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3373B1 -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373B1
KR101903373B1 KR1020120081059A KR20120081059A KR101903373B1 KR 101903373 B1 KR101903373 B1 KR 101903373B1 KR 1020120081059 A KR1020120081059 A KR 1020120081059A KR 20120081059 A KR20120081059 A KR 20120081059A KR 101903373 B1 KR101903373 B1 KR 10190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power supply
unit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612A (ko
Inventor
조승현
임혁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8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3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3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휘도가 균일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마련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양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음전원을 공급하고, 제1전원공급부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장치 {A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휘도가 균일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장치는 애노드, 상기 애노드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부 및 상기 유기발광부 상에 위치하는 캐소드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장치에 있어서,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면 정공은 애노드로부터 유기발광부 내로 주입되고, 전자는 캐소드로부터 유기발광부내로 주입된다.
유기발광부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유기발광부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애노드, 캐소드, 유기발광부가 공기 중의 수분이나 산소, NOx 등과 접촉하게 되면 성능 및 수명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그 위에는 보호층이 형성된다.
유기발광 장치는 그 자체를 박막으로 제조 가능하여 광원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온도 상승 경향이 적을 뿐 아니라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유기발광장치는 각종 컬러 광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종의 유기 발광 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패널로서도 기능할 수 있어,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각종 조명 기기, 표시 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과 도2는 종래의 유기발광 장치(10)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의한 유기발광장치(10)에서는 발광부(20)의 4변 중 서로 마주보는 2변에는 양전원을 공급하는 패드 형태의 양전원공급부(31)가 설치되고, 나머지 마주보는 2변에는 음전원을 공급하는 패드 형태의 음전원 공급부(32)가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음전원과 양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발광부(20)의 모서리 부분(E)의 휘도가 내부구역(C)의 휘도보다 현저하게 크게 되어, 휘도의 불균일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유기발광장치(10)의 전극의 저항에 의하여 내부구역(C)부분에 상대적을 충분한 전하가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2는 유기발광장치(10)에서 양전원 공급부(31)와 음전원공급부(32)를 상기 발광부(20)의 일측변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양전원공급부(31)와 상기 음전원 공급부(32)를 상기 발광부(20)의 일측변을 따라 설치하는 경우, 그 일측변 방향으로만 전원 공급라인을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유기발광장치(10)의 구성이 매우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으며, 기구적으로도 제약조건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상기 양전원 공급부(31) 및 상기 음전원 공급부(32)로 부터 양전원과 음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양전원 공급부(31) 및 음전원 공급부(32)에 인접한 모서리 및 테두리(E) 부분의 휘도가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게 되어 휘도의 전체적인 불균일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원공급부 배치상의 구조적인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휘도 균일도를 도모할 수 있는 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마련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양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음전원을 공급하고, 제1전원공급부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우회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호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절단부 또는 절연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상기 발광부와 접촉하여 발광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속부와; 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전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수전부 사이에는 상기 제2부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의 양측 테두리에 돌출된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과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전부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연결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극에 배치되는 보조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연결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연결부 상에 배치되는 제1보조전극과, 상기 제1보조전극과 이격되되, 상기 접속부의 일면 양측에 배치되는 제2보조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전극과 상기 제2보조전극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보조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전극과 상기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접속부 및 상기 수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일측은 상기 제2전극의 일부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발광부의 제1측면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발광부의 제1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마련되는 제2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양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제2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음전원을 공급하고, 제1전원공급부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제2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2전원공급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우회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전극 중 일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보조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극은;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호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상기 발광부와 접촉하여 발광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속부와; 상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과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전부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연결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그 배치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연결부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상기 발광부와 접촉하여 발광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속부와; 상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양(음)전원의 공급경로가 음(양)전원의 공급경로를 우회하게 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양전원공급부와 음전원 공급부가 특정한 변에 모두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모두 발광부의 특정변에 연결되기 때문에, 연결된 변 및 그 변인근의 휘도가 높아지고, 그 바깥 부분의 휘도가 저하되어 휘도의 불균형이 발생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전원의 전하 공급경로가 달라지게 되므로, 전하의 분포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균등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휘도의 불균일 현상도 억제될 수 있다는 기술적 장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극성의 전하(예, 양전하)를 우회하는 공급경로에 별도의 바이패스경로, 즉, 본 발명의 보조연결부, 또는 연결보조전극 등을 마련함으로써, 휘도가 저하될 수 있는 부분에 전하를 보충할 수 있어서, 휘도가 종래보다 더 균일해질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과 도2는 종래기술에 의한 발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1실시예의 A-A'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1실시예의 B-B'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6는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1실시예의 C-C'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3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9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제작공정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4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발광장치의 제5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100)는 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장치(100)는 기판(101)과, 상기 기판(101)위에 배치되어 애노드로 기능하는 제1전극(110)과, 상기 제1전극(110)위에 배치되는 보조전극(120)과, 상기 보조전극(120) 및 상기 제1전극(110)의 위에 배치되는 발광부(130)와, 상기 발광부(130)위에 배치되어 캐소드로 기능하는 제2전극(140)이 배치된다
상기 제1전극(110)은 양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210)와 통전가능하게 접속 또는 연결되는 제1부분(111)과, 상기 제1부분(111)과 분리되며 제2전극(140)과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음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부(220)와 통전가능하게 접속 또는 연결되는 제2부분(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원공급부(210)와 상기 제2전원공급부(220)는 패드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111)과 상기 제2부분(112)는 절개라인 또는 절개홈에 의하여 분리되어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111)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210)가 부착되거나 접속되어 전원을 받는 수전부(111a)와, 상기 발광부(140)와 접촉되어 상기 발광부(140)에 전원을 안내하는 접속부(111b)와, 상기 수전부(111a)와 상기 접속부(111b)를 연결하는 연결부(111b)를 포함한다.
상기 수전부(111a)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수전부(111a)는 상기 제2부분(112)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수전부(111a)와 상기 제2부분(112)은 상기 발광부(130)의 일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수전부(111a)는 상기 발광부(130)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111b)는 상기 수전부(111a)와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130)의 양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발광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즉, 상기 연결부(111c)도 상기 발광부(130)와 직접연결되지 않고, 상기 발광부(130)의 측면을 따라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접속부(111b)는 상기 발광부(130)와 통전가능하게 접속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연결부(111c)의 일단부와, 상기 접속부(111b)의 일단부는 상호 연결된다.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접속부(111b)와 상기 연결부(111c)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S)가 마련된다.
상기 공간부(S)는 상기 제1전극(111) 일부는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다만, 예외적으로 상기 접속부(111b)와 상기 연결부(111c)가 이격된 상태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보조연결부(111d)가 마련되는데, 상기 보조 연결부(111d)는 상기 공간부(S)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보조연결부(111d)는 상기 공간부(S)를 형성하기 위해 제1전극(111)을 제거하면서 일부를 남겨둠으로써 형성된다.
전하의 흐름의 상당부분은 상기 접속부(111b)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111c)의 단부 간의 연결구조를 통해서 이동하나, 일부는 상기 보조연결부(111d)를 통하여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부분의 상부에는 보조전극(120)이 마련되는데, 상기 보조전극(120)은 상기 수전부(111a) 및 상기 연결부(111c) 상에 배치되는 제1보조전극(121)과, 상기 접속부(111b) 상에 배치되는 제2보조전극(1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전극(121)과 상기 제2보조전극(122)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분(111)이 상기 발광부(130)의 양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보조전극(120)도 상기 발광부(130)의 양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극(110)의 제1부분(111)의 접속부(111b)는 상기 발광부(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하지만, 상기 보조전극(120)은 상기 발광부(130)와 절연되어야 한다.
상기 보조전극(120)이 상기 발광부(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상기 보조전극(120)의 저항이 상기 제1전극(110)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으므로 그 부분에 전하가 집중되어 상기 발광부(130)에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보조전극(122)의 상부와 측면에는 절연부(150)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130)와 절연시킨다.
한편, 상기 제1전극(110)의 제2부분(112)과, 상기 제1부분(111)의 접속부(111b) 간에도 절연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제1전극(110)의 일부가 제거되어 절단라인 또는 절연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절단라인 또는 절연홈에 절연부(150)를 형성하여 이들 간의 절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발광부(130)를 마련하고, 그 위에 상기 제2전극(140)을 설치한다. 상기 제2전극(140)은 상기 제1전극(110)의 제2부분(112)과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2부분(112)에 접속된 제2전원공급부(220)와 통전된다.
도4는 도3에서 A-A'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판(101)의 상부에는 상기 제1전극(110)의 제1부분(111)의 접속부(111c)와 상기 제2부분(112)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접속부(111c)의 상부에는 상기 발광부(130)가 배치되고, 상기 접속부(111c)의 일측단(본 도면에서는 우측단) 상부에는 보조전극(120)이 마련된다.
상기 보조전극(120) 및 상기 제1부분(111)과 상기 제2부분(112) 사이의 절연홈(170) 사이에는 절연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부(130)의 상부에는 상기 제2전극(140)이 배치된다. 상기 제2전극(140)은 상기 보조전극(120) 및 상기 제1부분(111)과는 절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2부분(112)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2전원공급부(220)로부터 음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5는 도3의 B-B'라인을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상기 기판(101)의 위에는 상기 제1전극(110)의 제1부분(111)을 구성하는 접속부(111b)와 연결부(111c)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부(111c)는 두개로 마련되며 상기 접속부(111b)의 양측에 마련되는데, 상기 연결부(111c)는 상기 접속부(111b)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111c)와 상기 접속부(111b) 사이에는 상기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S)는 상기 제1전극(11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11c)의 상면에는 제1보조전극(121)이 마련된다. 상기 보조전극(121)은 상기 연결부(111c)보다 비저항이 작은 물질로 구성되어 전하의 신속한 이동을 돕는다.
상기 접속부(111b)의 상면 양측에는 제2보조전극(122)이 마련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조전극(121)과 상기 제2보조전극(122)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도5에서는 상기 제1보조전극(121)과 상기 제2보조전극(122)이 이격되는 것을 도시되었지만,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보조전극(121)과 제2보조전극(122)는 '⊃'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전극(122)의 상면과 측면에는 절연부(150)가 마련되어 상기 발광부(130)과 통전이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접속부(111b)의 상부에는 상기 발광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130)의 상부에는 제2전극(140)이 마련된다.
도6은 도3에서 C-C'부분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6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5와 동일하나, 다른 점은 상기 연결부(111c)와 상기 접속부(111b)가 이격되어 있지 아니하고, 보조연결부(111d)에 의하여 연결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11c)를 따라 이동하는 전하의 일부가 상기 보조연결부(111d)를 통하여 상기 접속부(111b)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1c)의 단부와 상기 접속부(111b)의 단부가 연결되어 이 부분으로 대부분의 전하가 이동하고 이렇게 이동한 전하가 상기 발광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일부의 전하는 상기 보조연결부(111d)를 통하여 상기 접속부(111b)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연결부(111d) 인근의 휘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이 도1과 다른 점은 제1보조전극(121)의 단부와 상기 제2보조전극(122)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연결보조전극(123)이 마련된다는 점이다.
상기 연결보조전극(123)의 하부에는 도1과 같은 보조연결부(111d)가 마련될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즉, 도1에서는 상기 보조연결부(111d)를 통하여 전하의 일부가 상기 연결부(111c)에서 상기 접속부(111b)로 이동하였다면, 도7에서는 상기 연결보조전극(123)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111c)에 놓인 제1보조전극(121)으로부터 상기 접속부(111b)에 놓인 제2보조전극(122)로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이다.
도8이 도1과 구별되는 차이점은, 도1에서 나타난 보조연결부(111d)가 없다는 점이며, 상기 연결부(111c) 및 제1보조전극(121)을 따라 이동하는 전하는 본 도면의 우측 단부까지 이동한 다음에, 상기 접속부(111b) 및 상기 제2보조전극(12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이나 도7의 경우에 비하여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위치한 방향의 정반대방향으로 전하가 집중될 수 있어서 그 부분에서의 휘도 저하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제1,2전원공급부가 발광부의 일변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 제1,2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이 상기 제1,2전원공급부와 마주보고 있는 발광부의 일변으로 인가되기 때문에 그 부분의 휘도가 제일 높고, 그 정반대 방향의 휘도가 제일 낮았다.
이는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전원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하와 제2전원공급부에서 공급받는 전하는 발광부의 동일한 변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도1 또는 도7, 도8에서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우회한다.
즉,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와 상기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도1 또는 도7 또는 도8에서 나타난 방향 기준에 의하면, 제1전원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전하는 발광부의 상변과, 하면, 우변 측에 공급된다. 그러나, 제2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전하는 발광부의 좌변측에 공급된다.
따라서, 발광부가 휘도의 불균일 현상이 종전보다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01)에 상기 제1전극(110)을 형성한다.
제1 전극(110)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0)은 투명성 도전체,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나 IZO(Indium zinc oxide; 인듐 징크 옥사이드),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전극부(110)는 ITO로 이루어진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극(110)의 일부를 제거하여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을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110)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은 레이저 스크라이빙과 같은 물리적 방법이나,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과 같은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분(111)은 제1전원공급부(도3참조, 210)가 접속되는 부분이고, 제2부분(112)은 제2전원공급부(도3참조, 220)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1전원공급부(210)로부터 양전하가 공급되면 제2전원공급부(220)로부터는 음전하가 공급된다. 또는, 제1전원공급부(210)로부터 음전하가 공급되면 제2전원공급부(220)로부터는 양전하가 공급된다.
한편, 제1부분(111)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210)가 안착되는 수전부(111a)와, 상기 발광부(도3,4참조, 130)가 안착되어 접속되는 접속부(111b)와, 상기 수전부(111a)와 상기 접속부(111b)를 연결하는 연결부(111c)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부(111b)와 상기 연결부(111c)는 주로 우측 단부에서 연결된 상태를 취하나, 그 이외에 상기 보조연결부(111d)가 마련되어 상기 접속부(111b)와 상기 연결부(111c)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전하는 주로 제Ⅰ방향으로 이동하고, 일부는 Ⅱ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발광부(도3,4참조, 13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111)과 상기 제2부분(112) 사이에는 절단라인, 또는 절단부, 또는 절연라인 또는 절연홈이 마련되어 상호 간의 통전이 되지 않도록 한다.
도11은 상기 제1부분(111)에 배치될 보조전극(120)의 개략도이다.
상기 보조전극(120)은 상기 제1부분(111)에 증착이나, 마스크 패터닝 등의 기법에 의하여 배치될 수 있고, 또는 필름에 의한 부착방식으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상기 보조전극(120)은 상기 제1부분(111)의 수전부(111a) 및 상기 연결부(111c) 위에 배치되는 제1보조전극(121)과, 상기 제1부분(111)의 접속부(111b) 상면의 양 옆에 놓이게 되는 제2보조전극(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전극(121)과 상기 제2보조전극(122)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보조전극(122)의 측단부가 상기 제1보조전극(121)과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제1보조전극(121)과 이격된다.
그리고, 보조전극(120)의 형태는 중간선(L)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마련된다.
도12는 상기 보조전극(120)이 상기 제1전극(110)의 제1부분(111)에 놓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보조전극(121)은 상기 수전부(111a)와 상기 연결부(111c)를 덮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보조전극(122)은 상기 접속부(111b)에서 양 옆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전극(120)이 상기 제1전극(1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전극(120)의 상면과 측면에 절연물질을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절연부(15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부분(112)과 상기 접속부(111b) 사이에도 절연물질을 도포하거나 코팅하여 절연부(150)를 형성한다.
절연물질은 산화규소 또는 질화 규소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진 무기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재질이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111b)위에 상기 발광부(130)를 형성한다.
상기 발광부(130)는 유기발광체로 구성되며,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발광층(emissive layer)를 포함하는 다중 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111b) 상에 CuPc 또는 MTDATA 등의 유기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정공주입층을 형성한다. 정공 주입층 상에 NPB 또는 TPD 등의 유기막을 형성하여 정공 수송층을 형성한다.
또한, 정공 수송층 상에 발광층을 형성한다.
이때, 발광층은 Alq3 또는 Alq3:C545T 등으로 구성된 녹색 발광층, Alq3:DCJTB 등으로 구성된 적색 발광층, SAlq 또는DPVBi등으로 구성된 청색 발광층 및 이들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발광층상에 Alq3 등의 물질층을 형성하여 전자 수송층을 형성한다. 전자 수송층 상에 LiF, BCP:Cs 등의 물질층을 형성하여 전자 주입층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각 층을 구성하는 물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현재 공개되어 있는 다양한 물질층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발광장치(100)의 구조와 특징에 따라 상기 5개 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이 삭제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구조의 층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층들은 단일 막으로 제작되거나 다층막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후,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전극(140)을 형성한다. 상기 제2전극(140)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 예를 들어,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140)은 투명성 도전체,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인듐 틴 옥사이드)나 IZO(Indium zinc oxide; 인듐 징크 옥사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극(14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전극(140)은 상기 제1전극(110)의 제1부분(111) 및 상기 보조전극(120)과 절연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전극(140)은 상기 제2부분(111)과 통전가능하게 연결 또는 접속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부분(112)에 상기 제2전원공급부(220)가 접속되고, 상기 제1부분(111) 또는 상기 제1부분(111)에 놓인 보조전극(120)에 제1전원공급부(210)가 접속된다.
상기 제1전원공급부(210)에서 양전하가 공급되는 경우, 양전하는 상기 제1전극(110)의 제1부분(111) 및 상기 보조전극(120)을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발광부(130)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2전원공급부(220)에서 음전하가 공급되는 경우, 음전하는 상기 제1전극(110)의 제2부분(112) 및 상기 제2전극(140)을 따라서 이동하며, 상기 발광부(130)에 공급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130)에서 빛이 발광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에서는 상기 보조연결부(111d)가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보조연결부(111d) 간의 간격은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배치된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갈 수록 그 간격(S1~S5)이 좁아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배치된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갈 수록 상기 제1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전하량 및 전하 밀도가 커지게 되고, 그 인근 부분에 위치한 발광부(130)에서의 휘도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배치된 방향과 정반대 방향 부분에서 휘도가 낮아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에서도 상기 보조연결부(111d)가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보조연결부(111d)의 폭(W1~W3)이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배치된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갈 수록 넓어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배치된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갈 수록 상기 제1전원공급부(21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전하량 및 전하 밀도가 커지게 되고, 그 인근 부분에 위치한 발광부(130)에서의 휘도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전원공급부(210, 220)가 배치된 방향과 정반대 방향 부분에서 휘도가 낮아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100: 발광장치 101: 기판
110: 제1전극 111: 제1부분
111a: 수전부 111b: 접속부
111c: 연결부 111d: 보조연결부
112: 제2부분 120: 보조전극
121: 제1보조전극 122: 제2보조전극
123: 연결보조전극 130: 발광부
140: 제2전극 150: 절연부
210: 제1전원공급부 220: 제2전원공급부

Claims (22)

  1.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마련되는 제2전극;
    상기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양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상기 제2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음전원을 공급하고, 제1전원공급부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제2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전극을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우회하여 배치되고,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보조전극과 서로 이격되어 대면하는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호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는 절연을 위한 절단부 또는 절연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
    상기 발광부와 접촉하여 발광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속부와;
    상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마련되되,
    상기 복수의 수전부 사이에는 상기 제2부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의 양측 테두리에 돌출된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과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전부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의 접속부 및 상기 수전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그 일측은 상기 제2전극의 일부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타측은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발광부의 제1측면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1부분은 상기 발광부의 제1측면을 제외한 다른 측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6. 기판;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에 마련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마련되는 제2전극;
    상기 기판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양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부;
    상기 제2전극과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음전원을 공급하고, 제1전원공급부의 배치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는 제2전원공급부; 및
    상기 제1전극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2전원공급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우회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기판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제1 보조전극; 및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보조전극과 서로 이격되어 대면하는 제2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1전극 중 일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부 사이의 전하의 이동경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전극 및 상기 제2전원공급부와 통전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부분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은 상호 절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제1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
    상기 발광부와 접촉하여 발광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접속부와;
    상기 수전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단부와 상기 수전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부분과 이격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수전부를 통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1. 삭제
  22. 삭제
KR1020120081059A 2012-07-25 2012-07-25 발광장치 Active KR101903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59A KR101903373B1 (ko) 2012-07-25 2012-07-25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059A KR101903373B1 (ko) 2012-07-25 2012-07-25 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12A KR20140014612A (ko) 2014-02-06
KR101903373B1 true KR101903373B1 (ko) 2018-10-02

Family

ID=5026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059A Active KR101903373B1 (ko) 2012-07-25 2012-07-25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4365B (zh) * 2015-11-18 2018-09-25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制造方法及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612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60805B (zh) 有机电致发光元件
US20080088227A1 (en) Light emitting panel and light sourc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065409B1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US104247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966418B2 (en) Pixel structur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TW201432901A (zh) 有機發光顯示器及其製造方法
KR2014014695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57083B1 (ko) 전기광학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
JP5104152B2 (ja) 有機el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4277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780893B1 (ko) 조명장치에 포함되는 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03373B1 (ko) 발광장치
KR2015000781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7593B1 (ko) 발광 소자
KR101403407B1 (ko) Oled 면광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103202B2 (en) Organic element
KR101861257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KR10071775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11285B1 (ko) 발광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5839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KR100821723B1 (ko) 다 방향 전원인가 유기 발광 소자
KR101820669B1 (ko) 발광 장치
KR10186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전류 공급 장치
KR102399030B1 (ko)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3675196A1 (en) Organic ligh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7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