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9781B1 -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781B1
KR101909781B1 KR1020157000667A KR20157000667A KR101909781B1 KR 101909781 B1 KR101909781 B1 KR 101909781B1 KR 1020157000667 A KR1020157000667 A KR 1020157000667A KR 20157000667 A KR20157000667 A KR 20157000667A KR 101909781 B1 KR101909781 B1 KR 101909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owder
unsubstituted
substituted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1438A (ko
Inventor
요시히사 엔도
다카히로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13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four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8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or cycloaliphatic ring
    • C05G3/02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60Biocides or preservatives, e.g. disinfectants, pesticides or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초기 활성과 잔효 활성이 모두 높고,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우수한 붕괴성과 분산성을 유지하는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는,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농약 활성 성분의 미분말과,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의 조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응집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GRANULAR HYDRAT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7월 1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6082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살충, 살균, 제초 등의 농약 활성을 갖는 성분은, 그 물성이나 시용 목적에 따라 수화제, 유제, 현탁제, 분제 등으로 가공되어 농약 제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농약 제제 중, 유제는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 유기 용매에 의한 환경 오염이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현탁제는 농약 활성 성분을 수중에서 현탁시키고 있지만, 제품을 장기간 보존하는 경우에 상 (相) 분리를 일으키기 쉽다. 분상 (粉狀) 수화제나 분제는 제제화할 때나 사용할 때에 더스팅이 잘 발생되어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우려된다. 이에 비해 과립상 수화제는 상기와 같은 우려가 적다. 과립상 수화제는, 고체상 농약 활성 성분, 광물질 미 (微) 분말 담체 및 계면 활성제 등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건식 분쇄하고, 그 후, 물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그 혼련물을 직경 0.5 ㎜ ∼ 2.0 ㎜ 정도의 구멍을 갖는 다공 판에 통과시켜 조립 (造粒) 하는, 이른바 압출 조립법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또, 과립상 수화제는, 분쇄된 혼합물을 부유 유동시키면서 물 또는 슬러리상 혼합물을 분무하여 조립하는 유동층 조립법, 분쇄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물 또는 슬러리상 혼합물을 분무하여 조립하는 교반 조립법, 분쇄된 혼합물을 물에 분산시키고 기류 중에 분무하여 건조 조립하는 스프레이 드라이어법 등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입도의 과립상 수화제는 초기 활성이 높고, 비교적 큰 입도의 과립상 수화제는 잔효 활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초기 활성과 잔효 활성을 양립시키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 은 평균 입자 직경 0.5 ∼ 5 ㎛ 를 갖는 농약 활성 성분 및 평균 입자 직경 3 ∼ 30 ㎛ 를 갖는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을 혼합하고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과립상 수화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는, 테트라조일옥심 유도체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농약을 개시하고 있다.
국제 공개 WO01/047355호 팜플렛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37875호
과립상 수화제는 물에 첨가했을 때에 단시간에 과립이 붕괴되고, 또한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과립상 수화제는 제조 직후에 붕괴성 및 분산성이 우수해도, 장기간 보존한 후에 붕괴성 및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활성과 잔효 활성이 모두 높고,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우수한 붕괴성과 분산성을 유지하는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하의 양태의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1]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단일의 또는 복수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응집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과립상 수화제.
[2]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농약 활성 성분의 미분말과,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의 조 (粗) 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응집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과립상 수화제.
[3] 농약 활성 성분은 20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0 ppm 이하이고, 또한 융점이 100 ℃ 이상인 [1] 또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
[4] 농약 활성 성분이 식 (I)
[화학식 1]
Figure 112015002774583-pct00001
[식 (I) 중, X 는 수소 원자, C1 ∼ 6 알킬기, C1 ∼ 6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C1 ∼ 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Y 는 C1 ∼ 6 알킬기를 나타낸다.
Z 는 아미노기 또는 -NHC(=O)-Q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Q 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옥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R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1] 또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
[5] 농약 활성 성분이 {6-{[(Z)-(1-메틸-1H-5-테트라졸릴)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르밤산tert-부틸인 [1] 또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
[6] 저흡습 수용성 분말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칼륨, 황산암모늄, 질산칼륨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분말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
[7] 저흡습 수용성 분말이 황산암모늄 및 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분말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
[8]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단일의 또는 복수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1]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
[9]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미분말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조 (粗) 분말을 얻고,
상기 미분말과 상기 조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
[10]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혼합 미분말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조분말을 얻고,
상기 혼합 미분말과 상기 조분말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
[11]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미분말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혼합 조분말을 얻고,
상기 미분말과 상기 혼합 조분말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
[12]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혼합 미분말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혼합 조분말을 얻고,
상기 혼합 미분말과 상기 혼합 조분말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2] 에 기재된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
[13] 조립을 압출 조립법으로 실시하는 [8]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4] 조립 후에 해쇄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8]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5] 농약 활성 성분은 20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0 ppm 이하이고, 또한 융점이 100 ℃ 이상인 [8]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6] 농약 활성 성분이 식 (I)
[화학식 2]
Figure 112015002774583-pct00002
[식 (I) 중, X 는 수소 원자, C1 ∼ 6 알킬기, C1 ∼ 6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C1 ∼ 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Y 는 C1 ∼ 6 알킬기를 나타낸다.
Z 는 아미노기 또는 -NHC(=O)-Q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Q 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옥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R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8]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7] 농약 활성 성분이 {6-{[(Z)-(1-메틸-1H-5-테트라졸릴)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르밤산tert-부틸인 [8]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8] 저흡습 수용성 분말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칼륨, 황산암모늄, 질산칼륨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말인 [8]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19] 저흡습 수용성 분말이 황산암모늄 또는 황산칼륨의 분말인 [8]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는, 초기 활성과 잔효 활성이 모두 높고, 장기간 보존 후에도 수중에 있어서 우수한 붕괴성과 분산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편한 입자 직경 관리에 의해 효율적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과립상 수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가 함유하고 있는 저흡습 수용성 미분말은 인체에 안전하고, 특히 황산암모늄이나 황산칼륨은 비료로서 기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립상 수화제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과 담체를 함유하는 응집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담체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저흡습 수용성 분말은, 흡습에 의해 조해 (潮解), 풍해 (風解) 혹은 고화 (固化) 되지 않은 수용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분말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저흡습 수용성 분말로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황산칼륨, 황산암모늄, 질산칼륨 및 탄산수소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분말이 바람직하고, 인체에 안전하고 또한 비료로서도 기능한다는 관점에서, 황산암모늄 및 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분말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에 함유되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 99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9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80 질량% 이다.
저흡습 수용성 분말의 입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저흡습 수용성 분말의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농약 활성 성분에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입도로 조정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융점이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이다. 또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은 물에 난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 에 있어서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pp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식 (I)
[화학식 3]
Figure 112015002774583-pct00003
[식 (I) 중, X 는 수소 원자, C1 ∼ 6 알킬기, C1 ∼ 6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C1 ∼ 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Y 는 C1 ∼ 6 알킬기를 나타낸다.
Z 는 아미노기 또는 -NHC(=O)-Q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Q 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옥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R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다. 그 화합물 또는 그 염은, 농약 활성이 우수하고, 또한 건식 분쇄 및 습식 분쇄 중 어느 방법에 의해 원하는 입도로 조정할 수 있다.
〔X〕
식 (I) 중, X 는 수소 원자, C1 ∼ 6 알킬기, C1 ∼ 6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C1 ∼ 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X 에 있어서의 C1 ∼ 6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부틸기, i-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X 에 있어서의 C1 ∼ 6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X 에 있어서의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X 에 있어서의 C1 ∼ 6 알킬술포닐기로서는,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n-프로필술포닐기, i-프로필술포닐기, n-부틸술포닐기, s-부틸술포닐기, i-부틸술포닐기, t-부틸술포닐기, n-펜틸술포닐기, n-헥실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X 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Y〕
상기 식 (I) 중, Y 는 C1 ∼ 6 알킬기를 나타낸다.
Y 에 있어서의 C1 ∼ 6 알킬기로서는, X 에 있어서의 C1 ∼ 6 알킬기로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Y 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Z〕
상기 식 (I) 중, Z 는 아미노기 또는 -NHC(=O)-Q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Q 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옥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Q 에 있어서의 C1 ∼ 8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1,1-디메틸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1-메틸부틸기, 2-메틸부틸기, 네오펜틸기, 1-에틸프로필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2 ∼ 8 알케닐기로서는, 알릴기, i-프로페닐기, 1-부테닐기, 2-부테닐기, 2-펜테닐기, 5-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2 ∼ 8 알키닐기로서는, 에티닐기, 1-프로피닐기, 프로파르길기, 1-부티닐기, 2-부티닐기, 3-부티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2-메틸-3-부티닐기, 1-펜티닐기, 1-메틸-2-부티닐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3 ∼ 6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1 ∼ 8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1,1-디메틸-n-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i-부톡시기, s-부톡시기, t-부톡시기, i-펜틸옥시기, 1-메틸부톡시기, 2-메틸부톡시기, 네오펜틸옥시기, 1-에틸프로폭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2 ∼ 8 알케닐옥시기로서는, 알릴옥시기, i-프로페닐옥시기, 1-부테닐옥시기, 2-부테닐옥시기, 2-펜테닐옥시기, 5-헥세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2 ∼ 8 알키닐옥시기로서는, 에티닐옥시기, 1-프로피닐옥시기, 프로파르길옥시기, 1-부티닐옥시기, 2-부티닐옥시기, 3-부티닐옥시기, 1-메틸-2-프로피닐옥시기, 2-메틸-3-부티닐옥시기, 1-펜티닐옥시기, 1-메틸-2-부티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로서는, 시클로프로필옥시기, 시클로부틸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Q 에 있어서의 C1 ∼ 8 알킬기, C2 ∼ 8 알케닐기, C2 ∼ 8 알키닐기, C3 ∼ 6 시클로알킬기, C1 ∼ 8 알콕시기, C2 ∼ 8 알케닐옥시기, C2 ∼ 8 알키닐옥시기,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치환기로는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s-부톡시기, i-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C1 ∼ 6 알콕시기 ;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n-프로필술포닐기, i-프로필술포닐기 등의 C1 ∼ 6 알킬술포닐기 ; 페닐기, 4-메틸페닐기, 2-클로로페닐기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 ; 니트로기 ; 시아노기 ;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벤조일 아미노기 등의 무치환 혹은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Q 는 무치환의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C2 ∼ 8 알케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C2 ∼ 8 알키닐옥시기가 바람직하다.
〔R〕
상기 식 (I) 중, R 은 수소 원자 ; 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 를 나타낸다.
이들 중에서, R 은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염으로는 농원예학상 허용되는 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염산염, 질산염, 황산염, 인산염 등의 무기산의 염 ; 아세트산염, 락트산염, 프로피온산염, 벤조산염 등의 유기산의 염 ;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는, 탄소-질소 이중 결합에 기초하는 (E) 체 및 (Z) 체의 입체 이성체가 존재한다. 이들 2 개의 입체 이성체 및 이들의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합성물은 (Z) 체만 혹은 (E) 체와 (Z) 체의 혼합물로서 얻어진다. (E) 체와 (Z) 체의 혼합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그래피 등의 공지된 수법에 의해 분리 정제함으로써, 2 개의 이성체를 각각 단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 염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Z) 체가 (E) 체보다 식물 병해의 방제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Z) 체는 자연 환경하에서, 광 등의 작용에 의해 그 일부가 (E) 체로 변화되고, (E) 체와 (Z) 체의 혼합물로서 어느 일정 비율로 안정화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양방의 화합물 및 그들의 혼합물도 유용하다. 또한, (E) 체와 (Z) 체의 안정 비율은, 각각의 화합물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 특정할 수는 없다.
상기 화합물 또는 그 염 중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농약 활성 성분으로는, {6-{[(Z)-(1-메틸-1H-5-테트라졸릴)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르밤산tert-부틸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에 함유되는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의 양은, 농약 활성 성분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0.02 ∼ 9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70 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3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에 함유되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과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의 합계량은, 바람직하게는 80 ∼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100 질량% 이다.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은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단일의 또는 복수의 피크를 갖는다.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은, 예를 들어 상이한 입자 직경 분포를 갖는 동일 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의 차이가 작은, 적어도 2 개의 동일 종 농약 성분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단일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이 얻어지기 쉽다. 또, 각각의 입도 분포 범위가 넓은, 적어도 2 개의 동일 종 농약 성분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단일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이 얻어지기 쉽다. 한편,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의 차이가 큰, 적어도 2 개의 동일 종 농약 성분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복수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이 얻어지기 쉽다. 또, 각각의 입도 분포 범위가 좁은, 적어도 2 개의 동일 종 농약 성분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복수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이 얻어지기 쉽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과립상 수화제는, 농약 활성 성분의 미분말과, 그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의 조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응집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조분말은 미분말보다 50 %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다.
농약 활성 성분 미분말은,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1 ∼ 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2 ㎛ 이다.
농약 활성 성분 조분말은,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2 ∼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7 ㎛ 이다.
농약 활성 성분 분말의 입도 분포는 분쇄 또는 분쇄와 분급의 조합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분쇄 방식에는 건식 분쇄, 습식 분쇄 등이 있다. 건식 분쇄는, 건조 상태에 있어서 고체에 외력을 가하여 입도를 작게 하는 조작이다. 건식 분쇄기로는, 해머 밀, 핀식 분쇄기, 충격식 분쇄기, 롤러식 분쇄기, 제트 밀 등을 들 수 있다. 제트 밀에는 분쇄 기능과 분급 기능을 겸비한 것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습식 분쇄는, 페이스트 상태 또는 슬러리 상태에 있어서 고체에 외력을 가하여 입도를 작게 하는 조작이다. 습식 분쇄기로서는, 볼 밀, 비즈 밀 등의 미디어식 분쇄기를 들 수 있다. 분쇄기는 요구되는 입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조분말은 일반적으로 건식 분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미분말은 일반적으로 건식 분쇄 또는 습식 분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과립상 수화제는, 체적 기준 입도 분포에 있어서 단일의 또는 복수의 피크를 갖는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분말과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조립은 그 수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압출 조립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출 조립법은, 상기 혼합물을 혼련하고, 소정 크기의 천공에 혼련된 혼합물을 통과시켜 스트랜드 형상으로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그 스트랜드를 커터로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다. 천공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5 ∼ 2.0 ㎛ 이다. 천공은 하나이어도 되고, 둘 이상이어도 된다.
또, 농약 활성 성분 및 기타 성분의 물리적 혹은 화학적 성질에 따라 그 밖의 조립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조립법으로는, 유동층 조립법, 교반 조립법, 스프레이 드라이어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유동층 조립법은, 건식 분쇄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혼합물을 기류 중에 부유 유동시키면서, 결합제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분쇄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해도 되는 슬러리상 혼합물을 분무함으로써 조립하는 방법이다.
교반 조립법은, 건식 분쇄된 농약 함유 성분을 함유하는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결합제 등을 함유하는 수용액 또는 분쇄된 농약 활성 성분을 함유해도 되는 슬러리상 혼합물을 분무함으로써 조립하는 방법이다.
스프레이 드라이어법은, 상기 혼합물을 물에 분산시키고, 필요에 따라 고온으로 한 기류 중에 분무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조립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바람직한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으로는 이하와 같은 형태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은,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미분말 A1 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조분말 A2 를 얻고, 미분말 A1 과 조분말 A2 와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혼합물 A 를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 A 를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혼합물 A 는, 미분말 A1 과 조분말 A2 와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소정 질량비로 순서 관계 없이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분말 A2 는 미분말 A1 보다 50 %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은,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혼합 미분말 B1 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조분말 A2 를 얻고, 혼합 미분말 B1 과 조분말 A2 를 함유하는 혼합물 B 를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 B 를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혼합물 B 는, 혼합 미분말 B1 과, 조분말 A2 와, 필요에 따라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미분말 A1 및/또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소정의 질량비로 순서 관계 없이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 미분말 B1에 함유되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또한, 조분말 A2 는 혼합 미분말 B1 보다 50 %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다.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은,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미분말 A1 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혼합 조분말 B2 를 얻고, 미분말 A1 과 혼합 조분말 B2 를 함유하는 혼합물 C 를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 C 를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혼합물 C 는, 미분말 A1 과, 혼합 조분말 B2 와, 필요에 따라 제 1 실시형태 혹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분말 A2 및/또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소정의 질량비로 순서 관계 없이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 조분말 B2 에 함유되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또한, 혼합 조분말 B2는 미분말 A1 보다 50 %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다.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은, 일종의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0.1 ∼ 5 ㎛ 인 혼합 미분말 B1 을 얻고,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한 농약 활성 성분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20 ㎛ 인 혼합 조분말 B2 를 얻고, 혼합 미분말 B1 과 혼합 조분말 B2 를 함유하는 혼합물 D 를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 D 를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혼합물 D 는, 혼합 미분말 B1 과, 혼합 조분말 B2 와, 필요에 따라 제 1 실시형태 혹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미분말 A1, 제 1 실시형태 혹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분말 A2 및/또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소정의 질량비로 순서 관계 없이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 미분말 B1 및/또는 혼합 조분말 B2 에 함유되는 저흡습 수용성 분말의 양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하이다. 또한, 혼합 조분말 B2 는 혼합 미분말 B1 보다 50 % 입자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다.
각 분말의 혼합은 니더 등의 혼합기 또는 2 축 압출기 등과 같은 혼련기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혼합물에는, 분산 보조제, 소포제, 물 등이 필요에 따라 배합되어 있어도 된다.
습식 분쇄로 분말을 조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산 보조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블록 코폴리머,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지방족 아민,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지방족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혹은 소르비탄트리올리에이트 등의 트윈계 계면 활성제, 소르비탄모노올리에이트 혹은 소르비탄트리올리에이트 등의 스판계 계면 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피마자유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트리 혹은 지스티릴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트리스티릴페닐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디스티릴페닐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이 부가된 알코올에테르,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나트륨,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페놀술폰산나트륨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식 분쇄로 분말을 조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분산 보조제로는,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및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라우릴황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나트륨,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페놀술폰산나트륨의 포름알데히드 축합물,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폴리카르복실산나트륨,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 고급 알코올 황산에스테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립상 수화제에 함유시킬 수 있는 분산 보조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 1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5 질량% 이다.
소포제를 사용하면, 습식 분쇄시에 거품이 나거나 수화제를 물로 희석할 때 거품이 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소포제로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고급 지방산의 나트륨염이나 칼슘염, 아세틸렌계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과립상 수화제에 함유시킬 수 있는 소포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제조 방법에는, 조립 공정 후에 조립물을 해쇄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해쇄에 의해 소정의 과립 직경으로 정립 (整粒) 할 수 있다. 해쇄는 통상적으로 건식 분쇄기에 의해 실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과립상 수화제는, 농약 활성 성분의 종류, 희석 방법 등에 따라 그 입자 직경 및 형상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에 적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을 더하여 실시하는 것이 물론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부」는 질량부를 나타낸다. 또, 입도 분포는 수중에 현탁시킨 상태에서 광 산란식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3 인치 우르막스 (4/3 kg ; 닛소 엔지니어링사 제조) 를 사용하여, 농약 활성 성분인 {6-{[(Z)-(1-메틸-1H-5-테트라졸릴)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르밤산tert-부틸 (이하, 원체라고 표기한다.) 100 g 을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1.48 ㎛ 의 미분말을 얻었다.
별도로 핀 밀 (18000 rpm × 3 회 ; 츠카사 공업사 제조) 을 사용하여, 원체 100 g 을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3.98 ㎛ 의 조분말을 얻었다.
미분말 10.5 부, 조분말 0.5 부,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2.5 부, 리그닌술폰산금속염 1.0 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염 0.5 부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로서 많게는 20 ㎛ 의 황산암모늄 75.0 부를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에 물 10.4 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니더 (PAUDAL 제조) 로 혼련하였다. 그 혼련물을 바스켓 루저 (후지파우달 (주) 제조) 로 직경 0.7 ㎜ 로 성형하여 조립 습품 (濕品) 을 얻었다. 조립 습품을 50 ℃ 의 유동층 건조기에서 20 분간 건조시키고, 진동 체질기 ((주) 덜톤 제조, 마이크로 시프터, 303H 형) 를 사용하여 입도 범위 500 ∼ 1400 ㎛ 로 정립하여 과립상 수화제를 얻었다.
실시예 2
황산암모늄 75.0 부를 황산칼륨 75.0 부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수법으로 과립상 수화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원체 4 g,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0.525 g, 리그닌술폰산금속염 0.2 g,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염 0.1 g 및 실리콘계 소포제 0.1 g 을 혼합하였다. 이것에 증류수 5.25 g 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을, 직경 0.71 ∼ 1.00 ㎜ 의 유니비즈를 넣은 유성 밀로 습식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0.80 ㎛ 의 미분말을 얻었다.
핀 밀 (18000 rpm × 3 회) 을 사용하여, 원체 100 g 을 건식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4.04 ㎛ 의 조분말을 얻었다.
미분말 10.5 부, 조분말 26 부,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1.25 부, 리그닌술폰산금속염 0.5 부,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염 0.25 부 및 저흡습 수용성 분말로서 많게는 20 ㎛ 의 황산암모늄 75.0 부를 혼합하고, 벤치ㆍ니더 (이리에 상회 (주) 제조)) 로 혼련하였다. 그 혼련물을 마이크로형 과립 제조기 (스츠이 이화학 기계 (주) 제조) 로 직경 0.7 ㎜ 로 성형하여 조립 습품을 얻었다. 조립 습품을 50 ℃ 의 유동층 건조기에서 20 분간 건조시켜 과립을 얻었다. 그 과립을 탁상용 밀 (FUJIELECTRIC, 뉴스 피드 밀, TYPE RCo480-2e) 에 투입하고 해쇄하였다. 그 후, 진동 체질기 ((주) 덜톤, 마이크로 시프터, 303H 형) 를 사용하여 과립 직경 범위를 105 ∼ 710 ㎛ 로 정립하여 과립상 수화제를 얻었다.
비교예 1
3 인치 우르막스 (4/3 kg ; 닛소 엔지니어링사 제조) 를 사용하여, 원체 100 g 을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1.13 ㎛ 의 미분말을 얻었다.
별도로 핀 밀 (18000 rpm × 3 회 ; 츠카사 공업사 제조) 을 사용하여, 원체 100 g 을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4.00 ㎛ 의 조분말을 얻었다.
미분말 10.2 부, 조분말 10.2 부,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2.5 부, 폴리카르복실산금속염 2.5 부, 라우릴황산나트륨 0.5 부, 우레아 7.5 부 및 많게는 20 ㎛ 의 무수 황산나트륨 66.6 부를 혼합하였다. 무수 황산나트륨은 탈수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고흡습 수용성 물질이다. 그 혼합물에 물 14.4 부를 첨가하고 벤치ㆍ니더로 혼련하였다. 그 혼련물을 마이크로형 과립 제조기로 직경 0.7 ㎜ 로 성형하여 조립 습품을 얻었다. 조립 습품을 50 ℃ 의 유동층 건조기에서 20 분간 건조시키고, 진동 체질기 ((주) 덜톤 제조, 마이크로 시프터, 303H 형) 를 사용하여 입도 범위 500 ∼ 1400 ㎛ 로 정립하여 과립상 수화제를 얻었다.
비교예 2
원체 100 g 과 많게는 20 ㎛ 의 무수 황산나트륨 100 g 을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을 3 인치 우르막스 (4/3 kg ; 닛소 엔지니어링사 제조) 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50 % 입자 직경 1.71 ㎛ 의 혼련 미분말을 얻었다.
별도로 원체 100 g 과 무수 황산나트륨 100 g 을 혼합하였다. 그 혼합물을 핀 밀 (18000 rpm × 3 회 ; 츠카사 공업사 제조) 을 사용하여, 50 % 입자 직경 4.25 ㎛ 의 혼합 조분말을 얻었다.
혼합 미분말 10.5 부, 혼합 조분말 10.5 부, 나프탈렌술폰산포름알데히드 축합물 2.5 부, 폴리카르복실산금속염 2.5 부, 라우릴황산나트륨 0.5 부, 우레아 7.5 부 및 많게는 20 ㎛ 의 무수 황산나트륨 66.0 부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물 9.2 부를 첨가하고, 그것을 벤치ㆍ니더로 혼련하고, 마이크로형 과립 제조기로 직경 0.7 ㎜ 의 소면 형상의 조립 습품을 얻었다. 조립 습품을 50 ℃ 의 유동층 건조기에서 20 분간 건조시키고, 진동 체질기 ((주) 덜톤 제조, 마이크로 시프터, 303H 형) 를 사용하여 입도 범위 500 ∼ 1400 ㎛ 로 정립하여 과립상 수화제를 얻었다.
시험예
(1)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과립상 수화제 (제조 직후 제품) 를 준비하였다.
(2)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과립상 수화제를 알루미늄라미네이트 백에 넣고, 54 ℃ 에서 2 주일 보존한 것 (고온 보관 제품) 을 준비하였다.
(3)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과립상 수화제를 폴리보틀에 넣었다. 온도 40 ℃, 상대습도 75 % 에서 1 개월간 보존한 것 (고습 보관 제품) 을 준비하였다.
100 ㎖ 스피치관에 3 도 경수를 100 ㎖ 넣고, 이것에 상기의 과립상 수화제 (1) ∼ (3) 을 각각 0.1 g 투입하였다. 스피치관에 공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마개를 하여 30 초간 가만히 정지시켰다. 그 후, 1 분간에 30 회의 속도로 스피치관을 도립 (倒立) 하였다. 수화제의 과립이 완전히 붕괴되어 분산될 때까지 실시한 도립 횟수를 붕괴 전도 횟수로 하여 기록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붕괴 전도 횟수
제조 직후 제품 고온 보관 제품 고습 보관 제품
실시예 1 2 2 4
실시예 2 3 3 4
실시예 3 2 4 4
비교예 1 5 5 22
비교예 2 5 6 19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는, 고온 고습 환경에서 장기간 보존한 후에도 붕괴성이 높고, 분산성이 우수하다.
이에 비해, 저흡습 수용성 분말 대신에, 무수 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제조한 과립상 수화제는, 고온 고습 환경에서 장기간 보관하고 있으면 붕괴성이나 분산성이 극도로 저하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는, 초기 활성과 잔효 활성이 모두 높고, 장기간 보존 후에도 수중에 있어서 우수한 붕괴성과 분산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간편한 입자 직경 관리에 의해 효율적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과립상 수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상 수화제가 함유하고 있는 저흡습 수용성 미분말은, 인체에 안전하고, 특히 황산암모늄이나 황산칼륨은 비료로서 기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본 발명은 매우 유용하다.

Claims (19)

  1.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5 ㎛ 인 농약 활성 성분과,
    황산암모늄 및 황산칼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응집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과립상 수화제로서,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식 (I)
    [화학식 1]
    Figure 112016048306215-pct00004

    [식 (I) 중, X 는 수소 원자, C1 ∼ 6 알킬기, C1 ∼ 6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C1 ∼ 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Y 는 C1 ∼ 6 알킬기를 나타낸다.
    Z 는 아미노기 또는 -NHC(=O)-Q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Q 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옥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 ∼ 6 알콕시기, C1 ∼ 6 알킬술포닐기, 페닐기, 4-메틸페닐기, 2-클로로페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벤조일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과립상 수화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은 20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0 ppm 이하이고, 또한 융점이 100 ℃ 이상인 과립상 수화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이 tert-부틸{6-{[(Z)-(1-메틸-1H-5-테트라졸릴)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르밤산인 과립상 수화제.
  4. 농약 활성 성분을 분쇄하여 체적 기준 누적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50 % 입자 직경이 2 ∼ 5 ㎛ 인 분말을 얻고,
    상기 분말과 황산암모늄 또는 황산칼륨의 분말만으로 이루어지는 담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얻고,
    이어서 그 혼합물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는 과립상 수화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식 (I)
    [화학식 2]
    Figure 112016048306215-pct00005

    [식 (I) 중, X 는 수소 원자, C1 ∼ 6 알킬기, C1 ∼ 6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니트로기, 시아노기 또는 C1 ∼ 6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Y 는 C1 ∼ 6 알킬기를 나타낸다.
    Z 는 아미노기 또는 -NHC(=O)-Q 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Q 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1 ∼ 8 알콕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케닐옥시기,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2 ∼ 8 알키닐옥시기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치환기를 갖는 C3 ∼ 6 시클로알킬옥시기를 나타낸다.
    상기 치환기는 할로겐 원자, C1 ∼ 6 알콕시기, C1 ∼ 6 알킬술포닐기, 페닐기, 4-메틸페닐기, 2-클로로페닐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디메틸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벤조일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 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조립을 압출 조립법으로 실시하는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조립 후에 해쇄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은 20 ℃ 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1000 ppm 이하이고, 또한 융점이 100 ℃ 이상인 제조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이 tert-부틸{6-{[(Z)-(1-메틸-1H-5-테트라졸릴)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2-피리딜}카르밤산인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7000667A 2012-07-19 2013-07-09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1909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0820 2012-07-19
JP2012160820 2012-07-19
PCT/JP2013/068744 WO2014013908A1 (ja) 2012-07-19 2013-07-09 顆粒状水和剤及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542A Division KR20160121620A (ko) 2012-07-19 2013-07-09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438A KR20150031438A (ko) 2015-03-24
KR101909781B1 true KR101909781B1 (ko) 2018-10-18

Family

ID=499487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667A Active KR101909781B1 (ko) 2012-07-19 2013-07-09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67028542A Ceased KR20160121620A (ko) 2012-07-19 2013-07-09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542A Ceased KR20160121620A (ko) 2012-07-19 2013-07-09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098343B2 (ko)
EP (1) EP2875728A4 (ko)
JP (2) JP5990269B2 (ko)
KR (2) KR101909781B1 (ko)
CN (2) CN108935454A (ko)
AU (1) AU2013291223B2 (ko)
BR (1) BR112015000692B1 (ko)
CA (1) CA2878556C (ko)
IL (1) IL236705B (ko)
MX (1) MX362931B (ko)
MY (1) MY171247A (ko)
PH (1) PH12014502887B1 (ko)
RU (1) RU2583069C1 (ko)
WO (1) WO2014013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9910B1 (ko) * 2015-10-14 2024-08-29 구미아이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입상 농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WI841568B (zh) * 2018-06-08 2024-05-11 日商日本化藥股份有限公司 可濕性農藥組成物
CN109497054A (zh) * 2018-12-28 2019-03-22 南京高正农用化工有限公司 一种代森联和吡啶醚菌酯复配的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CN114503994A (zh) * 2022-04-02 2022-05-17 镇江先锋植保科技有限公司 一种高含量嘧菌环胺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CN114982778A (zh) * 2022-06-20 2022-09-02 戴景文 一种长效缓释消毒水体的复配次氯酸钙饼剂的制备工艺及缓释性能测试方法
JP2025520924A (ja) 2022-07-08 2025-07-03 バイエ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特に優れた分散特性を有する殺虫性混合物の固体製剤
US20240156091A1 (en) * 2022-10-26 2024-05-16 Texas Crop Science, Inc. Water dispersible granule acylhydrazone apyrase inhibitor formula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7355A1 (fr) 1999-12-28 2001-07-05 Nippon Soda Co., Ltd. Agents granulaires dispersibles dans l'eau, et procede de preparation correspondant
JP2002179506A (ja) 2000-12-14 2002-06-26 Nippon Bayer Agrochem Co Ltd 顆粒状水和剤
JP2003073201A (ja) 2001-08-31 2003-03-12 Hokko Chem Ind Co Ltd 水分散性または水溶解性の顆粒状農薬製剤
JP2003137875A (ja) 2001-08-20 2003-05-14 Dainippon Ink & Chem Inc テトラゾイルオキシム誘導体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薬
JP2004131392A (ja) * 2002-10-08 2004-04-30 Sumitomo Chem Co Ltd テトラ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5187364A (ja) 2003-12-25 2005-07-14 Hodogaya Chem Co Ltd 除草用高濃度顆粒水和剤
JP2007308482A (ja) 2006-04-18 2007-11-29 Nissan Chem Ind Ltd 農薬の施用方法
JP2008031083A (ja) 2006-07-28 2008-02-14 Nippon Kayaku Co Ltd 水分散性微生物農薬固形製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360B2 (ja) 1991-02-28 2001-06-25 日本曹達株式会社 顆粒状農薬組成物の製造法
JP3996672B2 (ja) 1997-06-26 2007-10-24 日本曹達株式会社 崩壊性の優れた顆粒状農薬組成物
US7883716B2 (en) * 2000-12-26 2011-02-08 Nippon Soda Co., Ltd. Granular water dispersible agent and production process
HU226907B1 (en) 2001-08-20 2010-03-01 Nippon Soda Co Tetrazoyl oxime derivatives and fung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reof
MY148594A (en) 2005-10-12 2013-05-15 Genencor Int Stable, durable granules with active agents
CN101554161A (zh) * 2008-04-11 2009-10-14 北京绿色农华生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烯酰吗啉代森锰锌水分散粒剂及其制备方法
JP5350460B2 (ja) * 2009-03-02 2013-11-27 日本曹達株式会社 テトラゾイルオキシム誘導体およびその塩、ならびに植物病害防除剤
JP5280994B2 (ja) 2009-12-22 2013-09-04 日本曹達株式会社 農園芸用殺菌粉剤組成物
BR112012020509B1 (pt) 2010-02-26 2018-01-23 Nippon Soda Co., Ltd. Derivado de tetrazoliloxima e fungicida
US8841458B2 (en) * 2010-03-12 2014-09-23 Nippon Soda Co., Ltd. Compound containing pyridine 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halogenated picoline derivative and tetrazolyloxime derivative
KR101535324B1 (ko) 2010-03-16 2015-07-08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병해 방제제
JP2010248273A (ja) 2010-08-10 2010-11-04 Nippon Soda Co Ltd オキシム化合物またはその塩、ならびに殺菌剤
CN102037970A (zh) * 2011-01-25 2011-05-04 青岛瀚生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嘧草硫醚的农药剂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7355A1 (fr) 1999-12-28 2001-07-05 Nippon Soda Co., Ltd. Agents granulaires dispersibles dans l'eau, et procede de preparation correspondant
JP2002179506A (ja) 2000-12-14 2002-06-26 Nippon Bayer Agrochem Co Ltd 顆粒状水和剤
JP2003137875A (ja) 2001-08-20 2003-05-14 Dainippon Ink & Chem Inc テトラゾイルオキシム誘導体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薬
JP2003073201A (ja) 2001-08-31 2003-03-12 Hokko Chem Ind Co Ltd 水分散性または水溶解性の顆粒状農薬製剤
JP2004131392A (ja) * 2002-10-08 2004-04-30 Sumitomo Chem Co Ltd テトラ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JP2005187364A (ja) 2003-12-25 2005-07-14 Hodogaya Chem Co Ltd 除草用高濃度顆粒水和剤
JP2007308482A (ja) 2006-04-18 2007-11-29 Nissan Chem Ind Ltd 農薬の施用方法
JP2008031083A (ja) 2006-07-28 2008-02-14 Nippon Kayaku Co Ltd 水分散性微生物農薬固形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013908A1 (ja) 2016-06-30
JP5990269B2 (ja) 2016-09-07
EP2875728A1 (en) 2015-05-27
CA2878556A1 (en) 2014-01-23
AU2013291223B2 (en) 2015-08-06
EP2875728A4 (en) 2015-12-23
IL236705B (en) 2020-09-30
MX2015000257A (es) 2015-07-21
AU2013291223A1 (en) 2015-02-05
US20150164068A1 (en) 2015-06-18
RU2583069C1 (ru) 2016-05-10
WO2014013908A1 (ja) 2014-01-23
IL236705A0 (en) 2015-02-26
BR112015000692B1 (pt) 2021-01-19
MX362931B (es) 2019-02-26
CN108935454A (zh) 2018-12-07
KR20160121620A (ko) 2016-10-19
CN104427868A (zh) 2015-03-18
US10098343B2 (en) 2018-10-16
CA2878556C (en) 2017-09-19
JP2016166252A (ja) 2016-09-15
PH12014502887A1 (en) 2015-02-23
KR20150031438A (ko) 2015-03-24
PH12014502887B1 (en) 2020-02-28
MY171247A (en) 2019-10-04
BR112015000692A2 (pt)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781B1 (ko) 과립상 수화제 및 그 제조 방법
JPH03255001A (ja) 殺菌・殺カビ製品の分散性粒剤
TWI772416B (zh) 一種吡唑醚菌酯水分散固體組合物及其製備方法
JP5285074B2 (ja) 顆粒水和剤
CA2780342C (en) Improved process for preparing soluble granules of salts of pyridine containing carboxylic acids
JP4620923B2 (ja) 顆粒状水和剤及びその製造法
KR100204383B1 (ko) 분산가능한 프로파닐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176160B2 (ja) 農薬粒状組成物
JP5207262B2 (ja) 顆粒状水和剤
CN111116499A (zh) 一种具有调节作物抵抗力的三唑酮水分散粒剂杀菌剂及其制备方法
JPH03146126A (ja) 非医療用粒剤の製造方法
AU2024201110B2 (en) Herbicide preparation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JP2009184969A (ja) 農薬粒剤
JPH0517305A (ja) 水田除草用固型水和剤
JP3383982B2 (ja) 農薬粒状水和剤
JPH0517304A (ja) 除草粒剤
JPH02792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61013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0823

Appeal identifier: 2016101005904

Request date: 2016101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90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13

Effective date: 201808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8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1013

Decision date: 20180823

Appeal identifier: 201610100590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8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9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