1020481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77856A1 (ko) | 2010-12-09 | 2012-06-14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641A (ko)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4025B1 (ko)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US1076930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key | |
US9281236B2 (en) | Embedded on-chip security | |
US9991892B2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identifier | |
KR101541597B1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2071937B1 (ko) | 식별키 생성장치 및 식별키 생성방법 | |
KR101457305B1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JP6383384B2 (ja) |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固有情報の生成方法 | |
KR102048175B1 (ko)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US10629549B2 (en) |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key | |
US10134691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key | |
KR20150028756A (ko)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2050021B1 (ko)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
KR102000617B1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1488616B1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150027015A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150027014A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150028755A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3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409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401259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90325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