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0278B1 -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278B1
KR101930278B1 KR1020147011461A KR20147011461A KR101930278B1 KR 101930278 B1 KR101930278 B1 KR 101930278B1 KR 1020147011461 A KR1020147011461 A KR 1020147011461A KR 20147011461 A KR20147011461 A KR 20147011461A KR 101930278 B1 KR101930278 B1 KR 101930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valve
contents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1537A (ko
Inventor
미쓰오 후루사와
신야 호시노
시게오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385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3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600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8362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4009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2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7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토출 용기는 내용기 및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토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외용기에는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캡은 상기 토출 캡의 외측과 상기 흡입 구멍 간의 연통 및 차단을 바꾸는 공기 밸브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토출막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막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용기의 내압 상승에 따라 상기 토출막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슬릿이 확개하여 상기 토출구가 개방된다.

Description

토출 용기{DISCHARGE CONTAINER}
본 발명은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곽을 형성하는 외 용기 내에 용적감소 변형이 자유자재인 안주머니를 형성하는 내용기를 박리 자유자재로 적층 형성한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조립된 토출 캡을 조합한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1년 10월 31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 2011-238557호, 및 2011년 11월 29일자로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1-260052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 출원의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내용물이 수용됨과 더불어, 그 내용물의 수용량 감소에 따라 수축 변형하는 가요성이 뛰어난 내용기, 및 이 내용기가 내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캡을 구비한 토출 용기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토출 용기에서는 외용기 몸통부의 상하좌우로 대략 중앙 위치에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 캡은 토출구와 내용기의 내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과, 토출구와 연통 구멍 사이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이 토출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용기 본체의 외용기를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내용기가 외용기와 함께 변형하여 용적이 감소된다. 이 용적감소 변형에 수반하여 내용기의 내압이 정압으로 된다. 이 정압에 의해 밸브 부재가 열리고, 토출구와 내용기의 내부가 연통 구멍을 통해 연통된다. 이에 따라,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구에서 토출된다.
또한, 샴푸나 소스 등의 점조성이 있는 내용물을 토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토출 용기로서, 용적감소 변형 및 복원 변형이 가능한 합성 수지제 병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합성 수지제 병으로서, 내용기가 외용기에서 박리되고, 그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소위 디라미네이션 보틀 타입(delamination bottle type)의 토출 용기가 알려져 있다. 이 디라미네이션 보틀 타입의 토출 용기는 내용물의 토출구를 형성하는 토출 밸브, 및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외기를 도입시키는 흡기 밸브를 갖는다.
토출 밸브는 내용물의 토출구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점조성이 있는 내용물은 양호한 액 배출을 얻기가 어렵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에 나타낸 종래 기술과 같이, 토출 밸브로서 연질 탄성재제의 슬릿 밸브를 사용하여 양호한 '액 배출'이 얻어지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토출 밸브로서 슬릿 밸브를 사용한 상기 구성에서는 내용물이 점조성을 가졌어도 양호한 액 배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1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0178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토출 용기에서는 토출 후에 토출구와 밸브 부재 사이에 잔류한 내용물이 예를 들면, 다음 토출 조작시 등에 토출구로부터 예기치 않게 누출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슬릿 밸브 구조의 토출 밸브에 확실한 역류 방지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 때문에, 토출 밸브의 밸브 작용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토출 밸브의 형태를 포탄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재료비가 많아지는 점이나 설계의 자유도가 낮은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값비싼 연질 탄성재의 단위 소비량을 줄이거나, 토출 밸브의 형상에 관한 제약을 없애서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용물의 품질을 확보하면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 없이 토출구에서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릿 밸브 구조의 토출 밸브를 통상적인 슬릿 밸브의 두께 및 형상으로 유지하고, 높은 역류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값비싼 연질 탄성재의 단위 소비량의 소량화와 높은 설계의 자유도를 얻을 수 있는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됨과 더불어,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수반하여 수축 변형하는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내용기의 내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 토출 캡을 구비한다. 상기 외용기에는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출 캡은 상기 토출 캡의 바깥쪽과 상기 흡기 구멍 간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공기 밸브, 및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토출막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토출막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용기의 내압 상승에 수반하여 상기 토출막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슬릿이 확개하여 상기 토출구가 개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서, 상기 토출 캡은 외부와 상기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연통 구멍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 밸브는 상기 흡기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고, 상기 연통 구멍은 내부가 상기 내용기의 내부에 연통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서 용기 축 방향을 따른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용기 본체의 외용기를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내용기가 외용기와 함께 변형하여 용적이 감소된다. 이 용적감소 변형에 수반하여 내용기의 내압이 정압으로 된다. 그리하여, 이 정압에 의해 밸브 부재가 열리고, 토출구와 내용기의 내부가 연통 구멍을 통해 연통된다. 또한, 이때에 용기 본체를 기울인 경우에는 내용물의 자체 중량도 밸브 부재에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밸브 부재가 열림으로써 내용기의 내압(정압), 또한 용기 본체를 기울인 경우에는 내용물의 자체 중량이 토출막에 작용하여 토출막은 탄성 변형하고 슬릿이 확개하여 토출구가 개방된다. 그 결과, 내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구에서 토출된다.
그 후, 내용기의 내압이 저하하면, 밸브 부재가 폐쇄되어 토출구와 내용기의 내부와의 연통 구멍을 통한 연통이 차단된다. 그리하여, 토출막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 변형하여 슬릿이 닫혀 토출구가 닫힌다. 이와 같이 밸브 부재가 폐쇄됨으로써 내용기가 밀봉되고, 또한 전술한 스퀴즈 변형을 해제하면, 외용기는 복원 변형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발생한 부압이 흡기 구멍을 통해 공기 밸브에 작용함으로써, 이 공기 밸브가 작동하여 흡기 구멍과 외부가 외기 도입 구멍을 통해 연통되고, 외기가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흡입된다.
외기가 흡입됨으로써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공기 밸브가 복원 변형하여 흡기 구멍과 외기 도입 구멍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외기가 흡입됨으로써 내용기의 용적감소 형상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용기 본체의 외용기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공기 밸브는 차단 상태이기 때문에,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의 내압이 정압으로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용기가 용적감소 변형된다. 내용기가 용적감소 변형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용이 얻어지고, 내용물이 토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서는 내용물을 토출할 때 외에는 밸브 부재가 폐쇄되어 내용기가 밀봉 상태로 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품질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토출막이 탄성 변형하여 슬릿이 확개할 때까지 토출구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토출 용기의 밀폐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토출 후에 토출구와 밸브 부재 사이에 내용물이 잔류해 있더라도 토출구로부터 예기치 않게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토출막이 복원 변형하여 슬릿이 닫히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토출구의 액 배출성이 높아짐은 물론, 내용물의 액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토출막의 탄성 변형 및 복원 변형에 의해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간단한 구성을 갖추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는 연통 구멍이 내용기의 내부에 연통함은 물론,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서 용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통 구멍과 토출구 간의 거리를 좁혀 이들 간에 생기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 구멍과 토출구 간의 스페이스를 작게 한 경우에는 이 스페이스에 체류하는 내용물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토출구에서 예기치 않게 내용물이 누출되는 일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서, 상기 토출막은 용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막의 중앙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경우, 내용기의 내압에 의해 토출막을 크게 변형시키지 않아도 슬릿이 확개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막의 내측 가까이에 상기 내용물의 유동에 억제력을 작용시키는 억제부를 위치시킨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에 대한 압압력이 제거되면, 외용기가 그의 복원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귀하려고 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 내에는 감압이 발생한다. 이 감압에 의해, 공기 밸브가 신속하게 열려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여, 발생한 감압을 소멸시킨다. 이때, 토출막에도 감압이 작용한다. 그러나, 토출막의 내측에는 내용물이 억제부에 의해 유동이 억제된 상태, 즉, 내용물이 이동하기 어려운 상태로 수납되어 있으므로, 토출막은 신속하게 개방할 수 없다. 그 결과, 감압이 발생한 상태로 역지 밸브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억제부에 의해 내용물의 유동이 억제된 상태가 아니어도 토출막이 근접 배치된 억제부에 맞닿음으로써, 토출막의 내용기측을 향한 개방 변형이 방해받기 때문에, 감압이 발생한 상태에서 역지 밸브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를 압압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 토출되는 내용물에 대해 억제부가 억제 작용을 미친다. 이 억제 작용은 토출막을 열어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에, 용기 본체에 작용시키는 압압력을 조금 크게 할 필요가 있을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즉, 실제 사용시에는 그 영향에 의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전혀 없다.
이와 같이, 토출막이 발휘하는 확실한 역지 밸브 기능은 억제부와의 조합, 즉 토출막의 내측에 위치한 내용물에 대한 억제부의 유동 억제 작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출막을, 그의 개폐 밸브 작용을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통상의 두께가 얇은 슬릿 밸브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토출 밸브의 형태도 포탄형으로 특정되는 일 없이 원하는 형태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 캡을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외장하는 외통체를 갖는 캡 본체와, 입구부의 개구단에 밀접하게 조립되고, 정상부를 갖는 통 형태로 형성된 지지 중간 마개와, 이 지지 중간 마개 및 캡 본체 사이에 끼워지도록 밀접하게 조립 고정되는 밸브체로 구성되고, 밸브체에 형성된 토출막의 내측 가까이에 위치하는 지지 중간 마개의 정상판 부분에 보(beam)판 조각 형태의 방해판을 남겨 연통 구멍을 개설하고, 방해판을 억제부로 했다.
토출통체를 캡 본체와의 사이에 끼우는 지지 중간 마개에 억제부를 설치하고, 이 억제부에서 방해판을 구성함으로써 억제부를 토출막의 내측 가까이에 안정되게 확실히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있어서, 토출막에 형성된 슬릿을 십자형으로 형성하고, 방해판을 슬릿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십자 보편(梁片) 형태로 형성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토출막의 개폐 구멍부인 슬릿 가까이에 방해판을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릿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내용물의 유동에 대하여 방해판이 직접 억제 작용을 미친다. 이에 의해 내용물에 대한 억제부의 억제 작용을 극히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상기 토출 용기에 따르면, 내용물의 품질을 확보하고, 또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토출구로부터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용기는 토출막의 내측에 위치한 내용물에 대한 억제부의 유동 억제 작용에 의해 확실한 역지 밸브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토출막을 통상의 두께가 얇은 슬릿 밸브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토출막의 형태도 원하는 형태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토출막을 성형하는 고가의 연질 탄성재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토출막의 구조 설정에서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억제부를 토출막의 내측 가까이에 안정하게 확실히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억제부에 의한 내용물에 대한 억제 작용을, 토출막의 역지 밸브 기능에 효과적으로, 또한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토출막의 개폐 구멍부인 슬릿 가까이에 방해판을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에 대한 억제부의 억제 작용을 극히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막에 안정하게 확실한 역지 밸브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토출 용기에서 토출막의 슬릿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토출 용기의 토출구에서 내용물을 토출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토출 용기에서 내용물을 토출한 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부를 파단시킨 전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토출 밸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일부를 파단시킨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토출막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억제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토출 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일부를 파단시킨 확대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출 용기(1)는 용기 본체(4), 토출 캡(6), 및 오버 캡(7)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4)는 내용물이 수용되고, 가요성을 가져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수축 변형하는 내용기(2), 및 내용기(2)가 내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3)를 구비한다. 토출 캡(6)은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에 장착되고,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오버 캡(7)은 토출 캡(6)에 탈착 자유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용기 본체(4)는 바닥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오버 캡(7)은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용기 본체(4) 및 오버 캡(7)의 중심축은 공통되는 축 상에 위치해 있다. 이하에서는 그 공통되는 축을 용기 축(O)이라 하고, 용기 축(O) 방향을 따라 오버 캡(7) 쪽을 상측이라 하고, 용기 본체(4)의 바닥부 쪽을 하측이라 한다. 또한, 용기 축(O)과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 방향이라 하고, 용기 축(O) 주위를 주회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 한다.
용기 본체(4)는 내용기(2)가 외용기(3)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보틀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8)와 하측에 위치하여 상통부(8)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통부(9)를 구비하는 2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통부(8) 중 외용기(3)로 구성된 부분(이하에서는 외상통부라 함)(8a)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8b)가 형성되어 있다. 외상통부(8a)에서 수나사부(8b)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내용기(2)와의 사이에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8c)이 형성되어 있다. 외상통부(8a)의 외주면에서, 흡기 구멍(8c)에 대응하는 부분 및 그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 축(O)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8d)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8b)는 홈(8d)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분단되어 있다.
외상통부(8a)의 내주면에는 상통부(8) 중 내용기(2)로 구성된 부분(이하에서는 내상통부라 함)(8e)이 적층되어 있다. 내상통부(8e)의 상단부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되접어져 외상통부(8a) 상단의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용기 본체(4)는 예를 들면, 공압출 성형한 2층 구조의 패리슨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성형되어 있다. 일례로서, 외용기(3)는 폴리에틸렌 수지제이고, 내용기(2)는 폴리에틸렌 수지에 대해 상용성이 없는 폴리아미드계 합성 수지제로 구성되어 있다.  
토출 캡(6)은 내통체(10), 외통체(11), 밸브통체(12), 및 토출통체(15)를 구비하고 있다. 내통체(10)는 천장벽부(10a) 및 주벽부(10b)를 구비하고,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벽부(10a)에는 주벽부(10b)보다도 직경이 작은 걸림통(10c)이 세워져 있고, 또한 이 걸림통(10c)보다도 직경이 작은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가 세워져 있다. 여기서, 주벽부(10b), 걸림통(10c) 및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는 용기 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는 내부가 내용기(2)의 내부에 연통하고,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하고, 걸림통(10c)보다도 용기 축(O)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와 걸림통(10c) 사이에는 지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는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101)와, 하측에 위치하고 상통부(101)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통부(102)를 구비하는 2단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체(10)의 주벽부(10b)는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주벽부(10b)에서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차양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10d)는 입구부(4a) 상단의 개구 가장자리 위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차양부(10d)의 외연부에는 끼워 맞춤 통부(10e)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통부(10e)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향으로 개구하는 외기 유통 구멍(10f)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정상부(100a)의 지름 방향으로 중앙에 용기 축(O)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10g)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0g)은 토출통체(15)의 토출구(5)와 내용기(2)의 내부를 연통하고 있다. 정상부(100a)에서의 연통 구멍(10g) 주연부는 후술하는 밸브체(12d)의 밸브자리(10h)를 구성한다. 여기서,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하단부는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 상단 가장자리보다도 상측 또는 상기 상단 가장자리와 대략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정상부(100a)는 입구부(4a)에 대해 상측에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외통체(11)는 천장벽부(11a) 및 주벽부(11b)를 구비하고,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용기 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천장벽부(11a)에는 용기 축(O)을 중심으로 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체(11)는 연결통(17), 플랜지(18), 및 토출통 누름 부재(19)를 구비한다. 연결통(17)은 천장벽부(11a)의 개구 주연부에 세워져 있다. 플랜지(18)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통(17)의 상단 개구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함과 더불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토출통 누름 부재(19)는 연결통(17)보다도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의 외주면의 용기 축(O) 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플랜지(18)의 지름 방향 내측의 개구 주연부에 연결되어 있다.
천장벽부(11a)의 하면에는 끼워 맞춤 통부(10e)의 상단부가 맞닿아 있다. 또한, 천장벽부(11a)의 하면에서, 끼워 맞춤 통부(10e)와 맞닿은 부분보다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하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 형태의 공기 밸브 자리(11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천장벽부(11a)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정상부(100a)가 위치해 있다.
또한, 주벽부(11b) 상단부의 내주면에는 끼워 맞춤 통부(10e)의 외주면이 맞닿아 있다. 또한, 주벽부(11b)의 내주면에는 끼워 맞춤 통부(10e)의 하단부에 맞닿은 환형 돌기(11i)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돌기(11i)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주벽부(11b)의 내주면에서, 환형 돌기(11i)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용기 본체(4) 입구부(4a)의 수나사부(8b)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1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벽부(11b)의 하단부 내에 입구부(4a)의 하통부(9)가 기밀 상태로 끼워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흡기 구멍(8c)이 외통체(11)의 주벽부(11b) 하측에서 이 토출 용기(1)의 외부와 연통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연결통(17) 하단부에서의 둘레 방향 일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외기 도입 구멍(1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기 도입 구멍(11d)은 외부와 흡기 구멍(8c)을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외기 도입 구멍(11d)의 하측 부분은 천장벽부(11a)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주연부의 둘레 방향 일부를 절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천장벽부(11a) 상면에서의 외기 도입 구멍(11d)의 개구 주연부에는 장벽(11f)이 세워져 있다. 장벽(11f)은 연결통(17)에 개구된 외기 도입 구멍(11d)의 개구 주연부에서의 하단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벽(11f)은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통 누름 부재(19)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걸어 맞춤 돌기(19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통 누름 부재(19)에서 플랜지(18)와 연결한 중앙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의 내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들어감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걸어 맞춤 오목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통체(12)는 연통 통(12a)과 밸브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연통 통(12a)은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에 외측에서 끼워진다. 밸브 부재(12b)는 연통 통(12a)의 상단부 내에 배치되고, 토출구(5)와 연통 구멍(10g)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통 통(12a)은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외형 형태를 따른 2단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연통 통(12a)의 하단 개구 가장자리는 내통체(10)의 천장벽부(10a)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밸브 부재(12b)는 밸브체(12d)와 탄성 연결편(12e)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12d)는 내통체(10)의 연통 구멍(10g)을 상측에서 개폐 자유자재로 폐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12e)은 밸브체(12d)와 연통 통(12a)을 연결함과 동시에, 내용기(2)의 내압 변동이나 내용물의 자체 중량 등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밸브체(12d)를 작동시켜 연통 구멍(10e)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12d)는 원판형의 형태를 갖는다. 밸브체(12d)의 외연부는 내통체(10)의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정상부(100a)의 밸브자리(10h)에 상측에서 맞닿아 있다. 또한, 탄성 연결편(12e)은 밸브 부재(12b)를 상측에서 봤을 때 상면에서 원호 형태를 가지며, 밸브체(12d)의 외연부와 연통 통(12a)의 내주면 상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탄성 연결편(12e)은 연통 통(12a)과 밸브체(12d)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연결편(12e)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밸브체(12d)는 정상부(100a)에 대해서 상측을 향해 변위 가능함은 물론, 연통 구멍(10g)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12d)가 밸브자리(10h)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탄성 연결편(12e) 간의 간극을 내용물이 유통한다.
다음으로, 토출통체(15)는 천장벽부(15a)와, 천장벽부(15a)의 외주연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밸브통체(12)의 연통 통(12a)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주벽부(15b)를 구비하고 있다. 천장벽부(15a)는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천장벽부(15a)의 지름 방향으로 중앙 영역에 상기 토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천장벽부(15a)에는 토출구(5)를 폐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토출막(2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토출구(5)의 내주면에 토출막(20)이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주벽부(15b)는 밸브통체(12)의 연통 통(12a)의 외형을 따라 상측에 위치하는 상통부(151)와, 하측에 위치하고 상통부(151)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통부(152)를 구비하는 2단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통부(152)의 하단부는 내통체(10)의 천장벽부(10a) 상면에 맞닿아 있다. 여기서, 주벽부(15b) 내에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가 삽입되도록 위치해 있다. 또한,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통부, 밸브통체(12)의 연통 통(12a) 및 토출통체(15)의 주벽부(15b)는 지름 방향에서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통부(151)와 하통부(152) 사이에는 환형 단부(153)가 형성되고, 단부(153)의 하면은 밸브통체(12)에 형성되는 단부에 맞닿아 있다. 또한, 단부(153)의 상면은 토출통 누름 부재(19)에 맞닿아 있고, 토출통체(15)는 외통체(11)에 상측으로무터 눌려져 있다. 또한, 하통부(152)의 상부 외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걸어 맞춤 돌기(1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돌기(152a)는 토출통 누름 부재(19)에 형성된 걸어 맞춤 오목부(19b)에 걸어 맞춰져 있다.
토출막(20)은 상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토출막(20)을 상면에서 봤을 때, 토출막(20)의 중앙부에는 슬릿(2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예에서, 슬릿(20a)은 X자형(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내용기(2)의 내압 상승에 따라 토출막(20)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슬릿(20a)이 확개하여 토출구(5)가 개방된다.
또한, 주벽부(15b)의 하통부(152)의 하부 외주면에는 공기 밸브(15c)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막(20)과 공기 밸브(15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밸브(15c)는 하통부(152)의 용기 축(O) 방향을 따라 중앙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 형태를 가지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토출 용기(1)의 종단면도에서, 공기 밸브(15c)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측을 향해 연재해 있다. 또한, 공기 밸브(15c)의 외연부에는 상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돌기(15f)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돌기(15f)는 공기 밸브 자리(11e)에 공기 밸브 자리(11e)의 하측에서 맞닿아 있음과 동시에, 공기 밸브(15c)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공기 밸브 자리(11e)에서 하측을 향해 이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오버 캡(7)은 천장벽부(7a) 및 주벽부(7b)를 구비하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천장벽부(7a)의 지름 방향으로 중앙에는 토출막(20)에 맞닿은 맞닿음부(7c)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7c)는 하측을 향해 팽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7c)는 천장벽부(7a)에서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돔 형태 또는 반구면 형태를 갖는다.
또한, 천장벽부(7a)에는 내통부(7d)와 외통부(7e)가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7d)는 맞닿음부(7c)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7e)는 내통부(7d)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7d)는 토출통 누름 부재(19)의 상단부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외통부(7e)는 토출통 누름 부재(19)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외통부(7e)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걸어 맞춤 돌기(7f)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돌기(7f)는 토출통 누름 부재(19)의 걸어 맞춤 돌기(19a)에 하측에서 맞닿아 있고, 언더컷 부분에서 끼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버 캡(7)의 주벽부(7b) 하단부와 외통체(11)의 주벽부(11b) 상단부 사이에는 이를 연결하는 힌지(14)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14)는 외기 도입 구멍(11d)이 위치하는 둘레 방향 위치, 즉 외기 도입 구멍(11d)의 지름 방향으로 외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오버 캡(7)의 주벽부(7b) 상단부에서, 용기 축(O)을 지름 방향으로 사이에 끼운 힌지(14)의 반대측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개폐 조작편(7g)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토출 용기(1)에서는 용기 본체(4)의 내용기(2)에 수용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개폐 조작편(7g)을 조작하여 오버 캡(7)을 개방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 용기(1)를 토출막(20)이 하측을 향해 비스듬한 토출 자세로 한 상태로 용기 본체(4)의 외용기(3)를 스퀴즈 변형(탄성 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내용기(2)가 외용기(3)와 함께 변형하여 용적이 감소된다.
또한, 이 용적감소 변형에 따라 내용기(2)의 내압이 정압으로 된다. 이 정압에 의해 탄성 연결편(12e)이 탄성 변형함은 물론, 밸브체(12d)가 밸브자리(10h)로부터 이격되어 밸브 부재(12b)가 열리고, 토출구(5)와 내용기(2)의 내부가 연통 구멍(10g)을 통해 연통된다. 이때, 용기 본체(4)를 기울인 경우에는 내용물의 자체 중량도 밸브 부재(12b)에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밸브 부재(12b)가 개방됨으로써, 내용기(2)의 내압(정압), 또한 내용물의 자체 중량이 토출막(20)에 작용하여 토출막(20)은 탄성 변형함과 동시에, 슬릿(20a)이 확개하고, 토출구(5)가 열린다. 이에 따라, 내용기(2)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구(5)에서 토출된다.
그 후, 내용기(2)의 내압이 저하하면, 탄성 연결편(12e)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 변형함과 동시에, 밸브체(12d)가 밸브자리(10h)에 착좌하여 밸브 부재(12b)가 닫힌다. 이에 따라, 토출구(5)와 내용기(2) 내부와의 연통 구멍(10g)을 통한 연통이 차단되고, 토출막(2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 변형하여 슬릿(20a)이 닫힘과 더불어, 토출구(5)가 닫힌다. 이와 같이, 밸브 부재(12b)가 담힘으로써, 내용기(2)가 밀봉되고, 또한 전술한 스퀴즈 변형을 해제하면, 외용기(3)에는 복원 변형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발생한 부압이 흡기 구멍(8c)을 통하여 공기 밸브(15c)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이 공기 밸브(15c)가 흡기 구멍(8c)측을 향해 열려 흡기 구멍(8c)과 외부가 외기 도입 구멍(11d)을 통해 연통되고, 외기가 외기 도입 구멍(11d), 외기 유통 구멍(10f), 및 홈(8d)을 통해 흡기 구멍(8c)으로부터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흡입된다.
또한, 외기가 흡입됨으로써 외용기(3)와 내용기(2)간의 내압이 대기압까지 상승하면, 공기 밸브(15c)가 복원 변형하여 흡기 구멍(8c)과 외기 도입 구멍(11d)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외기가 흡입됨으로써, 내용기(2)의 용적감소 형태가 유지된다.
도 4는 외용기(3)와 내용기(2)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다시 용기 본체(4)의 외용기(3)를 스퀴즈 변형시키면, 공기 밸브(15c)는 차단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용기(3)와 내용기(2)간의 내압이 정압으로 되고, 이 정압에 의해 내용기(2)가 용적감소 변형된다. 내용기(2)가 용적감소 변형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동일한 작용이 얻어지고, 내용물이 토출된다.
토출 후는 개폐 조작편(7g)을 조작하여 오버 캡(7)을 닫음과 동시에, 토출 캡(6)에 장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토출 용기(1)에 따르면, 내용물을 토출할 때 외에는 밸브 부재(12b)가 닫혀 내용기(2)가 밀봉 상태로 유지되므로, 내용물의 품질이 확보된다. 또한, 토출막(20)이 탄성 변형하여 슬릿(20a)이 확개되기까지 토출구(5)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밀폐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토출 후에, 토출구(5)와 밸브 부재(12b) 사이에 내용물이 남아있더라도, 토출구(5)에서 예기치 않게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토출막(20)이 복원 변형하여 슬릿(20a)이 닫힘으로써, 토출구(5)의 액배출성이 높아짐은 물론, 내용물의 액 흘러내림도 방지된다.  
또한, 토출막(20)의 탄성 변형 및 복원 변형에 의해 토출구(5)를 개폐시키는 간단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삭감되면서도 전술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통 구멍(10g)이, 내부가 내용기(2)의 내부에 연통함과 동시에,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에서 용기 축(O)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4)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의 정상부(100a)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통 구멍(10g)과 토출구(5) 간의 거리를 좁혀(근접시켜) 이들 간에 생기는 스페이스가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통 구멍(10g)과 토출구(5) 간의 스페이스를 작게 한 경우에는 이 스페이스에 체류하는 내용물의 양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토출구에서 예기치 않게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100)가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에서 용기 축(O)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4)의 외측을 향해 돌출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4a)의 상단 가장자리의 지름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는 내통체(10)의 천장벽부(10a)로부터 세워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출막(20)이 용기 축(O) 방향을 따라 용기 본체(4)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토출막(20)의 중앙부에 슬릿(20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내용기(2)의 내압에 따라 토출막(20)을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도 슬릿(20a)이 확개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토출 용기(200)의 덮개부(오버 캡)(216)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일부를 파단시킨 전체도이다. 용기체(용기 본체)(20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층(외용기)(202)과 내층(내용기)(203)을 갖는다. 용기체(201)는 블로우 성형되어 디라미네이션 보틀 타입의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외층(202)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제이며, 스퀴즈 변형 가능하고 복원 자유자재의 가요성을 갖는다. 내층(203)은 나일론제이며, 외층(202)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또한, 내층(203)은 점조성을 갖는 내용물(N)을 수용하고, 내압의 감소에 의해 자유자재로 용적감소 변형하는 주머니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몸통부(207)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태를 갖고, 그의 상단에 어깨 단부(206)를 갖는다. 몸통부(207)는 상측에 원호 형태로 지름이 축소된 어깨부를 통해 원통형의 구통부(입구부)(204)가 기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구통부(204)를 구성하는 외층(202)에는 그의 대략 절반보다 상측으로 외상통부(204c)의 외주면에 나선(수나사부)(204a)이 새겨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통부(204)를 구성하는 외층(202)의 대략 절반보다 하측으로 외하통부(204d)에는 외기를 외층(202)과 내층(203) 사이에 흡기하기 위한 흡기 구멍(205)이 개설되어 있다. 어깨 단부(206)의 외주면은 나선의 돌출단보다도 외측에 위치한 평활면이 형성되어 있다. 외상통부(204c)의 내주면에는 내층(203)으로 구성된 내상통부(203e)가 적층되어 있다. 내상통부(203e)의 상단부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으로 되접어져 외상통부(204c)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204b) 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체(201)의 구통부(204)에 조립되는 캡체(208)는 캡 본체(토출 캡)(209)와, 덮개부(216)로 구성되어 있다. 캡 본체(209)는 주체부(외통체)(210)와 연질 탄성재의 밸브체(토출통체)(220)와 지지 중간 마개(내통체)(225)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체부(210)는 용기체(201)의 구통부(204)에 조립되어 있다. 덮개부(216)는 주체부(210)에 힌지(219)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주체부(210)는 구통부(204)에 외장하여 나사 결합되어 조립되는 조립통(주벽부)(211)과 정상벽(외통체의 천장벽부)(213)을 갖고, 정상부를 갖는 원통 형태를 갖고 있다. 조립통(211)의 내주면 상측에는 구통부(204)의 수나사부(204a)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211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통(211)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어깨 단부(206) 상부의 평활한 외주면(하통부)(204d)에 밀접하게 접촉하여 흡입한 외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밀봉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상벽(213)의 중앙에는 그의 기단부에 흡기부(외기 도입 구멍)(215)를 개설한 통편(토출통 누름 부재)(214)이 기립되어 형성되어 있다. 주체부(210)의 정상벽(213) 상면에서의 흡기구(215)의 개구 주연부에는 장벽(213f)이 세워져 있다. 장벽(213f)은 흡기구(215)의 개구 주연부에서의 하단부를 지름 방향으로 외측에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벽(213f)은 상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체부(210)에 힌지(219)로 결합된 덮개부(216)에는 정상판의 하면 중앙에 주체부(210)의 통편(214)에 밀접하게 끼워 맞춤 가능한 마개 통편(내통부)(217)이 아래로 늘어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216)는 이 마개 통편(217) 내측의 정상판 부분을 구(球)호 형태로 함몰시킨 누름 정상판(218)을 갖고 있다.
밸브체(220)는 기본적으로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 구조를 갖는다. 밸브체 (220)는 천장벽부(220a)와, 천장벽부(220a)의 외주연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조립 본체(주벽부)(221)를 구비하고 있다. 천장벽부(220a)는 용기체(201)의 구통부(204)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덮개부(216)의 누름 정상판(218)의 내면 형태를 따라 구호 형태로 함몰시킨 형태를 갖는다. 밸브체(220)는 조립 본체(221)의 하통부(221a)의 외주면에서 외악 형태로 흡기 밸브(공기 밸브)(222)를 설치함과 함께, 구호형으로 함몰한 정상벽 부분을 토출 밸브(토출막)(223)로서 구성되어 있다. 흡기 밸브(222)는 두께가 얇은 외악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흡기 밸브(222)는 흡기구(215)보다도 외측의 정상벽(213) 하면 부분에 주단부를 밀접하게 접촉시킴으로써 흡기구(215)로부터의 외기 침입은 허용하지만, 흡기구(215)로부터의 외기 배출을 저지하는 역지 밸브 기능을 발휘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벽부(220a)에 형성된 토출 밸브(223)는 이 천장벽부(220a)에 십자형 슬릿(224)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슬릿 밸브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 밸브(223)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체는 주체부(210)의 통편(214) 내에 위치하고, 둘레 방향으로 내측에 보호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중간 마개(225)는 구통부(204)의 개구단에 밀접하게 끼워 넣어 조립되고, 또한 캡 본체(209)의 조립통(211) 내주면의 상단 부분에 강고하게 끼워 넣어 조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캡 본체(209)의 주체부(210)와 지지 중간 마개(225) 사이에 밸브체(220)를 끼우도록 유지된다.
지지 중간 마개(225)는 천장벽부(225a) 및 주벽부(225b)를 구비하고,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중간 마개(225)의 천장벽부(225a)에는 주벽부(225b)보다도 직경이 작은 걸림통(225c)이 세워져 있고, 또한 이 걸림통(225c)보다도 직경이 작은 지지통부(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226)가 세워져 있다. 여기서, 주벽부(225b), 걸림통(225c) 및 지지통부(226)는 용기 축(O)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통부(226)는 내부가 내층(203) 내부에 연통하고, 용기체(201)의 구통부(204)에서 상측을 향해 돌출하여, 걸림통(225c)보다도 용기 축(O)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부(226)와 걸림통(225c) 사이에는 지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조립 본체(221)의 하통부(221a) 하단부는 지지 중간 마개(225)의 천장벽부(225a) 상면에 맞닿아 있다. 여기서, 조립 본체(221)의 하통부(221a) 내에는 지지통부(226)가 삽입되도록 위치해 있다. 또한, 지지통부(226)의 통부, 밸브체(220)의 조립 본체(221)는 지름 방향에서 겹쳐지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 중간 마개(225)의 주벽부(225b)는 용기체(201)의 구통부(204) 내에 끼워 맞춰져 있다. 주벽부(225b)에서의 상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차양부(225d)가 형성되어 있다. 차양부(225d)는 구통부(204)의 상단 개구 가장자리 위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차양부(225d)의 외연부에는 끼워 맞춤 통부(225e)가 상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통부(225e)의 하단부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하측을 향해 개구하는 외기 유통 구멍(225f)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주체부(210)의 정상벽(213) 하면에는 지지 중간 마개(225)의 끼워 맞춤 통부(225e)의 상단부가 맞닿아 있다. 또한, 정상벽(213)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지지통부(226)의 정상부(100a)가 위치해 있다.
또한, 중앙에 기립한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 지지통부(226)의 토출 밸브(223) 가까이에 위치하는 정상벽 부분(정상부(100a))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통공(연통 구멍)(228)을 개설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228)에는 십자형 보판 조각 형태의 방해판(227a)이 잔존하도록 형성되고, 이 방해판(227a)을 억제부(227)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이 보판 조각 형태의 방해판(227a)에는 각 방해판(227a)에 인접하여 연통 구멍(228)이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N)의 토출 동작시에는 연통 구멍(228)에서 슬릿(224)에 유동하는 내용물(N)에 대하여 큰 억지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방해판(227a)과 연통 구멍(228)의 크기 관계는 내용물(N)의 점도 크기에 따라서 설정된다. 내용물(N)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방해판(227a)을 가늘게 형성하여 연통 구멍(228)의 개구를 크게 한다. 반대로, 내용물(N)의 점도가 낮은 경우에는 방해판(227a)을 폭넓게 형성하여 연통 구멍(228)의 개구를 작게 한다. 이에 따라, 내용물(N)에 대한 억제부(227)의 규제 작용을 조정하여 설정한다.
다음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의 동작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덮개부(216)가 닫힌 상태에서는 덮개부(216)의 누름 정상판(218)이 토출 밸브(223)에 대하여 접촉한 상태, 또는 매우 근접하여 배치되어 토출 밸브(223)가 열리는 동작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몸통부(207)에 압압력이 작용하는 등에 의해 용기체(201)의 내압이 상승하여도 토출 밸브(223)는 누름 정상판(218)에 눌려 밸브 개방 동작을 발생할 수 없고, 용기는 내용물(N)의 준비되지 않은 토출을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안전하게 유지된다.
도 9에 나타낸, 덮개부(216)가 열린 상태에서는 용기체(201)의 몸통부(207)를 압압하여 내압이 상승하면, 상승한 내압에 의해 내용물(N)이 토출 밸브(223)를 눌러 열고, 이 토출 밸브(223)에서 내용물(N)이 토출된다. 원하는 양의 내용물(N)을 토출시켜 용기체(201)에의 압압력을 제거하면, 토출 밸브(223)가 닫혀 토출 조작이 종료한다. 토출 조작이 종료하면, 외층(202)에 복원력이 발생하여 용기체(201) 내에 감압이 발생하고, 외기가 흡기구(215)에서 흡입된다. 흡입된 외기에 의해 흡기 밸브(222)가 열려 지지 중간 마개(225)에 형성된 연통 구멍 및 구통부(204)와 조립통(211)의 나사 결합 조립 부분을 통해 흡기 구멍(205)으로부터 외층(202)과 내층(203) 사이에 흡입된다. 이 결과, 용기체(201) 안의 감압된 상태는 신속히 소멸한다.
이때, 상승한 용기체(201)의 감압은 토출 밸브(223)에도 동시에 작용한다. 여기서, 토출 밸브(223)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N)은 그의 유동이 억제부(227)에 의해 억제되어 유동 이동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그 때문에, 흡기 밸브(222)에 의한 신속한 감압 소멸 동작 중에 내용물(N)은 토출 밸브(223)가 열릴 수 있는 위치까지 유동되는 경우는 없다. 이 때문에, 토출 밸브(223)는 용기체(201)의 감압에 의해 외기를 침입시키는 일 없이, 결과적으로 안정하게 확실한 역지 밸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N)이 내용기 내에 되돌려진 경우에도 억제부가 토출 밸브에 맞닿아 토출 밸브의 개방을 억제하기 때문에, 안정한 역지 밸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오버 캡(7)은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토출 캡(6)에 탈착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힌지식 캡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버 캡(7)은 토출 캡(6)에서 이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버 캡(7)은 나사 결합에 의해 토출 캡(6)에 착탈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나사식 캡이나, 압입 조작에 의해 토출 캡(6)에 탈착 자유자재로 장착되는 끼워 맞춤식 캡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토출막(20)의 슬릿(20a)이 X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Y자형이나 I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부재(12b)에서 탄성 연결편(12e)은 상면에 서 봤을 때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연통 통(12a)과 밸브체(12d)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연통 통(12a)과 밸브체(12d)를 연결하고 있는 예를 도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밸브 부재(12b)는 예를 들면, 하나의 탄성 연결편(12e)이 연통 통(12a)과 밸브체(12d)를 연결하는 1점 밸브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용기 본체(4)는 내용기(2)가 외용기(3)의 내면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소위 디라미네이션 보틀이라고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4)는 내용기(2)와 외용기(3)가 별도로 형성된 이중 용기일 수도 있다.
또한,제1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4)의 입구부(4a)의 수나사부(8b)와, 외통체(11)의 암나사부(11h)가 나사 결합함으로써, 토출 캡(6)이 입구부(4a)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수나사부(8b)와 암나사부(11h)를 사용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외통체(11)에서 지름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돌기가 입구부(4a)에서 지름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함과 동시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돌기에 언더컷 끼워 맞추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몸통부(207)의 하단부에 베이스컵을 밀접하게 조립하고, 흡기 밸브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예를 들면, 이 베이스컵과 용기체(201) 바닥부의 핀치오프부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방해판(227a)을 십자 보편 형태가 아니고 단순한 평판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캡 본체(209)를 힌지 캡으로 하는 구성 대신에, 주체부(210)와 덮개부(216)를 별개물로 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토출 밸브(223)는 구호 형태로 함몰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평판 형태나 구호 형태로 팽출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 슬릿(224)을 십자형이 아니고, 단일선 형태나 3개의 선 형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 흡기 구멍(205)을 축 대칭으로 한쌍 형성하고, 양 흡기 구멍(205)을 피한 외층(202)과 내층(203) 사이에 용기체(201)의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 띠 형태의 접착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밖에,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요소로 적절히 치환하는 것은 가능하며, 또한 상술한 변형에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내용물의 품질을 확보하고, 또한 부품 개수를 증가시키는 일없이 토출구로부터의 액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토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 용기는 구조가 극히 간단하고 신속한 밸브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슬릿 밸브를 디라미네이션 보틀 타입의 토출 용기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디라미네이션 보틀 타입의 토출 용기에서의 토출막 부분을 저렴하고, 또한 간단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디라미네이션 보틀 타입의 토출 용기에 대하여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1 토출 용기
2 내용기
3 외용기
4 용기 본체
4a 입구부 
5 토출구
6 토출 캡 
8c, 205 흡기 구멍
10g 연통 구멍 
11d 외기 도입 구멍
12b 밸브 부재 
15c 공기 밸브 
20 토출막 
20a 슬릿
100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
O 용기 축
201 용기체(용기 본체)
202 외층(외용기)
203 내층(내용기)
204 구통부(입구부)
206 어깨 단부
207 몸통부
208 캡체
209 캡 본체(토출 캡)
210 주체부(외통체) 
211 조립통(주벽부)
212 밀봉부
213 정상벽(천상벽부)
214 통편(토출통 누름 부재)
215 흡기구(외기 도입 구멍)
216 덮개부(오버 캡)
217 마개 통편(내통부)
218 누름 정상판
219 힌지
220 밸브체(토출통체)
221 조립 본체(주벽부)
222 흡기 밸브(공기 밸브)
223 토출 밸브(토출막)
224 슬릿
225 지지 중간 마개(내통체)
226 지지통부(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
227 억제부
227a 방해판
228 통공(연통 구멍)
N 내용물

Claims (6)

  1. 내용물이 수용됨과 함께,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수축 변형하는 내용기, 및 상기 내용기가 내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외용기를 갖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와 상기 내용기의 내부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된 토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외용기에는 상기 내용기와의 사이에 외기가 흡입되는 흡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토출 캡은 상기 토출 캡의 바깥쪽과 상기 흡기 구멍 사이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공기 밸브와, 상기 토출구를 폐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토출막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막은 상기 토출구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막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용기의 내압 상승에 따라 상기 토출막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슬릿이 확개하여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는 토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캡은 외부와 상기 흡기 구멍을 연통하는 외기 도입 구멍과, 상기 토출구와 상기 연통 구멍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밸브 부재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공기 밸브는 상기 흡기 구멍과 상기 외기 도입 구멍의 연통 및 차단을 전환하고, 상기 연통 구멍은 내부가 상기 내용기의 내부에 연통함과 더불어,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서 용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체의 정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막은 용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막의 중앙부에 상기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토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막의 내측 가까이에 상기 내용물의 유동에 억제력을 작용시키는 억제부를 위치시킨 토출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캡을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입구부에 외장하는 외통체를 갖는 캡 본체와, 상기 입구부의 개구단에 밀접하게 조립되고, 정상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지지 중간 마개와, 상기 지지 중간 마개 및 캡 본체 사이에 끼우도록 밀접하게 조립 고정되는 밸브체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에 형성된 토출막의 내측 가까이에 위치하는 지지 중간 마개의 정상판 부분을 보(beam)판 조각 형태의 방해판을 남겨 연통 구멍을 개설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방해판을 억제부로 한 토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막에 설치된 상기 슬릿을 십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방해판을 상기 슬릿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십자 보편 형태로 형성한 토출 용기.
KR1020147011461A 2011-10-31 2012-10-26 토출 용기 Active KR101930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38557 2011-10-31
JP2011238557A JP5793807B2 (ja) 2011-10-31 2011-10-31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1260052A JP5883626B2 (ja) 2011-11-29 2011-11-29 吐出容器
JPJP-P-2011-260052 2011-11-29
PCT/JP2012/077739 WO2013065599A1 (ja) 2011-10-31 2012-10-26 吐出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37A KR20140091537A (ko) 2014-07-21
KR101930278B1 true KR101930278B1 (ko) 2018-12-18

Family

ID=4819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461A Active KR101930278B1 (ko) 2011-10-31 2012-10-26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46600B2 (ko)
EP (1) EP2774871B1 (ko)
KR (1) KR101930278B1 (ko)
CN (1) CN103917457B (ko)
AU (1) AU2012333706B2 (ko)
CA (1) CA2853508C (ko)
WO (1) WO2013065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0588B1 (en) * 2012-08-21 2015-04-01 Aptar France SAS Dispensing closure having a vent valve
US9795242B2 (en) 2013-02-14 2017-10-24 Cirkul, Inc. Additive delivery systems and containers
US9676525B2 (en) * 2013-12-17 2017-06-13 Aptar Radolfzell Gmbh Protective cap for a dispenser, and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al liquids
WO2015139147A1 (en) * 2014-03-19 2015-09-24 Hoffmann Neopac Ag One-way valve for a compressible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such a valve
EP3144243B1 (en) * 2014-05-14 2021-03-24 Tokyo Light Industry Co. Ltd. Cap
JP6537319B2 (ja) * 2015-03-30 2019-07-03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CN107530249B (zh) 2015-04-23 2021-09-07 宝洁公司 浓缩型个人清洁组合物及方法
EP3285729B1 (en) 2015-04-23 2019-12-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285725B1 (en) 2015-04-23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WO2016172472A1 (en) 2015-04-23 2016-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uses
EP3348489B1 (en) * 2015-09-07 2021-08-11 Mikasa Industry Co., Ltd. Cap
US10850894B2 (en) 2016-06-02 2020-12-01 Fw Dispensing B.V. Dispensing system, spout and squeezable container
JP6656761B2 (ja) * 2016-06-30 2020-03-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6942568B2 (ja) * 2016-08-30 2021-09-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US11185486B2 (en) 2016-10-21 2021-1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18075749A1 (en) 2016-10-21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675231B2 (en) 2017-02-17 2020-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US10806686B2 (en) * 2017-02-17 2020-10-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US10591932B2 (en) * 2017-11-08 2020-03-17 Carefusion Corporation Diaphragm check valve
TWI641535B (zh) * 2017-12-06 2018-11-21 段睿紘 Cap with nozzle
JP7231818B2 (ja) * 2017-12-21 2023-03-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EP4400207A3 (en) * 2018-08-27 2024-10-09 Cirkul, Inc. Adjustable additive delivery systems and dispensing closure valves for the same
JP7154919B2 (ja) * 2018-09-28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2076658B1 (ko) * 2019-05-31 2020-02-13 임종수 튜브용기 내의 액상 내용물을 방울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
CN113272233A (zh) * 2019-11-22 2021-08-17 深圳市德昌裕塑胶制品有限公司 由多层共挤压一次成形的软管容器
CN113333045B (zh) * 2021-06-07 2022-10-28 北京牡丹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数字科技中心 一种具有泄压功能的密封坩埚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074A (ja) * 2002-04-30 2003-11-11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JP2004262470A (ja) 2003-02-14 2004-09-24 Taisei Kako Co Ltd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6526A (ja) * 2005-12-27 2007-07-12 Yoshino Kogyosho Co Ltd バルブ付き倒立容器
JP2008162666A (ja) * 2006-12-28 2008-07-17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1323B2 (ja) * 1996-07-30 2006-02-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US6095382A (en) 1998-09-21 2000-08-01 Aptargroup, Inc. Container and closure with dispensing valve and separate releasable internal shipping seal
JP4580524B2 (ja) * 2000-09-12 2010-11-17 株式会社日本点眼薬研究所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DE10109064A1 (de) * 2001-02-24 2002-09-05 Beiersdorf Ag Öffnungssystem mit Rückbelüftungsmechanik
CA2433407C (en) * 2001-10-31 2010-10-19 Yoshino Kogyosho Co., Ltd. Blow-molded container
JP4003937B2 (ja) 2002-04-30 2007-11-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MY140596A (en) 2002-07-31 2009-12-31 Otsuka Pharma Co Ltd Delivery device and container provided with the same
JP2009149327A (ja) 2007-12-19 2009-07-09 Kao Corp デラミ容器
JP5224915B2 (ja) 2008-06-03 2013-07-03 大成化工株式会社 フィルター付き吐出容器
JP6282534B2 (ja) * 2014-06-13 2018-02-21 藤森工業株式会社 包装袋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1074A (ja) * 2002-04-30 2003-11-11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JP2004262470A (ja) 2003-02-14 2004-09-24 Taisei Kako Co Ltd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76526A (ja) * 2005-12-27 2007-07-12 Yoshino Kogyosho Co Ltd バルブ付き倒立容器
JP2008162666A (ja) * 2006-12-28 2008-07-17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6600B2 (en) 2016-05-24
CN103917457B (zh) 2015-08-19
EP2774871B1 (en) 2018-10-17
WO2013065599A1 (ja) 2013-05-10
CA2853508A1 (en) 2013-05-10
CA2853508C (en) 2020-10-27
KR20140091537A (ko) 2014-07-21
EP2774871A1 (en) 2014-09-10
CN103917457A (zh) 2014-07-09
US20140263443A1 (en) 2014-09-18
EP2774871A4 (en) 2015-06-03
AU2012333706B2 (en) 2016-06-09
AU2012333706A1 (en)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278B1 (ko) 토출 용기
KR101543192B1 (ko) 토출 용기
JP6283431B2 (ja) 吐出容器
EP2848551B1 (en) Mouth plug for liquid container
CN109153481B (zh) 盖和排出容器
JP5865781B2 (ja) 吐出容器
JP2017132508A (ja) 吐出容器
JP5793807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3014341A (ja) 吐出容器
JP5883626B2 (ja) 吐出容器
JP2017132529A (ja) 吐出容器
JP2017081628A (ja) 吐出容器
JP2014231384A (ja) 吐出容器
JP2019081591A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6148899B2 (ja) 吐出容器
JP6896342B2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21004089A (ja) 二重容器用キャップ
JP2016222309A (ja) 吐出容器
JP2014231386A (ja) 吐出容器
JP7418277B2 (ja) 二重容器
JP7453031B2 (ja) 複合蓋
JP2014231385A (ja) 吐出容器
JP7382698B2 (ja) 吐出容器
JP2024015326A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JP2017132530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