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7869B1 - 팬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869B1
KR101957869B1 KR1020177024053A KR20177024053A KR101957869B1 KR 101957869 B1 KR101957869 B1 KR 101957869B1 KR 1020177024053 A KR1020177024053 A KR 1020177024053A KR 20177024053 A KR20177024053 A KR 20177024053A KR 101957869 B1 KR101957869 B1 KR 101957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ody portion
nozzle
wall
air f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4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125A (ko
Inventor
리암 크레이그 바클레이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0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8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5Decorative aspects, i.e. features which have no effect on the functioning of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1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 F04F5/46Arrangements of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1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in which secondary air is induced by injector action of the primary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4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F5/02 - F04F5/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팬(fan) 어셈블리(10)는, 공기 입구(22), 공기 출구(18),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80)을 포함하는 몸체(12); 및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16)을 포함하고, 몸체는 하측 몸체 부분(52) 및 상측 몸체 부분(50)을 포함하고, 상측 몸체 부분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내장하고, 하측 몸체 부분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62)를 내장하며, 하측 몸체 부분은 외벽(53)과 내벽(55)을 포함하고, 외벽과 내벽은 내부 공동(59)을 둘러싸는 외부 공동(57)을 규정하고, 제어 회로(62)는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내부 공동 내부에 위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fan)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지만 비배타적으로, 본 발명은 데스크, 타워 또는 받침대 팬과 같은 바닥 또는 탁상용 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가정용 팬은 일반적으로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는 일 세트의 블레이드 또는 베인 및 이 세트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공기 유동의 운동 및 순환에 의해, "윈드 칠(wind chill)" 또는 미풍이 발생되고, 그 결과, 사용자는 열이 대류 및 증발을 통해 소산됨에 따라 냉각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블레이드는 케이지 내부에 위치되어 발생되며, 이 케이지는, 팬의 사용 중에 사용자가 회전하는 블레이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공기 유동이 하우징을 통과할 수 있게 해준다.
WO 2009/030879에는, 팬 어셈블리로부터 공기를 내보내기 위해 케이지형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팬 어셈블리가 기재되어 있다. 대신에, 그 팬 어셈블리는, 기부 안으로 주 공기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내장하는 원통형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되어 있고 환형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환형 노즐을 포함하고, 그 환형 공기 출구를 통해 주 공기 유동이 팬에서 배출된다. 노즐은 중심 개구를 규정하고, 팬 어셈블리의 국부적인 환경 내의 공기가 입구부에서 배출된 주 공기 유동에 의해 그 중심 개구를 통해 흡인되어, 주 공기 유동을 증대시켜 준다.
WO 2010/100452에도 유사한 팬 어셈블리가 기재되어 있다. 기부 내에서 임펠러가 임펠러 하우징 내에 위치되어 있고,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임펠러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버킷 내부에 위치된다. 임펠러 하우징은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지지부에 의해 기부 내에서 지지된다. 각 지지부는 기부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각각의 지지면에 장착된다. 임펠러 하우징과 기부 사이에 기밀한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기부의 내측면과 결합하는 립(lip) 시일이 임펠러 하우징의 외측면에 위치된다.
WO 2010/046691에도 팬 어셈블리가 기재되어 있다. 이 팬 어셈블리는, 기부 안으로 주 공기 유동을 흡인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내장하는 원통형 기부, 및 이 기부에 연결되어 있고 환형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환형 노즐을 포함하고, 그 환형 공기 출구를 통해 주 공기 유동이 팬에서 배출된다.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으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이 필터는 모터 구동식 임펠러의 상류에 제공될 수 있고, 이 경우, 입자는 임펠러를 통과하기 전에 공기 유동에서 제거된다. 이리하여, 팬 어셈블리 안으로 흡인되어 그 팬 어셈블리를 손상시킬 수 있는 부스러기 및 먼지로부터 임펠러가 보호된다. 대안적으로, 필터는 모터 구동식 임펠러의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시, 배출물을 포함하여, 모터 구동식 임펠러를 통해 흡인된 공기를 팬 어셈블리의 요소들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여과 및 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의 일부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대안적인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개선된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그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몸체 장착될 수 있는 노즐;
상기 노즐을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노즐 유지 수단 - 상기 노즐 유지 수단은 노즐이 몸체 유지되는 제 1 상태 및 노즐이 몸체로부터 제거되도록 해제되는 제 2 상태를 가짐 -; 및
노즐 유지 수단을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움직이기 위해 노즐에 위치되어 있는 수동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노즐 유지 수단을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움직이기 위한 수동 조작 부재가 제공됨으로써, 노즐이 몸체로부터 제거되도록 신속하고 숩게 해제될 수 있다. 수동 조작 부재를 노즐에 위치시킴으로써, 수동 조작 부재를 노즐과 함께 들어 올릴 때, 한번의 행위로 노즐을 몸체로부터 해제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일단 노즐이 해제되면, 예컨대 노즐의 청소 또는 교체 또는 필터와 같은 다른 부품의 청소 또는 교체를 위해 노즐은 사용자에 의해 몸체로부터 잡아 당겨질 수 있다.
노즐 유지 수단은 제 1 상태로 편향되며, 그래서 노즐의 그의 통상 상태에서는 몸체에 유지된다. 수동 조작 부재를 제 1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수단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이 편향 수단은 편리하게는 압축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지만, 다른 형태의 편향 수단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수동 조작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노즐 유지 수단을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움직이기 위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수동 조작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누를 수 있다. 수동 조작 부재는 편리하게는, 노즐의 외면에 위치되고 편리하게 사용자에 의해 눌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이 버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노즐의 기부에는 서로 반대편에 있는 2개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고, 그래서 사용자가 기부에서 노즐을 들어 올리면서, 양 손으로 노즐의 기부를 잡아 엄지로 버튼을 누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용이한 제거 방법을 준다.
수동 조작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팬 어셈블리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팬의 사용 중에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를 포함한다. 수동 조작 부재가 그의 제 1 위치에 있을 때 그 시일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표면에 대해 시일링한다.
노즐 유지 수단은 바람직하게 멈춤부를 포함하는데, 이 멈춤부는 제 1 상태에서 노즐을 몸체에 유지시키고 또한 제 2 상태에서는 노즐을 몸체로부터 제거되도록 해제시키기 위해 노즐과 몸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노즐 유지 수단의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노즐에 제공된다.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움직여 노즐을 몸체로부터 제거되도록 해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노즐 유지 수단은 멈춤부를 제 1 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 수단을 포함한다. 이 편향 수단은 편리하게는 노즐 유지 수단을 그의 제 1 상태로 편형시키는 동일한 편향 수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추가적인 편향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멈춤부는 노즐과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수동 조작 부재와 멈춤부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동 조작 부재는 일 단부에 제공되고 멈춤부는 다른 단부에 제공된다. 이 부재가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면, 수동 조작 부재에 대한 수동 압력이 편향 부재의 편향력을 극복하고 수동 조작 부재와 멈춤부가 회전하게 되어, 멈춤부가 몸체로부터의 노즐 제거를 위해 제 2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외면과 결합하여 노즐을 몸체에 유지시킨다. 멈춤부는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외면의 오목부와 결합하여 노즐을 몸체에 유지시킨다.
상기 노즐은 바람직하게 개구를 규정하고,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노즐에서 배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흡인된다. 팬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입구의 상류에서 필터를 포함한다.
위치 고정되지만 한번의 행위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노즐로 인해 사용자 경험은 개선된다. 몸체에 쉽게 위치될 수 있는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래서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입구,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그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몸체 장착될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노즐은, 몸체에서 노즐을 정렬시키는 것을 도와주도록 구성된 상효 협력적인 경사면을 갖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호 협력적인 경사면은 상보적이고, 접촉할 때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고 노즐을 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은, 몸체가 바닥 또는 테이블과 같은 표면 상에 위치되고 경사면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할 때 노즐이 몸체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몸체 상에 있는 노즐에 대한 "셀프 트위스트" 도킹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노즐과 몸체를 완벽하게 정렬시키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다.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물결 모양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물결 모양"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피크와 골을 갖는 꼬불꼬불한 파형 표면을 기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에 있는 상호 협력적인 경사면은 몸체의 정상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에 있는 상호 협력적인 경사면은 노즐의 기부에 있는 채널에 위치하는 표면을 포함한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이지만, 타원형 몸체도 유사하게 기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노즐을 몸체에 유지시키기 위한 노즐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몸체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노즐 유지 수단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포함한다.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피크와 골의 상호 반대편 쌍을 규정한다.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피크에 위치된다. 경사면은 바람직하게는 사로 반대편에 있는 한쌍의 피크와 서로 반대편에 있는 한상의 골을 포함한다.
팬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입구의 상류에서 필터를 포함하고, 그래서 제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그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몸체 장착될 수 있는 노즐; 및
공기 입구의 상류에서 몸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필터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필터는, 몸체와 노즐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 노즐과 몸체의 일부분 사이에서 팬 어셈블리에 구속되어 있게 되며,
노즐이 몸체에서 제거된 후에만 필터가 팬 어셈블리에서 제거될 수 있다.
노즐이 몸체에 장착될 때 필터는 위치 고정되지만, 몸체 또는 노즐에 연결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연결"은, 어느 정도의 상호 맞물림 또는 내부 결합을 암시하고, 필터가 몸체 및 노즐과 접촉한다는 사실도 포함한다. 필터는 간단히 몸체 상으로 하강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노즐과 기부의 결합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필터를 제위치로 내려 보내는 것 외에는 필터와 몸체를 서로 연결시킬 필요가 없다. 이는 필터를 부착하고 제거하는 편리하고 용이한 방법을 제공한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seat)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플랜지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몸체의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하측 몸체 부분과 상측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시트는 상측 몸체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은 편리하게는 상측 몸체 부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편리하게 하측 몸체 부분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하측 몸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하측 몸체 부분에 대해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상측 몸체를 하측 몸체에 대해 앞뒤로 회전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하측 몸체 부분의 직경은 상측 몸체 부분의 직경 보다 크다. 상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필터가 몸체 상에 위치될 때 바람직하게는 시트 상에 안착되고, 필터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게 된다.
팬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필터의 하류 면과 몸체의 공기 입구 사이에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필터와 적어도 몸체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기 위한 시일링 수단을 더 포함한다.
시일링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필터와 팬 어셈블리의 다른 부품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며, 그래서 제 4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그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
공기 입구의 상류에 있고 상류 면과 하류 면을 갖는 필터;
상기 몸체에 있고,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플랜지면을 갖는 시트; 및
필터의 하류 면과 공기 입구 사이에 유동로를 형성하도록 필터와 몸체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기 위한 시일링 수단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몸체에 들어가는 모든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몸체에 들어가는 공기 유동으로부터 미립자를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며, 이는 팬 어셈블리의 내부 작동에 유리하고 또한 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 유동이 미립자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을 보장해 준다. 이리하여, 팬이 위치되는 공간 내의 공기로부터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몸체에 들어가는 공기 모두가 필터를 통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필터의 하류 면과 몸체의 공기 입구 사이에 유동로를 규정하는 시일링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팬 어셈블리가 공기를 몸체 안으로 흡인하면, 그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링 수단은 노즐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링 수단은 몸체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링 수단은 몸체에 제공되는 제 1 시일링 부재 및 노즐에 제공되는 제 2 시일링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링 수단은 필터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일링 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필터에는 적어도 2개의 시일링 부재가 제공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몸체의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시트 상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플랜지면은 몸체의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하측 시일 부재가 바람직하게 필터의 바닥면에 대해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상측 시일 부재가 바람직하게 필터의 상면에 대해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에 제공된다. 시일링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환형이다.
필터가 공기 입구의 상류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서 제 5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 상기 몸체는 하측 몸체 부분 및 이 하측 몸체 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상측 몸체 부분을 가짐 -;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상기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
상기 공기 입구의 상류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측 몸체 부분이 회전할 때 필터가 하측 몸체 부분에 대해 회전하도록 필터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 몸체 부분에 있는 시트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시트는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플랜지면을 갖는다.
상측 몸체는 하측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므로, 필터는 상측 몸체 부분에 있는 시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필터가 적절히 기능하도록, 필터의 하류 면과 몸체의 공기 입구 사이에 유동로를 규정하기 위해 필터가 팬 어셈블리에 시일링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에는 필터와의 시일링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시일이 제공된다. 필터가 상측 몸체 부분 상에 지지된 상태에서, 필터는 그 상측 몸체 부분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 시일은 방해를 받지 않는다. 그러나, 필터가 하측 몸체 부분 상에 지지되면, 상측 몸체 부분이 회전할 때 시일 중의 적어도 하나가 몸체에 끌리게 된다. 이는 공기가 필터 주위에서 누출되어 그 필터를 우회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상측 몸체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몸체 부분과 상측 몸체 부분은 원통형이고 시트는 상측 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하측 몸체 부분의 직경은 상측 몸체 부분의 직경 보다 크다. 상하측 몸체 부분에 대한 다른 형상도 가능한데, 예컨대, 상하측 몸체 부분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다른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측 몸체 부분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측 몸체 부분의 외측 가장자리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상측 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하측 몸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하측 몸체 부분에 대해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진동 기구를 포함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 관형이고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필터는 몸체 주위에 360°로 연장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필터는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필터가 시트 상에 있을 때, 그 필터의 외면은 바람직하게는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게 된다. 이리하여, 필터와 하측 몸체 부분이 매끈한 프로파일을 갖게 되므로 심미적으로 더욱 보기 좋은 제품이 얻어진다. 노즐이 몸체에 장착될 때 필터의 외면이 그 노즐의 기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이는 필터를 팬 어셈블리에 통합하는데 도움이 되고 또한 필터와 하측 몸체 부분이 연속적인 외면을 형성하므로 시각적으로 더욱 보기 좋은 외양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상측 몸체 부분의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부분 및 그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하면에 있는 복수의 쐐기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쐐기형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필터의 주변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쐐기형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필터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 축선 쪽으로 상방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필터가 몸체 상에 배치되면, 쐐기형 돌출부는 시트의 경사 면과 협력하여 필터를 몸체 상에 중심맞춤시킨다. 몸체의 기부가 위치되어 있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 필터가 몸체 상에 스스로 효과적으로 중심맞춤될 수 있도록, 쐐기형 돌출부의 상호협력 면과 경사 면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상기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HEPA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활성탄 천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한다 필터 매체의 가용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터 매체는 바람직하게 주름 잡힐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필터의 필터 매체를 둘러싸는 천공된 쉬라우드(shroud)를 포함한다. 이 쉬라우드는 예컨대 이동 중에 필터 매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더 큰 입자가 필터 매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로 된 구멍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쉬라우드는 필터에 대해 매력적인 외면을 제공하는데, 이는 팬 어셈블리의 몸체와 노즐을 보완한다.
팬 어셈블리에는 바람직하게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가 제공되는데, 그래서 제 6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상기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
상기 공기 입구의 상류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기 몸체에 있고,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플랜지면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는 원통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플랜지면은 몸체의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몸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제 1 부분 및 그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제 2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몸체는 하측 몸체 부분 및 상측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시트는 상측 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몸체 부분의 직경은 상측 몸체 부분의 직경 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다. 필터가 시트 상에 있을 때, 그 필터의 외면은 바람직하게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게 된다.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은 바람직하게 하측 몸체 부분에 대해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진동 기구를 포함한다.
필터는 바람직하게는 하면에 있는 복수의 쐐기형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쐐기형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필터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길이 방향 축선 쪽으로 상방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쐐기형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필터의 주변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필터가 몸체 상에 배치되면, 쐐기형 돌출부는 시트의 경사 면과 협력하여 필터를 몸체 상에 중심맞춤시킨다. 몸체의 기부가 위치되어 있는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 필터가 몸체 상에 스스로 효과적으로 중심맞춤될 수 있도록, 쐐기형 돌출부의 상호협력 면과 경사 면은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한다.
제 7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상기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하측 몸체 부분 및 상측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내장하고,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은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내장하며,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은 외벽과 내벽을 포함하고, 외벽과 내벽은 내부 공동을 둘러싸는 외부 공동을 규정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내부 공동 내부에 위치되는 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하측 몸체 부분의 내부 공동 내부에 제어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유체, 예컨대 물이 팬 어셈블리 안으로 들어감으로 인해 야기되는 손상으로부터 제어 회로의 다양한 부품이 보호될 수 있다. 예컨대, 엎지름으로 인해 유체가 팬 어셈블리와 접촉하면, 그 유체가 팬 어셈블리의 외면에서 이탈하기 쉽다. 그러나, 유체가 팬 어셈블리의 하측 몸체 안으로 침투하면, 외부 공동 안에 모일 것이고, 거기서는 제어 회로의 어떤 부품과도 접촉하지 못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공동은 외벽과 내벽 사이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은 복수의 배출 구멍을 포함한다. 배출 구멍은 유체가 외부 공동에서 나가는 경로를 제공하여, 그 외부 공동이 채워지고 범람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외부 공동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면은 상기 내벽으로부터 외벽 쪽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개는,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외벽에 인접해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 외부 공동 내의 유체를 배출 구멍 쪽으로 보내어 배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벽과 내벽은 환형이다. 내벽은 바람직하게 외벽 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내벽의 정상 가장자리는 상측 몸체 부분의 하면에 인접하여 끝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 케이블을 전달하기 위한 통로가 내벽의 내면에서 외벽의 외면까지 제공되어 있다. 유체가 내부 공동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로에 대해 전력 공급 케이블을 시일링하기 위한 시일링 부재가 바람직하게 제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는 팬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발부가 제공되어 있다. 이 발부는, 바닥면을 팬 어셈블리가 지지되는 표면, 예컨대 바닥 표면 또는 테이블의 표면 보다 높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리하여, 배출 구멍으로부터의 출구가 지지 표면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유체가 외부 공동으로부터 배출 구멍을 통과해 자유롭게 하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입구의 상류에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필터가 제공된다.
팬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 하측 몸체에 대해 상측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진동 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하측 몸체 부분의 외부 공동 내부에 위치된다. 이렇게 해서, 제어 회로의 경우처럼, 유체가 하측 몸체 부분에 들어감으로 인해 야기되는 손상으로부터 회전 수단이 보호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적 사항들은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7 양태 각각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팬의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노즐이 몸체에 결합해 있는 상태에서 도 3의 B-B 선을 따라 취한 전방 단면도이고, 도 5b는 노즐이 몸체에서 해제되어 상태에서 도 3의 B-B 선을 따라 추한 전방 단면도이다.
도 6은 팬의 기부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팬의 기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팬의 기부의 전방 단면도이다.
도 9는 기부에서 제거된 노즐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기부에서 제거된 노즐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팬의 하측 몸체 부분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팬에서 제거된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팬의 몸체에 있는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필터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은 팬(10)의 외부도이고, 도 4 및 5는 도 2 및 3의 A-A 선 및 B-B 선을 따라 각각 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5에서, 노즐의 정상부는 팬(10)의 나머지 부분의 명료성을 개선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개괄적으로, 팬은 몸체(12), 이 몸체(12)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14), 및 몸체(12)에 장착되는 환형 노즐(16)을 포함한다. 필터(14)는 몸체(12)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형 플랜지(54) 상에 안착되고, 몸체로부터 필터의 제거는 노즐(16)의 존재에 의해 방지된다. 필터(14)를 팬(10)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노즐(16)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
환형 노즐(16)은 팬(10)으로부터 주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 출구(18)를 가지며 보어(19)(또는 개구)를 규정하며, 팬 어셈블리(10)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출구(18)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그 보어를 통해 흡인된다. 몸체(12)는사용자가 팬(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팬(10)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해주는 사용자 조작 버튼(20)을 포함한다. 팬(10)에는, 팬(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유닛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원격 제어 유닛은 복수의 사용자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고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유리하게는 노즐(16)에 장착될 수 있다. 다양한 장착 기구를 생각할 수 있지만, 일 실시 형테에서, 원격 제어 유닛에는, 노즐(16) 내부에 수용되는 대응 자석에 부착되는 자석이 제공될 수 있다.
노즐(16)은 기다란 환형으로 되어 있다. 노즐(16)은 환형 내벽(30)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외벽(28)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벽(28, 30) 각각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벽(28, 30) 각각은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를 갖는다. 외벽(28)의 후방 단부는 내벽(30)의 후방 단부 쪽으로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어, 노즐(16)의 후방 단부를 규정한다. 내벽(30)의 전방 단부는 외벽(28)의 전방 단부 쪽으로 외측으로 접혀 있어, 노즐(16)의 전방 단부를 규정한다. 외벽(28)의 전방 단부는 내벽(30)의 전방 단부에 위치해 있는 슬롯 안으로 삽입되며, 이 슬롯에 도입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내벽(30)에 연결된다. 내벽(30)은 축선(X) 주위로 연장되어 있어 노즐(16)의 보어(19)를 규정한다.
내벽(30)은, 내벽(30)의 외면, 즉 보어(19)를 규정하는 면이 복수의 부분을 갖도록 성형되어 있다. 내벽(30)의 외면은 입구부(18)에 인접하여 있는 볼록한 코안다(Coanda)면(32)(입구부(18)는 팬(10)에서 배출된 공기를 그 코안다 표면 위로 보내게 됨), 코안다 면(32)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는 디퓨저 면(34), 및 이 디퓨저 면(34)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는 안내면(36)을 갖는다. 디퓨저 면(34)은 팬(10)에서 배출된 공기의 유동을 돕기 위해 개구(19)의 중심 축선(X)으로부터 테이퍼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테이펴형 면(38)이 안내면(36)의 하류에 위치되어 있다.
외벽(28)의 후방 단부는, 내벽(30)의 후방 단부와 겹쳐 외벽(28)의 내면과 내벽(30)의 외면 사이에서 노즐(16)의 공기 출구(18) 또는 입구부를 규정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공기 출구(18)는 슬롯의 형태이고, 이 슬롯의 폭은 축선(X) 주위로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0.5 내지 5 mm 이다. 외벽(28)과 내벽(30)의 겹침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공기를 내벽(30)의 코안다 면 위로 보내도록 배치되어 있다.
외벽(28)와 내벽(30)은 공기를 공기 출구(18)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통로(44)를 형성한다. 이 내부 통로(44)는 노즐(16)의 보어(19)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노즐(16)은 2개의 만곡된 시일 부재(112)를 더 포함하는데, 이들 시일 각각은 노즐(16)의 정상 만곡부와 바닥 만곡부에서 외벽(28)과 내벽(30)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며, 그래서 노즐(16)의 내부 통로(44)의 만곡부로부터 공기의 누출이 실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입구부(18)는 중앙 개구(19)의 각각의 긴 측에 위치되어 있는 2개의 기다란 출구를 갖는다라고 생각될 수 있다.
주 공기 유동을 입구부(18) 안으로 보내기 위해, 노즐(16)은 내부 통로(44) 내부에 위치되는 복수의 정치식 안내 베인(120)을 포함하는데, 이 안내 베인은 공기 유동의 일부분을 입구부(18) 쪽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안내 베인(120)은 노즐(16)의 외벽(28)의 내면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안내 베인(120)은, 공기 유동이 입구부(18) 안으로 갈 때 그 공기 유동의 속도에 큰 손실이 없도록 만곡되어 있다. 안내 베인(120)들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고, 고르게 서로 이격되어 있어 안내 베인(120) 사이에 복수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가 그 통로를 통해 입구부(18)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안내 베인(120)들이 고르게 이격되어 있기때문에, 입구부(18)의 상기 부분의 길이를 따라 공기 흐름이 실질적으로 고르게 분산된다.
안내 베인(120)은, 외벽(28)의 내면과 내벽(30)의 외면의 겹침 부분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각 안내 베인(120)의 일부분이 노즐(16)의 내벽(30)의 외면과 결합하도록 바람직하게 성형되어 있다. 이는 각 출구의 폭을 입구부(18)의 각 부분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출구(18)의 폭을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외벽(28)의 내면과 내벽(30)의 외면의 겹침 부분들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스페이서가 입구부(18)의 각 부분의 길이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외벽(28)은 몸체(12)의 개방 상단부에 연결되는 기부(40)를 포함하며, 이 기부는 개방 하단부를 가지며, 이 하단부는 몸체(12)로부터 주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공기 입구(42)를 제공한다.
노즐(16)의 기부(40)에는, 기부(40)의 내부 주변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시일링 부재(130)가 제공되어 있다. 시일링 부재(130)는 환형 고무 시일이고, 노즐(16)의 기부(40)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 부재(132)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32) 자체는 환형이고 공기 입구(42)를 둘러싸며 에컨대 복수의 스크류에 의해 노즐(16)의 기부(40)에 부착된다.
도 6 내지 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몸체(1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하측 몸체 부분(52) 상에 장착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본체 부분(50)을 포함한다. 이 본체 부분(50) 및 하측 몸체 부분(52)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본체 부분(50)은 하측 몸체 부분(52)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환형 플랜지(54)의 외측 가장자리가 하측 몸체 부분(52)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도록 환형 플랜지(54)가 본체 부분(50)의 하측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환형 플랜지(54)는 본체 부분(5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제 1 부분(54a), 및 이 제 1 부분(54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테이퍼져 있는 제 2 부분 (54b)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50)과 환형 플랜지(54)의 연결부에서 환형 시일(56)이 본체 부분(50) 주위에 제공되어 있다. 환형 시일(56)은 편리하게는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환형 플랜지(54)의 제 1 부분(54a)과 본체 부분(50)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령 리브(60)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환형 홈(58)에 수용된다.
팬(10)은 노즐(16)을 몸체(12)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도 5a는 노즐(16)이 몸체(12) 상에 유치되어 있을 때 그 기구의 제 1 상태를 도시하고, 도 5b는 노즐(16)이 몸체(12)로부터 해제될 때 그 기구의 제 2 상태를 도시한다. 노즐(16)을 몸체(12) 상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기구는, 노즐(16)의 상호 반대 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멈춤부(200)를 포함한다. 각 멈춤부(200)는, 노즐(16)을 몸체(12) 상에 유지시키기 위한 전개 위치와 노즐(16)이 몸체(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다. 압축 스프링과 같은 탄성 요소(204)가 멈춤부(200)를 그의 전개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노즐(16) 내부에 위치되어 있다.
노즐(16)은 상호 반대 측에 있는 2개의 조작 버튼(202)을 포함하는데, 이 조작 버튼은 노즐(16)이 몸체 상에 유지되는 전개 위치와 노즐(16)이 몸체(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멈춤부(200)를 움직이도록 조작될 수 있다. 버튼(202)은, 멈춤부(200)가 그의 전개 위치에 있는 제 1 위치에서 멈춤부(200)가 그의 후퇴 위치에 있는 제 2 위치로의 회전 운동을 위해 노즐(16)에 장착되어 있다. 버튼(202)의 제 1 및 2 위치는 도 5a 및 5b에 각각 나타나 있다. 버튼(202)은, 버튼(202) 뒤에 제공되어 이 버튼을 제 1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 요소(204)에 의해 제 1 위치로 편향된다. 탄성 요소(204)의 강도는, 손가락으로 노즐(16)을 잡아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 편향력이 극복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노즐(16)에 버튼(202)을 제공하는 이점은, 한번의 단계로 노즐(16)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제시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는 단순히 노즐(16)을 잡아 버튼(202)을 누르고 노즐(16)을 기부(12)로부터 들어올리면 된다.
노즐(16)의 기부(40)는 상호 반대 측에 있는 2개의 구멍(206)을 포함하는데, 이들 구멍은 버튼(202)의 직경 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 버튼(202)이 그 구멍(206)을 통과해 돌출할 수 있다. 버튼(202)의 주변을 둘러싸는 고무 시일(208)이 제공되어 있고, 버튼(202)이 그의 제 1 위치에 있을 때, 그 시일(208)은 가압되어, 구멍(206)의 주변을 둘러싸는 기부(40)의 내벽과 사일링 결합하게 된다. 이리하여, 팬(10)의 사용 중에 공기가 구멍(206) 밖으로 유출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a, 5b 및 6에서 가장 볼 수 있듯이, 기부(12)의 본체 부분(50)의 외면은 상호 반대 측에 있는 한쌍의 오목부(210)를 포함한다. 멈춤부(200)가 전개 위치에 있을 때, 그 멈춤부는 기부(12)의 본체 부분(50)의 외면에 있는 오목부(210)에 결합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노즐(16)을 잡아 팬 장치(10)를 들어올릴 때, 노즐(16)이 몸체(1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202)을 누르면, 이 버튼이 멈춤부(200)를 그의 전개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움직이게 된다. 후퇴 위치에서 멈춤부(200)는 오목부(210)와 결합하지 않고 노즐(16)이 몸체(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제 도 6 내지 10을 참조하면, 노즐(16)의 기부(40) 및 기부(12)의 본체 부분(50)은, 서로 협력하여 노즐(16)을 기부(12)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는 상보적인 부분을 포함한다. 노즐(16)의 기부(40)는 공기 입구(42)를 둘러싸는 환형 채널(134)을 포함한다. 이 환형 채널(134)은 외측 환형 벽(148)과 내측 환형 벽(150)에 의해 형성된다. 외측 환형 벽(148) 및 내측 환형 벽(150)은 노즐(16)로부터 아래쪽에 달려 있고, 내측 환형 벽(150)은 외측 환형 벽(148)을 넘어 연장되어 있어, 노즐(16)이 기부(12) 상에 위치될 때 기부(12)의 본체 부분(50) 안으로 진입하게 된다. 환형 채널(134)은 물결 모양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어, 아래쪽에서 볼 때, 환형 채널은 상호 반대 측에 있는 2개의 낮은 지점(136a,b) 및 상호 반대 측에 있는 2개의 높은 지점(138a,b)을 갖는다. 낮은 지점(136a,b)을 이등분하는 선이 높은 지점(138a,b)을 이등분하는 선과 직교하도록 환형 채널(134)의 낮은 지점(136a,b)이 높은 지점(138a,b)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환형 채널(134)의 낮은 지점(136a,b)은 노즐(16)의 버튼(202)과 정렬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2개의 리브(140)가 노즐(16)의 후방 절반부에서 환형 채널(134)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고, 기부(12)에 노즐(16)을 정확히 부착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기부(12)의 본체 부분(50)은 본체 부분(12)의 측벽을 규정하는 외부 케이싱(24)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50)은 원통형이고 외부 케이싱(24)의 정상 가장자리(26)는 물결 모양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상호 반대 측에 있는 2개의 높은 지점(142a,b) 및 상호 반대 측에 있는 2개의 낮은 지점(144a,b)을 갖는다. 높은 지점(142a,b)을 이등분하는 선이 낮은 지점(144a,b)을 이등분하는 선과 직교하도록 외부 케이싱(24)의 정상 가장자리(26)의 높은 지점(142a,b)이 외부 케이싱(24)의 정상 가장자리(26)의 낮은 지점(144a,b)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도 10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위치 잡기 노치(146)가 정상 가장자리(26)로부터 아래에 달려 있는 외부 케이싱(24)의 후방부에 제공되어 있다. 외부 케이싱(24)의 외면에 있는 오목부(210)는 정상 가장자리(26)의 높은 지점(142a,b)에 인접해 있다.
노즐(16)을 기부(12)에 부착할 때, 노즐(16)이 정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즐(16)이 기부(12)에 부정확하게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즐(16)에는 리브(14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리브는 노즐(16)의 후방부에서 환형 채널(134)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리브(140)는 외부 케이싱(24)의 정상 가장자리(26)의 후방부에 제공되어 있는 노치(146)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노즐이 정확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 있다. 만약 노즐(16)을 부정확한 위치에 부착하려 하면, 리브(140)가 외부 케이싱(24)의 정상 가장자리(26)에 부딪혀 노즐(16)이 기부(12) 안으로 더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노즐(16)의 후방부가 기부(12)의 후방부와 정렬되도록 주의를 기울이면, 외부 케이싱(24)의 외면에 있는 멈춤부(200)와 버튼(202)이 일반적으로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 노즐(16)을 기부(12) 상으로 내려보낼 수 있다. 외부 케이싱(24)의 물결 모양 정상 가장자리(26)는 노즐(16)의 기부(40)의 환형 채널(134)에 수용된다. 외부 케이싱(24)의 높은 지점(142a,b)이 외부 케이싱의 낮은 지점(136a,b) 내부에 수용되도록, 정상 가장자리(26)와 환형 채널(134)의 물결 모양 면들은 서로 상보적이다. 유사하게, 외부 케이싱(24)의 낮은 지점(144a,b)은 환형 채널(134)의 높은 지점(138a,b)과 정렬된다. 상기 면들의 상보적인 특성, 외부 케이싱(24)의 물결 모양 정상 가장자리(26)는 정확한 위치에 수용될 때까지 환형 채널(134)의 물결 모양 면 위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형 채널(134)에 대한 정상 가장자리(26)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노즐(16)이 노즐(16)과 기부(12)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이리하여, 노즐(16)을 기부(12)에 정확히 정렬시키는 사용자에 의존하지 않는 편리한 위치 잡기 기구가 제공된다.
이제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본체 부분(50)은 몸체(12)의 외부 케이싱(24)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구멍의 형태로 된 공기 입구(22)를 포함하며, 이 공기 입구를 통해 주 공기 유동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체(12) 안으로 흡인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공기 입구(22)는 본체 부분(50)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몸체(12)의 외부케이싱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일련의 구멍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공기 입구(22)는 외부 케이싱(24)에 형성되어 있는 창(window) 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그릴 또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부분(50)은, 노즐(16)의 기부(40)에 연결되고 또한 주 공기 유동이 몸체(12)로부터 노즐(16)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다(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입구(22)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본체 부분(50)의 하측면은 소음 흡수 재료(23), 바람직하게는 음향 발포(foam) 재료로 라이닝되어 있어, 팬(10)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소음을 억제한다.
하측 몸체 부분(5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동에 응하여 팬(1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위에서 언급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제어 회로(전체적으로 "62"로 표시되어 있음)를 포함한다. 하측 몸체 부분(52)은 이 하측 몸체 부분(52)에 대해 본체 부분(50)을 회전시키기 위한 진동 기구를 또한 내장한다. 진동 기구의 작동은 원격 제어 유닛에 있는 적절한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에 따라 제어 회로(62)에 의해 제어된다. 하측 몸체 부분(52)에 대한 본체 부분(50)의 각 진동 사이클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60°내지 120°이고, 진동 기구는 분당 약 3 내지 5 회의 진동 사이클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팬(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전원 케이블(64)이 하측 몸체 부분(5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이제 도 11을 참조하면, 하측 몸체 부분(52)은 외벽(53) 및 내벽(55)을 포함하고, 외벽은 하측 몸체 부분(52)의 외부 원통형 표면을 규정한다. 외벽(53)과 내벽(55) 사이에는 제 1 공동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내벽은 환형이고 내부 공동(59)을 형성하며, 이 내부 공동은 제어 회로(62) 및 진동 기구와 같은 하측 몸체부분(52)의 모든 전기 부품을 에워싼다. 공동(57)은 물 또는 다른 액체가 기부(12) 안으로 들어갈 때 하측 몸체 부분(52)의 전기 부품을 보호해 준다. 팬(10)이 액체, 예컨대 엎질러진 음료와 접촉하면, 기부(12)에 침투하는 물은 채널(57) 내부에 수용될 것이고, 내부 공동(57)에 들어가 제어 회로(62)와 같은 하측 기부 부분(52)의 전기 부품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배출 구멍(41)이 제 1 공동(57)의 바닥면(43)에 제공되어 있다. 이 배출 구멍(41)은 제 1 공동에 모인 물이 하측 기부 부분(52) 밖으로 유출하여 팬 어셈블리(10)가 지지되는 표면 상으로 갈 수 있게 해주는 출구를 제공한다. 도 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바닥면(43)은 하측 몸체 부분(52)의 길이 방향 축선으로부터 외측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어, 액체는 배출 구멍(41) 쪽으로 흐르게 된다. 도 7 및 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하측 몸체 부분(52)에는, 바닥 또는 테이블과 같은 표면 상에 팬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발부(89)가 제공되어 있다. 이 발부(89)는 바닥면(43)을 팬 어셈블리(10)가 지지되는 표면 보다 높게 있게 하여, 배출 구멍(41)에서 나가는 액체를 위한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제 1 공동(57)을 통과하는 통로(87)가 제공되어 있어, 전력 공급 케이블(64)을 전자 회로(62)로부터 전달한다. 통로(87)는, 전력 공급 케이블(64)이 제 1 공동(57) 내의 액체와 접촉하지 않게 해주고, 통로(87)와 전력 공급 케이블(64) 사이에는 시일이 제공되어 액체 침입을 방지한다.
이제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14)가 나타나 있다. 이 필터(14)는 관형의 배럴식 필터이고, 2-부분 구조의 필터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필터 매체의 어떤 수의 대안적인 조합이라도 가능하지만, 필터(14)는 활성탄 천의 내층(162)을 둘러싸는 주름형 HEPA 필터의 외층(160)을 포함한다. 이들 두 층(160, 162)은 정상 및 바닥 엔드 캡(164, 166)에 의해 내포되어 있고, 이들 엔드 캡은 대체로 U-형의 단면을 갖는 환형 부재이다. 필터(14)는 관형 플라스틱 부재의 형태로 된 천공된 쉬라우드(168)를 더 포함하고, 이 쉬라우드는 필터 매체를 둘러싸고, 팬(10)의 사용시 필터(14)의 공기 입구(170)로서 작용하는 일련의 구멍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공기 입구(170)는 쉬라우드(168)에 있는 창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그릴 또는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대안적인 패턴의 공기 입구 어레이도 가능하다.
도 1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쉬라우드(168)는 연결 링(172)에 의해 바닥 엔드 캡(166)에 연결되며, 연결 링은 쉬라우드(168)와 바닥 엔드 캡(166)에 접착되어 이것들을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쉬라우드(168)는 예컨대 이동 중에 필터 매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필터(14)에 대한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외면을 제공하며, 그 외면은 팬(10)의 전체적인 외양과 조화를 이룬다. 쉬라우드(168)는 필터(14)에 대한 공기 입구(170)를 규정하고, 일련의 구멍의 크기는, 더 큰 입자가 필터(14)에 들어가 필터 매체를 차단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 링(172)의 하면(174)에는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쐐기형 돌출부(176)가 제공되어 있다. 이 쐐기형 돌출부(176)는 길이 방향 축선 쪽으로 연결 링(172)의 외주로부터 내측 상방으로 경사져 있다. 필터(14)는 팬(10)의 다른 구성품과 상호 맞물리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헐거운 끼워맞춤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필터가 팬(10)의 기부(12) 상에 위치되면 환형 플랜지(54) 상에 안착되며, 쐐기형 돌출부(176)는 환형 플랜지(54)의 테이퍼형 제 2 부분(54b)과 협력하여 필터(14)를 기부(12) 상에 중심 맞춤시키는 것을 도와 준다. 팬(10)이 안착되어 있는 표면에 필터(14)가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까지 쐐기(176)는 테이퍼형 부분(54b)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진동 기구가 작동되어 본체 부분(50)이 하측 몸체 부분(52)에 대해 진동하면, 필터(14)는 본체 부분(50)과 함께 움직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14)가 팬(10)의 기부(12) 상에 위치될 때 환형 플랜지(54) 상에 안착된다. 환형 시일(56)은 필터(14)의 바닥 엔드 캡(166)에 대해 시일을 형성하여, 필터(14)의 바닥과 기부(12) 사이에서의 공기 누출을 방지한다. 필터(14)는 본체 부분(50)의 공기 입구(22)의 상류에 위치되며, 그래서 임펠러(80)에 의해 본체 부분(50) 안으로 흡인된 공기는 본체 부분(50)에 들어가기 전에 여과된다. 이는 팬(10)에 대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입구부(18)에서 배출된 공기에 입자가 없도록 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16)이 몸체(12) 상에 위치되면, 노즐(16)의 기부(40)에 있는 시일링 부재(130)가 필터(14)의 정상 엔드 캡(164)에 대해 시일을 형성하여, 필터(14)의 정상과 노즐(16) 사이에서의 공기 누출을 방지한다. 필터(14)에 대한 정상 및 바닥 시일은 유동로를 규정하여, 임펠러(80)에 의해 본체 부분(50) 안으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14)를 통과해야 한다.
다시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본체 부분(50)은 덕트(70)를 포함하고, 이 덕트는 덕트(70)의 공기 입구(72)를 규정하는 제 1 단부 및 이 제 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덕트(70)의 공기 출구(74)를 규정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덕트(70)는, 이 덕트(70)의 길이 방향 축선이 몸체(12)의 길이 방향 축선과 공선적이고 또한 공기 입구(72)가 공기 출구(74) 아래에 위치되도록 본체 부분(50) 내부에 정렬되어 있다.
공기 입구(72)는 덕트(70)의 외벽(77)의 외측으로 벌어진 입구 부분(76)에 의해 규정된다. 외벽(77)의 입구 부분(76)은 외벽(77)의 임펠러 하우징(78)에 연결되어 있다. 임펠러 하우징(78)은 주 공기 유동을 팬(10)의 몸체(12) 안으로 흡인하기 위해 임펠러(80)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임펠러(80)는 혼합류 임펠러이다. 임펠러(80)는 대체로 원추형인 허브(82)이 허브(82)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임펠러 블레이드(84), 및 허브(82)와 블레이드(84)를 둘러싸도록 블레이드(84)에 연결되어 있는 대체로 절두 원추형인 쉬라우드(86)를 포함한다. 블레이드(84)는 바람직하게 허브(82)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고, 이 허브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임필러(80)는 회전 축(90)에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 축은 임펠러(80)를 구동시켜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9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회전 축선은 덕트(70)의 길이 방향 축선과 공선적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 모터(92)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 회로(62)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속도를 갖는 DC 브러시레스 모터이다. 모터(92)의 최대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 rpm 이다. 모터(92)는 모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덕트(70)의 외벽(77)은 모터 하우징을 둘러싸고, 모터 하우징은 덕트(70)의 내벽(95)을 제공한다. 따라서 덕트(70)의 벽(77, 95)은 덕트(70)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환형 공기 유동로를 규정한다. 모터 하우징은 모터(92)를 지지하는 하측 부분(96) 및 이 하측 부분(96)에 연결되는 상측 부분(98)을 포함한다. 축(90)은 모터 하우징의 하측 부분(9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해 돌출되어 있어, 임펠러(80)가 축(90)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92)는, 상측 부분(98)이 하측 부분(96)에 연결되기 전에, 모터 하우징의 하측 부분(96) 안으로 삽입된다.
모터 하우징의 하측 부분(96)은 대체로 절두 원추형이고, 덕트(70)의 입구(72) 쪽으로 가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임펠러(80)의 허브(82)는, 모터 하우징의 하측 부분(96)의 연속적인 부분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원추형 내면을 갖는다.
모터 하우징의 상측 부분(98)은 대체로 원추형이고, 덕트(70)의 공기 출구(74) 쪽으로 내측으로 테이퍼져 있다. 모터 하우징의 상측 부분(98)은 환형 디퓨저(100)를 포함한다. 이 디퓨저(100)는 공기 유동을 덕트(70)의 공기 출구(74)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블레이드(102)를 포함한다. 이들 블레이드(102)의 형상은, 공기 유동이 디퓨저(100)를 통과할 때 곧게 되도록 되어 있다. 디퓨저(100)는 11개의 블레이드(102)를 포함한다. 블레이드(102) 중의 하나는 모터(92)까지 이르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통로를 규정한다.
덕트(70)의 외벽(77)은 임펠러 하우징(78)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디퓨저 하우징(104)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은 디퓨저(100) 주위에 연장되어 있다. 디퓨저 하우징(104)은 덕트(70)의 공기 출구(74)를 규정한다. 디퓨저 하우징(104)의 내면에는 블레이드(102)의 외측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홈들이 제공되어 있다. 디퓨저 하우징(104) 및 모터 하우징의 상측 부분(98)은 덕트(70)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로의 디퓨저 부분을 규정한다.
모터 하우징의 상측 부분(98)은 천공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의 상측 부분(98)의 내면은 소음 흡수 재료, 바람직하게는 음향 발포 재료로 라이닝되어 있어, 팬(10)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넓은 대역의 소음을 억제한다. 모터 하우징의 상측 부분(980에 있는 구멍이 모호하게 되지 않도록 소음 흡수 재료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다.
예컨대 이동 중에 모터 하우징이 본체 부분(5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 부분(50)의 상측 부분에는 유지 링(124)이 제공되어 있다. 이 유지 링(124)에는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4개의 오목부(126)가 제공되어 있고, 이의 정상측을 도 6에서 볼 수 있다. 각 오목부(126) 내부에는 발포 패드가 위치되어 있다.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된 발포 패드는, 유지 링(124)이 본체 부분(50)에 고정되면, 디퓨저 하우징(104)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는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된 대응하는 부재(128)에 발포 패드가 안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발포 패드는 진동이 모터 하우징(94)으로부터 유지 링(124)에 전달되는 것을 줄여준다.
유지 링(124)은 환형 시일링 부재(154)를 더 포함한다. 이 환형 시일링 부재(154)는 유지 링(124)의 주변 주위에 연장되어 있고, 유지 링(124)의 외면과 본체 부분(50)의 내면 사이에 잡혀 있다. 시일링 부재(154)는, 모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선 쪽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립(lip)(156)을 가지고 있다. 이 립(156)은, 노즐(16)이 기부(12)의 본체 부분(52)에 위치되면 립(156)이 환형 채널(134)의 내벽을 규정하는 아래쪽에 달려 있는 내부 환형 벽(150)의 외면에 대해 시일링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시일은 공기가 본체 부분(50)의 공기 출구(74)로부터 노즐(16)의 공기 입구(42) 안으로 들어갈 때 그 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이리하여, 팬(10)은 필터(14)가 없는 경우에도 기능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임펠러 하우징(78)은 몸체(12)의 본체 부분(50) 내에 위치되어 있는 환형 시트(seat)(106)에 장착된다. 이 시트(106)는 시트(106)의 상면이 임펠러(80)의 회전 축선(Z)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외부 케이싱(24)의 내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임펠러 하우징(78)과 시트(106) 사이에는 환형 시일(108)이 위치되어 있다. 환형 시일(108)은 바람직하게는 발포 환형 시일이고, 바람직하게는 폐쇄 셀 발포 재료로 형성된다. 환형 시일(108)의 외경은 바람직하게 외부 케이싱(24)의 내경 보다 작게 되어 있어, 환형 시일(108)은 외부 케이싱(24)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다.
팬(10)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버튼(20) 또는 원격 제어기에 있는 버튼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 회로(62)가 모터(92)를 작동시켜 임펠러(80)를 회전시킨다. 임펠러(80)의 회전에 의해, 주 공기 유동이 필터(14)의 공기 입구(170), 필터 매체의 2개의 층(162, 164)를 통해 흡인되고 그리고 공기 입구(22)를 통해 몸체(12)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해서 입자가 공기 입구(22)의 상류에서 공기 유동으로부터 제거되어 몸체(12)에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에 있는 적절한 버튼을 눌러, 모터(92)의 속도 및 공기가 몸체(12) 안으로 흡인되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모터(92)에 의해 임펠러(80)가 회전하면 진동이 발생되어 모터 하우징과 임펠러 하우징(78)을 통해 시트(106) 쪽으로 전달된다. 임펠러 하우징(78)과 시트(106)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환형 시일(108)이 덕트(70), 임펠러(80) 및 모터 하우징과 모터(92)의 중량을 받아 압축되어, 시트(106)의 상면과 임펠러 하우징(78)과 시일링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환형 시일(108)은, 본체 부분(50)의 외부 케이싱(24)의 내면과 덕트(70)의 외벽(77) 사이의 경로를 따라 주 공기 유동이 덕트(70)의 공기 입구(72)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진동이 시트(106) 및 팬(10)의 몸체(12)에 전달되는 것을 줄여준다.
공기 입구(22)를 통해 몸체(12)에 들어가는 공기 유동은 덕트(70)의 공기 입구(72)로 가게 된다. 덕트(70) 내에서, 주 공기 유동은 임펠러 하우징(78) 및 디퓨저 하우징(104)를 통과하여 덕트(70)의 공기 출구(74)에서 배출되어 노즐(16)의 공기 입구(42)에 들어가게 된다.
노즐(16)의 내부 통로(44) 안에서, 주 공기 유동은, 노즐(16)의 보어(19) 주위에서 서로 반대의 각도 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할된다. 이 공기 흐름이 내부 통로(44)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가 공기 출구(18)를 통해 배출된다. 주 공기 유동이 공기 출구(18)로부터 배출됨으로써, 외부 환경, 구체적으로 노즐(16)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공기가 동반되어 이차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이 이차 공기 유동은 주 공기 유동과 결합하여, 노즐(16)로부터 앞으로 나가는 결합된 또는 총 공기 유동 또는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각 공기 흐름은 노즐(16)의 내부 통로(44)의 2개의 수직 연장 부분 각각에 들어가, 내부 통로(44)의 이들 부분 각각을 통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전달된다. 내부 통로(44)의 이들 각 부분 내에 위치되어 있는 안내 베인(120) 세트가 공기 흐름을, 입구부(18)에서 내부 통로(44)의 수직 연장 부분에 인접해 있는 부분 쪽으로 보내게 된다. 각 안내 베인(120)은 공기 흐름의 각각의 부분을 입구부(18)의 상기 부분 쪽으로 보내어, 공기 흐름이 입구부(18)의 상기 부분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된다. 안내 베인(120)은, 공기 흐름의 각 부분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방향으로 입구부(18)에 들어가도록 성형되어 있다.
입구부(18)로부터 배출된 주 공기 유동은 노즐(14)의 코안다 면(34) 위로 보내지고, 이리하여, 외부 환형, 구체적으로 입구부(18) 주위의 영역 및 노즐(16)의 후방부 주위로부터 공기가 동반되어 이차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 이 이차 공기 유동은 주로 노즐(16)의 중심 개구(19)를 통과하고, 이 개구에서 이차 공기 유동은 주 공기 유동과 결합하여, 노즐(16)로부터 앞으로 나가는 총 공기 유동 또는 공기 흐름이 생성된다.
주 공기 유동이 노즐(16)의 입구부(18)를 따라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공기 유동이 디퓨저 면(34) 위를 고르게 지나가게 된다. 디퓨저 면(34)에 의해, 공기 유동이 제어된 확장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공기 유동의 평균 속도가 낮아진다. 개구(19)의 중심 축선(X)에 대한 디퓨저 면(34)의 각도가 비교적 작기 때문에, 공기 유동의 확장이 점진적으로 일어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가혹하거나 빠른 발산으로 인해 공기 유동은 교란되어 확장 영역에서 와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와류는 공기 유동에서 난류 및 관련 소음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특히 팬과 같은 가정용 제품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안내 베인(120)이 없으면, 주 공기 유동의 대부분은 입구부(18)의 상측 부분을 통해 팬(10)을 떠나고 또한 개구(19)의 중심 축선에 대해 예각을 이루어 위쪽으로 입구부(18)를 떠나게 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그 결과, 팬(1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 내에서 공기의 고르지 않은 분산이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팬(10)에서 나가는 공기 유동의 대부분은 디퓨저 면(34)에 의해 적절히 확산되지 않을 것이고, 그래서, 훨씬 더 큰 난류의 공기 흐름이 발생된다.
디퓨저 면(34)을 넘어 앞으로 나가는 공기 유동은 계속 발산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개구(19)의 중심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안내 베인(36)이 존재함으로써, 공기 유동이 사용자 쪽으로 또는 방 안으로 집중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화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팬의 기부와 노즐은 다른 형상 및/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입구부의 출구는 수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입구부의 출구는 공기 유동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간격으로 넓어지지나 좁아질 수 있다. 입구부에서 배출된 공기 유동은 코안다 면과 같은 면 위를 지날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공기 유동은 인접한 면 위를 지나지 않고 입구부를 통해 배출되어 팬에서 앞으로 나갈 수 있다. 코안다 효과는 다수의 다른 표면 위에서 얻어질 수 있고, 또는 다수의 내부 또는 외부 디자인을 조합적으로 사용하여 필요한 유동 및 동반을 얻을 수 있다. 디퓨저 면은 다양한 다른 길이 및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 면은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팬 성능의 다른 팬 요건 및 다른 종류에 대해 필요에 따라 다수의 다른 위치 및 배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Claims (25)

  1. 팬(fan) 어셈블리로서,
    공기 입구, 공기 출구, 및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고 또한 상기 공기 유동을 배출하기 위한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하측 몸체 부분 및 상측 몸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은 상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내장하고,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은 상기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내장하며,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은 하측 몸체 부분에 대해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은 외벽과 내벽을 포함하고, 외벽과 내벽은 내부 공동을 둘러싸는 외부 공동을 규정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내벽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내부 공동의 내부에 위치되는, 팬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동은 외벽과 내벽 사이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복수의 배출 구멍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외부 공동 주위에 각도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외벽에 인접해 위치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내벽으로부터 외벽 쪽으로 아래로 경사져 있는, 팬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내벽은 환형인, 팬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은 외벽 보다 높은(taller), 팬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는 팬 어셈블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발부가 제공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입구의 상류에서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관형이고,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팬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몸체 주위에 360°로 연장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HEPA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활성탄 천을 포함하는 필터 매체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필터의 필터 매체를 둘러싸는 천공된 쉬라우드(shroud)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필터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seat)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환형 플랜지면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팬 어셈블리.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몸체 부분 및 상측 몸체 부분은 원통형이고, 하측 몸체 부분의 직경은 상측 몸체 부분의 직경 보다 큰, 팬 어셈블리.
  21.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하측 몸체 부분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면 내에 있는, 팬 어셈블리.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진동 기구인 팬 어셈블리.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몸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은 하측 몸체 부분의 내부 공동 내부에 위치되는, 팬 어셈블리.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개구를 규정하고,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노즐에서 배출된 공기에 의해 상기 개구를 통해 흡인되는, 팬 어셈블리.
KR1020177024053A 2015-02-13 2016-02-10 Expired - Fee Related KR101957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02482.1A GB2535462B (en) 2015-02-13 2015-02-13 A fan
GB1502482.1 2015-02-13
PCT/GB2016/050306 WO2016128736A1 (en) 2015-02-13 2016-02-10 A f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125A KR20170108125A (ko) 2017-09-26
KR101957869B1 true KR101957869B1 (ko) 2019-03-13

Family

ID=52781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405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7869B1 (ko) 2015-02-13 2016-02-10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260521B2 (ko)
EP (1) EP3256789A1 (ko)
JP (1) JP6453789B2 (ko)
KR (1) KR101957869B1 (ko)
CN (1) CN106122050B (ko)
AU (1) AU2016217668B2 (ko)
CA (1) CA2976035A1 (ko)
GB (1) GB2535462B (ko)
RU (1) RU2666299C1 (ko)
SG (1) SG11201705906TA (ko)
WO (1) WO2016128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5224A (en) 2015-02-13 2016-08-17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535225B (en) 2015-02-13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A fan
CA2976031A1 (en) 2015-02-13 2016-08-18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GB2537584B (en) 2015-02-13 2019-05-15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comprising a nozzle releasably retained on a body
GB2535460B (en) 2015-02-13 2017-11-29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with removable nozzle and filter
AU366174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U366197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U366182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U366178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U366173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U366176S (en) * 2015-06-11 2015-12-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USD783140S1 (en) * 2016-06-13 2017-04-04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783142S1 (en) * 2016-06-13 2017-04-04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790681S1 (en) 2016-06-13 2017-06-27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11384956B2 (en) 2017-05-22 2022-07-12 Sharkninja Operating Llc Modular fan assembly with articulating nozzle
CN107687439B (zh) * 2017-09-30 2018-08-07 程凌军 一种具有安全底座的电风扇
GB2568979A (en) * 2017-12-01 2019-06-05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USD888929S1 (en) * 2017-12-11 2020-06-30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927S1 (en) * 2017-12-11 2020-06-30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219S1 (en) * 2017-12-11 2020-06-23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95781S1 (en) * 2017-12-11 2020-09-08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928S1 (en) * 2017-12-11 2020-06-30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USD888220S1 (en) * 2017-12-11 2020-06-23 Dyson Technology Limited Fan
CN108679734A (zh) * 2018-06-02 2018-10-19 芜湖合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负离子空气净化器
USD895782S1 (en) * 2018-08-30 2020-09-08 Hui Ying Bladeless fan
CN109244972A (zh) * 2018-09-18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塔扇走线结构及其塔扇
KR102730911B1 (ko) 2019-11-18 2024-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762061B (zh) * 2019-11-18 2025-06-10 应辉 风扇
CN110762063B (zh) * 2019-11-18 2025-06-10 应辉 风扇
CN114829782B (zh) 2019-12-09 2024-04-05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
KR102630058B1 (ko) * 2020-05-29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용 팬
CN113357204B (zh) 2020-03-04 2023-11-17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
US11473593B2 (en) * 2020-03-04 2022-10-18 Lg Electronics Inc. Blower comprising a fan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a lower body having a first and second upper body positioned abov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dies wherein the bodies have a first and second openings formed through respective boundary surfaces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assembly
JP7258838B2 (ja) * 2020-12-23 2023-04-17 株式会社マキタ 送風機
US11795967B2 (en) 2020-12-23 2023-10-24 Makita Corporation Blower
USD1057918S1 (en) 2021-06-23 2025-01-14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purifier
TWI813391B (zh) * 2022-07-21 2023-08-21 大陸商開平市秒發熱服裝有限公司 一種風扇衣
CN115177046A (zh) * 2022-07-21 2022-10-14 开平市秒发热服装有限公司 一种风扇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373A (ja) * 1999-10-26 2001-05-11 Daikin Ind Ltd 加湿装置
JP2011196383A (ja) * 2010-03-23 2011-10-06 Dyson Technology Ltd 送風機
JP2014123950A (ja) * 2012-12-20 2014-07-03 Dyson Technology Ltd ファン

Family Cites Families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9498A (en) 1929-08-22 1931-08-18 Ai Root Co Air circulating and clarifying unit
US2488467A (en) 1947-09-12 1949-11-15 Lisio Salvatore De Motor-driven fan
JPS477490Y1 (ko) 1968-08-16 1972-03-21
US3577710A (en) 1968-09-30 1971-05-04 Elliot I Feldman Air-treatment apparatus
BE795150A (fr) 1972-02-14 1973-05-29 Braun Ag Ventilateur deplacable
US4477270A (en) 1983-01-07 1984-10-16 Franz Tauch Air filter
EP0136894A2 (en) 1983-09-30 1985-04-10 Electrolux Corporation Anti-Disengagement device
US4560395A (en) 1984-04-17 1985-12-24 Environmental Air Control, Inc. Compact blower and filter assemblies for use in clean air environments
JPH0545918Y2 (ko) 1986-08-26 1993-11-29
JPS6421300U (ko) 1987-07-27 1989-02-02
US4856968A (en) 1988-02-02 1989-08-15 Armbruster Joseph M Air circulation device
US4905340A (en) 1988-08-11 1990-03-06 Alan Gutschmit Lint control apparatus
GB2242931B (en) 1990-03-19 1993-09-22 Hitachi Ltd Blower
JP2924387B2 (ja) 1991-12-16 1999-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Ic応用製品の防水構造
JP3039728B2 (ja) 1992-08-05 2000-05-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全回転フォークアタッチメントのフォーク固定装置
US5266090A (en) 1992-09-21 1993-11-30 Dust Free, Inc. Multi-sided air filter with wraparound filter media
EP0676026B1 (en) 1992-12-23 1997-04-16 Honeywell Inc. Portable room air purifier
US5342175A (en) 1993-03-25 1994-08-30 Patton Electric Company, Inc. Grill
CA2130584C (en) 1993-08-23 1999-12-07 Bernard Chiu Filter air cleaner
JPH10339295A (ja) * 1997-06-05 1998-12-22 Hitachi Ltd 送風装置
US5837020A (en) 1997-06-20 1998-11-17 Hmi Industries, Inc. Room air cleaner
JPH11148484A (ja) * 1997-11-19 1999-06-02 Toshiba Tec Corp 電動送風機
US6007608A (en) 1998-07-10 1999-12-28 Donaldson Company, Inc. Mist collector and method
US20030228142A1 (en) * 1998-11-16 2003-12-11 Reiker Kenneth H. Ceiling mounted heating and cool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DE19925439B4 (de) 1999-06-02 2008-12-11 Stego-Holding Gmbh Lüfter
US6364618B1 (en) * 2000-02-03 2002-04-02 Lakewood Engineering & Mfg. Co. Fan body assembly
US6511531B1 (en) 2001-01-26 2003-01-28 Hmi Industries, Inc. Room air filtering and freshening device
JP2004232954A (ja) 2003-01-30 2004-08-19 Kurimoto Ltd 空気清浄器
JP2004340071A (ja) 2003-05-16 2004-12-02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送風装置
KR100508312B1 (ko) 2004-03-02 2005-08-17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공기정화기
US7320721B2 (en) 2005-03-17 2008-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emical filter and fan filter unit having the same
US8672367B2 (en) 2006-05-02 2014-03-18 M&G DuraVent, Inc. Exhaust system interlocking mechanism
US20080166224A1 (en) 2007-01-09 2008-07-10 Steve Craig Giffin Blower housing for climate controlled systems
US8235649B2 (en) 2007-04-12 2012-08-07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Blower for vehicles
FR2920491B1 (fr) * 2007-09-03 2013-07-19 Siemens Vdo Automotive Groupe moto-ventilateur avec carte electronique de commande refroidie par air pulse
GB0814835D0 (en) 2007-09-04 2008-09-17 Dyson Technology Ltd A Fan
FR2926704B1 (fr) 2008-01-25 2013-02-01 Velecta Paramount Silencieux pour appareil de sechage et seche-cheveux silencieux
GB2464736A (en) 2008-10-25 2010-04-28 Dyson Technology Ltd Fan with a filter
GB2468312A (en) *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GB0903682D0 (en) 2009-03-04 2009-04-15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468331B (en) 2009-03-04 2011-02-16 Dyson Technology Ltd A fan
CA2715720A1 (en) 2009-09-28 2011-03-28 Ness Lakdawala Portable air filter
GB2478926B (en) * 2010-03-23 2016-09-28 Dyson Technology Ltd Portable Fan Assembly with Detachable Filter Unit
GB2478925A (en) 2010-03-23 2011-09-28 Dyson Technology Ltd External filter for a fan
CN103206415B (zh) * 2011-07-04 2015-07-15 李耀强 气流喷射装置
US8926739B2 (en) 2011-10-12 2015-01-06 Gary Morgan Portable gas scrubber with sensor
GB2499041A (en) * 2012-02-06 2013-08-07 Dyson Technology Ltd Bladeless fan including an ionizer
GB2500011B (en) 2012-03-06 2016-07-06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GB2500007B (en) 2012-03-06 2015-06-03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00010B (en) * 2012-03-06 2016-08-24 Dyson Technology Ltd A humidifying apparatus
EP2823183A1 (en) 2012-03-06 2015-01-14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TWI548813B (zh) * 2012-03-13 2016-09-11 Yi-Sheng Luo A fanless fan with air cleaning function
GB2502106A (en) 2012-05-16 2013-11-20 Dyson Technology Ltd Bladeless fan
CN102840161B (zh) 2012-06-28 2015-01-21 胡晓存 无叶风扇组件
CN202833343U (zh) 2012-07-24 2013-03-27 胡积献 香薰无叶风扇
CN203161566U (zh) 2012-11-14 2013-08-28 胡晓存 一种无叶风扇结构
GB2510195B (en) 2013-01-29 2016-04-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10197B (en) 2013-01-29 2016-04-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10196B (en) 2013-01-29 2016-07-27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30906B (en) 2013-07-09 2017-05-10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CN203548333U (zh) * 2013-09-18 2014-04-16 中山大洋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风机蜗壳排水结构
GB2518638B (en) 2013-09-26 2016-10-12 Dyson Technology Ltd Humidifying apparatus
CN204140468U (zh) * 2014-10-16 2015-02-04 台州德丰机电有限公司 一种主轴双向延伸的管道风机
GB2535224A (en) 2015-02-13 2016-08-17 Dyson Technology Ltd A fan
GB2535460B (en) 2015-02-13 2017-11-29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with removable nozzle and filter
GB2537584B (en) 2015-02-13 2019-05-15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comprising a nozzle releasably retained on a body
GB2535225B (en) 2015-02-13 2017-12-20 Dyson Technology Ltd A fan
CA2976031A1 (en) 2015-02-13 2016-08-18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373A (ja) * 1999-10-26 2001-05-11 Daikin Ind Ltd 加湿装置
JP2011196383A (ja) * 2010-03-23 2011-10-06 Dyson Technology Ltd 送風機
JP2014123950A (ja) * 2012-12-20 2014-07-03 Dyson Technology Ltd ファ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5906TA (en) 2017-09-28
AU2016217668B2 (en) 2018-11-15
US20160238026A1 (en) 2016-08-18
CN106122050A (zh) 2016-11-16
US10260521B2 (en) 2019-04-16
KR20170108125A (ko) 2017-09-26
JP6453789B2 (ja) 2019-01-16
JP2016148342A (ja) 2016-08-18
GB201502482D0 (en) 2015-04-01
WO2016128736A1 (en) 2016-08-18
AU2016217668A1 (en) 2017-08-10
CA2976035A1 (en) 2016-08-18
GB2535462A (en) 2016-08-24
EP3256789A1 (en) 2017-12-20
RU2666299C1 (ru) 2018-09-06
CN106122050B (zh) 2019-09-06
GB2535462B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869B1 (ko)
JP6278987B2 (ja) ファン
JP6375321B2 (ja) ファン
JP6227028B2 (ja) ファン
EP3256735B1 (en) A fan assembly
US10041504B2 (en) Fan
GB2535223A (en) A fan
GB2535461A (en) A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