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26902Y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02Y1
KR200426902Y1 KR2020060018656U KR20060018656U KR200426902Y1 KR 200426902 Y1 KR200426902 Y1 KR 200426902Y1 KR 2020060018656 U KR2020060018656 U KR 2020060018656U KR 20060018656 U KR20060018656 U KR 20060018656U KR 200426902 Y1 KR200426902 Y1 KR 200426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pring
movable plat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원희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2020060018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0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부재와, 제1부재에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어셈블리와, 스프링어셈블리의 타단에 체결되고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어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어셈블리는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스프링홀더;와 가동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스프링홀더; 및 제1스프링홀더와 제2스프링홀더를 결합하는 숫홀더 또는 암홀더에 록킹단턱이 구성된 홀더;가 구성되어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된 제2부재가 완전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효과와 제2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미동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드, 스프링, 홀더, 플레이트, 가이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A sliding module for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기술의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스프링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제2부재 20 : 제1부재
31 : 가동플레이트 32 : 레일부
34 : 돌부 41 : 고정플레이트
42 : 제1요홈부 51 : 스프링어셈블리
52 : 제1스프링홀더 54 : 제2스프링홀더
56,73 : 관통공 57 : 코일스프링
58 : 스프링가이드 60 : 홀더
61 : 숫홀더 62 : 암홀더
63 : 록킹단턱 64 : 결합구
71: 가이드 72 : 제2요홈부
본 고안은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딩되는 제2부재가 유격이 없이 안정적으로 개폐가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통상, 핸드폰, 휴대폰 등으로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에는 화면, 기능키, 카메라 모듈 등이 구비된 제2부재와 키패드와 배터리가 구비된 제1부재를 서로 밀어서 개폐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의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서로 밀어서 키패드나 카메라 모듈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된다.
상기의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의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서 연결되어 서로 슬라이드 된다.
도 1을 참고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제1부재(110)에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1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어셈블리(130)와 상기 스프링어셈블리(130)의 타단에 연결되는 가동플레이트(121)에 체결되며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되는 제2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어셈블리(130)는 제1,2스프링홀더(131,132), 스프링가이드(134) 및 코일스프링(133)을 주요 구성 요소로 된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131)에는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에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은 종방향으로 외측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제1스프링홀더(131)의 타단은 원주형의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134)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살펴보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가이드(134)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제2스프링홀더(132)에는 일단이 상기 가동플레이트(121)에 결합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은 종방향의 외측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2스프링홀더(132)의 타단의 단면에는 상기 스프링가이드(134)와 결합되는 관통공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131)의 각각의 스프링가이드(134)에 코일스프링을 끼운 후 각각의 스프링가이드(134)를 상기 제2스프링홀더(132)의 관통공에 결합하면 스프링어셈블리(130)가 완성된다.
통상적으로 슬라이드 방식의 이통통신 단말기에서 화면과 기능키 등이 위치하는 제2부재(120)의 하부면에 가동플레이트(121)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11)는 패널형태로서 그 폭과 길이가 제1부재(110)의 폭과 길이를 넘지 않으며,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도록 양측단에는 각각 레일부가 형성되고 체결공이 형성되어, 완성된 스프링어셈블리(130)의 제1스프링홀더(131)와 연결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121)는 고정플레이트(111)와 마찬가지로 패널의 형태로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11)와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된다.
완성된 스프링어셈블리(130)는 제1스프링홀더(131)에 형성된 체결공과 고정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제1스프링홀더(131)가 고정플레이트(11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스프링홀더(132)도 가동플레이트(121)에 형성된 체결공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가동플레이트(1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121)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반타원형 또는 반원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며, 이 돌부에 제2스프링홀더(132)가 체결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121)에서 스프링가이드(134)가 체결되지 않는 돌부의 외주면은 제2스프링홀더(132)의 외주면의 중심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1스프링홀더(131)가 돌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2스프링홀더(132)와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상기 스프링어셈블리(130)는 고정플레이트(111)와 가동플레이트(121)를 코일스프링(133)의 탄성을 지지하면서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가 상호 슬라이드 개폐되게 한다.
즉, 평상시 제2부재(120)가 제1부재(1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스프링어셈블리(130)의 코일스프링(133)이 신장된 상태로 되어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플레이트(111)에 대하여 가동플레이트(121)가 아래(도면 기준)로 내려진 상태로 되고, 사용자가 제1부재(110)에 대하여 제2부재(120)를 밀어 올리면, 가 동플레이트(121)는 고정플레이트(111)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 올려지면서 코일스프링(133)이 압축된 상태가 되어 스프링어셈블리(130)에 구비된 각각의 코일스프링(133)에 탄성력이 저장된다.
그리고, 스프링가이드(134)의 타단은 제2스프링홀더(132)의 관통공으로 깊숙하게 삽입되며, 사용자가 제2부재(120)를 조금 더 밀게 되면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부재(12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2부재(120)가 완전히 개방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스프링홀더(132)가 가동플레이트(121)의 돌부를 중심 즉 체결공을 중심과 수평으로 된 상태에서는 제1스프링홀더(131)가 가동플레이트(121)의 내부에 돌출된 돌부의 거리만큼 제2스프링홀더(132)와 가깝게 되어 코일스프링(133)이 압축되어 탄성력을 저장하게 되며 돌부의 중심(체결공 중심)보다 위 또는 아래로 갈때에는 제1스프링홀더(131)가 제2스프링홀더(132)으로 멀어지게 되어 코일스프링(133)이 신장되어 제1스프링홀더(131)을 밀어 냄으로서 제1스프링홀더(131)에 체결된 가동플레이트(121)가 가동플레이트(121)에 고정된 제2부재(120)가 밀어 나게 되는 것이다.
즉, 제2부재(120)가 밀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133)은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신장되면서 각각의 코일스프링(133)에 저장된 탄성력을 방출하면서 제2부재(120)에 체결된 가동플레이트(121)를 밀어내는 것이다.
상기 가동플레이트(121)가 제1스프링홀더(131)와 고정플레이트(111)가 체결된 체결공을 경계점의 밑에 있으면 코일스프링(133)은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되어 스프링어셈블리(130)는 가동플레이트(121)를 아래로 밀어내고, 이와 반대의 상태이면 스프링어셈블리(130)는 가동플레이트(121)를 위로 밀어낸다.
즉,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133)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스프링홀더(132)와 제1스프링홀더(131)가 멀어지도록 하여, 가동플레이트(121)가 고정플레이트(11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어 가동플레이트(121)가 개폐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 모듈에 따르면, 제2부재(120)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을 경우에는 제2부재(120)의 자중으로 인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30)을 압축하게 되어 제2부재(120)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미동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미동이 제품의 결함인 것으로 오인하여 사후봉사(after service)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프링어셈블리에 홀더를 구성하여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되는 제2부재가 완전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품에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 되는 스프링어셈블리와, 상기 스프링어셈블리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어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어셈블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스프링홀더;와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스프링홀더; 및 상기 제1스프링홀더와 제2스프링홀더를 결합하는 홀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스프링홀더에는 일측면에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2스프링홀더에는 일측면에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홀더는 암홀더 및 숫홀더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숫홀더의 끝단 외부 또는 암홀더의 끝단 내부에는 록킹단턱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암홀더는 ㄷ형상으로 되고 그 끝단에는 결합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숫홀더는 횡단면이 아령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2부재, 고정플레이트, 가동플레이트로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스프링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는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제1부재(20)와, 상기 제1부재(20)에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어셈블리(51)와, 상기 스프링어셈블리(51)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플레이트(31)와, 상기 가동플레이트(31)에 체결되며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되는 제2부재(1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어셈블리(51)는 제1,2스프링홀더(52,54), 스프링가이드(58) 및 코일스프링(57), 숫홀더(61) 및 암홀더(62)를 주요 구성 요소로 된다.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제1부재(20)에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41)는 패널형태로 형성되고 그 폭과 길이는 제1부재(20)의 폭과 길이를 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의 양측단에는 가이드(71)를 수용할 수 있는 ㄱ자형의 제1요홈부(42)가 형성되는데, 제1요홈부(42)는 고정플레이트(41)의 전 길이에 대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는 체결공(43)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스프링어셈블리(51)와 체결되는데 특히 스프링어셈블리(51)에서도 제1,2스프링홀더(52)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의 제1요홈부(42) 내측에 가이드(71)의 제2요홈부(72)의 외부면이 삽입되고, 제2요홈부(72)에 상기 가동플레이트(31)의 레일부(3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동플레이트(31)가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1)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반타원형 또는 반원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며, 이 돌부에 스프링어셈블리(51)의 제2스프링홀더(54)가 체결된다.
상기 돌부의 외주면은 제2스프링홀더(54) 외주면의 중심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1스프링홀더(52)가 돌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2스프링홀더(54)와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71)는 가동플레이트(31)의 레일부(32)를 수용할 수 있는 ㄷ자형의 제2요홈부(72)가 형성되는데, 제2요홈부(72)는 상기 제1요홈부(42)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71)는 고정플레이트(41)의 제1요홈부(42)에 삽입된다.
또한, 가동플레이트(31)에도 후술되는 스프링어셈블리(51)가 연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33)이 형성되는데,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동플레이트(31)에는 내주면의 일측에 반타원형 또는 반원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며, 이 돌부의 체결공에 제2스프링홀더(54)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1)에서 스프링가이드(58)가 체결되지 않는 돌부의 외주면은 제2스프링홀더(54)의 외주면의 중심부와 밀착되어, 상기 제1스프링홀더(52)가 돌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2스프링홀더(54)와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된다.
여기서, 레일부(32)와 제1요홈부(42)에 의해 슬라이딩 되는 상기 가동플레이트(31)의 저면과 고정플레이트(41)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1)의 양측단에는 각각 레일부(32)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도록 한다. 이때, 레일부(32)는 가동플레이트(31)의 전 길이에 대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가동플레이트(31)와 마찬가지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동플레이트(31)와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71)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가동플레이트(31)와 고정플레이트(41)와 달리 합성수지, 특히 그 중에서도 아세탈 수지로 제공되도록 한다.
아세탈 수지는 기계적 성질, 내마모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적은 합성수지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따라서, 가이드(71)가 아세탈수지로 제작됨으로써 반복적으로 고정플레이트(41)에서 가동플레이트(31)가 슬라이딩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가동플레이트(31)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슬라이드 방식의 이통통신 단말기에서 화면(11)과 기능키(12) 등이 위치하는 제2부재(10)의 하부면에 가동플레이트(31)가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어셈블리(51)는 제1스프링홀더(52)·제2스프링홀더(54)·스프링 가이드(58)·코일스프링(57) 및 홀더(60)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60)는 숫홀더(61), 암홀더(61)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52)에는 일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 결합되는 체결공(53)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53)은 종방향으로 외측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제1스프링홀더(52)의 타단의 1/3부분에는 원주형의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58)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가이드(58)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52)의 타단의 또 다른 1/3부분에는 ㄷ형상으로 되고 그 끝단에는 결합구가 구성된 암홀더(62)가 구성되며, 후술되는 숫홀더(61)가 암홀더(62)의 결합구(64)를 통하여 결합 된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52)의 타단의 나머지 1/3부분에는 후술되는 제2스프링홀더(54)의 스프링가이드(58)가 슬라이드되는 관통공(56)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홀더(54)에는 일단이 상기 가동플레이트(31)에 결합되는 체결공(55)이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공(55)은 종방향으로 외측의 돌출부에 형성되며, 제1스프링홀더(52)의 타단의 1/3부분에는 상기 제1스프링홀더(52)의 스프링가이드(58)가 슬라이드되는 관통공(7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링홀더(54)의 타단의 또 다른 1/3부분에는 상기 횡단면이 아령형이면서 바형상의 숫홀더(61)가 구성되며, 숫홀더(61)의 끝단 외부에는 록킹단턱(63)이 구성된다.
상기 록킹단턱(63)은 암홀더(62)의 끝단 내부에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 는 제2스프링홀더(54)의 숫홀더(61)에는 구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스프링홀더(54)의 타단의 나머지 1/3 부분에는 원주형의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58)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가이드(58)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52)의 일단은 스프링가이드(58), 암홀더(62), 관통공(56)의 순으로 형성되고, 제2스프링홀더(54)의 일단은 관통공(73), 숫홀더(61), 스프링가이드(58)의 순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52)의 스프링가이드(58)가 제2스프링홀더(54)의 관통공(73)에, 제2스프링홀더(54)의 숫홀더(61)가 제1스프링홀더(52)의 암홀더(62)에, 제2스프링홀더(54)의 스프링가이드(58)가 제1스프링홀더(52)가 관통공(56)에 슬라이드 되게 결합된다.
상기 암홀더(62)는 ㄷ형상으로 되고 그 끝단에는 결합구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구를 통하여 후술되는 숫홀더(61)가 결합되어 숫홀더(61)가 암홀더(62) 내에서 슬라이드 되지만 숫홀더(61)의 록킹단턱(63)에 의해 숫홀더(61)와 암홀더(62)가 스스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숫홀더(61)가 암홀더(62)에서 이탈 및 분리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숫홀더(61)와 암홀더(62)는 상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숫홀더(61)와 암홀더(62)는 원터치에 의해 록킹과 슬라이드가 되는 것이다.
즉, 숫홀더(61)와 암홀더(62)는 코일스프링(57)의 인장력에 의해 록킹이 되 고 사람의 손에 의한 외부의 힘으로 상기 가동플레이트(31)가 숫홀더(61)와 암홀더(62)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가이드(58) 외주면의 코일스프링(57)에 의해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가 이격되며 상기 숫홀더(61)의 록킹단턱(63)에 의해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 등으로 구성된 스프링어셈블리(51)가 완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어셈블리(51)는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의 사이에 다수의 스프링가이드(58)에 코일스프링(57)이 끼워지고, 홀더(60)에 의해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가 결합되어 스프링가이드(58)가 상대편 스프링홀더의 관통공(56)에 끼워져서 코일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서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가동플레이트(31)가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부재(20)에 대해 제2부재(10)가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프링홀더(52)는 제1스프링홀더(52)에 형성된 체결공(53)과 고정플레이트(41)에 형성된 체결공(43)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면 제1스프링홀더(52)가 고정플레이트(4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스프링홀더(54)도 제1스프링홀더(52)와 마찬가지로 제2스프링홀더(54)에 형성된 체결공(55)을 가동플레이트(31)에 형성된 체결공(33)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체결하면 제2스프링홀더(54)가 가동플레이트(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코일스프링(57)은 탄성력을 고르게 저장, 방출하기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코일스프링(57)은 압축된 상태로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 사이에 구비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를 서로 밀어내도록 인장력이 작용한다.
한편,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57)이 원활하게 신축(伸縮)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57)의 내부에 스프링가이드(58)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프링가이드(58)는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가 연결된 상태에서 반대편 스프링홀더(52,54)에 형성된 관통공(56,73)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7)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각 코일스프링(57)이 굴곡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58)는 스프링어셈블리(51)가 완성된 상태에서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의 거리에 따라, 스프링가이드(58)의 끝단부가 상대편의 스프링홀더(52,54)의 관통공(56,73) 내부에서 왕복하게 된다.
한편, 스프링어셈블리(51)는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가 외양및 스프링가이드(58)가 구성된 것이 동일하고 숫홀더(61)와 암홀더(62)만 상이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프링홀더(52)를 가동플레이트(31)에 제2스프링홀더(54)르 고정플레이트(41)에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체결하여도 스프링어셈블리(51)의 작용과 효과는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프링어셈블리(51)의 양단을 고정플레이트(41)와 가 동플레이트(31)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가동플레이트(31)를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는 것이다.
즉,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가 멀어지도록 하여, 가동플레이트(31)가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어 멀어지는데, 이때 숫홀더(61)의 록킹단턱(63)이 암홀더(62)의 결합구(64)에 간섭을 받아 더 이상 슬라이딩 되지 않게 되면서 록킹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어셈블리(51)의 양단을 구성하고 있는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에 형성된 체결공(53,55)과 가동플레이트(31)와 고정플레이트(41)에 형성된 체결공(33,43)의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리벳을 이용하여 리베팅함으로써, 스프링어셈블리(51)가 가동플레이트(31)와 고정플레이트(41)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동플레이트(31)의 슬라이딩시, 스프링어셈블리(51)의 작동을 원활하도록 각 리벳의 외측에 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마찰이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키패드(21), 배터리 등이 구비된 제1부재(20)에서 화면(11), 기능키(12) 등이 구비된 제2부재(10)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1부재(20)의 키패드(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게 된다.
사용자가 제2부재(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통화 또는 제2부재(10)의 키패드(21)를 노출시킬 목적으로 제1부재(20)를 밀어 올리면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작용에 의해서 제1부재(20)에 대하여 제2부재(10)가 슬라이딩 되어, 제1부재(20)의 키패드(21)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6 에는 각각 제1부재(10)의 개폐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부재(20) 및 제2부재(10)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부재(20)가 고정플레이트(41)에 체결되어 있고 제2부재(10)가 가동플레이트(31)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1부재(20) 및 제2부재(10)의 이동상태는 고정플레이트(41)와 가동플레이트(31)의 이동상태와 동일하게 된다.
평상시, 즉 제1부재(20)가 제2부재(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어셈블리(51)의 코일스프링(57)이 신장된 상태로 코일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가동플레이트(31)가 아래(도면 기준)로 내려진 상태이다.
이때, 상기 숫홀더(61)는 암홀더(62) 내에서 암홀더(62) 끝단의 결합구(64)까지 완전하게 슬라이딩 되어 숫홀더(61)의 록킹단턱(63)이 암홀더(62)의 결합구(64)에 록킹되어 숫홀더(61)는 더 이상 암홀더(62)에 대해 슬라이딩과 이탈이 되지 않으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숫홀더(61)와 암홀더(62)가 고정 즉 스프링어셈블리(51)가 움직이지 않 으므로서 고정플레이트(41) 및 가동플레이트(31)가 고정됨과 동시에 이들에 체결된 제1부재(20)와 제2부재(10)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10)는 유격이 없이 완전하게 폐쇄되어 제품에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4의 상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의 제1부재(20)가 제2부재(10)를 덮고 있는 상태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코일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부재(20)와 제2부재(10)가 멀어진 상태에서 홀더(60)의 작용 즉 숫홀더(61)와 암홀더(62)와 록킹 작용에 의해 스프링어셈블리(51)가 고정되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여 제2부재(10)가 제1부재(20)를 덮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제2부재(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2부재(10)를 밀어 올리면, 가동플레이트(31)의 레일부(32)가 가이드(71)내의 제2요홈부(72)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제2부재(10)가 제1부재(20)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기 시작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1)의 반타원형 또는 반원형 돌부의 외주면에 제2스프링홀더(54)의 외주면이 밀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57)이 스프링가이드(58) 외부에서 압축되면서, 제2스프링홀더(54)는 돌부를 기준으로 제1스프링홀더(52)에 근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계속해서 제1부재(20)에 대하여 제2부재(10)를 밀어 올리면, 도 5의 상태와 같이, 가동플레이트(31)는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 올려지면서 초기의 상태(도 4 참조)보다 코일스프링(57)이 압축된 상태 가 되어 스프링어셈블리(51)에 구비된 각각의 코일스프링(57)에 탄성력이 저장된다.
스프링어셈블리(51)는 도 5와 같은 상태일 때, 가동플레이트(31)에 형성된 체결공(33)과 고정플레이트(41)에 형성된 체결공(43)의 거리가 최소 즉, 가동플레이트(31)의 돌부 가장자리에서 체결공(33,55)까지의 거리 만큼 줄이든 거리가 되고, 이때 최대의 탄성력이 각각의 코일스프링(57)에 저장되는 것이다.
아울러, 코일스프링(57)이 압축되면서 굴곡될 수 있으나, 이는 코일스프링(57)의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가이드(58)에 의해서 방지된다. 그리고, 스프링가이드(58)의 끝단은 상대방의 스프링홀더(52,54)의 관통공(56.73)으로 더욱 깊숙하게 삽입된다.
한편,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부재(10)를 조금 더 밀게 되면, 코일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2부재(10)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되어, 제2부재(1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인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제2부재(10)가 밀어 올려지는 과정에서 압축되었던 코일스프링(57)은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신장되면서 각각의 코일스프링(57)에 저장된 탄성력을 방출하면서 제2부재(10)에 체결된 가동플레이트(31)를 밀어내는 것이다.
즉, 도 5의 상태가 일종의 경계점이 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가동플레이트(31)가 밑에 있으면 코일스프링(57)은 압축된 상태에서 신장되려 하여 스프링어셈블리(51)는 가동플레이트(31)를 아래로 밀어내려하고, 이와 반대의 상태이면 스프링어셈블리(51)는 가동플레이트(31)를 위로 밀어내려한다.
따라서, 도 5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금만 더 제2부재(10)를 밀어 올리면, 자동으로 코일스프링(57)의 탄성력에 의해서 가동플레이트(31)를 밀어 올리게되어 제1부재(20)에 대하여 제2부재(10)가 개방되는 것이다.
압축된 상태로 제1스프링홀더(52)와 제2스프링홀더(54)에 양단이 각각 연결된 다수의 코일스프링(57)들은 항상 신장하려하므로, 최대로 압축된 상태인 도 5의 상태에서 약간 위로 제2부재(10)가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57)들이 신장되려는 힘에 의해서 가동플레이트(31)가 고정플레이트(41)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어 가동플레이트(31)에 체결된 제2부재(10)도 슬라이딩 되어 제2부재(10)가 개방된다.
한편, 반대로 제2부재(10)로 제1부재(20)를 폐쇄하려할 때에는 사용자가 제2부재(10)를 도 5의 상태보다 약간 아래로 당겨 내리면 코일스프링(57)에 의해 자동으로 제2부재(10)가 제2부재(10)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도 상기 도 4의 설명과 같이, 상기 숫홀더(61)는 암홀더(62) 내에서 암홀더(62) 끝단의 결합구(64)까지 완전하게 슬라이딩 되어 숫홀더(61)의 록킹단턱(63)이 암홀더(62)의 결합구(64)에 록킹되어 숫홀더(61)는 더 이상 암홀더(62)에 대해 슬라이딩과 이탈이 되지 않으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숫홀더(61)와 암홀더(62)가 고정 즉 스프링어셈블리(51)가 움직이지 않으므로서 고정플레이트(41) 및 가동플레이트(31)가 고정됨과 동시에 이들에 체결된 제1부재(20)와 제2부재(10)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10)는 유격이 없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제품에 신뢰성 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2부재(10)가 개방 및 폐쇄된 상태에서는 외부의 힘이 가하지 아니하면 숫홀더(61)의 록킹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가 제2부재(1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하여 제2부재(10)를 외력 즉 손으로 힘을 가할 경우에는 외력에 의해 숫홀더(61)의 록킹이 해제되어 숫홀더(61)가 암홀더(62)에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프링어셈블리(51)의 홀더(60)에 의해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된 제2부재가 완전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어셈블리에 홀더가 구성되어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된 제2부재가 완전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2부재가 개방 또는 폐쇄되었을 경우에 유격이 발생하지 아니하여 제2부재의 자중으로 인하여 제2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미동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2부재가 완전하게 개방 또는 폐쇄로 제품에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키패드, 배터리 등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에 체결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스프링어셈블리와, 상기 스프링어셈블리의 타단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플레이트 및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체결되고 화면과 기능키가 구비되는 제2부재로 구성되어 제2부재가 제1부재에 대해 슬라이드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어셈블리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스프링홀더;와
    상기 가동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스프링홀더; 및
    상기 제1스프링홀더와 제2스프링홀더를 결합하는 홀더;가 구성되어 상기 홀더에 의해 제1스프링홀더 및 제2스프링홀더가 스스로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홀더에는 일측면에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가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제2스프링홀더의 관통공에서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홀더에는 일측면에 바형상으로 연장된 스프링가이드;가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제1스프링홀더의 관통공에서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의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이 구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제1스프링홀더와 제2스프링홀더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암홀더 및 숫홀더;로 구성되어 상기 숫홀더가 암홀더 내에서 슬라이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숫홀더의 끝단 외부 또는 암홀더의 끝단 내부에는 록킹단턱;이 구성되어 록킹단턱에 의해 숫홀더와 암홀더가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홀더는 ㄷ형상으로 되고 그 끝단에는 결합구;가 구성되어 결합구를 통하여 상기 숫홀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숫홀더는 횡단면이 아령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20060018656U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200426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56U KR200426902Y1 (ko)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656U KR200426902Y1 (ko)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02Y1 true KR200426902Y1 (ko) 2006-09-18

Family

ID=4177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5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26902Y1 (ko) 2006-07-10 2006-07-10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02Y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0B1 (ko) 2007-05-10 2008-11-06 정영조 휴대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WO2009020374A3 (en) * 2007-08-08 2009-04-16 Diabell Co Ltd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WO2009028882A3 (en) * 2007-08-28 2009-04-23 Diabell Co Ltd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WO2009038371A3 (en) * 2007-09-18 2009-07-02 Jung Min Park Spring device, sliding module therewith and mobile device therewith
KR100921532B1 (ko) * 2008-10-20 2009-10-13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927966B1 (ko) * 2009-04-01 2009-11-24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KR100967382B1 (ko) * 2008-02-29 2010-07-05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모듈
WO2010131795A1 (ko) * 2009-05-14 2010-11-1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KR200452440Y1 (ko) * 2008-12-04 2011-02-28 정의선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030933B1 (ko) * 2009-04-29 2011-04-27 (주)제이엠씨 슬라이딩 힌지 액추에이터
KR101030928B1 (ko) * 2009-04-29 2011-04-27 (주)제이엠씨 슬라이딩 힌지 액추에이터
KR101103083B1 (ko) 2011-06-29 2012-01-06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1188127B1 (ko) 2010-11-16 2012-10-09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0B1 (ko) 2007-05-10 2008-11-06 정영조 휴대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WO2009020374A3 (en) * 2007-08-08 2009-04-16 Diabell Co Ltd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WO2009028882A3 (en) * 2007-08-28 2009-04-23 Diabell Co Ltd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WO2009038371A3 (en) * 2007-09-18 2009-07-02 Jung Min Park Spring device, sliding module therewith and mobile device therewith
KR100967382B1 (ko) * 2008-02-29 2010-07-05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모듈
KR100921532B1 (ko) * 2008-10-20 2009-10-13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452440Y1 (ko) * 2008-12-04 2011-02-28 정의선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927966B1 (ko) * 2009-04-01 2009-11-24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KR101030933B1 (ko) * 2009-04-29 2011-04-27 (주)제이엠씨 슬라이딩 힌지 액추에이터
KR101030928B1 (ko) * 2009-04-29 2011-04-27 (주)제이엠씨 슬라이딩 힌지 액추에이터
WO2010131795A1 (ko) * 2009-05-14 2010-11-18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KR101188127B1 (ko) 2010-11-16 2012-10-09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1103083B1 (ko) 2011-06-29 2012-01-06 (주) 세이텍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839415B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EP1793568B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832606B2 (en) Belt clip for detachably fixing cellular phone
KR100873091B1 (ko)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이를구비한 슬라이더 조립체
US20080179896A1 (en) Auto Latch for Window Sash
KR10068949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1912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41744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431364Y1 (ko) 휴대폰 폴더부 개폐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100123063A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림형 슬라이드 휴대폰
KR1008536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20041744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1009074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양방향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403709Y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200394697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1019679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70040136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KR100804592B1 (ko) 휴대폰 폴더부 개폐용 슬라이드 조립체
WO2009028882A2 (en) Slide hinge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20100125552A (ko) 슬라이딩 핸드폰의 슬라이딩판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7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7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