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8556B1 -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56B1
KR101968556B1 KR1020177007959A KR20177007959A KR101968556B1 KR 101968556 B1 KR101968556 B1 KR 101968556B1 KR 1020177007959 A KR1020177007959 A KR 1020177007959A KR 20177007959 A KR20177007959 A KR 20177007959A KR 101968556 B1 KR101968556 B1 KR 10196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ing
printing
mode
unit
pri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722A (ko
Inventor
유마 이와하라
히로키 아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0570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88310A1/ja
Publication of KR2017004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4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dapting to a particular standardised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과제)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용이화한다.
(해결 수단) 인쇄 장치(10)는, 롤지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21)와, 페어링이 완료한 제어 장치(11)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23)와, 제어 장치(11)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부(21)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페어링 불가 모드로부터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인쇄부(21)를 제어하여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롤지에 인쇄하고, 페어링 불가 모드에서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페어링 가능 모드에서는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페어링을 행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PRINTING DEVICE, PRINT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1의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가 페어링(pairing)을 행한 후, 근거리 무선 통신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209758호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로 페어링을 행하여, 이들 장치 간에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인쇄 장치가, 액정 표시 패널 등의 문자나 화상에 의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갖지 않는 장치라도, 페어링을 용이화하여, 유저의 편리성을 높이고 싶다는 니즈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페어링을 용이화한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페어링이 완료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여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페어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이 용이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로 이행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시큐어(secure)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 상기 인쇄부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소정의 조건은, 소정의 조작이 있었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소정의 조작은, 커버를 개폐하는 조작, 및,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을 조합한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소정의 조건은, 전원이 온(on)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전원 온시에, 제2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상기 인쇄부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페어링 요구에 따른 페어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는, 인쇄부에 의한 인쇄를 할 수 없는 상태로, 페어링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의 페어링의 인증 방식을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페어링으로 행해지는 인증의 인증 방식에 대해서, 페어링을 행하는 각 장치의 인증 방식의 대응 상황에 따라서, 또한, 요구되는 시큐리티(security)에 따라서 인증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방법을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가 설치된 환경 등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으로 페어링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페어링이 완료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페어링 요구에 따라서 페어링을 행하는 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인쇄부에서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페어링이 완료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이 용이화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억 매체는,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페어링이 완료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부에, 상기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페어링 요구에 따라서 페어링을 행하는 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인쇄부에서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시키고, 상기 제2 모드에서 페어링이 완료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이 용이화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인쇄 장치, 및, 제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인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인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인쇄 장치, 및,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쇄 시스템(1)은, 쇼핑 센터나, 백화점, 편의점 등의 소매점이나, 레스토랑이나, 찻집, 선술집 등의 음식점 등의 점포에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인쇄 시스템(1)은, 고객이 구입한 상품에 따른 회계를 행하는 기능, 회계에 따라서 영수증을 발행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다.
인쇄 시스템(1)이 적용되는 점포에는, 고객이 회계를 행하는 계산대 L이 설치된다. 계산대 L에는, 회계에 따라서 영수증을 발행 가능한 인쇄 장치(10)가 설치된다. 또한, 계산대 L에서 회계를 담당하는 계산 담당자에게는, 제어 장치(11)(외부 장치)가 부여된다.
제어 장치(11)는, 전(前)면에 터치 패널(31)이 설치된 태블릿형(판 형상)의 컴퓨터이다.
인쇄 장치(10)와, 각 계산 담당자에게 부여된 제어 장치(11)는, 사전에, Bluetooth(등록상표)의 규격에 따라 페어링이 행해진다.
계산대 L에 있어서의 회계에 있어서, 계산 담당자는, 자신에게 부여된 제어 장치(11)를, 인쇄 장치(10)와 Bluetooth에 따라 무선 접속함과 함께, 제어 장치(11)에 사전에 인스톨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전용 어플 AP」라 표현함)을 기동한다.
전용 어플 AP는, 계산대 L에 있어서의 회계에 있어서, 계산 담당자에게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계산 담당자는, 당해 유저 인터페이스에, 회계에 대응하는 입력을 행하고,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회계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제어 장치(11)는, 계산대 L에서 행해지는 회계에 따라서, 전용 어플 AP의 기능에 의해, 인쇄 장치(10)를 제어하여, 영수증을 발행시킨다. 인쇄 장치(10)에 의해 발행된 영수증은, 고객에게 인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접속」이란,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사이에서, Bluetooth에 따라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통신 링크를 통하여 이들 장치 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을 말한다.
도 2는, 인쇄 장치(10), 및, 제어 장치(11)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는, 롤지(roll paper)(기록 매체)를 수용하여, 롤지에 라인형의 서멀 헤드(thermal head)에 의해 도트를 형성함으로써 화상을 인쇄하는 라인 서멀 프린터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는, 제어부(20)와, 인쇄부(21)와, 기억부(22)와, 무선 통신부(23)와, 입력부(24)와, 센서 유닛(25)과, LED 유닛(26)을 구비한다.
제어부(20)는, CPU나, ROM, RAM, 그 외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고, 인쇄 장치(10)를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인스톨된 펌웨어 등의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인쇄 장치(10)를 제어한다.
인쇄부(21)는, 인쇄 장치(10)의 케이스에 수용된 롤지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나, 서멀 헤드에 의해 롤지에 도트를 형성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기구, 롤지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절단 기구 등을 구비한다. 인쇄부(21)는, 제어부(20)의 제어로, 반송 기구에 의해 롤지를 반송하면서, 인쇄 기구에 의해 롤지에 화상을 인쇄하고, 절단 기구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롤지를 절단하여, 영수증을 발행한다.
기억부(22)는, 불휘발성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를 구비하고,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22)는, 펌웨어 등의 제어 프로그램(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제어부(20)는, 기억부(22)(기억 매체)가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무선 통신부(23)는, 링크 매니저나, 링크 컨트롤러, 고주파 회로, 안테나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제어부(20)의 제어로, 제어 장치(11)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Bluetooth에 따라 무선 통신한다.
입력부(24)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전원 스위치(241), 롤지의 반송을 지시하는 피드 스위치(feed switch;242), 그 외의 조작 스위치를 구비한다. 입력부(24)는, 조작 스위치에 대한 조작을 검출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부(20)는, 입력부(24)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조작 스위치에 대한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센서 유닛(25)은, 복수의 센서와, 각 센서의 검출값을 A/D 변환하는 컨버터 등을 구비하고, 각 센서의 검출값을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센서는, 인쇄 장치(1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나, 롤지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 롤지의 반송에 관한 에러, 인쇄 기구에 관한 에러, 그 외 에러를 검출하는 센서, 절단 기구가 갖는 커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 등, 인쇄 기구가 갖는 서멀 헤드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 롤지의 종잇조각을 검출하는 센서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센서 유닛(25)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10)의 상태를 검출한다.
LED 유닛(26)은, 1 또는 복수의 LED를 구비하고, 제어부(20)의 제어로, LED를 소정의 실시 형태로 점등/소등한다.
제어 장치(11)는, 태블릿형의 컴퓨터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1)는, 제어 장치 제어부(30)와, 터치 패널(31)과, 제어 장치 기억부(32)와, 제어 장치 무선 통신부(33)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CPU나, ROM, RAM, 그 외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11)를 제어한다.
터치 패널(31)은,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에 겹쳐서 설치된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표시 패널은, 제어 장치 제어부(30)의 제어로,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터치 센서는, 터치 조작을 검출하여, 제어 장치 제어부(30)로 출력한다.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터치 패널(31)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 장치 기억부(32)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어 장치 무선 통신부(33)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제어 장치 제어부(30)의 제어로, 인쇄 장치(10)와 통신 링크를 확립하여 Bluetooth에 따라 무선 통신한다.
다음으로, 영수증을 발행할 때의 제어 장치(11), 및, 인쇄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행해지고 있고, 이들 장치가 무선 접속된 상태(통신 링크가 확립한 상태)이다. 또한, 제어 장치(11)의 전용 어플 AP가 기동되고 있고, 전용 어플 AP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 패널(31)에 표시된 상태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어 장치 제어부(30)의 처리는, 전용 어플 AP, 전용 어플 AP에 의해 호출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및, 제어 장치(11)의 OS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기능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제어 장치(11)의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전용 어플 AP가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회계에 대응하는 입력이 행해진 후, 영수증의 발행을 지시하는 터치 버튼이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영수증의 발행을 지시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인쇄 데이터는, 인쇄 장치(10)의 커맨드 체계에 따른 제어 커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어 데이터이다.
이어서,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제어 장치 무선 통신부(33)를 제어하고, 생성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장치(10)로 송신한다.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무선 통신부(23)를 제어하고, 제어 장치(11)가 송신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어서, 제어부(2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부(21)를 제어하여 영수증을 발행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에는, 페어링이 완료된 제어 장치(11)가 무선 접속되어, 무선 접속된 제어 장치(11)의 제어로 영수증의 발행을 포함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인쇄 장치(10)와, 계산 담당자에게 부여된 제어 장치(11) 이외의 단말, 즉, 인쇄 장치(10)와의 통신이 허가되지 않는 단말과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페어링이 이루어지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예를 들면, 악의를 가진 제3자가, 자신의 단말과 인쇄 장치(10)를 접속하여 인쇄 장치(10)를 점유하거나, 또한, 인쇄 장치(10)에 상정되지 않은 정보를 인쇄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페어링에서는, 소정의 자릿수의 수치의 패스키(passkeys)를 이용한 인증이 행해진다. 그러나, 패스키의 값은, 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간단하고 용이한 값으로 되는 경우도 많아, 패스키를 이용한 인증에서는, 제어 장치(11) 이외의 단말의 페어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최근, 페어링시에 행해지는 인증의 인증 방식으로서, 패스키를 이용하지 않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어, 페어링에, 이 인증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는, 인쇄 장치(10)와의 통신이 허가되지 않는 단말에 대해서, 페어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을 근거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10), 및, 제어 장치(11)는, 페어링에 관하여,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은, 페어링에 관한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3의 동작의 개시 시점에서는, 인쇄 장치(10)의 동작 모드는, 페어링 불가 모드(제1 모드)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페어링 가능 모드(제2 모드)로 이행하는 트리거가 되는 조건(이하, 「모드 이행 조건」이라고 표현함)이 성립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스텝 SA1).
페어링 가능 모드는,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가능한 모드이다. 인쇄 장치(10)가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동안, 인쇄 장치(10)는, 제어 장치(11)의 요구에 따라서, 제어 장치(11)의 페어링을 행한다.
모드 이행 조건은, 인쇄 장치(10)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해진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작은, 인쇄 장치(10)에 설치된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피드 스위치(242)가 조작되고, 피드 스위치(242)가 조작된 상태에서 커버가 닫혀지는 조작이다. 제어부(20)는, 입력부(24)로부터의 입력 및, 센서 유닛(25)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이러한 조작이 행해진 것을 검출한다.
또한, 소정의 조작은, 전술한 조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소정의 조작은, 피드 스위치(242)가 소정의 실시 형태로 조작된 것(예를 들면, 2초 이내에 5회 조작된 것)이나, 피드 스위치(242)가 조작된 상태로 커터의 위치가 이동한 것, 커버가 소정의 실시 형태로 개폐된 것(예를 들면, 3초 이내에 4회 개폐된 것), 등이라도 좋다. 단, 소정의 조작은, 유저가 의도하여 행해지는 조작이 된다. 이러한 조작으로 함으로써, 우발적으로 소정의 조작이 행해져, 의도치 않게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이행 조건을, 전원이 온된 것으로 해도 좋다. 모드 이행 조건을 이러한 조건으로 함으로써, 전원 온시에,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나중에 분명해지는 바와 같이,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은, 소정 기간의 사이, 행해진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10)는, 점포의 개점시에, 관계자에 의해 전원이 온된다. 따라서, 모드 이행 조건을, 전원이 온된 것으로 해도, 페어링에 대해서 시큐리티가 저하하지 않는다.
모드 이행 조건이 성립한 경우(스텝 SA1: YES), 제어부(20)는, 센서 유닛(25)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A2).
예를 들면, 반송 기구나 인쇄 기구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나, 종잇조각의 경우, 커버가 열려있는 상태의 경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신 버퍼에 에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 등은 인쇄를 실행할 수 없다.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스텝 SA2: NO), 제어부(20)는,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A3).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LED 유닛(26)을 제어하고, LED를 소정의 실시 형태로 점등/소등시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이고,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취지를 알린다. 이에 따르면, 유저는,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어, 당해 인식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10)에 발생하고 있는 에러의 해소 등,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인쇄부(21)를 제어하고,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이고,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취지의 정보를 롤지에 인쇄시킨다. 이에 따르면, 유저는,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어, 당해 인식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10)에 발생하고 있는 에러의 해소 등,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의 경우(스텝 SA2: YES), 제어부(20)는, 인쇄부(21)를 제어하고, 페어링에 관한 정보가 인쇄된 설정 정보 시트를 발행한다(스텝 SA4). 페어링에 관한 정보는, BD(Bluetooth device) 어드레스, 인쇄 장치(10)의 디바이스명, 페어링에 있어서의 인증에 사용하는 패스키, 패스키를 나타내는 2차원 코드, 및,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동작 모드를, 소정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소정 기간의 사이, 페어링 가능 모드로 한다. 그리고, 설정 정보 시트에 인쇄되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는, 기점으로 하는 소정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정보, 및, 소정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이 완료한 타이밍에서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고, 또한, 소정 기간이 「2분」인 경우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는, 「페어링이 가능한 기간은, 이 시트의 발행이 완료하고 나서 2분입니다.」 등이다.
또한, 설정 정보 시트에 인쇄되는 페어링에 관한 정보는, 전술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정보의 일부가 인쇄되어도 좋고, 전술한 정보에 더하여 다른 정보가 인쇄되어도 좋고, 또한, 전술한 정보를 대신하여 다른 정보가 인쇄되어도 좋다.
유저는, 설정 정보 시트에 인쇄된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에 따라서, 제어부(20)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한다(스텝 SA5). 인쇄 장치(10)는, 동작 모드가 페어링 가능 모드의 사이, 제어 장치(1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페어링을 행한다.
또한, 스텝 SA5의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은, 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을 개시한 타이밍(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을 개시한 타이밍에 소정의 마진을 가미한 타이밍이라도 좋음)에서 행해도 좋다. 또한, 스텝 SA5의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은, 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이 완료한 타이밍(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이 완료한 타이밍에 소정의 마진을 가미한 타이밍이라도 좋음)에서 행해도 좋다. 즉, 스텝 SA4의 처리가 완료한 후, 스텝 SA5의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고, 스텝 SA4의 처리와, 스텝 SA5의 처리에서, 시간적으로 동시에 행해지는 부분이 있어도 좋다. 단,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을, 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이 완료한 타이밍에서 개시하는 경우, 유저가, 설정 정보 시트에 인쇄된 정보(페어링에 사용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참조 가능한 상태로 된 후에,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이 행해지기 때문에, 유저의 편리성이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페어링 불가 모드(제1 모드)로부터 페어링 가능 모드(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인쇄부(21)를 제어하여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롤지(기록 매체)에 인쇄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설정 정보 시트를 발행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설정 정보 시트의 발행을 인식함으로써,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을 인식할 수 있고, 페어링을 행하는 경우는, 소정 기간 내에 페어링에 따른 작업을 행해야 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 기간의 사이는, LED를 소정의 실시 형태로 점등/소등시켜, 유저는 프린터가 페어링 가능 모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드 이행 조건이 성립한 경우라도,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의 경우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은 실행되지 않는다. 이는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의 경우는, 인쇄 장치(10)가 설정 정보 시트를 발행하지 못하고, 유저가,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한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또한,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인쇄 기능을 갖는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페어링 가능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설정 정보 시트를 발행하고, 이에 따라,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하지만, 인쇄를 실행하지 못하고 설정 정보 시트를 발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근거로,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동작 모드가 페어링 가능 모드의 사이에 행해지는 페어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 후, 제어부(20)는, 소정 기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스텝 SA6).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스텝 SA6: YES), 제어부(20)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부터 페어링 불가 모드로 이행한다.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는, 제어부(20)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다.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에 제어부(20)가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드 이행 조건이 성립한 후, 소정 기간의 사이, 페어링이 가능하고, 소정 기간 이외의 기간은 페어링을 행할 수 없다. 또한, 모드 이행 조건은, 유저에 의한 의도적인 조작이 행해진 것이고, 제3자가 의도적으로 모드 이행 조건을 성립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제3자의 단말과, 인쇄 장치(10)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모드가 페어링 가능 모드의 사이에 행해지는 페어링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동작 모드가 페어링 가능 모드인 인쇄 장치(10)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동작 모드가 페어링 가능 모드인 인쇄 장치(10)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외부 장치(제어 장치(11)를 포함함)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감시한다(스텝 SB1).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스텝 SB1: YES), 제어부(20)는, 인쇄부(21)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B2).
인쇄가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스텝 SB2: NO), 제어부(20)는,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B3).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LED 유닛(26)을 제어하고, LED를 소정의 실시 형태로 점등/소등시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이고,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취지를 알린다. 이에 따르면, 유저는,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당해 인식에 기초하여, 인쇄 장치(10)에 발생하고 있는 에러의 해소 등,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인쇄가 가능한 상태의 경우(스텝 SB2: YES), 제어부(20)는, 페어링을 행한다(스텝 SB4). 또한, 스텝 SB4에서는, 사용하는 인증 방식에 따라서는, 인증의 결과, 페어링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작 모드가 페어링 가능 모드라도,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의 경우, 인쇄 장치(10)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다. 이는,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페어링이 행해진 후, 페어링 요구를 행한 외부 장치(여기에서는 제어 장치(11)로 함)와 인쇄 장치(10)가 무선 접속되어, 제어 장치(11)의 제어로 인쇄 장치(10)가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제어 장치(11)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는 처리를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다. 또한,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할 수 없는 상태의 인쇄 장치(10)에 제어 장치(11)를 무선 접속한 경우, 제어 장치(11)는, 인쇄 장치(10)를 인쇄할 수 없는 것에 대응하는 처리(예를 들면, 에러 통지의 수신이나, 에러 통지에 대한 응답, 에러 통지에 기초하는 에러의 알림)를 실행할 필요가 있어, 제어 장치(11)의 처리 부하가 증대한다. 또한, 제어 장치(11)와 인쇄 장치(10)를 무선 접속한 후에, 제어 장치(11)의 제어에 의한 인쇄 장치(10)의 인쇄를 할 수 없는 경우, 유저는, 그 원인을, 페어링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다, 또한, 무선 접속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다 등, 잘못하여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타이밍에서,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인 취지를 알림으로써, 실제로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사이에서 무선 접속이 되기 전의 빠른 단계에서, 유저에게, 당해 상태를 인식시킬 수 있고, 빠른 단계에서, 당해 상태를 해소시킬 수 있다.
이상을 근거로,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의 경우, 인쇄 장치(10)는 페어링 요구에 따른 페어링을 실행하지 않고, 이에 따라,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를 해소한 다음, 페어링 요구를 재차 행하는 것을 촉구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페어링시의 인증 방식으로서, 제1 인증 방식, 제2 인증 방식, 및, 제3 인증 방식의 3개의 인증 방식 중 어느 인증 방식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방식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장치의 인증 방식의 대응 상황에 따라서, 또한, 요구되는 시큐리티에 따라서 인증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제1 인증 방식>
제1 인증 방식은, SSP(Secure Simple Pairing)의 Just works에 대응하는 인증 방식이다.
제1 인증 방식에서는,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제어 장치(11)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패스키를 이용한 인증을 행하지 않고,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순서를 거쳐, 페어링을 행한다.
제1 인증 방식에 따르면, 페어링에 있어서, 유저가 행하는 작업이 적기 때문에, 유저의 부담이 작다. 또한, 페어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한정된 기간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페어링에 관한 시큐리티는 유지된다.
<제2 인증 방식>
제2 인증 방식은, SSP의 Numeric Comparison에 대응하는 인증 방식이다.
제2 인증 방식에서는, 인쇄 장치(10), 및, 제어 장치(11)는,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른 순서를 거쳐,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 장치(11)의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소정의 유저 인터페이스에 패스키를 표시하여, 패스키가 올바른지 여부를 유저에게 입력시킨다.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제어 장치(11)에 있어서 패스키가 올바른 취지의 입력을 유저가 행하고, 그 취지의 통지를 제어 장치(11)로부터 받은 경우, 제어 장치(11)를 인증하고,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사이에서의 페어링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패스키의 표시, 및, 패스키가 올바른지 여부의 입력의 접수를 행하지 않지만, 행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제2 인증 방식에 따르면, 페어링에 있어서, 유저는, 제어 장치(11)에 표시된 패스키가 올바른지 여부를 입력하면 좋기 때문에, 유저의 부담이 작다. 또한, 인쇄 장치(10)가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시에 발행하는 설정 정보 시트에는, 패스키가 인쇄되기 때문에, 유저는, 설정 정보 시트를 참조함으로써, 제어 장치(11)에 표시된 패스키가 올바른지 여부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또한, 적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3 인증 방식>
제3 인증 방식은, SSP의 Passkey Entry에 대응하는 인증 방식이다.
도 5는, 인증 방식으로 제3 인증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인쇄 장치(10), 및, 제어 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A)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나타내고, (B)는 제어 장치(11)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는, 제어 장치(11)에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Bluetooth의 설정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시켜, Bluetooth 디바이스의 검색의 실행을 지시한다(스텝 SX1).
스텝 SX1의 지시에 따라서, 제어 장치(11)의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Bluetooth 디바이스로서의 인쇄 장치(10)를 검색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에, 인쇄 장치(10)의 디바이스명을 선택 가능한 실시 형태로 표시함과 함께, 당해 디바이스명과 대응시켜 패스키의 입력칸을 표시한다(스텝 SD1).
인쇄 장치(10)의 검색은, 인쇄 장치(10)가 Bluetooth에 따른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브로드캐스트하는 검색용의 패킷을 수신하여, 프로토콜에 따른 순서로 처리를 행함으로써 행해진다.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인쇄 장치(10)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칸에 패스키를 입력한다(스텝 SX2).
여기에서, 인쇄 장치(10)가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시에 발행하는 설정 정보 시트에는, 패스키가 인쇄되기 때문에, 유저는, 설정 정보 시트를 참조함으로써, 입력해야 하는 패스키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또한, 적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패스키의 입력은, 설정 정보 시트에 인쇄된 패스키를 나타내는 2차원 코드의 판독에 의해 행해져도 좋다.
스텝 SX2의 입력에 따라서, 제어 장치(11)의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페어링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페어링 요구를 행한다)(스텝 SD2).
또한,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의 도시는 생략했지만, 제어 장치(11)의 페어링 요구 신호의 송신에 따라서, 인쇄 장치(10), 및, 제어 장치(11)는, 대응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페어링 요구의 수신에 따라서, 인쇄부(21)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C1).
인쇄부(21)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스텝 SC1: NO), 제어부(20)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LED에 의한 알림 등의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C2).
인쇄부(21)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 상태의 경우(스텝 SC1: YES), 제어부(20)는, 페어링 요구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패스키를 이용한 페어링을 행한다(스텝 SC3).
이어서, 제어부(20)는, 페어링의 결과를 통지하는 페어링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C4). 페어링 확인 신호는, 페어링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11)의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페어링 확인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D3). 예를 들면, 제어 장치 제어부(30)는, 페어링의 성공/실패를 나타내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제3 인증 방식에 의하면, 페어링에 있어서, 패스키를 이용한 인증이 행해지기 때문에, 보다 시큐어하게 페어링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에 인쇄 장치(10)가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방법으로서, 제1 방법, 및, 제2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법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 장치(10)의 환경 등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방법>
제1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검색용의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지 않는다.
이 제1 방법에 따르면,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 제어 장치(11)는, 인쇄 장치(10)를 검색할 수 없고, 페어링 요구를 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에, 제3자의 단말과, 인쇄 장치(10)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에, 제3자가, Bluetooth 디바이스의 검색에 따라서는, 인쇄 장치(10)가 Bluetooth 디바이스인 것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제3자에 의해 페어링이 행해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검색용의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고, 제어 장치(11)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라도,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페어링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확인 신호를 응답한다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2 방법>
제2 방법에 있어서,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의 사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20)는, 검색용의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한편, 외부 장치로부터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라도,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페어링이 실패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페어링 확인 신호를 응답한다.
이 제2 방법에 따르면, 정당한 사람이, 페어링을 시도하여 실패한 경우에, 동작 모드가 페어링 불가 모드인 것을 인식할 수 있어, 소정의 조작을 행하여 다시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시켜 페어링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쇄 장치(10)는, 롤지(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21)와, 페어링이 완료한 제어 장치(11)(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23)와, 제어 장치(11)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부(21)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페어링 불가 모드(제1 모드)로부터 페어링 가능 모드(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인쇄부(21)를 제어하여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롤지에 인쇄하고, 페어링 불가 모드에서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페어링 가능 모드에서는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페어링을 행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페어링 불가 모드(제1 모드)로부터 페어링 가능 모드(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페어링에 관한 정보가 롤지에 인쇄되기 때문에, 유저는, 롤지에 인쇄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용이하게 페어링을 행할 수 있다. 즉,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의 사이에서의 페어링이 용이화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0)는,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페어링 불가 모드로 이행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정 기간의 사이에서 페어링이 가능하고, 소정 기간 이외의 기간에서는 페어링을 할 수 없기 때문에, 페어링 가능한 기간을 한정할 수 있어,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0)는, 소정의 조건(모드 이행 조건)이 성립한 경우, 페어링 불가 모드로부터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조건을 인식하고 있는 유저 이외의 제3자와 관련되는 단말이 페어링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0)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 인쇄부(21)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페어링 불가 모드로부터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 페어링 요구에 기초하는 페어링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소정의 조작이 있었던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조작을 인식하고 있는 유저 이외의 제3자에 따른 단말이 페어링을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페어링을 시큐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조건은, 커버를 개폐하는 조작, 및, 피드 스위치(242)를 조작하는 조작을 조합한 조작이 행해진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10)가 커버, 및, 피드 스위치(242)를 구비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우발적으로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고, 의도치 않게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은, 전원이 온(on)된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원 온시에, 페어링 가능 모드로 이행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인쇄 장치(10)는, 점포의 개점시에, 관계자에 의해 전원이 온된다. 따라서, 소정의 조건을, 전원이 온된 것으로 해도, 페어링에 대해서 시큐리티가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20)는, 페어링 가능 모드에 있어서,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인쇄부(21)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페어링 요구에 따른 페어링을 행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10)는, 인쇄부(21)에 의한 인쇄를 할 수 없는 상태에서, 페어링이 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페어링 가능 모드에 있어서의 페어링의 인증 방식을 전환 가능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페어링으로 행해지는 인증의 인증 방식에 대해서, 페어링을 행하는 각 장치의 인증 방식의 대응 상황에 따라서, 또한, 요구되는 시큐리티에 따라서 인증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페어링 불가 모드에 있어서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방법을 전환 가능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인쇄 장치(10)가 설치된 환경 등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으로 페어링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의 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시스템(1)이 점포에 이용되어, 제어 장치(11)의 제어로 인쇄 장치(10)가 영수증을 발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발명을 설명했다. 그러나,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실시 형태는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페어링이 완료한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인쇄 장치(10), 및, 인쇄 장치(10)와 제어 장치(11)가 페어링을 행하여 무선 통신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서멀 프린터였지만, 인쇄 장치(10)의 프린트 형식은 서멀식에 한정하지 않고, 잉크젯식 등의 다른 형식이라도 좋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받침대 등에 얹혀 놓아 사용되는 거치 타입의 것이라도 좋고, 운반 가능한 모바일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의해 임의로 실현 가능하고, 특정의 하드웨어 구성을 시사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 기능을 갖는 장치와, 외부 장치의 페어링을 행하는 페어링 방법에 유용하고, 특히, 장치 간에서의 페어링을 용이화할 수 있는 페어링 방법 등에 적합하다.
1 : 인쇄 시스템
10 : 인쇄 장치
11 : 제어 장치(외부 장치)
20 : 제어부
21 : 인쇄부
23 : 무선 통신부

Claims (12)

  1.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페어링이 완료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인쇄부를 제어하여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페어링을 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 추가로, 상기 인쇄부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로 이행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소정의 조작이 있었던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작은, 커버를 개폐하는 조작, 및,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을 조합한 조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전원이 온(on)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 페어링 요구가 있었던 경우, 상기 인쇄부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페어링 요구에 따른 페어링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 있어서의 페어링의 인증 방식을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 있어서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방법을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
  11.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페어링이 완료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추가로, 상기 인쇄부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페어링 요구에 따라서 페어링을 행하는 제2 모드로 이행을 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인쇄부에서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페어링이 완료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12. 기록 매체에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와, 페어링이 완료한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부에,
    소정의 조건이 성립한 경우에, 추가로, 상기 인쇄부에 의한 인쇄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가능한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의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페어링 요구에 따라서 페어링을 행하는 제2 모드로 이행을 행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부터 상기 제2 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상기 인쇄부에서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페어링이 완료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에 의해 무선 통신으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상기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부에서 상기 기록 매체에 인쇄를 행하는 단계
    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177007959A 2014-12-04 2015-11-16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Active KR101968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5609 2014-12-04
JPJP-P-2014-245491 2014-12-04
JPJP-P-2014-245609 2014-12-04
JP2014245491 2014-12-04
JP2015095707A JP6488865B2 (ja) 2014-12-04 2015-05-08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JP-P-2015-095707 2015-05-08
PCT/JP2015/005707 WO2016088310A1 (ja) 2014-12-04 2015-11-16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96A Division KR102090630B1 (ko) 2014-12-04 2015-11-16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722A KR20170046722A (ko) 2017-05-02
KR101968556B1 true KR101968556B1 (ko) 2019-04-12

Family

ID=561227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96A Active KR102090630B1 (ko) 2014-12-04 2015-11-16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7007959A Active KR101968556B1 (ko) 2014-12-04 2015-11-16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896A Active KR102090630B1 (ko) 2014-12-04 2015-11-16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10462328B2 (ko)
JP (1) JP6488865B2 (ko)
KR (2) KR102090630B1 (ko)
CN (1) CN1070004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8310A1 (ja) * 2014-12-04 2016-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311943B2 (ja) 2015-11-18 2018-04-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639430B2 (ja) * 2017-01-31 2020-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146042A1 (en) * 2017-02-10 2018-08-1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Device pairing
JP6866209B2 (ja) * 2017-03-31 2021-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492626B2 (en) 2017-12-12 2019-12-03 Gpcp Ip Holdings Llc Food service material dispensers, systems, and methods
US11472579B2 (en) 2018-12-04 2022-10-18 Gpcp Ip Holdings Llc Film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US11752779B2 (en) 2017-12-12 2023-09-12 Gpcp Ip Holdings Llc Food service cup dispensers, systems, and methods
US12077337B2 (en) 2018-12-04 2024-09-03 Yum Connec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aling a container
JP7311999B2 (ja) 2019-03-29 2023-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88285B2 (ja) * 2020-04-22 2023-11-29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ログイン設定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JP7589617B2 (ja) * 2021-03-26 2024-11-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JP2024044702A (ja) * 2022-09-21 2024-04-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測定装置、情報端末、及び情報端末の作動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419A (ja) * 2006-02-24 2007-09-06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US20150382195A1 (en) 2011-10-25 2015-12-31 Salesforce.Com, Inc. Preemptive authorization automation
US20160127600A1 (en) 2014-11-02 2016-05-05 Clover Network, Inc. Point of sale platform and associ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722A (ja) * 1997-09-30 1999-04-23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711394B2 (ja) 2000-05-15 2005-11-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それを構成する携帯電話機,外部機器,及び無線通信方法
JP3628250B2 (ja) 2000-11-17 2005-03-09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登録・認証方法
JP3737791B2 (ja) * 2002-08-30 2006-01-2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を実行可能な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無線通信制御方法
US7941665B2 (en) 2003-12-05 2011-05-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pairing
JP4455076B2 (ja) 2004-01-28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の認証方法、無線通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895346B2 (ja) * 2004-11-19 2012-03-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6159508A (ja) * 2004-12-03 2006-06-22 Canon Inc 無線印刷装置
JP4890882B2 (ja) * 2006-02-24 201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US8220005B2 (en) * 2007-08-30 2012-07-10 Ricoh Company, Limited Apparatus,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nformation
EP2083404A3 (en) * 2008-01-24 2010-01-06 Seiko Epson Corporation Receipt printing processing method, printer and receipt printing processing system
US20110106954A1 (en) * 2008-09-26 2011-05-05 Manjirnath Chatterjee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ly pairing devices to share data or resources
JP2010140160A (ja) * 2008-12-10 2010-06-24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0141586A (ja) * 2008-12-11 2010-06-24 Seiko Epson Corp ワイヤレスusb通信システム、usbホスト及びusbデバイス
JP4702458B2 (ja) * 2009-01-09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278781A (ja) * 2009-05-28 2010-12-09 Sharp Corp 通信装置、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879994B2 (en) * 2009-10-02 2014-11-04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Bluetooth pairing using a camera as a barcode scanner
JP5521511B2 (ja) * 2009-11-27 2014-06-18 村田機械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機器
JP5521577B2 (ja) * 2010-01-27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周辺機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及び通信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5251929B2 (ja) * 2010-06-24 2013-07-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20023214A1 (en) * 2010-07-21 2012-01-26 Openpeak Inc. System and method for state transition of a load controller device
JP5160598B2 (ja) * 2010-07-23 2013-03-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端末及びその車載端末でのペアリング方法
JPWO2012118045A1 (ja) * 2011-02-28 2014-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2012209758A (ja) 2011-03-30 2012-10-25 Kddi Corp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US9036173B2 (en) * 2011-04-27 2015-05-19 Xero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to troubleshoot malfunctions in multifunction devices using a wireless handheld device
JP6012160B2 (ja) * 2011-11-10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130141746A1 (en) * 2011-12-02 2013-06-06 Apple Inc. Ad-hoc discovery and selection of printers for print jobs
JP5957935B2 (ja) * 2012-02-14 2016-07-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24721B2 (en) * 2012-04-18 2016-08-23 Square, Inc. Point-of-sale system
JP6035872B2 (ja) * 2012-05-29 2016-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69606B2 (en) * 2012-09-12 2016-06-14 Xerox Corporation Automated pairing of multifunction devices and external devices
US8904186B2 (en) * 2012-09-28 2014-12-02 Intel Corporation Multi-factor authentication process
JP5707425B2 (ja) * 2013-01-07 2015-04-30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
US8934312B2 (en) 2013-01-30 2015-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variation skew in an SRAM column architecture
JP6142550B2 (ja) * 2013-01-31 2017-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KR102077821B1 (ko) * 2013-06-03 2020-02-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193359B1 (ko) * 2013-06-04 202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8334B1 (ko) * 2013-06-12 2020-01-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절전 모드 제어 방법
JP6234083B2 (ja) * 2013-06-28 2017-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342055B (zh) * 2013-07-18 2016-01-20 福建金宝威电子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标签打印系统
US9940787B2 (en) * 2013-08-02 2018-04-10 Zynga Inc. Nested online games for real money gambling
JP6300469B2 (ja) * 2013-08-21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78451B2 (en) * 2013-10-20 2017-02-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onnection between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257299B2 (ja) * 2013-12-12 2018-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55326B2 (ja) * 2013-12-17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S2812541T3 (es) * 2013-12-30 2021-03-17 Onespan Int Gmbh Aparato de autenticación con interfaz Bluetooth
US10091387B2 (en) * 2014-09-03 2018-10-02 S-Printing Solution Co., Ltd. Image forming device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mobile terminal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 cloud print system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20170012964A1 (en) * 2014-09-29 2017-01-12 Identity Over Ip Providing authentication of control instructions from a control device to a remotely-controllable physical interaction device using a remote control authentication tok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8419A (ja) * 2006-02-24 2007-09-06 Canon Inc 印刷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US20150382195A1 (en) 2011-10-25 2015-12-31 Salesforce.Com, Inc. Preemptive authorization automation
US20160127600A1 (en) 2014-11-02 2016-05-05 Clover Network, Inc. Point of sale platform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722A (ko) 2017-05-02
US20190356813A1 (en) 2019-11-21
US11165928B2 (en) 2021-11-02
US20170310848A1 (en) 2017-10-26
CN107000455B (zh) 2019-04-09
JP2016107612A (ja) 2016-06-20
US20200374418A1 (en) 2020-11-26
KR20190039628A (ko) 2019-04-12
CN107000455A (zh) 2017-08-01
US10785382B2 (en) 2020-09-22
JP6488865B2 (ja) 2019-03-27
KR102090630B1 (ko) 2020-03-18
US10462328B2 (en)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556B1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1104845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relating communication with a target apparatus b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201617B2 (en) Control device, for communicating wirelessly with a recording device, a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20250059A1 (en) Image recording system,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 usable medium therefor
JP597477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4071488A (ja) 機能実行装置
WO2012118045A1 (ja) 印刷システム
JP6463162B2 (ja) 記録制御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540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irst processing device, and second processing device
US20160092149A1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remote op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remote operation program
EP2889793A1 (en) Security syste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curity control apparatus
EP2983299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1901837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919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tag,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WO2016088310A1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17167911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71490A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6163115A (ja) 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基板
JP5586646B2 (ja) 注文端末およびオーダーリングシステム
JP5963806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方法
JP2013055470A (ja) 画像処理装置
JP6405956B2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7487788B2 (ja) 通信制御装置、機器操作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48027B2 (ja) 注文装置
JP6919296B2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07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904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