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532B1 -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9532B1 KR101259532B1 KR1020110043405A KR20110043405A KR101259532B1 KR 101259532 B1 KR101259532 B1 KR 101259532B1 KR 1020110043405 A KR1020110043405 A KR 1020110043405A KR 20110043405 A KR20110043405 A KR 20110043405A KR 101259532 B1 KR101259532 B1 KR 101259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transport layer
- emitting diode
- electrode
- lay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5—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5—Electron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도 2의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로서의 상기 백색 발광 다이오드(5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기물 층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계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르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을 색좌표를 통해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현하기 위하여, 2개의 유기물층으로서 정공전달성 물질층과 전자전달성 물질층을 적층하고, 상기 전자전달성 물질층에 일중항 상태의 발광인 제1 발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일중항 상태의 발광은 형광 발광을 의미한다. 상기 전자전달성 물질층 및 상기 정공전달성 물질층의 계면으로부터 엑시플렉스에 의한 제2 발광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발광 색과 상기 제2 발광 색은 서로 보색 관계를 이룬다. 상기 제1 발광과 상기 제2 발광을 혼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2-파장 백색 발광을 획득한다. 일 예로서, 제1 발광은 청색 계열의 발광이고, 상기 제2 발광은 황색 또는 등색(orange) 계열의 발광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엑시플렉스란 두개의 서로 다른 분자 간에 들뜬 상태의 분자와 기저 상태의 분자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복합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조와 관련하여서는, 엑시플렉스는 2층의 유기 물질을 서로 적층시킬 때 상기 유기 물질 간의 계면에서 정공 및 전자의 결합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는 여기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엑시플레스 발광이란, 유기물질인 정공 수송층과 전자수송층을 서로 접합시켰을 때, 정공 수송층의 HOMO 준위의 정공과 전자수송층의 LUMO 준위의 전자가 정공 수송층 및 전자층의 계면에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현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은 적층을 이루는 2층의 유기 물질 각각의 고유 중심발광 파장들보다 더 긴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발명자는, 상기 고유 중심발광과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을 조합하여 고휘도의 순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발명자에 의하면, 엑스플렉스에 의한 발광 특성은 상기 유기 물질의 층의 구성에 영향 받을 수 있으므로 이하의 실시 예에서와 같은 적절한 재료 선택과 두께 설계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발명자는 2 종류의 유기물만을 사용하는 고휘도 순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로서의 구성 원리, 소자 설계 방법 및 사용 재료에 대한 범위를 제안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엑시톤에 의한 청색 발광과 엑시플렉스에 의한 황색 발광을 생성하고,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백색광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엑시톤에 의한 발광과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이 서로 보색 관계를 이루도록 설계하는 한 다른 다양한 변형례도 가능하다.
200: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210: 제1 전극, 220, 230: 두 개의 유기 물질층, 240: 엑시톤, 250: 엑시플렉스, 260: 제2 전극.
300: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310: 제1 전극, 320, 330: 두 개의 유기 물질층, 325: 두 개의 유기 물질층 경계에서의 정공주입장벽, 327: 제1 전극인 양극으로부터의 정공주입장벽, 335: 두 개의 유기 물질층 경계에서 전자주입장벽, 337: 제2 전극인 음극으로부터의 전자주입장벽, 340: 엑시톤, 350: 엑시플렉스, 360: 제2 전극, 370: 접합계면, 380: 엑시톤형성영역,
505: 유리 기판, 510: 양극으로서의 ITO, 520: 정공수송층으로서의 DNTPD, 530: 전자수송층으로서의 ET-137, 540: 음극으로서 LiF/Al,
610: DNTPD 층의 중심 발광 파장, 620: ET-137 층의 중심 발광 파장,
710: ET-137 층의 두께가 300Å인 실시예의 백색 발광 스펙트럼, 720: ET-137 층의 두께가 500Å인 비교예의 백색 발광 스펙트럼.
Claims (25)
-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있어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유기물 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 중 하나는 정공수송층이고, 다른 하나는 전자수송층이며,
상기 정공수송층인 상기 하나의 유기물층은 2-TNATA, TPD 및 DNTPD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수송층인 상기 다른 하나의 유기물층은 Alq3, Balq, BCP, TAZ, TPBI 및 ET-137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수송층에서 발생하는 엑시톤의 발광과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을 혼합하여 백색을 발생시키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이며 상기 제2 전극이 음극인 경우, 상기 제1 전극과 접하는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 중 하나는 상기 정공수송층이며 상기 제2 전극과 접하는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전자수송층이며,
상기 제1 전극이 음극이며 상기 제2 전극이 양극인 경우, 상기 제1 전극과 접하는 상기 두개의 유기물층 중 하나는 상기 전자수송층이며 상기 제2 전극과 접하는 상기 두개의 유기물층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정공수송층인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 중 적어도 하나는 유기 저분자 물질로 이루어지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층에서 발생하는 엑시톤 발광과 상기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의 색은 서로 보색 관계를 이루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엑시톤 발광은 청색이고, 상기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의 색은 황색 또는 등색인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10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은 각각의 단일의 형광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10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층은 정공 이동도를 높이는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제1항, 제3항, 제6항 및 제10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송층은 전자 이동도를 높이는 N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시톤 발광과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의 상대 강도는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의 두께 비율에 따라 조절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 -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기판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
(b) 상기 제1 전극 상에 두 개의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과정; 및
(c)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 상에 제2 전극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 중 하나는 정공수송층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전자수송층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전자수송층인 상기 하나의 유기물층은 2-TNATA, TPD 및 DNTPD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수송층인 상기 다른 하나의 유기물층은 Alq3, Balq, BCP, TAZ, TPBI 및 ET-137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수송층에서 발생하는 엑시톤의 청색 발광과 상기 두 개의 유기물층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엑시플렉스에 의한 발광을 혼합하여 백색을 발생시키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6 항에 있어서,
(a) 과정은
유리 기판 상에 양극으로서 ITO 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제20 항에 있어서,
(a) 과정 후에
상기 형성된 ITO 층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 과정, (b) 및 (c) 과정은 진공을 깨지 않고 인시츄로 진행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b) 과정은
진공 증착법, 용액 주조법, 스핀코팅법, 잉크젯 인쇄법 및 스크린 인쇄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제16 항에 있어서,
(b) 과정은
상기 정공수송층에 대하여 정공 이동도를 높이는 P형 도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b) 과정은
상기 전자수송층에 대하여 전자 이동도를 높이는 N형 도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405A KR101259532B1 (ko) | 2011-05-09 | 2011-05-09 |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405A KR101259532B1 (ko) | 2011-05-09 | 2011-05-09 |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771A KR20120125771A (ko) | 2012-11-19 |
KR101259532B1 true KR101259532B1 (ko) | 2013-05-06 |
Family
ID=4751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3405A KR101259532B1 (ko) | 2011-05-09 | 2011-05-09 |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95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9515B1 (ko) * | 2014-02-21 | 2016-03-03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역구조 유기 발광 다이오드 |
KR102227716B1 (ko) * | 2017-03-28 | 2021-03-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CN107611276B (zh) * | 2017-09-22 | 2019-03-12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有机发光二极管和显示面板 |
CN111584732B (zh) * | 2020-06-10 | 2022-06-28 | 太原理工大学 | 一种全激基发射的白光有机发光二极管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2629A (ja) | 2003-07-08 | 2005-02-03 | Univ Nihon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 |
-
2011
- 2011-05-09 KR KR1020110043405A patent/KR1012595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32629A (ja) | 2003-07-08 | 2005-02-03 | Univ Nihon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とその製造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논문 1 : APPLIED PHYSICS LETTERS 91, 023503 (20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771A (ko) | 2012-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1892B1 (ko) | 별개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엘리먼트를 갖는 적층형 백색 oled | |
US6303238B1 (en) | OLEDs doped with phosphorescent compounds | |
US7474048B2 (en) | Fluorescent filtered electrophosphorescence | |
TWI605625B (zh) | 長使用期限之磷光性有機發光裝置結構 | |
JP4895742B2 (ja) | 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 |
US913018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US20100187552A1 (en) | Hybrid white organic light emittt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20088714A (ko)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
KR20110035048A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JP2007287691A (ja) |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12008331A1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 |
KR20130006937A (ko) | 유기 발광 소자 | |
KR102761413B1 (ko) | 유기 발광 디바이스 | |
US20140175387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KR20100073417A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KR20150124010A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20100072644A (ko) | 유기전계발광소자 | |
JP2016024956A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照明装置 | |
KR20200135744A (ko) | 패턴화되지 않은 발광 스택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 |
KR102081113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1777124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JP2007179933A (ja) |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表示装置 | |
KR101259532B1 (ko) | 2종의 유기층을 이용하는 백색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180315B1 (ko) |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009804B1 (ko)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