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021B1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Google Patents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50021B1 KR102050021B1 KR1020170054445A KR20170054445A KR102050021B1 KR 102050021 B1 KR102050021 B1 KR 102050021B1 KR 1020170054445 A KR1020170054445 A KR 1020170054445A KR 20170054445 A KR20170054445 A KR 20170054445A KR 102050021 B1 KR102050021 B1 KR 1020500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dentification key
- bit
- digital value
- unit
- etc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2—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cryptographic circu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3—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by creating or determining hardware identification, e.g. serial nu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01L21/76813—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involving a partial via e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의 식별키 생성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유닛 셀의 단락 및 개방, 이에 따른 생성된 디지털 값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b는 본 발명의 메탈 라인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3c는 본 발명의 메탈 라인의 연결 또는 단절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에칭 레이트, 시간에 따른 유닛 셀의 단락 확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메탈 라인의 간격에 따른 단락 여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비아 사이즈에 따른 유닛 셀의 단락 확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비아 크기에 따른 유닛 셀의 단락 및 개방, 이에 따른 생성된 디지털 값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8은 식별키 생성장치 내에서의 유닛 셀의 배열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값 생성부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값 처리부가 디지털 값을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키 생성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100:식별키 생성장치
110:복수의 유닛 셀
120:독출부
130:식별키 처리부
140:선택부
201, 202:전도성 레이어
203:콘택 또는 비아
200:판단부
300:비활성부
400:저장부
Claims (15)
- 반도체 제조 공정의 회로에서, 유닛 셀의 단락 여부를 독출하여 디지털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값들의 일부를 선택하여 식별키를 생성해내는 복수의 식별키 생성장치;
상기 식별키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식별키의 무작위성 및 신뢰성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하나 또는 일부의 식별키 생성장치만을 동작하도록 선택하고,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식별키 생성장치를 영구적으로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부; 및
상기 판단 결과, 하나 또는 일부의 식별키 생성장치에서 생성된 값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성은 동작 안정성 및 시불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무작위성은, 평균을 포함하고, 분포 및 분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키 생성장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회로에 구비되는 복수의 유닛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닛 셀 각각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의 전도성 레이어; 및
상기 한 쌍의 전도성 레이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도성 레이어를 단락 또는 개방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콘택 또는 비아(via)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 또는 비아는 상기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상기 단락이 확률적으로 결정되도록 에칭 특성이 설정되고,
상기 에칭 특성은 에칭 종류, 에칭 레이트 및 에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에칭 레이트는 3.0 내지 3.5 ㎛/s이고, 상기 시간은 5s 내지 7s이고,
상기 판단부에 의해 이루어진 비교,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하나 또는 일부의 식별키 생성장치만을 동작하도록 선택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판단의 결과는 상기 저장부에 최초 1회 저장되며, 상기 비활성부에 의해 나머지 또는 전체 식별키 생성장치를 영구적으로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키 생성장치는,
상기 유닛 셀 각각의 단락 여부를 독출하도록 이루어지는 독출부;
상기 유닛 셀 각각의 단락 여부를 확률적으로 결정될 수 있게 하고, 상기 독출부에서 독출된 단락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유닛 셀 각각 디지털 값을 생성시키는 디지털 값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유닛 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유닛 셀에서 각각 생성된 디지털 값의 조합으로부터 식별키를 생성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콘택 또는 비아가 상기 전도성 레이어 사이를 단락시키는지 여부를 독출하여 상기 유닛 셀 각각의 단락 여부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또는 비아(via)는, 상기 반도체의 전도성 레이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콘택 또는 비아(via)가 상기 전도성 레이어를 단락하는 확률과 단락 하지 못하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하는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값 생성부는 상기 콘택 또는 비아가 상기 전도성 레이어를 단락시키는 확률과 단락시키지 않는 확률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콘택 또는 비아는 에칭 특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값 생성부는, 한 쌍의 전도성 레이어와 그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콘택 또는 비아를 이용하여 1 비트의 디지털 값을 생성하는 단위 구조를 N 개(단, N은 자연수) 구비하여, 상기 N 개의 단위 구조를 통해 N 비트의 식별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가 독출한 N 비트의 디지털 값을 입력 받아 처리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지털 값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값 처리부는,
입력 받은 상기 N 비트의 디지털 값들 중 제1 비트 및 제2 비트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비트 값이 상기 제2 비트 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제1 비트와 상기 제2 비트를 대표하는 디지털 값을 1로 결정하고,
상기 제1 비트 값이 상기 제2 비트 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제1 비트와 상기 제2 비트를 대표하는 디지털 값을 0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값 처리부는,
상기 제1 비트 값이 상기 제2 비트 값이 같은 경우, 상기 제1 비트와 상기 제2 비트를 대표하는 디지털 값을 1 또는 0 중 어느 한 쪽으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비트와 상기 제2 비트를 대표하는 디지털 값을 결정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445A KR102050021B1 (ko) | 2017-04-27 | 2017-04-27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PCT/KR2018/004479 WO2018199541A1 (ko) | 2017-04-27 | 2018-04-18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4445A KR102050021B1 (ko) | 2017-04-27 | 2017-04-27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0465A KR20180120465A (ko) | 2018-11-06 |
KR102050021B1 true KR102050021B1 (ko) | 2019-11-28 |
Family
ID=6392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4445A Active KR102050021B1 (ko) | 2017-04-27 | 2017-04-27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0021B1 (ko) |
WO (1) | WO20181995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327798B2 (en) * | 2020-04-09 | 2025-06-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hysical unclonable function |
FR3111722A1 (fr) * | 2020-06-22 | 2021-12-24 | Stmicroelectronics (Crolles 2) Sas | Dispositif de génération d'un nombre aléatoi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8826B1 (ko) * | 2011-02-15 | 2012-04-2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물리적 공격을 방어하는 암호화 장치 및 암호화 방법 |
KR101139630B1 (ko) * | 2010-12-09 | 2012-05-3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KR101442401B1 (ko) * | 2013-03-20 | 2014-09-23 | (주) 아이씨티케이 | Puf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40803B2 (en) * | 2002-04-16 | 2010-11-23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 Authentication of integrated circuits |
US10235261B2 (en) * | 2013-07-26 | 2019-03-19 | Ictk Holding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randomness |
KR102186475B1 (ko) * | 2013-12-31 | 2020-12-03 | 주식회사 아이씨티케이 홀딩스 | 랜덤한 디지털 값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593166B1 (ko) * | 2014-06-02 | 2016-02-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물리적 복제 방지 함수의 오류를 방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
2017
- 2017-04-27 KR KR1020170054445A patent/KR102050021B1/ko active Active
-
2018
- 2018-04-18 WO PCT/KR2018/004479 patent/WO201819954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9630B1 (ko) * | 2010-12-09 | 2012-05-3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KR101118826B1 (ko) * | 2011-02-15 | 2012-04-2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물리적 공격을 방어하는 암호화 장치 및 암호화 방법 |
KR101442401B1 (ko) * | 2013-03-20 | 2014-09-23 | (주) 아이씨티케이 | Puf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99541A1 (ko) | 2018-11-01 |
KR20180120465A (ko) | 2018-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6930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key | |
US10848328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 |
KR101118826B1 (ko) | 물리적 공격을 방어하는 암호화 장치 및 암호화 방법 | |
US8749265B2 (en) |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value using process variation | |
KR101663341B1 (ko) | 식별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102071937B1 (ko) | 식별키 생성장치 및 식별키 생성방법 | |
KR102050021B1 (ko) | 식별키 유용성 판별장치 | |
US1003272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dentification key | |
KR20100117006A (ko) | 공정편차를 이용한 디지털 값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150028756A (ko) | 식별 키 생성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4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