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029054B1 -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054B1
KR102029054B1 KR1020130012016A KR20130012016A KR102029054B1 KR 102029054 B1 KR102029054 B1 KR 102029054B1 KR 1020130012016 A KR1020130012016 A KR 1020130012016A KR 20130012016 A KR20130012016 A KR 20130012016A KR 102029054 B1 KR102029054 B1 KR 10202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play module
housing
flow path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137A (ko
Inventor
진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0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05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전면부 사이의 공간은 전방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후면부 사이의 공간은 후방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방 유로와 상기 후방 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 배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ASSEMBLY FO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에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실외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비, 바람 이나 기타 외부 환경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하에서는, 상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제어부 등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을 위한 구조로는, 도1에 도시된, 미국특허 US 8,004,648 에 개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하우징(30) 내부에 직사각형의 디스플레이 패널(20)이 위치하며, 하우징(30)의 바닥에는 팬(80)이 구비된다. 따라서, 팬(8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후방의 공간(60)을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한 다음, 에어 디렉터(150, air director)에 의해 방향이 전방으로 전환되고, 에어 배플(40, air baffle)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방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은 구조 하에서, 팬(80)을 통해 하우징(3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디스플레이 패널(20) 후방의 공간(60)를 통과하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구비되는 기판 및 이에 결합된 제어부 등의 부품들을 냉각시킨 다음,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으로 분사되는 에어 커튼(air curtain)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밤낮의 일교차가 심한 지역에서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제어부를 구성하는 리드 프레임(lead frame) 등의 내부 전자 부품이 녹이 슬어 제품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밤사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냉각된 상태에서, 이들 부품의 온도가 상승하기 전에, 외기 온도가 먼저 상승하고, 내부 푸품들 보다 고온의 다습한 공기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고온 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부품과 접촉하게 되어,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던 수중기가 응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응결된 수증기는 금속 부품과 접촉하여 부식을 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제어부를 구성하는 금속 부품을 녹슬게 하여, 장치 전체를 작동 불능상태로 만들어 버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며 온도가 상승한 다음 다른 금속 부품들과 접촉하게 하여, 수증기의 응결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전면부 사이의 공간은 전방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후면부 사이의 공간은 후방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방 유로와 상기 후방 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로 배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유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의 공간인 제1 후방 유로와, 상기 리어 커버와 상기 후면부 사이의 공간인 제2 후방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유로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1 후방 유로와 상기 제2 후방 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공기 유입구 사이에는 제1 에어 디렉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에어 디렉터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후방 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제2 에어 디렉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에어 디렉터는 상기 전방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2 후방 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로 공기를 강제로 진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 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에어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공기가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며 열 교환을 한 다음, 온도가 상승된 채로 디스플레이 패널 후방의 금속 전자 부품들과 접촉하게 되므로, 수증기의 응결에 의해 전자 부품들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을 통해 도시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측을 감싸는 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230)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230)를 커버하는 리어 커버(24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로는, OLED 모듈, PDP 모듈, FED 모듈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LCD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이 LCD 모듈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는 백라이트 유닛(212)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전방 기판 및 후방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기판과 후방 기판 사이에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기판에는 R, G, B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컬러 필터는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Sub-pixel)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Pixel)들을 포함하여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 기판에는 화소별로 액정을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소정의 트랜지스터, 예를 들어 TFT(Thin Film transistor)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전방 기판을 컬러 필터 기판이라 하고, 상기 후방 기판을 TFT 기판이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방 기판의 상부에는 전방 편광 필름이 배치되며, 상기 후방 기판의 후방에는 후방 편광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후방에는 백라이트 유닛(212)이 구비된다. 상기 LCD 패널(211)은 자체 발광하지 않으므로, 백라이트 유닛(212)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광을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212)은 LED 등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광원으로 바꾸어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하는 도광판 및 복수의 광학 시트(sheet)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광판과 복수의 광학 시트(sheet)류를 포함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면광원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12)의 구조는,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 중 어느 하나를 채용 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방에는 제어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 부(23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동을 위한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 (231),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 공급을 담당하는 전원 공급부(232, Power Supply Unit), T-con 보드(233, timing controller), 및 이들이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231), 전원 공급부(232), 및 T-con 보드(233)는, 리드 프레임(lead frame)에 실장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방에는 리어 커버(240)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 커버(240)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230)를 커버하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 커버(240)는 좌우 측면이 결합되며, 상부와 하부는 개구된다. 즉, 상기 리어 커버(240)는 상부에 구비되는 제1 개구부(241)와, 하부에 구비되는 제2 개구부(2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개구부(241) 및 제2 개구부(242)는 리어 커버(24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리어 커버(240)와 디스플레이 모듈(2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개구부(241)와 상기 제2 개구부(242) 사이의 공간은 제1 후방 유로(P21)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후방 유로(P21)는 후술하는 전방 유로(P1)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하우징(3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면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부(31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전면부(310)의 중앙 일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투명부(311)는 유리(glass) 등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하우징(300)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11)에 표시되는 영상이 보여지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부(3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후면부(320)는 상기 리어 커버의 일부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면부(33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좌우 양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부(34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저면부(35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300)의 후면부(320) 하부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기 유입구(3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의 후면부(320) 상부에는 하우징(300) 내부를 순환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3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구(36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공기 유입 장치(410)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유입 장치(410)는 하우징(300)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하우징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컨대, 팬(fan) 또는 펌프(pump)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구(360)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에어 필터(4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필터(420)는, 하우징(300)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도3에는, 공기 유입구(360)의 전방에 공기 유입 장치(4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유입 장치(410)의 전방에 에어 필터(420)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공기 유입 장치(410)는 상기 공기 유입구(360)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에어 필터(420)는 상기 공기 유입 장치(410)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하부와 상기 공기 유입구(360) 사이에는 제1 에어 디렉터(380, air director)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에어 디렉터(380)는 상기 공기 유입구(36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디스플레이 모듈(320)의 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공기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어 커버(240)의 상단과 상기 하우징(300)의 상면부(330) 사이에는 제2 에어 디렉터(390, air director)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에어 디렉터(390)는 상기 리어 커버(240) 전방의 공기가 상기 리어 커버(240) 후방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공기가 제1 개구부(241)로 유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 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상기 하우징(300)의전면부(3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은 전방 유로(P1)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상기 전면부(3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전방 유로(P1)를 형성한다. 상기 전방 유로(P1)는 공기 유입구(36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상기 후면부(320) 사이의 공간은 후방 유로(P2)를 형성한다. 상기 후방 유로(P2)는 상기 전방 유로(P1)를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상기 후방 유로(P2)는 제1 후방 유로(P21)와, 제2 후방 유로(P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후방 유로(P21)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리어 커버(240) 사이의 공간이며, 상기 제2 후방 유로(P22)는 상기 리어 커버(240)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부(320) 사이의 공간이다. 즉, 상기 제1 후방 유로(P21)는 상기 제1 개구부(241)와 상기 제2 개구부(242) 사이의 공간이며, 상기 제2 후방 유로(P22)는 상기 제2 개구부(242)를 통과한 공기가 지나가는 공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공기 흡입 장치(410)가 작동하면, 하우징(300)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입구(360)를 통해 하우징(300)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에어 필터(420)를 통과하며,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걸러진다.
에어 필터(420)를 통과한 공기는 전방 유로(P1)를 통과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전방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공기와 디스플레이 패널(211)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온도는 하강하며, 공기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하부에는 제1 에어 디렉터(380)가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공기 유입구(36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모두 상기 전방 유로(P1)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유로(P1)를 통과한 공기는 후방 유로(P2)를 통과하며, 백라이트 유닛(212) 및 제어부(230)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후방 유로(P2)를 통과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방 유로(P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리어 커버(24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1)를 통해 제1 후방 유로(P21)에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개구부(242)를 향해 이동하며, 백라이트 유닛(212)을 구성하는 광원 등의 온도를 낮추고, 또한 제어부(230)의 온도를 낮춘다.
그리고 상기 제2 개구부(242)를 통과한 공기는 제2 후방 유로(P22)에 진입하며, 제2 후방 유로(P22)를 통과한 다음 공기 배출구(370)를 통해 하부징(300) 외부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외부 공기는 디스플레이 패널(211)을 통과하며 온도가 다소 상승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210) 후방의 제어부(230)를 통과하게 되므로, 수증기의 응결로 인해 제어부(230)를 구성하는 금속 제품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구(360)가 하우징(300)의 후면부(320)에 구비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공기 유입구(360)는 상기 하우징(300)의 전면부(31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저면부(360) 또는 측면부(3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4에 도시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의 구성은, 도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와 비교해 상하가 바뀐 것만이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3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도3에서와 마찬가지로, 하우징(300)은 전변부(310)와, 후면부(320)와, 상면부(330)와, 측면부(340)와, 저면부(350)를 포함하며, 그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백라이트 유닛(21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230)와, 상기 제어부(230)를 커버하는 리어 커버(240)를 포함한다.
단, 공기 흡입구(360)는 상기 하우징(300)의 후면부(320) 상부에 구비되며, 공기 배출구(370)는 후면부(320)의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전방 유로(P1)에서 공기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고, 제1 후방 유로(P21)에서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제2 후방 유로(P22)에서는 다시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한편, 공기 흡입구(360)로 유입된 공기가 후방 유로(P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에어 디렉터(380), 전방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2 후방 유로(P2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에어 디렉터(390), 공기 흡입 장치(410), 및 에어 필터(420) 등의 다른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더라도, 외부 공기가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전방을 통과하며 열교환 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210) 후방의 제어부를 비롯한 전자 부품들과 접촉하므로, 수증기의 응결에 의한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디스플레이 장치 210: 디스플레이 모듈
211: 디스플레이 패널 212: 백라이트 유닛
230: 제어부 240: 리어 커버
241: 제1 개구부 242: 제2 개구부
300: 하우징 310: 전면부
311: 투명부 320: 후면부
330: 상면부 340: 측면부
350: 저면부 360: 공기 유입구
370: 공기 배출구 380: 제1 에어 디렉터
390: 제2 에어 디렉터 410: 공기 유입 장치
420: 에어 필터 P1: 전방 유로
P2: 후방 유로 P21: 제1 후방 유로
P22: 제2 후방 유로

Claims (7)

  1.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감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결합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전면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진입하는 전방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리어 커버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전방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진입하는 제1후방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리어 커버와 상기 후면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1후방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진입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된 제2후방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공기 유입구 사이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 후방유로 및 상기 제2 후방유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에어 디렉터가 구비되고,
    상기 리어 커버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전방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제2 후방 유로로 진입하는 차단하는 제2 에어 디렉터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로 공기를 강제로 진입시키기 위한 공기 흡입 장치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에어 필터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KR1020130012016A 2013-02-01 2013-02-01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2029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16A KR102029054B1 (ko) 2013-02-01 2013-02-01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016A KR102029054B1 (ko) 2013-02-01 2013-02-01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37A KR20140099137A (ko) 2014-08-11
KR102029054B1 true KR102029054B1 (ko) 2019-10-07

Family

ID=5174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016A Expired - Fee Related KR102029054B1 (ko) 2013-02-01 2013-02-01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095A (ko) 2016-05-2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냉각기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9506B1 (ko) * 2017-11-30 2022-05-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175A (ja) * 2008-04-03 2009-10-29 Canon Inc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79B1 (ko) * 2007-12-07 2015-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1175A (ja) * 2008-04-03 2009-10-29 Canon Inc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137A (ko)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764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with a cooling structure
CN108303814B (zh) 显示装置
CN110121741B (zh) 户外显示装置
US10925195B2 (en) Outdoor display apparatus
JP5752030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40132965A (ko) 디지털 사이니지
US20180081392A1 (en) Integrated display module and ultra-slim display device
KR101792103B1 (ko) 액정표시장치
US9851611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04678636A (zh) 显示模组的散热结构
US20150205036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20290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157548A1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KR20150069057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290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어셈블리
KR102078023B1 (ko) 횡전계 모드의 액정표시장치
KR20170075301A (ko) 터치패널 부착형 액정표시장치
US1170938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44169B1 (ko) 액정표시장치
TW200424982A (en) Electro-optical device encased in mounting case,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ounting case
JP2018031964A (ja) 表示装置
KR2019009624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17044979A (ja) 表示装置
KR201600001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2271067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2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