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804B1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9804B1 KR102009804B1 KR1020120152040A KR20120152040A KR102009804B1 KR 102009804 B1 KR102009804 B1 KR 102009804B1 KR 1020120152040 A KR1020120152040 A KR 1020120152040A KR 20120152040 A KR20120152040 A KR 20120152040A KR 102009804 B1 KR102009804 B1 KR 1020098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emitting
- hole
- hole transport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제 1 정공 수송층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일반적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파장에 따른 발광 세기 및 전압에 따른 전류 밀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10㎃/㎠일 때의 전압(V) | 50㎃/㎠일 때의 전압(V) | 휘도(Cd/A) | QE(%) | |
일반적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3.79 | 4.57 | 74.3 | 22.26 |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3.50 | 4.48 | 86.8 | 24.85 |
120: 제 1 스택 122: 제 1 정공 공통층
122a: 제 1 정공 주입층 122b: 제 1 정공 수송층
124: 제 1 발광층 126: 제 1 전자 공통층
130: 전하 생성층 140: 제 2 스택
142: 제 2 정공 공통층 144: 제 2 발광층
146: 제 2 전자 공통층 150: 제 2 전극
Claims (15)
- 기판 상에 서로 대향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하 생성층;
상기 제 1 전극과 전하 생성층 사이에 형성되며, 차례로 적층된 제 1 정공 공통층, 제 1 발광층 및 제 1 전자 공통층을 갖는 제 1 스택;
상기 전하 생성층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차례로 적층된 제 2 정공 공통층, 제 2 발광층 및 제 2 전자 공통층을 갖는 제 2 스택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공 공통층과 제 2 정공 공통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의 적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제 1 발광층 또는 제 2 발광층과 접하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 물질에,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1vol% 내지 20vol%로 포함하여 상기 정공 수송층의 삼중항 에너지를 상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 물질만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의 호모(HOMO) 준위의 절대 값은 5.0eV 내지 6.0eV이며, 루모(LUMO) 준위의 절대 값은 1.5eV 내지 2.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의 삼중항 에너지 준위는 2.5eV 내지 3.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은 1.8eV 내지 3.0eV의 일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의 루모 준위의 절대 값은 1.5eV 내지 2.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기판 상에 제 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제 1 정공 공통층, 제 1 발광층 및 제 1 전자 공통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제 1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스택 상에 전하 생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하 생성층 상에 제 2 정공 공통층, 제 2 발광층 및 제 2 전자 공통층을 차례로 적층하여 제 2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스택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정공 공통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발광층 또는 제 2 발광층은 상기 정공 수송층 상에 바로 접하며,
상기 정공 수송층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 물질에,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을 1vol% 내지 20vol%로 공증착하여 형성하여, 상기 정공 수송층의 삼중항 에너지를 상기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정공 수송 물질만의 삼중항 에너지보다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의 호모(HOMO) 준위의 절대 값은 5.0eV 내지 6.0eV이며, 루모(LUMO) 준위의 절대 값은 1.5eV 내지 2.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물질의 삼중항 에너지 준위는 2.5eV 내지 3.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은 1.8eV 내지 3.0eV의 일 함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의 루모 준위의 절대 값은 1.5eV 내지 2.5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공통층과 제 2 정공 공통층은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ECVD) 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2816 | 2011-12-26 | ||
KR20110142816 | 2011-12-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230A KR20130079230A (ko) | 2013-07-10 |
KR102009804B1 true KR102009804B1 (ko) | 2019-08-13 |
Family
ID=4899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2040A Active KR102009804B1 (ko) | 2011-12-26 | 2012-12-24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98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72437B1 (ko) | 2014-12-03 | 2017-08-3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용액공정을 통해 형성된 전하 생성층을 사용한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435038B1 (ko) * | 2015-03-30 | 2022-08-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 |
KR102521254B1 (ko) * | 2016-06-01 | 2023-04-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378416B1 (ko) * | 2020-11-12 | 2022-03-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유기 발광 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86918B2 (en) * | 2002-12-11 | 2006-08-08 | Applied Materials, Inc. | Low temperature process for passivation applications |
KR20060040829A (ko) * | 2004-11-05 | 2006-05-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WO2007105906A1 (en) * | 2006-03-14 | 2007-09-20 | Lg Chem,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igh efficiency and process for fabricating the same |
KR101351410B1 (ko) * | 2009-09-29 | 2014-01-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2012
- 2012-12-24 KR KR1020120152040A patent/KR102009804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230A (ko) | 201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6544B1 (ko)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
KR102104978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351417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1429537B1 (ko) | 유기발광소자 | |
US906506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JP4785386B2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 |
US929373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having emission layers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cluding fullerene and lithium quinolate | |
CN106848084B (zh) | 一种oled显示面板、制作方法及含有其的电子设备 | |
CN103367646A (zh) | 串联白色有机发光器件 | |
KR20140119990A (ko) | 유기 발광 장치 | |
KR20100073417A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100072644A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101941084B1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102081113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1777124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009804B1 (ko)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JP2007179933A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 |
KR20110027484A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101259532B1 (ko) |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101940B1 (ko) | 이중 도핑을 이용한 고효율 진적색 인광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JP4434872B2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 |
KR20070101516A (ko) |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81122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140086815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20150125159A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2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