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091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0911B1
KR102730911B1 KR1020190147644A KR20190147644A KR102730911B1 KR 102730911 B1 KR102730911 B1 KR 102730911B1 KR 1020190147644 A KR1020190147644 A KR 1020190147644A KR 20190147644 A KR20190147644 A KR 20190147644A KR 102730911 B1 KR102730911 B1 KR 10273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duct
article
st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708A (ko
Inventor
김태성
김영지
박현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0911B1/ko
Priority to US16/909,110 priority patent/US11442305B2/en
Publication of KR2021006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9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6Airflow channels, e.g. constructional arrangements facilitating the flow of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의 내부와 연결된 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본 개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알려져 있는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 전계 효과 표시 장치(field effect display: FED),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발광층을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발광 표시 장치는 구동 시에 발생되는 열로 인해 표시 장치 내부의 온도가 증가한다. 이때, 표시 장치 내부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열에 취약한 발광층이 열화될 수 있다. 발광층이 열화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이 단축되고, 표시 품질이 떨어진다.
실시예들은 방열 효과가 우수한 표시 장치를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의 내부와 연결된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하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상기 표시 패널의 최대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스탠드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주입구,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제1 통로, 그리고 상기 제1 통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유선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는 상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주입구의 너비는 상기 제1 배출구의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의 제1 방향에 따른 길이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방향에 따른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그리고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덕트를 커버하는 배면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와 연결된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스탠드와 연통되는 제1 주입구, 그리고 상기 제1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덕트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덕트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주입구와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1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유선 형태,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열 효과가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대형 표시 장치에서 대면적에 균일한 공기 흐름을 제공함에 따라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을 자른 사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한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 단면을 자른 사시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 및 이와 연결되어 표시 패널(1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스탠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은 발광 표시 패널(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은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표시 패널(10)은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ED)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표시 패널, 양자점 유기 발광 다이오드(QD-OLED) 표시 패널 등의 차세대 표시 패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스탠드(20)는 표시 패널(10)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탠드(20)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중공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스탠드(20)는 제1 방향(D1)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다. 스탠드(20)를 통해 표시 패널(10)의 전체 면적에 균일한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배면에는 표시 패널(10)의 배면에 위치하는 덕트(40), 그리고 표시 패널(10)과 연결된 회로 기판(14)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의 배면에는 덕트(40) 및 회로 기판(14)을 덮는 배면 하우징(16)이 위치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6)은 덕트(40) 및 회로 기판(14)을 덮는 어떠한 형태도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덕트(40) 및 회로 기판(14)을 커버하는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배면 하우징(16)은 홀(16h)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16h)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 하우징(16)은 배면 하우징(16)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홀(16h) 및 상단부에 위치하는 홀(16h)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6)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홀(16h)을 통해 외부에서 배면 하우징(16)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배면 하우징(16)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홀(16h)을 통해 덕트(4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배면 하우징(16)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홀(16h)을 통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회로 기판(14) 등에서 발생된 열이 배면 하우징(16)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스탠드(20) 및 덕트(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스탠드(20)는 표시 패널(10)의 일 측면과 연결되는 몸체부(21) 및 몸체부(21)와 연결되어 표시 패널(10)을 지지하는 하단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23)는 중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속이 빈 형태의 하단부(23) 내부에는 송풍팬(30)이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방향(D2)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몸체부(21)는 중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21)는 하단부(23)에 위치하는 송풍팬(30)으로부터 제공된 공기가 덕트(4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이다. 제1 방향(D1)에 따른 몸체부(21)의 최대 길이는 제1 방향(D1)에 따른 표시 패널(10)의 최대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형성된 하단부(23)를 통해 제2 방향(D2)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몸체부(21)를 따라 확산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0)의 일 측면의 전체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추가로 도 5를 살펴보면,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40)는 제1 주입구(41), 제1 통로(43) 그리고 제1 배출구(44)를 포함한다.
제1 주입구(41)는 스탠드(20), 구체적으로 몸체부(21)와 연통되어 있다. 송풍팬(30)으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흐름(바람)은 하단부(23)로부터 몸체부(21)를 통해 제1 주입구(4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주입구(41)는 표시 패널(10)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주입구(41)는 표시 패널(10)의 일 측면의 제1 방향(D1)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통로(43)는 제1 주입구(4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이다. 제1 통로(43)의 단면은 유선형일 수 있으며, 제2 방향(D2)을 따라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배출구(44)는 제1 통로(43)과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제1 통로(43)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배출구(44)는 제1 통로(43)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덕트(40)는 제1 면(S1), 제2 면(S2) 및 제3 면(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면(S1)은 표시 패널(10)의 배면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으며, 제2 면(S2)은 제1 면(S1)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통로(43)를 형성하는 면일 수 있다. 제3 면(S3)의 끝단은 몸체부(21)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3 면(S3)은 제2 면(S2)의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3 면(S3)은 제2 면(S2)의 곡면 형태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주입구(41)는 덕트(40)의 제1 면(S1)과 제3 면(S3)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로(43)는 제1 면(S1)과 제2 면(S2)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44)는 제2 면(S2)과 제3 면(S3)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덕트(4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3 면(S3)이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3 면(S3)이 제2 면(S2)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1 배출구(44)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능동 소음 제어(Active Noise Control)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20)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팬(30)은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은 송풍팬(30)이 발생시키는 소음이 가지는 파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음파를 발생시켜, 송풍팬(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은 송풍팬(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분석하는 분석 보드 및 일정 주파수의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능동 소음 제어 유닛은 스탠드(20)에 인접한 소음 측정용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소음을 분석 보드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음의 주파수 및 위상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이후 소음을 형성하는 음파와 역위상의 음파를 발생시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에서의 공기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도 7 및 도 8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한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하단부(23)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팬을 통해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몸체부(21)를 지난다. 이때 공기는 몸체부(21)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확산될 수 있다. 즉, 공기는 표시 패널(10)의 일 측면 전체와 중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를 통과한 공기는 덕트(40)의 제1 주입구(41)로 유입된다. 제1 주입구(4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면(S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통로(43)의 상부면에 부딪혀 다시 제2 면(S2)을 따라 이동한다. 제2 면(S2)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공기는 제1 배출구(44)를 통해 덕트(40)의 외부로 이동한다. 제1 배출구(44)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표시 패널(10)의 제1 방향(D1)을 따라 균일한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제2 면(S2)과 제3 면(S3) 사이로 이동한 공기는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표시 패널(10)의 배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코안다 효과). 공기가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하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주변에 위치하는 새로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압력이 낮아진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주위의 공기가 이동하도록 한다. 제1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많은 공기가 표시 패널(10)의 배면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송풍팬을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시키는 경우, 송풍팬이 배치된 일부 영역에서만 국부적인 방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스탠드(20)에 위치하는 최소 개수의 송풍팬으로 표시 패널(10)의 배면 전체에 균일한 공기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패널 및 회로 기판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의 방열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 각각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대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덕트는 전술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제1 주입구(41)는 제1 면(S1)의 끝단과 제3 면(S3)의 끝단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주입구(41)의 너비(t1)는 제1 면(S1)의 끝단과 제3 면(S3)의 끝단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배출구(44)는 제2 면(S2)의 끝단과 제3 면(S3)의 끝단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1 배출구(44)의 너비(t2)는 제2 면(S2)의 끝단과 제3 면(S3)의 끝단 사이의 최단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40)의 제1 주입구(41)의 너비(t1)는 제1 배출구(44)의 너비(t2)보다 클 수 있다.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은 제1 주입구(41)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배출구(44)로 유출되는 바람은 상대적으로 좁은 틈을 통해 제2 면(S2)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주입되는 공기에 비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적은 경우, 기압이 증가하여 공기의 이동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덕트(40)를 통해 표시 패널(10)의 상부 방향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흐름이 빨라질 수 있으며,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다음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통로(43)는 제1 주입구(41)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이다. 제1 통로(43)의 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이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방향을 따라 길쭉한 타원을 반으로 가른 반타원 형태일 수 있다.
제1 통로(43)의 단면은 전술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배출구(44)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가 제3 면(S3)의 외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곡면 형태를 포함하는 경우, 어떠한 형상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스탠드의 내부에 위치하는 송풍팬과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덕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표시 패널에 별도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이 덕트를 통과하면서 표시 패널의 배면 전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최소한의 송풍팬을 사용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 발생을 최소화하고, 표시 장치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송풍팬을 포함하므로, 송풍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또는 진동을 차단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발열, 회로 기판의 발열 등에 의해 표시 패널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표시 패널
14: 회로 기판
16: 배면 하우징
16h: 홀
20: 스탠드
21: 몸체부
23: 하단부
30: 송풍팬
40: 덕트
41: 제1 주입구
43: 제1 통로
45: 제1 배출구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의 내부와 연결된 덕트,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덕트를 커버하는 배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회로 기판 하단부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하단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단부에 배치된 표시 장치.
  4. 제2항에서,
    제1 방향에 대한 상기 몸체부의 최대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상기 표시 패널의 최대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스탠드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주입구,
    제1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제1 통로, 그리고
    상기 제1 통로와 연통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유선형인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인 표시 장치.
  8. 제5항에서,
    상기 제1 통로는 상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제1 주입구의 너비는 상기 제1 배출구의 너비 보다 큰 표시 장치.
  10. 제5항에서,
    상기 제1 배출구의 제1 방향에 따른 길이는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방향에 따른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1. 삭제
  12. 제5항에서,
    상기 배면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되는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와 연결된 덕트,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그리고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덕트를 커버하는 배면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는,
    상기 회로 기판 하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와 연통되는 제1 주입구, 그리고
    상기 제1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제1 토출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덕트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덕트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표시 패널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5. 제13항에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과 접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된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상기 하단부에 배치된 표시 장치.
  16. 제13항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주입구와 상기 제1 토출구를 연결하는 제1 통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유선 형태,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인 표시 장치.
  18. 제16항에서,
    상기 제1 통로의 단면은 상부를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표시 장치.
  19. 제13항에서,
    상기 제1 주입구의 너비는 상기 제1 토출구의 너비 보다 큰 표시 장치.
  20. 제13항에서,
    상기 배면 하우징은 외부와 연통되는 홀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147644A 2019-11-18 2019-11-18 표시 장치 Active KR10273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44A KR102730911B1 (ko) 2019-11-18 2019-11-18 표시 장치
US16/909,110 US11442305B2 (en) 2019-11-18 2020-06-23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44A KR102730911B1 (ko) 2019-11-18 2019-11-1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708A KR20210060708A (ko) 2021-05-27
KR102730911B1 true KR102730911B1 (ko) 2024-11-15

Family

ID=7590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44A Active KR102730911B1 (ko) 2019-11-18 2019-11-1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42305B2 (ko)
KR (1) KR102730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06B1 (ko) * 2023-10-19 2024-01-03 센티오 주식회사 고효율의 방열 구조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6000A (ja) * 2004-01-09 2005-07-21 Sharp Corp 薄型画像表示装置
JP2012037710A (ja) * 2010-08-06 2012-02-23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891B1 (en) * 1996-11-21 2001-09-11 Canon Kabushiki Kaisha Movable display apparatus
GB2347020B (en) * 1999-02-02 2003-05-14 3Com Technologies Ltd Cooling equipment
JP2005301905A (ja) 2004-04-15 2005-10-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
CN101592807A (zh) * 2008-05-27 2009-12-02 深圳市新超亮特种显示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散热装置的液晶显示屏
KR101564278B1 (ko) 2008-06-13 2015-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331577B2 (en) 2008-07-03 2012-1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having active noise control with an external sensor
EP3190347B1 (en) 2009-03-04 2018-07-18 Dyson Technology Limited A fan
GB2468329A (en)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GB2468312A (en) 2009-03-04 2010-09-08 Dyson Technology Ltd Fan assembly
BR112015017847A2 (pt) 2013-01-29 2017-07-11 Dyson Technology Ltd montagem de ventilador
GB2530906B (en) 2013-07-09 2017-05-10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GB2535462B (en) 2015-02-13 2018-08-22 Dyson Technology Ltd A fa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6000A (ja) * 2004-01-09 2005-07-21 Sharp Corp 薄型画像表示装置
JP2012037710A (ja) * 2010-08-06 2012-02-23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49241A1 (en) 2021-05-20
US11442305B2 (en) 2022-09-13
KR20210060708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0591B2 (en) Ultraviolet irradiation head and ultraviolet irradiator
KR1014358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7204615B2 (en) LED light with active cooling
US9651318B2 (en) Synthetic jet embedded heat sink
KR102730911B1 (ko) 표시 장치
US20100079943A1 (en) Synthetic je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80066923A (ko) 지향성 스피커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519612A (ja) シンセティックジェットサスペンション構造
TW201544762A (zh) 光照射裝置
US7778030B1 (en) Method for cooling using impinging jet control
KR1007086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JP2018137437A (ja) 空冷放熱装置及びシステム
KR100805400B1 (ko)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
EP3098646B1 (en) Display apparatus
US9992562B1 (en) Loudspeaker having passive heat dissipation assembly
US78217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using impinging jet control
JP2016062677A (ja) 光照射装置
JP427622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062786A5 (ko)
KR20140013703A (ko) 구역별 방열 기능을 가지는 평판 디스플레이용 배면 커버 장치
KR101268211B1 (ko) 조명등
JP2010258263A (ja) 電子機器の放熱機構
KR101181334B1 (ko) 컨버터 내장형 엘이디 조명 장치
KR1008466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702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