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0452B1 -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 Google Patents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452B1
KR101900452B1 KR1020160114513A KR20160114513A KR101900452B1 KR 101900452 B1 KR101900452 B1 KR 101900452B1 KR 1020160114513 A KR1020160114513 A KR 1020160114513A KR 20160114513 A KR20160114513 A KR 20160114513A KR 101900452 B1 KR101900452 B1 KR 10190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upper base
ball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203A (ko
Inventor
이은하
Original Assignee
이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하 filed Critical 이은하
Priority to KR102016011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4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5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 편에 의해 하단 둘레부분이 회전가능토록 상부 베이스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부재, 상부 베이스 일 측에 작동부재의 잠금레버를 선택적으로 구속고정하는 고정볼 및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이 고정볼의 하단을 지지하여 고정볼이 탄성을 가지고 상부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하강 및 복귀하도록 하는 판 스프링이 적용됨으로써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되어,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 및 불구속시키는 작동부재의 설치구성을 단순화되면서도 작동부재의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고정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를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 또는 불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금레버에 대한 간단한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의 동작만으로도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에 의해 작동부재의 연결축 구속을 위한 잠금레버 회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반대로 잠금레버의 반대방향 회전시에도 작은 하중을 가하는 동작만으로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축을 불구속하여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더의 연결축에 대한 구속 및 불구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Mounting bracket for sliding doors}
본 발명은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가이드 편에 의해 하단 둘레부분이 회전가능토록 상부 베이스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부재, 상부 베이스 일 측에 작동부재의 잠금레버를 선택적으로 구속고정하는 고정볼 및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이 고정볼의 하단을 지지하여 고정볼이 탄성을 가지고 상부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하강 및 복귀하도록 하는 판 스프링이 적용됨으로써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되어,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 및 불구속시키는 작동부재의 설치구성을 단순화되면서도 작동부재의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고정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하여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를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가구의 내외부가 특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부분에는 개폐 가능한 형태의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도어는 그 개방 및 폐쇄되는 방식에 따라서 여닫이 방식, 미닫이 방식, 폴딩 방식 및 회전방식 등의 도어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미닫이 방식의 도어는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직진 이동이 될 수 있게 두 군데 이상의 구간에 슬라이더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편, 폴딩 방식의 도어는 한점의 힌지 축과 한점의 슬라이더가 상호 연동하면서 해당 도어가 일정 구간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면서 각도가 변경되는 과정을 통해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건물의 화장실이나 붙박이장의 경우와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 외문 형태로 장착되는 공간에는 미닫이 방식의 도어보다는 폴딩 방식의 도어가 주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에는 일정 구간 또는 특정 구간 내에서 구름 동작에 의해 도어의 직진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라이더의 설치가 요구된다.
미닫이 방식의 도어 및 폴딩 방식의 도어에 적용되는 여러 형태의 도어용 슬라이더 중에서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568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의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249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의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및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1519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의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등에는 도어의 상부 측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구름동작이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용 슬라이더의 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즉, 도어의 상부 측에는 도어의 개폐동작시 요구되는 스트로크 이상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 레일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그 가이드 레일 상에는 구름동작이 가능하되 그 하측에는 일정 길이의 연결축이 하향 돌출된 슬라이더가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슬라이더에 대해서 해당 도어가 장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도어의 상단에는 조립홈이 마련된 브래킷이 고정 설치된다.
특히, 도어용 슬라이더와의 결합을 위해서 도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의 상측에는 슬라이더의 하측에 수직 상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축이 고정 조립홈에 대하여 끼워질 수 있게 하거나 끼워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동부재가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부재에는 전술한 고정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의 연결축의 중간을 가두기 위한 가동 조립홈이 고정 조립홈에 대응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한편, 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에는 전술한 작동부재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 동작이 되면서 연결축이 구속 또는 불구속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며,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두 곳의 회전제어돌기의 안내를 받으며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 회전동작이 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형태의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은 스프링으로부터 소정 간격 떨어진 힌지를 중심으로 작동부재가 스프링을 압축해가며 회전동작이 되게 구성되어 상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 되고,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형태의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은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스프링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되게 구성되어 상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도어의 상단에 고정설치된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대하여 슬라이더 하측에 돌출형성된 연결축이 끼워질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게 하거나 고정 조립홈에 대하여 조립된 상태의 연결축이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시 힘을 받는 작동부재를 적어도 한 손으로는 잡고 있는 상태로 있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도어 프레임에 대하여 도어를 부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작업이 1명의 작업자만으로 불가능하게 되거나 가능하더라도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개시된 형태의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는 작동부재가 오로지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만 회전동작이 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작동부재인 고정부를 회전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후에는 별도의 고정부에 대한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고정부의 역방향 회전이 발생하여 재차 고정부를 회전시켜야하는 등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 및 불구속시키는 작동부재의 설치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작동부재의 연결축 구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통하여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를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85680호 2005.06.01.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392493호 2005.08.02.등록. 등록실용신안 제20-0411519호 2006.03.08.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가이드 편에 의해 하단 둘레부분이 회전가능토록 상부 베이스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부재, 상부 베이스 일 측에 작동부재의 잠금레버를 선택적으로 구속고정하는 고정볼 및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이 고정볼의 하단을 지지하여 고정볼이 탄성을 가지고 상부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하강 및 복귀하도록 하는 판 스프링이 적용됨으로써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되어,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 및 불구속시키는 작동부재의 설치구성을 단순화되면서도 작동부재의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고정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를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 또는 불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금레버에 대한 간단한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의 동작만으로도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에 의해 작동부재의 연결축 구속을 위한 잠금레버 회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반대로 잠금레버의 반대방향 회전시에도 작은 하중을 가하는 동작만으로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축을 불구속하여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더의 연결축에 대한 구속 및 불구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은 도어 상측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도어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의 롤러가 구름동작이 되는 한편 상기 롤러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의 연결축이 하향 돌출 형성된 도어용 슬라이더에 대하여 작동부재가 조작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이 구속 또는 불구속될 수 있게 도어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설치되게 하부 베이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 사이의 중간구간인 상부 베이스는 상기 도어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경계부가 굴절 형성된 판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베이스의 중앙부분에 관통 형성된 조립홈으로부터 일 측의 하부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이 측면 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조립홈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상기 조립홈과 연통되어 슬롯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립홈의 상기 하부 베이스와 직교하는 방향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유동홀이 관통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상부 베이스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외측 단을 향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의 조립홈과 대응되는 조립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의 일 측 단부로부터 외향 잠금레버가 연장형성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상부 베이스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재의 둘레 일부분을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베이스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가이드 편; 상기 상부 베이스의 조립홈 일 측에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하강 및 복귀되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의 유동홀에 하부로부터 상향 삽입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의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복귀 회전시 상기 잠금레버를 선택적으로 구속, 불구속하는 고정볼; 및 상기 고정볼이 상기 유동홀 내에서 선택적으로 하강 및 복귀되도록 일 측 상면이 상기 고정볼의 하단을 탄성을 가지고 밀착 지지하며, 타 측이 상기 상부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상부 베이스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재는 둘레방향을 따라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두께를 가지고 가이드돌기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가이드 편은 상기 작동부재의 둘레부분이 밀착되는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의 일정각도 회전 후에 반대방향 복귀 회전시 상기 잠금레버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의 조립홈과 슬롯이 연통되는 부분 일 측에는 상기 작동부재의 잠금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가이드 편은 상기 작동부재의 둘레 일부분을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베이스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 베이스에 대하여 리벳팅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고정가이드 편이 상기 상부 베이스에 대하여 리벳팅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어느 하나의 리벳팅을 통하여 타 측이 상기 상부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고정볼이 상기 상부 베이스의 유동홀 내에 삽입설치되어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만큼 상기 상부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홀은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관통형성되되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단이 지게 내향 돌출되거나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라운드지게 내향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고정볼이 상기 유동홀 내에서 선택적으로 하강 및 복귀되도록 일 측 상면이 상기 고정볼의 하단을 탄성을 가지고 밀착 지지하되, 상기 고정볼의 하단을 밀착지지하는 상면에 상기 고정볼의 하단부 외면과 대응되는 지지홈이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홈에 의해 상기 고정볼의 하단부가 밀착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가이드 편에 의해 하단 둘레부분이 회전가능토록 상부 베이스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부재, 상부 베이스 일 측에 작동부재의 잠금레버를 선택적으로 구속고정하는 고정볼 및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이 고정볼의 하단을 지지하여 고정볼이 탄성을 가지고 상부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하강 및 복귀하도록 하는 판 스프링이 적용됨으로써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되어,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 및 불구속시키는 작동부재의 설치구성을 단순화되면서도 작동부재의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고정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를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 또는 불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금레버에 대한 간단한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의 동작만으로도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에 의해 작동부재의 연결축 구속을 위한 잠금레버 회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반대로 잠금레버의 반대방향 회전시에도 작은 하중을 가하는 동작만으로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축을 불구속하여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더의 연결축에 대한 구속 및 불구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을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설치 후에 대한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을 나타낸 분리 사시구성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 평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설치 후에 대한 사용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의 잠금 레버를 구속고정하는 고정볼의 설치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8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은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의 작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롤러(410)가 구름 동작이 되는 슬라이더(400)에 대하여 도어(200)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게 작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은 도어(200) 상측의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도어(2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의 롤러(410)가 구름동작이 되는 한편 상기 롤러(410)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의 연결축(450)이 하향 돌출 형성된 도어용 슬라이더(400)에 대하여 작동부재(150)가 조작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450)이 구속 또는 불구속될 수 있게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00) 및 가이드레일(300)은 통상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 적용가능한 것으로, 슬라이더(400) 및 가이드레일(300)의 세부구성에 대하여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은 크게 분류하면, 베이스(110), 작동부재(130), 고정가이드 편(150), 고정볼(170) 및 판 스프링(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설치되게 하부 베이스(1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111) 사이의 중간구간인 상부 베이스(113)는 상기 도어(2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경계부가 굴절 형성된 판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110)는 특히,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중앙부분에 관통 형성된 조립홈(115)으로부터 일 측의 하부 베이스(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450)이 측면 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조립홈(115)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상기 조립홈(115)과 연통되어 슬롯(11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립홈(115)의 상기 하부 베이스(111)와 직교하는 방향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유동홀(117)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부재(130)는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외측 단을 향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대응되는 조립홈(135)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135)의 일 측 단부로부터 외향 잠금레버(138)가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는 상기 작동부재(130)가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재(130)의 둘레 일부분을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볼(170)은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 일 측에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하강 및 복귀되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유동홀(117)에 하부로부터 상향 삽입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130)의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복귀 회전시 상기 잠금레버(138)를 선택적으로 구속, 불구속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190)은 상기 고정볼(170)이 상기 유동홀(117) 내에서 선택적으로 하강 및 복귀되도록 일 측 상면이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을 탄성을 가지고 밀착 지지하며, 타 측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은 상기 작동부재(130)가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130)는 둘레방향을 따라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두께를 가지고 가이드돌기(131)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은 상기 작동부재(130)의 둘레부분이 밀착되는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131)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151)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130)의 일정각도 회전 후에 반대방향 복귀 회전시 상기 잠금레버(138)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슬롯(116)이 연통되는 부분 일 측에는 상기 작동부재(130)의 잠금레버(138)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119)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은 상기 작동부재(130)의 둘레 일부분을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 베이스(113)에 대하여 리벳(R)을 이용한 리벳팅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판 스프링(1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에 대하여 리벳(R)을 이용한 리벳팅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리벳팅을 통하여 타 측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은 상기 고정볼(170)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유동홀(117) 내에 삽입설치되어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만큼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유동홀(117)은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관통형성되되 도 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단이 지게 내향 돌출되거나, 또는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라운드지게 내향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판 스프링(190)은 상기 고정볼(170)이 상기 유동홀(117) 내에서 선택적으로 하강 및 복귀되도록 일 측 상면이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을 탄성을 가지고 밀착 지지하되,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볼(170)의 하단을 밀착지지하는 상면에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부 외면과 대응되는 지지홈(191)이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홈(191)에 의해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부가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지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판 스프링(190)이 상기와 같은 지지홈(191)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도, 유동홀(117)은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관통형성되되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단이 지게 내향 돌출되거나, 또는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라운드지게 내향 돌출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의 작동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의 상면에 피스(210) 등을 매개로 하여 고정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도어(200)의 상측에는 슬아이더(400)의 롤러(410)가 구름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300)이 일정길이 설치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도어(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는 작동부재(130)의 잠금레버(138)를 해제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볼(170)에 의해 구속되어 있던 잠금레버(138)가 밀어주는 일정 하중에 의해 고정볼(170)의 판 스프링(190)에 의한 탄성을 가지는 하강 및 복귀작동에 의해 고정볼(170)을 지나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스토퍼 돌기(119)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면서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작동부재(130)의 조립홈(135)이 상하로 일치하여 상호 연통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400)의 연결축(450)을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슬롯(116)을 거쳐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작동부재(130)의 조립홈(135) 내측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동부재(130)의 잠금레버(138)를 잠김 방향으로 밀어 회전시키게 되면, 밀어주는 하중에 의해 상기 잠금레버(138)의 하면이 상기 고정볼(170)의 판 스프링(190)에 의한 탄성을 가지는 하강 및 복귀작동을 거쳐 고정볼(170)을 지나 일정각도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부재(130)의 조립홈(135)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400)의 연결축(450)에 대한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작동부재(130)의 조립홈(135) 내측 단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구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잠김 과정을 통한 잠김 상태에서, 상기 잠금레버(138)는 상기 고정볼(170)의 하강 후 복귀에 의해 해제방향으로의 일정하중을 제공하지 않는 한 해제방향으로 회전이 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축(150)을 구속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에 의하면, 고정가이드 편에 의해 하단 둘레부분이 회전가능토록 상부 베이스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는 작동부재, 상부 베이스 일 측에 작동부재의 잠금레버를 선택적으로 구속고정하는 고정볼 및 상부 베이스의 하면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이 고정볼의 하단을 지지하여 고정볼이 탄성을 가지고 상부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하강 및 복귀하도록 하는 판 스프링이 적용됨으로써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되어,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 및 불구속시키는 작동부재의 설치구성을 단순화되면서도 작동부재의 슬라이더의 연결축을 구속고정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미닫이 방식의 도어 또는 폴딩 방식의 도어를 도어 프레임 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고정볼을 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하강 및 복귀시키면서 잠금레버가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된 상태로 고정볼에 의해 구속 또는 불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부재의 잠금레버에 대한 간단한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회전의 동작만으로도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에 의해 작동부재의 연결축 구속을 위한 잠금레버 회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반대로 잠금레버의 반대방향 회전시에도 작은 하중을 가하는 동작만으로 고정볼의 하강 후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축을 불구속하여 분리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라이더의 연결축에 대한 구속 및 불구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110: 베이스 111: 하부 베이스
113: 상부 베이스 115: 조립홈
116: 슬롯 117: 유동홀
119: 스토퍼 돌기 130: 작동부재
131: 가이드돌기 135: 조립홈
138: 잠금레버 150: 고정가이드 편
151: 가이드 홈 170: 고정볼
190: 판 스프링 191: 지지홈
200: 도어 210: 피스
300: 가이드레일 400: 슬라이더
410: 롤러 450: 연결축
R: 리벳

Claims (7)

  1. 도어(200) 상측의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도어(2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양측의 롤러(410)가 구름동작이 되는 한편 상기 롤러(410)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의 연결축(450)이 하향 돌출 형성된 도어용 슬라이더(400)에 대하여 작동부재(150)가 조작되는 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축(450)이 구속 또는 불구속될 수 있게 도어(2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 양단이 고정설치되게 하부 베이스(1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베이스(111) 사이의 중간구간인 상부 베이스(113)는 상기 도어(2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경계부가 굴절 형성된 판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중앙부분에 관통 형성된 조립홈(115)으로부터 일 측의 하부 베이스(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축(450)이 측면 측에서 끼워진 후 상기 조립홈(115)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상기 조립홈(115)과 연통되어 슬롯(11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조립홈(115)의 상기 하부 베이스(111)와 직교하는 방향 측으로 일정거리 떨어져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유동홀(117)이 관통형성되는 베이스(110);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고, 중앙으로부터 외측 단을 향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대응되는 조립홈(135)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135)의 일 측 단부로부터 외향 잠금레버(138)가 연장형성되는 작동부재(130); 상기 작동부재(130)가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재(130)의 둘레 일부분을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가이드 편(150);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 일 측에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하강 및 복귀되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유동홀(117)에 하부로부터 상향 삽입설치되며, 상기 작동부재(130)의 일정각도 회전 및 반대방향 복귀 회전시 상기 잠금레버(138)를 선택적으로 구속, 불구속하는 고정볼(170); 및 상기 고정볼(170)이 상기 유동홀(117) 내에서 선택적으로 하강 및 복귀되도록 일 측 상면이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을 탄성을 가지고 밀착 지지하며, 타 측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판 스프링(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30)가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에 하면이 회전 가능하게 밀착설치되도록, 상기 작동부재(130)는 둘레방향을 따라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두께를 가지고 가이드돌기(131)가 외향 돌출형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은 상기 작동부재(130)의 둘레부분이 밀착되는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131)와 대응되는 가이드 홈(151)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130)의 일정각도 회전 후에 반대방향 복귀 회전시 상기 잠금레버(138)의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조립홈(115)과 슬롯(116)이 연통되는 부분 일 측에는 상기 작동부재(130)의 잠금레버(138)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119)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은 상기 작동부재(130)의 둘레 일부분을 고정하면서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 베이스(113)에 대하여 리벳팅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190)은 상기 고정가이드 편(150)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에 대하여 리벳팅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어느 하나의 리벳팅을 통하여 타 측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170)이 상기 상부 베이스(113)의 유동홀(117) 내에 삽입설치되어 상단으로부터 하향 일정길이만큼 상기 상부 베이스(113)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홀(117)은 상단의 구멍보다 하단의 구멍이 크게 관통형성되되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단이 지게 내향 돌출되거나 상단의 구멍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하향 일정길이에 대하여 라운드지게 내향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190)은 상기 고정볼(170)이 상기 유동홀(117) 내에서 선택적으로 하강 및 복귀되도록 일 측 상면이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을 탄성을 가지고 밀착 지지하되,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을 밀착지지하는 상면에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부 외면과 대응되는 지지홈(191)이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되며, 상기 지지홈(191)에 의해 상기 고정볼(170)의 하단부가 밀착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1020160114513A 2016-09-06 2016-09-06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Expired - Fee Related KR101900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13A KR101900452B1 (ko) 2016-09-06 2016-09-06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513A KR101900452B1 (ko) 2016-09-06 2016-09-06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03A KR20180027203A (ko) 2018-03-14
KR101900452B1 true KR101900452B1 (ko) 2018-09-20

Family

ID=6166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5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00452B1 (ko) 2016-09-06 2016-09-06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680Y1 (ko) 2005-03-21 2005-06-01 (주)성광프로젝트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200392493Y1 (ko) 2005-05-31 2005-08-17 (주)성광프로젝트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200411519Y1 (ko) 2005-12-29 2006-03-15 김야현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680Y1 (ko) 2005-03-21 2005-06-01 (주)성광프로젝트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200392493Y1 (ko) 2005-05-31 2005-08-17 (주)성광프로젝트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200411519Y1 (ko) 2005-12-29 2006-03-15 김야현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03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6139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rawer
CN101517180B (zh) 直接作用的窗锁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US20080106175A1 (en) Fix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rawers from being linked and slid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CN113906190A (zh) 家具连接配件
KR200477705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KR10190014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CA2162338C (en) Locking arrangement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TWI638085B (zh) 移動門用的輪箍
KR101704356B1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101900452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CN108030294B (zh) 一种滑轨锁定拆卸结构
KR101823370B1 (ko) 동시 열림방지구조를 갖는 서랍장
KR200467766Y1 (ko) 미닫이의 도어 롤러 장착용 브래킷
KR101481655B1 (ko) 슬라이더
JP4192074B2 (ja) 内倒し窓の換気ステー
JP2015190310A (ja) 窓ステー
KR200444723Y1 (ko) 대형 도어의 잠금장치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102033227B1 (ko) 조절형 도어록 스트라이크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KR101794956B1 (ko) 미닫이도어의 이동안내구 고정장치
CN105593028B (zh) 装订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