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8792B1 -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792B1
KR101988792B1 KR1020180025828A KR20180025828A KR101988792B1 KR 101988792 B1 KR101988792 B1 KR 101988792B1 KR 1020180025828 A KR1020180025828 A KR 1020180025828A KR 20180025828 A KR20180025828 A KR 20180025828A KR 101988792 B1 KR101988792 B1 KR 10198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magnetic
air
filtration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5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7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28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 B03C3/30Plant or installations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using electrets in which electrostatic charge is generated by passage of the gases, i.e. tribo-electricity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거나 차단하는 분진 포집 장치로서, 공기유입구와 공기유입구에 대응하는 공기배출구가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본체와 장치본체 내부의 골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 및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분진을 여과하는 분진 여과유닛을 포함하고, 분진 여과유닛은,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자기성 분진이 쌓일 경우 상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구조를 구비하고, 장치본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DUST COLLECTING DEVICE USING MAGNETIC FORCE}
본 발명은 분진 포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자기성 분진을 포집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인의 일일 시간 활동양상 중 실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살펴보면, 집안, 사무실에 이어 평균 1.2시간 정도를 교통수단 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환경부, 2001). 미국 EPA의 성인 실내 거주시간 분석에서도 약 1.3시간을 독일의 GerES II 연구결과에서도 약 0.9시간 정도를 교통수단에서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liaga and Winqvist, 2003).
2009년 현재 수도권 도시철도 차량은 모두 3662량(서울메트로 2104량, 도시철도공사 1558량)으로 하루 평균 721만명(서울시통계연보, 2008)의 승객을 수송하고 있는 수도권의 주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지하철 이용객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정부의 녹색성장 기조(철도교통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재편)와 지하철 외 경량전철, 대심도 광역도시철도 등 다양한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인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철도교통에서 실내공간은 크게 객실 내부, 승강장, 대합실, 매표소로 구분될 수 있으며, 철도 운영자와 상가운영자 등의 상시체류자가 체류하는 실내 공간도 포함된다. 이용객의 관점에서 철도교통 이용시 체류시간이 가장 많은 곳은 차량 객실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객실 공기질의 중요성과 관련 기술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0). 지하철 터널과 같은 곳에서는 부유 미세분진 성분으로 철 성분을 함유한 자성분진이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대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각종 대기 오염 성분들 중 자성을 가지는 무거운 금속성분들은 지하철 등 낮은 곳으로 내려와 지하철 역사 및 지하철 터널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지하철 객차는 문이 수시로 열리고 닫힐 뿐만 아니라 환기장치나 에어콘 덕트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 끊임없이 공기를 교환시키게 되어 터널 및 역사 내의 오염된 공기들이 객차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시민 생활과 직결되는 지하철 객차 내부의 공기 정화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는 상황이다. 특히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미세먼지에 해당되는 분진까지도 제거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인의 일일 시간 활동양상 중 실내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살펴보면, 집안, 사무실에 이어 평균 1.2시간 정도를 교통수단 내에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환경부, 2001). 미국 EPA의 성인 실내 거주시간 분석에서도 약 1.3시간을 독일의 GerES II 연구결과에서도 약 0.9시간 정도를 교통수단에서 소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liaga and Winqvist, 2003).
2009년 현재 수도권 도시철도 차량은 모두 3662량(서울메트로 2104량, 도시철도공사 1558량)으로 하루 평균 721만명(서울시통계연보, 2008)의 승객을 수송하고 있는 수도권의 주요한 대중교통수단이다. 지하철 이용객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정부의 녹색성장 기조(철도교통 중심의 대중교통체계 재편)와 지하철 외 경량전철, 대심도 광역도시철도 등 다양한 교통수단의 도입으로 인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철도교통에서 실내공간은 크게 객실 내부, 승강장, 대합실, 매표소로 구분될 수 있으며, 철도 운영자와 상가운영자 등의 상시체류자가 체류하는 실내 공간도 포함된다.
이용객의 관점에서 철도교통 이용시 체류시간이 가장 많은 곳은 차량 객실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객실 공기질의 중요성과 관련 기술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0).
지하철 터널과 같은 곳에서는 부유 미세분진 성분으로 철 성분을 함유한 자성분진이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대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각종 대기 오염 성분들 중 자성을 가지는 무거운 금속성분들은 지하철 등 낮은 곳으로 내려와 지하철 역사 및 지하철 터널의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지하철 객차는 문이 수시로 열리고 닫힐 뿐만 아니라 환기장치나 에어콘 덕트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 끊임없이 공기를 교환시키게 되어 터널 및 역사 내의 오염된 공기들이 객차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시민 생활과 직결되는 지하철 객차 내부의 공기 정화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는 상황이다. 특히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미세먼지에 해당되는 분진까지도 제거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0522호(발명의 명칭 : 자성입자 집진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기 중에 포함된 분진과 자기성 분진을 동시에 포집이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기 중 공기의 여과를 위해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구비된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대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거나 차단하는 분진 포집 장치로서,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에 대응하는 공기배출구가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골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 및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분진을 여과하는 분진 여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여과유닛은,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자기성 분진이 쌓일 경우 상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본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진 여과유닛은,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여과 프레임; 상기 장치본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여과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여과부재; 및 상기 메인 여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여과 프레임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에 연직한 상태로 각각의 사이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은, 상기 장치본체에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장치본체의 골격을 이루며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된 구조 프레임; 및 상기 구조 프레임의 수용홈을 통해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자기력을 구비하여 상기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성 분진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프레임, 상기 메인 여과부재 및 상기 보조 여과부재가 상기 분진 여과유닛을 구성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여과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여과모듈들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의 사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가 전자석인 경우 전류의 공급제어를 통해서 자력의 생성이나 자기력 방향의 유도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여과부재와 보조 여과부재는, 직물, 부직포 및 종이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의 공기유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가습과 함께 활성수소와 음이온이 배출되어 공기 중에 떠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포집 장치의 분진 포집과 여과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포집 장치에 포집된 분진이 상기 분진 포집 장치의 수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상기 분진 여과유닛의 교체시기를 소리나 불빛으로 알려주는 알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는, N극과 S극이 각각 대응하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들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서 각각이 서로 다른 극들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 내에서 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분진 여과유닛을 이용하여 분진 및 자기성 분진의 유도 및 여과 가능하여 효과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여과부재를 장치본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하여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서 효과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분진 포집 장치의 전체개념도이다.
도 3은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분진 여과유닛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와 메인 여과부재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상기 구조 프레임에 자기성 분진 유도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제 1도면이다.
도 6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 자기성 분진 유도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제 2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여과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분진 포집 장치의 전체개념도이며, 도 3은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분진 여과유닛의 상세도이고, 도 4는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와 메인 여과부재의 상세도이며, 도 5는 상기 구조 프레임에 자기성 분진 유도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제 1도면이고, 도 6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 자기성 분진 유도체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제 2도면이며, 도 7은 상기 여과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거나 차단하는 분진 포집 장치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100),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 및 분진 여과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본체(100)는 공기유입구(20)와 공기유입구(20)에 대응하는 공기배출구(30)가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은 장치본체(100) 내부의 골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장치본체(100)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다.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은 구조 프레임(210)과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 프레임(210)은 장치본체(100)에 일부분을 구성하고 장치본체(100)의 골격을 이루며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구조 프레임(210)은 철과 같은 자성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작되어 구조 프레임(210)의 수용홈을 통해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자기력을 구비하여 장치본체(100)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할 수 있다.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가 전자석인 경우 전류의 공급제어를 통해서 자력의 생성이나 자기력 방향의 유도나 제어가 가능하다.
분진 여과유닛(300)은 장치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장치본체(100)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분진을 여과할 수 있다.
분진 여과유닛(300)은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자기성 분진이 설정된 양 이상으로 쌓일 경우 상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구조를 구비하고, 장치본체(100)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분진 여과유닛(300)은 여과 프레임(310), 메인 여과부재(320) 및 보조 여과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 프레임(310)은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장치본체(100)의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여과부재(320)는 장치본체(1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여과 프레임(3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여과부재(330)는 메인 여과부재(320)를 사이에 두고 여과 프레임(310)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에 연직한 상태로 각각의 사이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로 메인 여과부재(320)와 함께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메인 여과부재(320)와 보조 여과부재(330)는 직물, 부직포 및 종이 중에서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non-woven fabric, 不織布)란,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로는, 처음에는 솜, 비스코스레이온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부터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도 사용되었다.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에 쓰이며, 공업용으로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본 발명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는 여과 프레임(310), 메인 여과부재(320) 및 보조 여과부재(330)가 분진 여과유닛(300)을 구성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여과모듈(400)을 형성하고, 여과모듈(400)들은, 구조 프레임(210)에서 서로 마주보는 자기성 분진 유도체의 사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는 이오나이저(500), 디스플레이(600) 및 알람(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오나이저(500)는 장치본체(100)의 공기유입구(20) 부분에 설치되어 가습과 함께 활성수소와 음이온이 배출되어 공기 중에 떠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다.
이오나이저(500)에 대해서 알아보면, 모든 원자는 가운데 핵의 양성자(+)수와 그 주변을 돌고 있는 전자(-)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겉으로 보는 전기적인 특성은 중성상태가 된다.
그런데, 여기서 전자를 외부에서 받으면 전체적으로 -성질을 띠게 되고, 이 상태를 음이온상태라고 하고, 전자를 잃어버리면 전체적으로 +성질을 띠면서 양이온상태가 되는데, 이오나이저(500)(Ionizer)는 위와 같이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강제로 만들어 주는 장치나 장비로, 정전기 방지나 물을 이온화시켜 흡수가 빠르게 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디스플레이(600)는 장치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분진 포집 장치(10)의 분진 포집과 여과 상황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알람(700)은 장치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분진 포집 장치(10)에 포집된 분진이 분진 포집 장치(10)의 수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200)과 분진 여과유닛(300)의 교체시기를 소리나 불빛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분진 포집 장치(10)의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는 N극과 S극이 각각 대응하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들은 구조 프레임(210)에서 각각이 서로 다른 극들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구조 프레임(210) 내에서 자기장을 형성시켜서 자기성 분진들의 보다 효율적인 흡착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재그 형태로 메인여과부재(320)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성분진들이 메인여과부재(320)에 많이 찰 경우에는 그 자체의 여과부재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보다 입경크기가 작은 자성 나노 입자들이 효과적으로 좀더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메인여과부재(320)를 받쳐주는 프레임과 구조 프레임(210) 및 기타 여과프레임(310)도 모두 철과 같은 자성물질로 이루어 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10)는 장치본체(100)의 공기유입구(20)나 공기배출구(30)에 블로워를 설치하여 보다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100)의 일부분에 무선통신모듈을 설치하여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도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분진 포집 장치(10)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분진 포집 장치(10)의 정보를 송신하여 외부에서도 분진 포집 장치(10)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구조 프레임에 별도의 유도체 수용홀더를 설치하여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를 분리 가능하여 수용하여 자기성 분진 유도체(220)의 교체와 청소 등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분진 포집 장치
20 : 공기유입구
30 : 공기배출구
100 : 장치본체
200 :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
210 : 구조 프레임
220 : 자기성 분진 유도체
300 : 분진 여과유닛
310 : 여과 프레임
320 : 메인 여과부재
330 : 보조 여과부재
400 : 여과모듈
500 : 이오나이저
600 : 디스플레이
700 : 알람

Claims (12)

  1. 대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거나 차단하는 분진 포집 장치로서,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에 대응하는 공기배출구가 일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분진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 내부의 골격을 이루면서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하여 포집하는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 및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분진을 여과하는 분진 여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진 여과유닛은,
    대기 중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키고, 자기성 분진이 쌓일 경우 상부에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의 배치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본체에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분진 여과유닛은,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에 대응하게 제작되며 상기 장치본체의 공기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여과 프레임;
    상기 장치본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여과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여과부재; 및
    상기 메인 여과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여과 프레임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에 연직한 상태로 각각의 사이드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여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은,
    상기 장치본체에 일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장치본체의 골격을 이루며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된 구조 프레임; 및
    상기 구조 프레임의 수용홈을 통해 서로 이격되면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자기력을 구비하여 상기 장치본체를 관통하는 공기 중에서 자기성 분진을 유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성 분진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프레임, 상기 메인 여과부재 및 상기 보조 여과부재가 상기 분진 여과유닛을 구성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여과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여과모듈들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의 사이에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가 전자석인 경우 전류의 공급제어를 통해서 자력의 생성이나 자기력 방향의 유도나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여과부재와 보조 여과부재는,
    직물, 부직포 및 종이 중에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공기유입구 부분에 설치되어 가습과 함께 활성수소와 음이온이 배출되어 공기 중에 떠 있는 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이오나이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포집 장치의 분진 포집과 여과 상황을 외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분진 포집 장치에 포집된 분진이 상기 분진 포집 장치의 수용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유닛과 상기 분진 여과유닛의 교체시기를 소리나 불빛으로 알려주는 알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는,
    N극과 S극이 각각 대응하면서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 분진 유도체들은,
    상기 구조 프레임에서 각각이 서로 다른 극들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조 프레임 내에서 자기장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KR1020180025828A 2018-03-05 2018-03-05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88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828A KR101988792B1 (ko) 2018-03-05 2018-03-05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828A KR101988792B1 (ko) 2018-03-05 2018-03-05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792B1 true KR101988792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8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8792B1 (ko) 2018-03-05 2018-03-05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39931B2 (en) 2019-11-18 2025-03-04 Posco Foreign substance capture apparatus and facility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eel sheet including sam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394A (en) * 1979-02-05 1980-06-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gnetic separator having a multilayer matrix, method and apparatus
JPH0768109A (ja) * 1993-09-01 1995-03-14 Kawasaki Steel Corp 磁気フィルタ
JP2003334564A (ja) * 2002-05-16 2003-11-25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磁性体を用いた浄化装置
KR200435495Y1 (ko) * 2006-09-25 2007-01-25 (주)선재하이테크 다수개의 이오나이저가 연결된 이오나이저 컨트롤러
KR101530522B1 (ko) 2014-04-04 2015-06-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입자 집진장치
KR20160107499A (ko) * 2015-03-04 2016-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철 성분 미세분진 포집을 위한 자석 필터 유닛
KR101700944B1 (ko) * 2015-07-23 2017-02-01 신유성 공기통 충전용 공기 필터 장치
KR101820875B1 (ko) * 2015-10-28 2018-01-24 동아하이테크(주) 공기 청정 장치
KR101828569B1 (ko) * 2015-06-30 2018-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철 성분 미세분진 포집을 위한 자성 집진 장치
KR20180017632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크러텍 분진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9394A (en) * 1979-02-05 1980-06-2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agnetic separator having a multilayer matrix, method and apparatus
JPH0768109A (ja) * 1993-09-01 1995-03-14 Kawasaki Steel Corp 磁気フィルタ
JP2003334564A (ja) * 2002-05-16 2003-11-25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磁性体を用いた浄化装置
KR200435495Y1 (ko) * 2006-09-25 2007-01-25 (주)선재하이테크 다수개의 이오나이저가 연결된 이오나이저 컨트롤러
KR101530522B1 (ko) 2014-04-04 2015-06-2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성입자 집진장치
KR20160107499A (ko) * 2015-03-04 2016-09-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철 성분 미세분진 포집을 위한 자석 필터 유닛
KR101828569B1 (ko) * 2015-06-30 2018-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철 성분 미세분진 포집을 위한 자성 집진 장치
KR101700944B1 (ko) * 2015-07-23 2017-02-01 신유성 공기통 충전용 공기 필터 장치
KR101820875B1 (ko) * 2015-10-28 2018-01-24 동아하이테크(주) 공기 청정 장치
KR20180017632A (ko) *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크러텍 분진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39931B2 (en) 2019-11-18 2025-03-04 Posco Foreign substance capture apparatus and facility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eel sheet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045B1 (ko) 레일 운행형 차량용 집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레일 운행형 차량
JP2017070949A (ja) 電子空気浄化器、およびその関連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方法
PL233491B1 (pl) Elektrostatyczny filtr powietrza
CN101296711A (zh) 空气净化装置
US11484888B2 (en)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includ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ing system having conductive filter module
CN102794232A (zh) 迷宫式的集尘箱
KR101988792B1 (ko) 자기력을 이용한 분진 포집 장치
CN104154603B (zh) 一种等离子车载空气净化器
KR20180026127A (ko)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KR101912700B1 (ko) 전동차 내부의 철 분진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CN203780270U (zh) 用于车辆的空气净化装置
KR101771462B1 (ko) 여과 장치
KR102066479B1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CN216300717U (zh) 车载净化器
KR20190100673A (ko) 차량용 미세먼지 절감장치
KR101549600B1 (ko) 유해나노입자 제거장치
WO2012162876A1 (zh) 迷宫式集尘箱
KR102018002B1 (ko) 환기용 필터장치
CN102350166A (zh) 空气过滤系统及钢轨打磨列车
CN113002278B (zh) 车载空气净化机
US20250196158A1 (en) Air filter unit and use of the air filter unit in a motor vehicle
US9808808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20250196159A1 (en) Air filter unit
KR102064259B1 (ko) 전도성 필터 유닛, 전도성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및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CN212604402U (zh) 一种车载空气净化器滤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