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34993B1 -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993B1
KR102034993B1 KR1020190070252A KR20190070252A KR102034993B1 KR 102034993 B1 KR102034993 B1 KR 102034993B1 KR 1020190070252 A KR1020190070252 A KR 1020190070252A KR 20190070252 A KR20190070252 A KR 20190070252A KR 102034993 B1 KR102034993 B1 KR 10203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ilm
unit
heat fusion
fu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보
Original Assignee
남경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경보 filed Critical 남경보
Priority to KR102019007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9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4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9Cooling the welding zone on the welding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29C66/914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the joi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29C2035/1666Cooling using ga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 B29L2031/7129Bags, sacks, sachets op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을 열융착하는 제1 열융착부와, 제1 열융착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필름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을 열융착하는 제2 열융착부와, 이송부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는 필름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키고,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을 진출시킨다. 제어부는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를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를 맞닿게 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상기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를 서로 이격시킨다. 제1 열융착부는 필름과 접촉하는 날을 가지고, 날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열융착부는 제1 열융착부의 날이 필름과 접촉할 때 제1 열융착부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필름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APPARATUS OF FABRICATING STORAGE BAG}
본 발명은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납용 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성 재질의 수납용 봉지의 하단부 실링을 위한 융착 공정시에 상하에서 열을 가하여 실링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생분해성 재질의 수납용 봉지가 수납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납용 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비닐백은 가격이 매우 저렴하면서, 보관시에는 그 부피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사용시에는 그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어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면서 방수성 및 어느 정도의 견고한 내구성도 제공할 수 있다는 여러 측면에서의 우수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일회용 비닐백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백(10)은, 비닐화합물,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며, 구성으로, 겹쳐지는 두 장의 비닐용지로 이루어져 그 사이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저장부(12)를 구비하며, 이 저장부(12)의 상단부측에는 개방되어 있어 물품이 투입되거나 인출되게 되는 투입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저장부(12)의 하단부측에는 두 장의 비닐용지가 열융착되어 상호 봉해져 있는 실링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부(12)의 양측 단부측에는 보다 많은 양이나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포개져 있다가 물품이 수납되게 될 때 벌어져 내부 공간부의 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절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저장부(12)의 상단부 양측에는 손잡이부(16)가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부(12)의 상단부 중앙에는 묶음띠(17)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저장부(12)의 상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6)의 상단측도 두 장의 비닐용지가 열융착되어 상호 봉해져 있는 실링부(16a)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술한 절첩부(15)는 "M"자 형태를 이루도록 접혀져 있게 된다.
즉, 저장부(12)의 중앙 부위는 2겹으로 되어 있으나, 좌우 측단부측은 절첩부(15)로 인해 4겹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비닐백(1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수납되는 물품의 하중을 그대로 받게 되는 하단부측에 봉합되어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링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해당 실링부(14)가 쉽게 터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종래에도 취약한 하단부를 보강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만큼 생산단가를 높일 수 없다는 제약성이 있어, 그 실현이 난이하였다.
도 2는 종래의 비닐백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비닐백 제조장치는 권취된 비닐원단(V)을 공급하는 공급수단(1)과 별도 마련된 모터(2a)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2b)로 이루어져, 공급수단(1)의 비닐원단(V)을 이송경로를 통해 끌어당겨 이송하는 이송수단(2)과 이송되는 비닐원단(V)을 설정된 간격으로 융착하는 융착수단(3)과 융착수단(3)과 연동하면서 융착된 부위의 일측 단을 절단하여 개방하는 절단수단(4) 및 융착수단(3)과 절단수단(4)을 구동시키는 메인모터(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기본 구성이다.
이때, 이송수단(2)의 모터(2a)는 서보모터로서, 별도의 조작부를 통해 설정된 만큼 회전하여 비닐원단(V)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킨다.
이러한 종래 비닐백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수단(1)에 튜브형 비닐원단(V)이 권취된 지관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비닐원단(V)을 이송경로(예컨대, 각 롤러(R))상에 설치되는 융착수단(3)을 거쳐 이송수단(2)을 통해 절단수단(4) 위치로 유도하여 초기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전원이 공급되어 장치가 작동 가능한 상태에서, 이송수단(2)의 모터(2a)가 동작하여 비닐원단(V)을 일정 길이만큼 이송시키고 정지한다. 그러면, 메인모터(5)가 동작하여 융착수단(3)과 절단수단(4)의 편심 크랭크(3')(4')를 연동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되면, 융착히터(3a)와 커터(4a)가 수직 왕복운동하면서 비닐원단(V)을 횡으로 융착시키는 한편, 비닐원단(V)의 융착된 부분의 일측을 절단하여 비닐백을 완성 후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 비닐백 제조장치는 상기와 같이, 융착수단(3)과 절단수단(4) 각각의 편심 크랭크(3')(4')를 메인모터(5)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같이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므로, 융착수단(3) 및 절단수단(4)의 구동부는 메인모터(5)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게 된다. 이때, 메인모터(5)는 이송수단(2)의 모터(2a)와 동작이 하나의 사이클을 이루며, 교번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조시간당 생산량을 증대시키고자 메인모터(5)의 속도를 빠르게 설정하면, 메인모터(5)의 속도 역시 빨라지며, 그에 따라 메인모터(5)에 의해 회전하는 축상에 설치된 편심 크랭크의 왕복운동 또한 빨라진다. 그로 인해 융착수단(3)의 융착히터(3a)와 절단수단(4)의 커터(4a)가 비닐원단(V)과 그 상측 방향으로 빠르게 수직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절단수단(4)은 동작에 아무런 문제점이 없으나, 융착수단(3)의 경우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비닐원단(V)과 접촉하는 열융착 시간이 짧아져 열융착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퍼레이터가 융착수단(3)의 융착히터(3a)와 비닐원단(V)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융착히터(3a)와 비닐원단(V)의 접촉 즉 열융착 시간을 조절하였으나, 이 경우 융착수단(3)에 포함된 융착히터(3a)과 비닐원단(V)이 접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완화 시키는 완충부재의 가압력이 증가하여 비닐원단(V)의 열융착부분이 끊어지거나 눌러 붙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비닐백 제조장치는 열융착을 위한 조건인 일정한 압력, 융착 시간 및 열량 등의 종합적인 조건을 완벽히 만족시켜야만 안정적인 열융착이 이루어지나, 이러한 다양한 조건을 만족시키가 어렵다.
특히, 생분해성 재질을 사용하는 수납용 봉지의 경우에는 열융착을 위한 조건인 일정한 압력, 융착 시간 및 열량 등의 종합적인 조건을 완벽히 만족시켜야만 안정적인 열융착이 이루어지나, 이러한 다양한 조건을 만족시키가 더욱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납용 봉지의 하단부 실링을 위한 융착 공정시에 상하에서 열을 가하여 실링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수납용 봉지가 수납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납용 봉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을 열융착하는 제1 열융착부와, 제1 열융착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필름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을 열융착하는 제2 열융착부와, 이송부와,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는 필름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키고,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을 진출시킨다.
제어부는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를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를 맞닿게 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상기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를 서로 이격시킨다.
제1 열융착부는 필름과 접촉하는 날을 가지고, 날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열융착부는 제1 열융착부의 날이 필름과 접촉할 때 제1 열융착부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필름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필름에 열을 가해진 후에 열이 가해진 부분을 식히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공기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는 제1 열융착부 및 제2 열융착부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필름이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필름의 서로 다른 영역에 차등적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필름과 제1 열융착부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되는 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위에서 설명된 장치에 의해 제조된 수납용 봉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용 봉지의 하단부 실링을 위한 융착 공정시에 상하에서 열을 가하여 실링을 견고하게 함으로써 수납용 봉지가 수납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융착부의 날에 복수의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열융착부의 열이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에 좀더 균일하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융착에 의해 생성된 봉지의 실링부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가 필름을 사이에 두고 각각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열융착과 열융착 후 급속한 냉각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지의 실링부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부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열융착이 일어난 필름 실링부가 급속히 냉각된다. 따라서,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을 실링한 후에 급속하게 공기를 분출시켜서 열융착에 의해 뜨거워진 실링부를 급속하게 식힘으로써, 열융착된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조절부를 통해 수납용 봉지의 제조시에 두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필름의 중심부에는 4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장자리부에 인가되는 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전달되어 필름의 중심부와 가장자리부에 균일한 열융착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의 실링부가 필름의 중심부나 가장자리부중의 어느 하나에서 약해지는 것이 미연에 차단되어 균일하게 실링이 이루어져 물품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일회용 비닐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비닐백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제1 열융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제1 열융착부 및 제2 열융착부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냉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와, 이송부(130)와,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수납용 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필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에 적용이 가능하다.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뜻하며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범용 플라스틱중 하나이다. 충격에 강하며 내한성도 양호해서 각종 시장봉투, 편의점봉투, 약국봉투, 종량제봉투 등에 사용됩니다. 많은 분들에게 하이덴봉투로 알려져 있다.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에 적용이 가능하다.
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뜻하며 HDPE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범용 플라스틱이다.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포장용 투명필름, 의류쇼핑백, 의료용 수액팩 등에 사용된다. 많은 이들에게 비닐포장지로서 알려져 있진 않지만 튼튼한 인장력이 장점이다.
PP(Polypropylene)에 적용이 가능하다.
PP는 폴리프로필렌을 뜻하며 이 또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 되고 있다. 인장강도, 충격강도, 투명성, 가공성이 뛰어 나며 치수의 안정성이 뛰어나 필름 성형 시 두께의 균일성 또한 우수하다. 식품 포장필름, 의류속지 포장재 등에 사용될 수DL있다. 많은 이들에게 폴리백, PP폴리백으로 알려져 있다. LDPE 보다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Biodegradable Plastic EL724에 적용이 가능하다.
Biodegradable Plastic EL724는 생분해성 수지를 뜻하며 기존 화학 합성수지 (ex. HDPE, LDPE, PP, OPP, PVC 등) 와 다르게 전분, 셀룰로스 등 천연소재가 주성분으로 미생물, 습기, 토양, 공기 등에 분해되는 제품이다. 공기중에 노출되어 완전히 분해되는 기일이 90일 정도 되는 친환경수지이다. 화학합성수지의 인장력, 강도 등 90%이상 동일 하며 단점으론 2~2.5배 정도 높은 단가, 짧은 사용 기간 등이 있다. 짧은 사용 기간이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장시 제품과 습기제거제를 함께 넣고 진공포장을 한다. 최대 사용/유통기한은 365일 이며 재활용이 아닌 일반쓰레기로 분류된다.
Bio Plastic EL727에 적용이 가능하다.
Bio Plastic EL727는 친환경수지를 뜻하며 식물자원인 사탕수수로 플라스틱을 만들어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생분해와는 다르게 친환경소재와 합성수지의 혼합으로 생산되어 일반 프라스틱과 동일한 품질을 갖추고 있으며, co2 발생을 70%까지 줄일 수있는 생태계 독성저감 제품이다. 생분해는 불가이며 재활용이 가능하다.가격은 생분해제품보다 저렴하며,일반쓰레기가 아닌 재활용(분리배출)으로 분류된다..
제1 열융착부(110)는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F)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1 열융착부(110)는 필름(F)과 접촉하는 날(111)을 가지고, 날(111)에는 다수의 요철(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열융착부(110)의 날(111)에 다수의 요철이 구비됨에 따라 제1 열융착부(110)의 열이 필름(F)에 좀더 균일하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융착에 의해 생성된 실링부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제1 열융착부(110)에 구비된 날(111)은 필요에 따라 하나일 수 도 있고, 서로 이격되어 2개가 구비될 수 도 있다.
예컨데, 제1 열융착부(110)에 하나의 날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필름(F)에 대하여 열융착을 수행하여 하나의 실링부가 생성도고, 실링부의 근처를 절단하여 한쪽은 봉지의 실링부가 되고, 다른 한쪽은 봉지의 오픈부가 되는 구조이다.
예컨데, 제1 열융착부(110)에 2개의 날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필름(F)에 대하여 열융착을 수행하여 소정 거리간 이격된 2개의 실링부가 생성되고, 2개의 실링부 사이에 절단되어 양쪽에 실링부가 형성된 구조의 봉지가 제조된다. 이후에 봉지의 상부의 중간을 별도의 작업에 의해 절단하여 상부가 오픈되고 손잡이가 있는 봉지를 제조할 수 있다. 날(111)에 형성된 요철의 예시는 후술될 도 9에서 좀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제2 열융착부(120)는 제1 열융착부(110)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필름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2 열융착부(120)는 제1 열융착부(110)의 날(111)이 필름(F)과 접촉할 때 제1 열융착부(110)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필름(F)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121)을 가지고 있다.
이송부(130)는 필름(F)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에 의해 필름(F)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이송부(130)는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F)을 진출시킨다.
제어부(140)는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를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필름(F)을 사이에 두고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를 맞닿게 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를 서로 이격시킨다.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가 필름(F)을 사이에 두고 각각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열융착과, 열융착 후 급속한 냉각의 효과를 배가할 수 있기 때문에 봉지의 실링부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는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열융착이 소정시간 수행된 후에는 서로 이격된다. 즉,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가 필름(F)이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필림(F)이 이동하는 지점에서 공기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이 미연에 차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름(F)은 열융착에 의한 잔열이 조속하게 차단될 수 있음에 따라 좀더 급속한 냉각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F)에 대한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F)에 대한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수직이나 수평 방향이 아닌 경사를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어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필름이 앞쪽으로 전진되게 필름을 이송시키키도록 이송부(130)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열융착부(210, 220)와, 냉각부(250)와, 이송부(230)와,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융착부(210, 220)는 제1 열융착부(210) 및 제2 열융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열융착부(210)는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F)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1 열융착부(210)는 필름(F)과 접촉하는 날(211)을 가지고, 날(211)에는 다수의 요철(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날(311)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2 열융착부(220)는 제1 열융착부(210)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필름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2 열융착부(220)는 제1 열융착부(210)의 날(211)이 필름(F)과 접촉할 때 제1 열융착부(210)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필름(F)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221)을 가지고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F)에 대한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열융착부(110)와 제2 열융착부(120)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F)에 대한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수직이나 수평 방향이 아닌 경사를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어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이송부(230)는 필름(F)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210)와 제2 열융착부(220)에 의해 필름(F)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210)와 제2 열융착부(220)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이송부(230)는 제1 열융착부(210)와 제2 열융착부(120)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F)을 진출시킨다.
냉각부(250)는 열융착부(210, 220)에 필름(F)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필름(210, 220)이 열융착부(2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복수개의 토출구(251)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부(25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251)를 통해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분출한다. 냉각부(250)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열융착이 일어난 필름(F)의 실링부가 급속히 냉각된다.
필름(F)이 열융착부(210, 220)에 의해 열융착된 다음에 급속히 냉각시키기 않으면, 열융착된 부분이 쉽게 떨어진다. 따라서, 열융착부(210)에 의해 필름(F)을 실링한 후에는 급속하게 공기를 분출시켜서 열융착에 의해 뜨거워진 실링부를 급속하게 식힘으로써, 열융착된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한편, 냉각부(2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열융착부(210, 220)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필름(F)이 열융착부(2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부(250)의 설치 위치를 필름(F)이 열융착부(2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쪽에 설치하여 필름(F)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경우, 바람의 세기에 의해 필름(F)이 약간 울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냉각부(250)가 설치되는 위치를 열융착부(210, 220)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하여, 필름(F)이 열융착부(2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에 대하여 열융착이 이루어진 후에 급속하게 식히기 위해 바람을 급속하게 분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열융착부(210, 220)의 근접 위치에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230)는 필름(F)을 이송시켜서 열융착부(210, 220)에 의해 필름(F)의 열융착될 부분이 열융착부(210, 220)의 착지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이송부(230)는 열융착부(210,220)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F)을 진출시킨다.
제어부(240)는 열융착부(210, 220)를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열융착부(210, 220)가 필름(F)에 대하여 접근하여 필름(F)에 접촉하여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열융착부(210, 220)와 필름(F)을 이격시킨다.
제어부(240)는 열융착부(210, 2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냉각부(250)로부터 필름에 강한 바람이 분출되도록 냉각부(2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40)는 열융착부(210, 2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필름(F)이 앞쪽으로 전진되게 필름(F)을 이송시키키도록 이송부(230)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열융착부(310, 320)와, 냉각부(350)와, 이송부(330)와, 제어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융착부(310, 320)는 제1 열융착부(310) 및 제2 열융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열융착부(310)는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F)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1 열융착부(310)는 필름(F)과 접촉하는 날(311)을 가지고, 날(311)에는 다수의 요철(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날(311)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2 열융착부(320)는 제1 열융착부(310)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2 열융착부(320)는 제1 열융착부(310)의 날(311)이 필름(F)과 접촉할 때 제1 열융착부(310)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필름(F)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321)을 가지고 있다.
이송부(330)는 필름(F)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310)와 제2 열융착부(320)에 의해 필름(F)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310)와 제2 열융착부(320)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이송부(330)는 제1 열융착부(310)와 제2 열융착부(320)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F)을 진출시킨다.
냉각부(350)는 열융착부(310, 320)에 필름(F)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필름(310, 320)이 열융착부(310, 3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복수개의 토출구(251)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351)를 통해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분출한다. 냉각부(350)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열융착이 일어난 필름(F)의 실링부가 급속히 냉각된다.
필름(F)이 열융착부(310, 320)에 의해 열융착된 다음에 급속히 냉각시키기 않으면, 열융착된 부분이 쉽게 떨어진다. 따라서, 열융착부(310, 320)에 의해 필름(F)을 실링한 후에는 급속하게 공기를 분출시켜서 열융착에 의해 뜨거워진 실링부를 급속하게 식힘으로써, 열융착된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한편, 냉각부(3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열융착부(310, 320)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필름(F)이 열융착부(310, 3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부(350)의 설치 위치를 필름(F)이 열융착부(310, 3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쪽에 설치하여 필름(F)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경우, 바람의 세기에 의해 필름(F)이 약간 울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냉각부(350)가 설치되는 위치를 열융착부(310, 320)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하여, 필름(F)이 열융착부(310, 3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에 대하여 열융착이 이루어진 후에 급속하게 식히기 위해 바람을 급속하게 분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열융착부(310, 320)의 근접 위치에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송부(330)는 필름(F)을 이송시켜서 열융착부(310, 320)에 의해 필름(F)의 열융착될 부분이 열융착부(310, 320)의 착지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킨다. 이송부(330)는 열융착부(310, 320)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F)을 진출시킨다.
제어부(340)는 제1 열융착부(310)를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열융착부(310)가 필름(F)에 대하여 접근하여 필름(F)에 접촉하여 열융착을 수행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제1 열융착부(310)와 제2 열융착부(320)와 필름(F)을 이격시킨다.
제어부(340)는 열융착부(310, 3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냉각부(350)로부터 필름에 강한 바람이 분출되도록 냉각부(3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열융착부(310, 3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필름(F)이 앞쪽으로 전진되게 필름(F)을 이송시키키도록 이송부(330)를 제어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열융착 및 절단이 된 봉지가 나오는 컨베어부쪽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열융착을 위해 봉지가 공급되는 부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제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공급부쪽에 권취되었다가 이송된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F)에 대하여 열융착을 수행하는 제1 열융착부(410) 및 제2 열융착부(420)와, 융착 공정후에 공기를 분사하여 열융착된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부(450)와, 권취된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F)을 적정 간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430)와, 융착된 부분의 사이를 절단하는 절단부(460)와, 필름(F)의 융착을 위해 제1 열융착부(410) 및 제2 열융착부(420)의 상하 승강 동작과 냉각부(450)의 공기 분사 동작과 절단부(460)의 절단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40)와 컨베어부(470), 마크센서부(480), 접착 위치 조절부(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열융착부(410)는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1 열융착부(410)는 히팅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열융착부(420)는 제1 열융착부(410)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필름(F)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2 열융착부(420)는 히팅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송부(430)는 필름(F)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에 의해 필름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키고,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F)을 진출시킨다.
제어부(440)는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를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필름(F)을 사이에 두고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를 맞닿게 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를 서로 이격시킨다.
냉각부(450)는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에 필름(F)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필름(F)이 열융착부(410, 4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한다.
절단부(460)는 제1 열융착부(410) 및 제2 열융착부(420)에 의해 융착된 필름의 두 지점 사이의 중간을 절단한다.
컨베어부(470)는 절단부(460)를 통해 개별 봉지 단위로 이루어진 봉지를 이동시킨다.
마크센서부(480)는 필름의 열융착 지점을 정확하게 센싱하기 위해 필름에 표시된 마크를 센싱한다.
접착 위치 조절부(490)는 마크센서부(480)에 의해 센싱되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필름의 열융착 지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제1 열융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열융착부(410)는 필름(F)과 접촉하는 날(411)을 가지고, 날(411)에는 다수의 요철(41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열융착부(410)의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열융착부(410)의 날(111)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도록 도면에 도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는 제1 열융착부(410)의 날(411)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열융착부(110)의 날(411)에 다수의 요철(411a)이 구비됨에 따라 제1 열융착부(410)의 열이 필름(F)에 좀더 균일하게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열융착에 의해 생성된 실링부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제1 열융착부(410)는 필름(F)과 접촉하는 한쌍을 날(411)을 가지고 있다. 한쌍의 날(411)에는 이격된 거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제1 열융착부(410)에 구비된 한쌍의 날(411)은 소정시간동안 필름(F)에 접촉하여 열융착을 수행한다.
한쌍의 날(411)에 의해 열융착이 수행되는 부분은 이격된 거리 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필름(F)은 이격된 거리의 중간 지점에 대하여 나중에 절단부(460)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쪽은 봉지의 상부가 되고 또 다른 쪽은 다른 봉지의 하부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날(311)에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제2 열융착부(420)는 제1 열융착부(410)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필름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F)을 열융착한다.
제2 열융착부(420)는 제1 열융착부(410)의 날(411)이 필름(F)과 접촉할 때 제1 열융착부(410)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필름(F)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421)을 가지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을 사이에 두고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는 소정의 시간동안 서로 맞닿게 된다. 이때, 필름(F)에 대한 열융착이 수행된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제1 열융착부(410)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2 열융착부(42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는 필름(F)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융착부(410)는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2 열융착부(420)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는 필름(F)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이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제1 열융착부 및 제2 열융착부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열융착부(110) 및 제2 열융착부(120)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는 제어부(44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F)에 대한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는 각각 수평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필름(F)에 대한 열융착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수직이나 수평 방향이 아닌 경사를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어 반복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필름이 앞쪽으로 전진되게 필름을 이송시키키도록 이송부(430)를 제어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서 냉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냉각부(450)는 제1 열융착부(410)와 제2 열융착부(420)에 필름(F)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필름(F)이 열융착부(4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복수개의 토출구(451)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부(45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451)를 통해 공기를 소정시간동안 분출한다. 냉각부(450)로부터 분출된 공기에 의해 열융착이 일어난 필름(F)의 실링부가 급속히 냉각된다.
필름(F)이 열융착부(410, 220)에 의해 열융착된 다음에 급속히 냉각시키기 않으면, 열융착된 부분이 쉽게 떨어진다. 따라서, 열융착부(410)에 의해 필름(F)을 실링한 후에는 급속하게 공기를 분출시켜서 열융착에 의해 뜨거워진 실링부를 급속하게 식힘으로써, 열융착된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된다.
한편, 냉각부(450)가 설치되는 위치는 열융착부(410, 420)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필름(F)이 열융착부(410, 4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부(450)의 설치 위치를 필름(F)이 열융착부(4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쪽에 설치하여 필름(F)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경우, 바람의 세기에 의해 필름(F)이 약간 울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냉각부(450)가 설치되는 위치를 열융착부(410, 220)에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하여, 필름(F)이 열융착부(410, 220)로부터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원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에 대하여 열융착이 이루어진 후에 급속하게 식히기 위해 바람을 급속하게 분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열융착부(410, 220)의 근접 위치에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열융착부(410, 2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냉각부(450)로부터 필름에 강한 바람이 분출되도록 냉각부(45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40)는 열융착부(410, 220)가 필름(F)으로부터 이격되는 순간에 필름(F)이 앞쪽으로 전진되게 필름(F)을 이송시키키도록 이송부(430)를 제어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수납용 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필름(F)은 중심부(F1)는 두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자리부(F2)는 4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도 1에서 설명되었던 수납용 봉지의 구조상 저장부(12)의 양측 단부측에는 보다 많은 양이나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포개져 있다가 물품이 수납되게 될 때 벌어져 내부 공간부의 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절첩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수납용 봉지의 제조시에는 두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필름(F)의 중심부(F1)와, 4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장자리부(F2)에 인가되는 열의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는 제1 열융착부(4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등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열조절부(412)를 구비하고 있다.
열조절부(412)는 예를 들어, 열을 전달하되 제1 열융착부(410)의 날(411)이 필름(F)에 전달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재질과 두께이면 바람직하다.
열조절부(412)를 통해 수납용 봉지의 제조시에 두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필름(F)의 중심부(F1)에는 4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장자리부(F2)에 인가되는 열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전달되어 필름의 중심부(F1)와 가장자리부(F2)에 균일한 열융착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봉지의 실링부가 필름의 중심부(F1)나 가장자리부(F2)중의 어느 하나에서 약해지는 것이 미연에 차단되어 균일하게 실링이 이루어져 물품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에 있어서,
    수납용 봉지 제조를 위한 필름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필름을 열융착하는 제1 열융착부;
    상기 제1 열융착부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필름에 근접 이동하여 열을 가하여 상기 필름을 열융착하는 제2 열융착부;
    상기 필름을 이송시켜서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에 의해 필름의 열융착될 부분이 제1 열융착부와 제2 열융착부의 맞닿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진입시키고, 상기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에 의해 열융착 동작이 수행된 다음에는 필름을 진출시키는 이송부;
    상기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를 서로 대항하는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를 맞닿게 하고, 소정의 시간 경과후 상기 제1 열융착부와 상기 제2 열융착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필름에 열을 가해진 후에 열이 가해진 부분을 식히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공기를 분사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1 열융착부 및 제2 열융착부에 상기 필름이 진입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이 진출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융착부는 상기 필름과 접촉하는 날을 가지고, 상기 날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열융착부는 상기 제1 열융착부의 날이 상기 필름과 접촉할 때 상기 제1 열융착부에 대항하는 방향에서 상기 필름을 지지하는 평평한 면을 가지되,
    상기 제2 열융착부는 상기 제1 열융착부의 날이 필름에 접촉할 때, 상기 제1 열융착부의 날과 접촉하여 실링되는 필름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열융착부의 날과 접촉하지 않는 필름의 제2 영역을 동시에 지지가능하게 하는 면적의 평평한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냉각부는,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열융착부의 날이 필름에 접촉하는 지점을 도달 지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분출되도록 복수의 토출구의 방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봉지는 생분해성 재질의 수납용 봉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0252A 2019-06-13 2019-06-13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Active KR10203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52A KR102034993B1 (ko) 2019-06-13 2019-06-13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252A KR102034993B1 (ko) 2019-06-13 2019-06-13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993B1 true KR102034993B1 (ko) 2019-10-21

Family

ID=6846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252A Active KR102034993B1 (ko) 2019-06-13 2019-06-13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829A (ja) * 1986-11-25 1988-06-09 パフ インドゥストリーマシーネ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合成材料の溶着機械
JPH0623878A (ja) * 1992-04-22 1994-02-01 Windmoeller & Hoelscher 熱塑性プラスチックのシートウェブの密封装置
JP2010116182A (ja) * 2008-11-13 2010-05-27 Ishida Co Ltd 包装袋、包装袋の製造方法、製袋包装機、及びシールジョー
KR101730729B1 (ko) * 2015-10-12 2017-04-28 양대용 필름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829A (ja) * 1986-11-25 1988-06-09 パフ インドゥストリーマシーネ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合成材料の溶着機械
JPH0623878A (ja) * 1992-04-22 1994-02-01 Windmoeller & Hoelscher 熱塑性プラスチックのシートウェブの密封装置
JP2010116182A (ja) * 2008-11-13 2010-05-27 Ishida Co Ltd 包装袋、包装袋の製造方法、製袋包装機、及びシールジョー
KR101730729B1 (ko) * 2015-10-12 2017-04-28 양대용 필름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0313B1 (en) Packaging filler product and machine for producing same
US9242748B2 (en) Machine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ir-filled cushions
JP4440927B2 (ja) 連続した充填パウ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42538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ushioned shipping bags
US2962843A (en) Packaging method
KR101310488B1 (ko) 무균 충전 포장 기계 및 무균 충전 포장 방법
KR19980703604A (ko) 식품 또는 비식품을 자동으로 포장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90094945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Bags With Three Dimensional Designs
US6506429B1 (en) Bag with mesh wall
WO2003035383A9 (en) Side-sealed bag having label section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for
US6751926B1 (en) Packaging filler product and machine for producing same
BR112018074265B1 (pt) Bolsa de empacotamento flexível plástica vedável por calor e antiderrapante, e método e aparelho para produzir a mesma
US2805700A (en) Machine for forming thermoplastic bag-tubing
KR102243619B1 (ko) 재활용이 용이한 에어캡 백 및 그 제조장치
KR102034993B1 (ko) 수납용 봉지 제조 장치
KR102451637B1 (ko) 액상과 과립 재료의 투입이 가능한 이중 충진구조 포장스틱 제조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5918520B2 (ja) 無菌充填包装機および無菌充填包装方法
KR102312772B1 (ko) 포장봉투 제조 장치
KR100314312B1 (ko) 티백포장장치
NL8600036A (nl) Schokbreker en werkwijze en apparaat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US471304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liquid package and apparatus for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JPH0623878A (ja) 熱塑性プラスチックのシートウェブの密封装置
US3319539A (en) Machine for making double-wall packages
JP5421073B2 (ja) 合成樹脂シートのシール加工方法、袋の製造方法、シール加工装置、及び袋製造設備
KR102336352B1 (ko) 포장봉투 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