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8393B1 -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393B1
KR101958393B1 KR1020180057187A KR20180057187A KR101958393B1 KR 101958393 B1 KR101958393 B1 KR 101958393B1 KR 1020180057187 A KR1020180057187 A KR 1020180057187A KR 20180057187 A KR20180057187 A KR 20180057187A KR 101958393 B1 KR101958393 B1 KR 101958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region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8684A (ko
Inventor
이준호
민천규
윤영태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8005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3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01L51/5203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01L27/3276
    • H01L51/5237
    • H01L51/5296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30Organic light-emitting transis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서로 절연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이 주변부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유기발광체; 상기 유기발광체 상의 제2 전극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는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구역에는 상기 제1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에서 에지 부분과 중앙 부분의 휘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류 공급 방식을 갖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이하, OLED)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 및 상기 유기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캐소드를 포함한다. OLED에 있어서,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유기발광층내로 주입된다. 유기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유기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캐소드, 유기발광층이 공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 NOx 등과 접촉하게 되면 성능 및 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그 위에는 보호층이 형성된다.
OLED 광원은 그 자체를 박막으로 제조 가능하여 광원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온도 상승 경향이 적을 뿐 아니라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OLED는 각종 컬러 광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종의 유기 발광 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패널로서도 기능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각종 조명 기기, 표시 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OLED 장치를 대형화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OLED 장치의 크기가 커질수록 중앙과 에지 부분의 휘도 차이로 인해 대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OLED 장치에서 양전원과 음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OLED 장치(10)에서, 유기발광체(20)의 좌변 및 우변으로 위치된 전극 패드에는 양전원이 공급되고, 유기발광체(20)의 윗변 및 아랫변에 위치된 전극 패드에는 음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유기발광체(20)의 각각의 변 및 에지 주변에서는 전하 밀도가 높지만,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전기저항 등에 의해 전하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유기발광체(20)에서 양전하와 음전하의 밀도가 가장 높은 에지 부분이 전압이 가장 높고 휘도가 가장 높게 된다. 또한, 유기발광체(20)에서 양전하와 음전하의 밀도가 가장 낮은 중앙 부분이 전압이 가장 낮으면서 휘도가 가장 낮게 된다. 예를 들어, 150mmХ150mm 크기의 유기발광체(20)에서, 에지 부분의 휘도가 500cd라 하면, 중앙 부분은 250cd로 2배 이상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휘도 불균일이 일어나면 고휘도를 내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OLED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이와 같이, 종래의 OLED 장치의 전원 공급 방식에서는 유기발광체(20)의 에지와 중앙에서의 휘도 차이로 인해 OLED 장치의 대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에서 에지 부분과 중앙 부분의 휘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류 공급 방식을 갖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서로 절연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이 주변부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유기발광체; 상기 유기발광체 상의 제2 전극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는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구역에는 상기 제1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1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역에서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유기발광체와 접촉되면서 상기 제2 전극층과는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 구역에서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되면서, 상기 유기발광체와는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의 경계부에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제거되고, 상기 제1 전극층이 제거된 부분에는 절연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원이 (+) 극성이면 상기 제2 전원은 (-)극성이고, 상기 제1 전원이 (-)극성이면 상기 제2 전원은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은 다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의 4개의 변은 각각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구역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더미 영역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중 같은 종류의 구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은 ITO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되고, 서로 절연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이 주변부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에 위치되고,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절연층;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절연층 상의 유기발광체; 상기 유기발광체 상의 제2 전극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는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구역에는 상기 제1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절연층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구역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은 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역에서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유기발광체와 접촉되면서 상기 제2 전극층과는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 구역에서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되면서, 상기 유기발광체와는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은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의 4개의 변은 각각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층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되고, 서로 절연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이 주변부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유기발광체; 상기 유기발광체 상의 제2 전극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층은 원형, 타원형 또는 임의의 곡면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구역에는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구역에는 상기 제1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역에서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유기발광체와 접촉되면서 상기 제2 전극층과는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 구역에서는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되면서, 상기 유기발광체와는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에서 에지 부분과 중앙 부분의 휘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전류 공급 방식을 갖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OLED 장치에서 양전원과 음전원이 공급되는 형태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장치에서 각각의 층들이 적층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OLED 장치의 제1 전극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OLED 장치의 절연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전극층에 전원이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OLED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OLED 장치에서 B-B'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2의 OLED 장치에서 +전원과 -전원의 공급에 따른 전하 분포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장치에서 각각의 층들이 적층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OLED 장치의 제1 전극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OLED 장치의 절연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OLED 장치(100)는 기판(110), 제1 전극층(120), 절연층(130), 유기발광체(140), 제2 전극층(15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투명한 기판 또는 불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은 유연성을 갖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기판(110)은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기판(110)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별 모양, 임의의 곡면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판(110) 상에는 제1 전극층(120)이 형성된다. 제1 전극층(120)은 도전성 물질을 기판(110) 상에 증착 또는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층(120)은 투명성 도전체,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나 IZO(Indium zinc oxide; 인듐 징크 옥사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전극층(120)은 ITO로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극층(120)은 라인(120a)을 따라서 제거된다. 제1 전극층(120)을 라인(120a)을 따라서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레이저 스크라이빙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극층(120)이 라인(120a)을 따라서 제거됨으로써, 제1 전극층(120)은 서로 절연된 제1 구역(121)과 제2 구역(122)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제1 구역(121)과 제2 구역(122)은 제1 전극층(120)의 주변부를 따라서 교대로 형성된다. 도면에서, 제1 전극층(120)의 단측부에는 3개의 제1 구역(121)과 4개의 제2 구역(122)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전극층(120)의 장측부에는 5개의 제1 구역(121)과 6개의 제2 구역(122)이 형성된다.
제1 구역(121)들끼리는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지만, 제2 구역(122)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제1 구역(121)에는 제1 전원이 연결되고, 제2 구역(122)에는 제2 전원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역(121)에 양전원이 연결되면, 제2 구역(122)에는 음전원이 연결되고, 제1 구역(121)에 음전원이 연결되면, 제2 구역(122)에는 양전원이 연결된다.
제1 전극층(120)의 모서리 부분에는 제1 구역(121) 및 제2 구역(122)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123)이 배치된다. 또한, 더미 영역(123)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제1 구역(121)과 제2 구역(122) 중 같은 종류의 구역이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더미 영역(123)에 인접하는 부분에 제2 구역(122)이 배치되고 있다.
제1 전극층(120) 상에는 절연층(130)이 형성된다(도 4 참조). 절연층(130)은 예를 들어,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절연층(130)은 주변부를 따라서 다수의 돌출부(131) 및 오목부(132)를 구비한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절연층(130)은 예를 들어,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용액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절연층(130)의 돌출부(131)는 대체로 제1 전극층(120)의 제1 구역(121) 위에 위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구역(121)에서 제1 전극층(120)이 절연층(130)에 의해 제2 전극층(150)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전극층(120) 및 절연층(130) 상에는 유기발광체(140)가 위치한다. 유기발광체(140)는 절연층(130)과 일부 중첩되면서 제2 구역(122) 위에는 적층되지 않도록 절연층(130)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체(140)는 적색 발광 물질, 녹색 발광 물질 또는 청색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체(140)는 전자-정공 쌍의 재조합의 결과로서 발광을 수행하는 발광층(emissive layer)을 구비한다. 또한, 유기발광체(140)는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기발광체(140) 상에는 제2 전극층(150)이 형성된다. 제1 구역(121)에서, 제2 전극층(150)은 절연층(130)의 돌출부(131)를 벗어나지 않도록 절연층(13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구역(122)에서, 제2 전극층(150)은 절연층(130)을 벗어나서 제1 전극층(120) 위에 적층된다.
제2 전극층(150)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층(150)은 투명성 도전체,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나 IZO(Indium zinc oxide; 인듐 징크 옥사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극층(15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OLED 장치가 한면 발광을 할 경우에는, 제1 전극층(120)과 제2 전극층(150) 중 어느 하나가 투명성 전극으로 구성되고, OLED 장치가 양면 발광을 할 경우에는, 제1 전극층(120)과 제2 전극층(150)은 모두 투명성 전극으로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의 제1 전극층에 전원이 연결되는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OLED 장치에서 A-A'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2의 OLED 장치에서 B-B'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구역(121)에는 +전원이 연결되고, 제2 구역(122)에는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연결에 의해, 제1 전극층(120)의 각각의 변에는 +전원과 -전원이 교대로 반복되면서 공급되는 형태가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OLED 장치의 외주 부분의 제1 전극층(120)으로 공급된 +전원은 내측의 제1 전극층(120)을 따라서 제1 전극층(120)과 접촉되는 유기발광체(140)로 전달된다. 이때,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전극층(120)은 제1 구역(121)이 된다. 제1 구역(121)에서, 제1 전극층(120)은 유기발광체(140)와 접촉되면서 제2 전극층(150)과는 접촉되지 않는다. 이는 제1 전극층(120)과 제2 전극층(150) 사이에 절연층(130)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OLED 장치의 외주 부분의 제1 전극층(120)으로 공급된 -전원은 제1 전극층(120)과 접촉되는 제2 전극층(150)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제2 전극층(150)으로 전달된 -전원은 제2 전극층(150)과 접촉되는 유기발광체(140)로 전달된다.
도 7에서, 양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120)과 중간에 위치하는 제1 전극층(120)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역(121)과 제2 구역(122)을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제1 구역(121)과 제2 구역(122)의 경계부가 되는 제1 전극층(120)을 라인(120a)을 따라서 제거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제거된 제1 전극층(120)의 부분에는 절연층(130)을 적층하여 절연을 강화한다.
따라서, 도 7에서 양 단부의 제1 전극층(120)은 제2 구역(122)이 되고, 중간의 제1 전극층(120)은 제1 구역(121)이 되어, 제1 구역(121)과 제2 구역(122)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제2 구역(122)에서, 제1 전극층(120)은 제2 전극층(150)과 접촉되면서 유기발광체(140)과는 접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전극층(120)으로 전달된 +전원과 -전원은 각각 제1 전극층(120) 및 제2 전극층(150)을 따라 전달되어, 제1 전극층(120), 유기발광체(140) 및 제2 전극층(150)를 따라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8은 도 2의 OLED 장치에서 +전원과 -전원의 공급에 따른 전하 분포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OLED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의 제1 전극층(120)에서 각각의 변에는 +전원과 -전원이 교대로 배열되어 공급되는 형태가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OLED 장치(10)에서는 +전원과 -전원 사이의 거리가 에지(모서리)에서는 가깝지만 중앙으로 갈수록 점점더 멀어짐으로써, 중앙과 에지 사이의 휘도 차이가 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OLED 장치에서는, +전원과 -전원이 교대로 배열되어 공급됨으로써, +전원과 -전원 사이의 거리가 위치에 상관없이 가깝게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원과 -전원이 인접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가 미치는 영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전원과 -전원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보다 전하 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OLED 장치(또는 유기발광체)의 에지와 중앙에서의 휘도 차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50mmХ150mm 크기의 유기발광체에서, 에지 부분은 휘도가 500cd라 하면, 중앙 부분은 400cd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전극층(120)의 에지 부분에는 +전원 또는 -전원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123)을 둠으로써, 에지 부분에서 전하 밀도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져 휘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영역(123)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전원과 -전원 중에서 같은 종류의 전원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에지 부분에서 +전원과 -전원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에지 부분의 전하 밀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OLED 장치의 중앙과 에지 사이의 휘도 차이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사각형 형상의 OLED 장치의 각각의 변에 +전원과 -전원이 교대로 배열되는 전원 공급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OLED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전원과 -전원이 함께 배열되는 방식에 의해서도 종래에 비해 유리한 효과를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임의의 곡면 형상의 OLED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OLED 장치
110 : 기판
120 : 제1 전극층
120a : 라인
121 : 제1 구역
122 : 제2 구역
123 : 더미 영역
130 : 절연층
140 : 유기발광체
150 : 제2 전극층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의 주변부를 따라 교대로 형성된 제1 구역과 제2 구역;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유기발광체;
    상기 유기발광체 상의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1 전극층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는 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는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구역에는 상기 제1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2.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되는 제1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 상의 유기발광체;
    상기 유기발광체 상의 제2 전극층;
    상기 제1 전극층의 주변부를 따라 교대로 형성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 및
    상기 제1 전극층의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는 절연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에는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구역에는 상기 제1 전원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은 상기 유기발광체와 접촉되면서, 상기 제2 전극층과는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 구역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접촉되면서, 상기 유기발광체와는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4. 삭제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의 경계부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이 (+) 극성이면 상기 제2 전원은 (-)극성이고,
    상기 제1 전원이 (-)극성이면 상기 제2 전원은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적어도 하나의 변은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이 배치되지 않는 더미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2 구역들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KR1020180057187A 2018-05-18 2018-05-18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KR101958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187A KR101958393B1 (ko) 2018-05-18 2018-05-18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187A KR101958393B1 (ko) 2018-05-18 2018-05-18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013A Division KR101861257B1 (ko) 2011-02-25 2011-02-25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84A KR20180058684A (ko) 2018-06-01
KR101958393B1 true KR101958393B1 (ko) 2019-03-15

Family

ID=6263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187A KR101958393B1 (ko) 2018-05-18 2018-05-18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393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9279B2 (ja) * 2009-05-28 2012-01-11 Tdk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684A (ko) 2018-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65941B (zh) 发光面板和具有它的光源设备
CN100463582C (zh) 有源矩阵有机发光器件
CN103137893B (zh) 具有改善的发光质量的有机发光装置
TWI672811B (zh) 顯示裝置及顯示裝置的製造方法
JP4103045B2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1371B2 (ja) 有機el素子
CN103682144B (zh) 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电源供应装置
CN107180847A (zh) 像素结构、有机发光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H1187052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130082247A1 (en) Light-Emitting Device
KR10195839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KR101861257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JP6143763B2 (ja) 発光デバイスパターンのための改良されたマスキング
US10103202B2 (en) Organic element
KR101820669B1 (ko) 발광 장치
KR10186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전류 공급 장치
KR100866886B1 (ko) 오엘이디 소자의 제조 방법
KR101911285B1 (ko)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110786A (zh) 一种有机电致发光照明器件的布线方法
JP2008123882A (ja) 有機el素子
KR101834277B1 (ko) 발광 장치
KR101903373B1 (ko) 발광장치
US20180151687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07177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1150896A (zh) 发光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1022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10017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