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1898B1 -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98B1
KR101951898B1 KR1020180003979A KR20180003979A KR101951898B1 KR 101951898 B1 KR101951898 B1 KR 101951898B1 KR 1020180003979 A KR1020180003979 A KR 1020180003979A KR 20180003979 A KR20180003979 A KR 20180003979A KR 101951898 B1 KR101951898 B1 KR 101951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indow
rail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병
Original Assignee
이춘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병 filed Critical 이춘병
Priority to KR102018000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도어 및 윈도우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공간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형태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되도록 한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외측문틀과 상기 외측문틀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내측문틀을 포함하는 문틀; 상기 문틀에 결합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반원 형상 혹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문짝들; 및 상기 문짝들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문틀과 이에 대응하는 문짝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레일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Round sliding door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도어 및 윈도우를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하여 된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는, 승용차의 경우 차량 외부로 열리는 회전식 도어가 설치되고, 승합차의 경우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회전식 도어는 차량 외부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즉 차량 외부에 공간이 좁을 경우 도어를 열지 못함은 물론 옆에 있는 다른 차량이나 장애물에 부딪히는 문제점이 있고, 슬라이딩 도어는 차량에 가이드레일 등을 구비하여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286667호, 차량용 도어 조립체.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3915호,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도어 및 윈도우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공간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형태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틀체;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의 일부를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틀체에 안내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반원 형상의 도어; 상기 도어가 공간부에 설치되고 남는 공간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틀체에 안내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와 도어가 상기 틀체에 결합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틀체 및 이에 대응하는 윈도우와 도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틀체는; 상기 공간부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링 형의 외측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외측틀체; 상기 외측틀체의 중심부에 상기 외측틀체와 동심원을 이루게 원형으로 설치되며, 일면에는 링 형의 내측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내측틀체; 및 상기 내측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측틀체와 내측틀체를 연결하는 지지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는: 반원 형상의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몸체의 내측테두리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몸체의 좌우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 도어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도어프레임과 내측 도어프레임이 상기 외측틀체에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부와 상기 내측틀체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반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부채꼴 모양의 윈도우몸체; 상기 윈도우몸체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외측 윈도우프레임; 상기 윈도우몸체의 내측테두리에 설치되는 내측 윈도우프레임; 및 상기 윈도우몸체의 좌우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 윈도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과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이 상기 외측틀체에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부와 상기 내측틀체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도어프레임과 내측 도어프레임의 사이 간격 및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과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사이 간격은, 상기 틀체의 외측 가이드부와 내측 가이드부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및 윈도우를 상기 공간부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상기 도어와 틀체의 사이 및 윈도우와 틀체의 사이에 갭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도어 및 윈도우를 상기 공간부에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틀체의 외측 가이드부와 내측 가이드부에는 각각 측벽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하고, 단차진 측벽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틀체의 외측 가이드부와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을 따라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좌측 및 우측으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의 수직면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의 일면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일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일돌부와 레일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돌부는: 상기 도어 및 윈도우의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레일돌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틀체의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돌부가 끼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틀체의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에 링 형상으로 전(全)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돌부와 레일홈부의 형상은,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돌부는: 상기 도어 및 윈도우에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돌부를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에 관통 형성된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구멍에 대응하도록 상기 레일돌부에 형성된 암나사공과, 상기 체결구멍을 통해 상기 암나사공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고정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돌부가 결합되는 상기 도어 및 윈도우의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의 일단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레일돌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끼움 결합된 후, 상기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외측문틀과 상기 외측문틀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내측문틀을 포함하는 문틀; 상기 문틀에 결합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반원 형상 혹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문짝들; 및 상기 문짝들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문틀과 이에 대응하는 문짝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내측틀체와 외측틀체의 일면에 각각 단차지게 형성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문짝에 단차지게 형성한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측벽에 링 형상의 레일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의하면, 차량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도어 및 윈도우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공간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형태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되도록 하여 출입문으로 활용함으로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틀체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틀체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도어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윈도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 내지 도 7의 윈도우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 레일돌부의 하부에 롤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틀체에 도어 및 윈도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3표시에서 레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레일부 대용으로 레일부재가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1표시에서 우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1표시에서 좌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1표시에서 좌측 및 우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1표시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 내지 도 21은 도어를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이동시켜 좌측 및 우측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도어로서의 기능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틀체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틀체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표시의 도어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윈도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 내지 도 7의 윈도우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표시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으로, 레일돌부의 하부에 롤러가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 구비되는 틀체에 도어 및 윈도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표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표시의 "B"부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3표시에서 레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표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레일부 대용으로 레일부재가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16은 도 11표시에서 우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1표시에서 좌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1표시에서 좌측 및 우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는 도 11표시와 같이 좌측 및 우측 윈도우가 슬라이딩되어 하부로 회전 이동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 내지 도 21은 도어를 좌측 및 우측으로 회전이동시켜 좌측 및 우측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도어로서의 기능을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는 틀체(110)와 도어(120), 윈도우(130) 및 레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틀체(1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111)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틀체(112)와 내측틀체(114) 및 지지틀체(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틀체(112)는 공간부(111)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링형의 외측 가이드부(112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틀체(114)는 외측틀체(112)의 중심부에 설치되되, 상기 외측틀체(112)와 동심원을 이루게 원형으로 설치되며, 일면에는 링 형의 내측 가이드부(114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측틀체(114)는 지지틀체(116)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틀체(116)는 외측틀체(112)와 내측틀체(114)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틀체(116)는 공간부(111)를 좌울로 구분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중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가이드부(112a)와 내측 가이드부(114a)는 각각 측벽(102)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틀체(110)에는 1개의 도어(120) 및 2개의 윈도우(1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가 단차진 측벽(102)에 의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걸림 효과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량(10)의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위치하는 외측 가이드부(112a)와 내측 가이드부(114a)에는 측벽(102)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하여, 단차진 측벽(102)에 의해 도어(120) 및 윈도우(130)가 슬라이딩 및 걸림 효과를 갖도록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12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틀체(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11)의 일부를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틀체(110)에 안내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어(120)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도어몸체(122)와, 상기 도어몸체(122)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프레임(124)과, 상기 도어몸체(122)의 내측테두리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상기 도어몸체(122)의 좌우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 도어프레임(1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측 도어프레임(124)과 내측 도어프레임(126)이 상기 외측틀체(112)에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부(112a)와 상기 내측틀체(114)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114a)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틀체(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11)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형태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몸체(122)는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윈도우(13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11)에 도어(120)가 설치되고 남는 공간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111)에 설치되고, 상기 틀체(110)에 안내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윈도우(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반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부채꼴 모양의 윈도우몸체(132)와, 상기 윈도우몸체(132)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외측 윈도우프레임(134)과, 상기 윈도우몸체(132)의 내측테두리에 설치되는 내측 윈도우프레임(136), 및 상기 윈도우몸체(132)의 좌우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 윈도우프레임(138)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34)과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이 상기 외측틀체(112)에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부(112a)와 상기 내측틀체(114)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114a)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틀체(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11)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형태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윈도우몸체(132)는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윈도우몸체(132)는 유리판 혹은 투명의 수지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1 내지 도 14도시와 같이,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는 틀체(1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11)에 위치되어 공간부(111)를 폐쇄하고, 좌측 및 우측으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되면서 공간부(111)를 개폐하여 출입도어 및 윈도우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상기 외측 도어프레임(124)과 내측 도어프레임(126)의 사이 간격 및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134)과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의 사이 간격은, 상기 틀체(110)의 외측 가이드부(112a)와 내측 가이드부(114a)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상기 공간부(111)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상기 도어(120)와 틀체(110)의 사이 및 윈도우(130)와 틀체(110)의 사이에 갭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상기 공간부(111)에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틀체(110)의 외측 가이드부(112a)와 내측 가이드부(114a)에 각각 측벽(102)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하고, 단차진 측벽(102)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가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모든 미닫이 구조는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이 구비되고, 레일에 의해 도어를 결합시 레일의 높이만큼 여유 공간(갭)이 필요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갭의 형성이 필요 없게 되므로, 원형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모든 미닫이 구조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의 결합시 레일 크기의 공간(갭)이 반드시 필요했다. 즉, 도어 설치를 위한 최소한의 유격(최소 2cm 이상 유격이 필요로 함)이 반드시 필요했으나, 본 발명은 측벽(102)을 갖도록 단차지게 외측 가이드부(112a)와 내측 가이드부(114a)를 형성함으로서, 도어의 결합에 따른 공간(갭)이 필요 없게 되며, 이곳으로 유출되는 열에너지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130)와 도어(120)가 상기 틀체(110)에 결합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틀체(110) 및 이에 대응하는 윈도우(130)와 도어(120)에 링 형상으로 레일부(14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레일부(140)는 상기 틀체(110)의 외측 가이드부(112a)와 내측 가이드부(114a)의 단차진 측벽(102)을 따라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가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중신점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가이드부(114a)의 단차진 측벽(102)의 수직면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126)의 일면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의 일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레일돌부(142)와 레일홈부(14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돌부(142)는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일홈부(144)는 레일돌부(14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틀체(110)의 내측 가이드부(114a)의 단차진 측벽(102)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돌부(142)가 레일홈부(144)에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가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형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레일돌부(142)는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일홈부(144)는 틀체(110)의 내측 가이드부(114a)의 단차진 측벽(102)에 링 형상으로 전(全)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돌부(142)와 레일홈부(144)의 형상은,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레일돌부(142)는 도어(120) 및 윈도우(130)에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설치시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수평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분리된 레일돌부(142)를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구(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체결구(150)는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에 관통되도록 체결구멍(15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52)에 대응하도록 상기 레일돌부에는 암나사공(15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고정나사(156)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나사(156)로서 체결구멍(152)을 통해 상기 암나사공(154)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레일돌부(142)를 정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레일돌부(142)가 결합되는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142)의 일단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15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홈부(158)에 레일돌부(142)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끼움 결합된 후, 상기 체결구(150)에 의해 고정하게 되면,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의 일면에 레일돌부(142)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일돌부(142)의 하단에 상기 레일홈부(144)를 따라 안내될 수 있는 롤러(146)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롤러(146)의 설치로 인해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146)는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회전 이동시 상기 내측틀체(114)의 형상을 따라 원형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에는,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이탈방지부재(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부재(160)는 틀체(110)와 이에 대응하는 도어(120) 및 윈도우(130)에 인접하여 서로 맞닿도록 설치홈부(162)를 형성하여 상기 설치홈부(162)에 이탈방지부재(160)를 설치함에 의해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가 틀체(110)부터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틀체(110)에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설치할 경우 상기 틀체(110)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114a)에 형성된 레일홈부(144)에 레일돌부(142)를 미리 결합한 후,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틀체(1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체결구(150)로서 레일돌부(142)를 내측 도어프레임(126)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136)에 결합함으로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한 후, 상기 틀체(110)의 외측 가이드부(112a)와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외측 도어프레임(124) 및 외측 윈도우프레임(134)에 형성된 설치홈부(162)에 이탈방지부재(160)를 설치함으로서, 도어(120) 및 윈도우(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160)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는, 1개의 도어(120) 및 2개의 윈도우(130)로 구성하여 단차진 상태로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개의 도어(120)는 반원 형으로 구성하여 원형 공간부(111)의 하부 절반에 해당하는 반원 부위를 폐쇄하도록 설치하고, 2개의 윈도우(130)는 반의 반원 형으로 구성하여 원형 공간부(111)의 상부에 해당하는 반원 부위를 폐쇄하도록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1개의 도어(120) 및 2개의 윈도우(130)에 의해 원형의 공간부(111)가 전부 폐쇄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원형의 공간부(111)에 1개의 도어(120) 및 2개의 윈도우(13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 16 내지 도 19표시와 같이, 상기 공간부(111)의 상부 절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2개의 윈도우(130)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 슬라이딩시켜 하부로 위치되게 함으로서 윈도우를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111)의 하부 절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1개의 도어(120)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 절반만큼만 회전 슬라이딩시키게 되면 공간부(111)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위가 좌측 혹은 우측에 형성됨으로서 그 공간을 통해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윈도우(130)는 상기 도어(120)와 겹치는 형태로 슬라이딩시켜 공간부(111)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위가 좌측 혹은 우측에 형성되므로,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는, 문틀과 문짝들 및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문틀은 위에서 설명한 틀체(1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용어의 표현만이 다를 뿐이다.
이러한 문틀(틀체)의 구성은 원형의 공간부(111)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외측문틀(외측틀체)과 상기 외측문틀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내측문틀(내측틀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측문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문틀(지지틀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짝들은 위에서 설명한 도어(120) 및 윈도우(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역시 용어의 표현만이 다를 뿐이다.
이러한 문짝들(도어 및 윈도우)의 구성은 상기 문틀에 결합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111)를 개폐시키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반원 형상 혹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레일부재(140A)는 위에서 설명한 레일부(140)의 구성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의 레일부재를 설치한 구성에 차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레일부재(140A)는 상기 내측틀체와 외측틀체의 일면에 각각 단차지게 제1 측벽(102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측벽(102a)에 대응하도록 상기 문짝에 단차지게 제2 측벽(102b)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제2 측벽(102b)에 링 형상의 레일부재(140A)를 설치하여 상기 문짝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5표시와 같이 측벽에 레일부재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제2측벽(102)은 위에서 설명한 단차진 측벽(102)에 대응하는 구성이다. 즉, 위에서 설명한 단차진 측벽(102)과 이에 맞닿아 설치되는 도어 및 윈도우에 구비되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측벽이다.
이러한 레일부재(140A)에 의해 상기 문짝들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111)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문틀(틀체)과 이에 대응하는 문짝(도어 및 윈도우)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레일부재는 직경이 서로 다른 링 형상의 레일이 외측문틀과 내측문틀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도어(120) 및 윈도우(130)에 차량(10)에 설치되는 통상의 락킹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 등을 이용하여 도어(120) 및 윈도우(130)를 자동 개폐되게 할 수도 있고, 도어 및 윈도우에 손잡이 등을 설치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어 및 윈도우의 고정을 위한 고정장치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장치, 손잡이, 고정 장치 등은 통상의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다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는, 차량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창호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창호를 구성하는 창틀을 원형의 창틀로 형성하고, 원형의 창틀에 반원 형상 혹은 부째꼴 형상의 창문을 결합하여 중심부를 기준으로 창문을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개폐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창문을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틀체에 형성되는 단차진 측벽의 구성에 있으며, 이러한 단차진 측벽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어 창틀과 창문의 사이에 공간(갭)을 없앨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창틀과 창문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를 없게 하여 보다 확실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창문과 창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방음이나 방풍 및 빗물차단 기능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 차량에 설치되는 회전 도어 및 슬라이딩 도어를 대신하여 원형의 공간부 내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형태로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됨으로서, 도어 및 윈도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를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 도 1표시와 같이 차량의 양측부가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차체의 높이를 높게 할 경우 차량의 양측부가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틀체 112 - 외측틀체
112a - 외측 가이드부 114 - 내측틀체
114a - 내측 가이드부 116 - 지지틀체
120 - 도어 122 - 도어몸체
124 - 외측 도어프레임 126 - 내측 도어프레임
128 - 좌우측 연결 도어프레임 130 - 윈도우
132 - 윈도우몸체 134 - 외측 윈도우프레임
136 - 내측 윈도우프레임 138 - 좌우측 연결 윈도우프레임
140 - 레일부 142 - 레일돌부
144 - 레일홈부 150 - 체결구

Claims (5)

  1. 차량에 탑승자가 출입할 수 있는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틀체;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의 일부를 막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틀체에 안내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반원 형상의 도어;
    상기 도어가 공간부에 설치되고 남는 공간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틀체에 안내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와 도어가 상기 틀체에 결합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틀체 및 이에 대응하는 윈도우와 도어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는;
    상기 공간부의 외형을 형성하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는 링 형의 외측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외측틀체;
    상기 외측틀체의 중심부에 상기 외측틀체와 동심원을 이루게 원형으로 설치되며, 일면에는 링 형의 내측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내측틀체; 및
    상기 내측틀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외측틀체와 내측틀체를 연결하는 지지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반원 형상의 도어몸체;
    상기 도어몸체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외측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몸체의 내측테두리에 설치되는 내측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몸체의 좌우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 도어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도어프레임과 내측 도어프레임이 상기 외측틀체에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부와 상기 내측틀체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반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부채꼴 모양의 윈도우몸체;
    상기 윈도우몸체의 외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외측 윈도우프레임;
    상기 윈도우몸체의 내측테두리에 설치되는 내측 윈도우프레임; 및
    상기 윈도우몸체의 좌우측테두리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 윈도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과 상기 내측 윈도우프레임이 상기 외측틀체에 구비되는 외측 가이드부와 상기 내측틀체에 구비되는 내측 가이드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틀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상기 외측 도어프레임과 내측 도어프레임의 사이 간격 및 상기 외측 윈도우프레임과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사이 간격은, 상기 틀체의 외측 가이드부와 내측 가이드부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 및 윈도우를 상기 공간부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상기 도어와 틀체의 사이 및 윈도우와 틀체의 사이에 갭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도어 및 윈도우를 상기 공간부에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틀체의 외측 가이드부와 내측 가이드부에는 각각 측벽을 갖도록 단차지게 형성하고, 단차진 측벽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틀체의 외측 가이드부와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을 따라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좌측 및 우측으로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의 수직면 및 이에 대응하는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의 일면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일면에 상호 끼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일돌부와 레일홈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돌부는:
    상기 도어 및 윈도우의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일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도어 및 윈도우가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되고,
    상기 레일홈부는:
    상기 레일돌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틀체의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의 수직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돌부가 끼움 결합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틀체의 내측 가이드부의 단차진 측벽에 링 형상으로 전(全)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부와 레일홈부의 형상은,
    상호 끼움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하는 "ㄱ"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일돌부는:
    상기 도어 및 윈도우에 분리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레일돌부를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에 관통 형성된 체결구멍과, 상기 체결구멍에 대응하도록 상기 레일돌부에 형성된 암나사공과, 상기 체결구멍을 통해 상기 암나사공에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고정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일돌부가 결합되는 상기 도어 및 윈도우의 내측 도어프레임 및 내측 윈도우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레일돌부의 일단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부에 레일돌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끼움 결합된 후, 상기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4. 원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외측문틀과 상기 외측문틀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내측문틀을 포함하는 문틀;
    상기 문틀에 결합되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원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반원 형상 혹은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는 문짝들; 및
    상기 문짝들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공간부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문틀과 이에 대응하는 문짝에 설치되는 링 형상의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상기 내측틀체와 외측틀체의 일면에 각각 단차지게 형성한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대응하도록 상기 문짝에 단차지게 형성한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측벽에 링 형상의 레일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문짝이 원형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KR1020180003979A 2018-01-11 2018-01-11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Expired - Fee Related KR101951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79A KR101951898B1 (ko) 2018-01-11 2018-01-11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979A KR101951898B1 (ko) 2018-01-11 2018-01-11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898B1 true KR101951898B1 (ko) 2019-02-25

Family

ID=6558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9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1898B1 (ko) 2018-01-11 2018-01-11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9706A1 (en) * 2022-04-27 2023-11-02 Inventsion Rotating door/window system for vehic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172A (en) * 1985-10-03 1989-01-31 Townsend John A Vehicle closure
KR19980037497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직립형 세미트레일링 아암의 차체 마운팅구조
CN200957817Y (zh) * 2006-08-24 2007-10-10 于明江 山地游览车
KR101286667B1 (ko) 2010-12-30 2013-07-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조립체
KR200473915Y1 (ko) 2014-02-26 2014-08-18 권은정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150132953A (ko) * 2014-05-19 2015-11-27 안준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높낮이 조절형 조정석 안전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1172A (en) * 1985-10-03 1989-01-31 Townsend John A Vehicle closure
KR19980037497U (ko) * 1996-12-17 1998-09-15 박병재 직립형 세미트레일링 아암의 차체 마운팅구조
CN200957817Y (zh) * 2006-08-24 2007-10-10 于明江 山地游览车
KR101286667B1 (ko) 2010-12-30 2013-07-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도어 조립체
KR200473915Y1 (ko) 2014-02-26 2014-08-18 권은정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KR20150132953A (ko) * 2014-05-19 2015-11-27 안준범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높낮이 조절형 조정석 안전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9706A1 (en) * 2022-04-27 2023-11-02 Inventsion Rotating door/window system for vehic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513B2 (en) Screen frame with integral roll screen compartment and improvements thereof
US10327598B2 (en) Shower door assembly
CN102434082A (zh) 平开窗的外置式上下拉升隐形纱窗
US11279383B2 (en) Sleeping car compartment and sleeping car
KR101951898B1 (ko) 차량용 원형 미닫이 도어
KR20190000507U (ko) 애완동물용 출입문 어셈블리
KR101735455B1 (ko) 다단 슬라이딩 도어
KR101331393B1 (ko)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상부프레임 구조
KR101758171B1 (ko) 행거식 미서기창이 구비된 커튼월
US8641102B2 (en) Multistage lock
KR101472225B1 (ko) 창호용 방풍부재, 이를 가지는 창호 프레임 및 방풍부재의 시공방법
CN202325190U (zh) 平开窗的外置式上下拉升隐形纱窗
KR101570468B1 (ko) 자동 도어 장치
KR10158952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CN210193113U (zh) 一种电梯用平移式安全窗装饰顶
KR101865907B1 (ko) 자동문용 열차단 기계박스구조
KR101589659B1 (ko) 방풍방음 창호
JP4018699B2 (ja) 建具の取付構造
KR100493897B1 (ko) 무레일형 창호장치
KR0134598Y1 (ko) 창문용 환기구 골조
CN217057930U (zh) 窗式空调器的安装框架
KR102614371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200465445Y1 (ko)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CN116657819B (zh) 天花板单元及装置
KR101870333B1 (ko) 풀다운 창호의 방충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