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84972B1 -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972B1
KR101884972B1 KR1020150172709A KR20150172709A KR101884972B1 KR 101884972 B1 KR101884972 B1 KR 101884972B1 KR 1020150172709 A KR1020150172709 A KR 1020150172709A KR 20150172709 A KR20150172709 A KR 20150172709A KR 101884972 B1 KR101884972 B1 KR 10188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graft copolymer
copolymer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103A (ko
Inventor
박춘호
황용연
오현택
김민정
이상미
이영민
강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7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972B1/ko
Priority to PCT/KR2016/012704 priority patent/WO2017095031A1/ko
Priority to EP16870927.7A priority patent/EP3219754B1/en
Priority to CN201680004650.0A priority patent/CN107109023B/zh
Priority to US15/533,357 priority patent/US10364344B2/en
Publication of KR2017006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9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프트 효율 50 내지 95%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0 내지 59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5 내지 49%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20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21 내지 89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1:1~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기재에 따르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사출성형시에는 유광 효과가 발현되고 압출성형시에는 무광효과가 발현되어 유광 제품 및 무광 제품 양쪽에 모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GLOSS AND REDUCED GLOSS AND MOLDED ARTICLE MADE FROM SAME}
본 기재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사출성형시에는 유광 효과가 발현되고 압출성형시에는 무광효과가 발현되어 유광 제품 및 무광 제품 양쪽에 모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ASA)계 수지는 다층 공중합체 그라프트 입자, 즉 코어-쉘 구조로 제조한다. 코어는 충격강도 향상을 위해 주로 아크릴계 고무를 이용하고, 쉘은 매트릭스 수지와의 착색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비닐시안 화합물 또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한다.
ASA계 수지는 내후성 및 내노화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선박, 레저용품, 건축자재, 원예용 등 다방면에 사용되며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ASA계 수지로부터 제조된 제품들은 대부분이 광택이 있으며, 최근 들어 사용자들의 감성품질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좀 더 품위 있는 분위기 연출을 위해 무광택 수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출 제품은 유광을, 압출 시트 제품은 무광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무광 및 유광 제품을 한 라인으로 생산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복잡성으로 인해 생산효율이 저하되고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98795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사출성형시에는 유광 효과가 발현되고 압출성형시에는 무광효과가 발현되어 유광 제품 및 무광 제품 양쪽에 모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그라프트 효율 50 내지 95%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0 내지 59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5 내지 49%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20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21 내지 89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1:1~10:1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르면 성형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광택도가 다르므로 이를 위해서 각각 다른 조성물을 한 라인으로 생산시 작업의 복잡성으로 인해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1종의 조성물로 사출성형시 유광 효과가 우수하고, 압출성형시 무광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기계적 물성도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그라프트 효율 50 내지 95%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0 내지 59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5 내지 49%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20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21 내지 89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1:1~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사출성형시에는 유광 효과가 발현되고 압출성형시에는 무광 효과가 발현되어 유광 제품 및 무광 제품 양쪽에 모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그라프트 효율 50 내지 95%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0 내지 35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5 내지 49%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3 내지 1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50 내지 77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1~7:1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사출성형시에는 유광 효과가 발현되고 압출성형시에는 무광 효과가 발현되어 유광 제품 및 무광 제품 양쪽에 모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그라프트 효율이 65 내지 85%, 또는 70 내지 8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및 (b)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각각 평균입경이 0.05 내지 1㎛, 또는 0.2 내지 0.7㎛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아크릴계 고무 1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 또는 아크릴계 고무 25 내지 4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40 내지 5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a)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50,000 g/mol, 80,000 내지 145,000 g/mol, 또는 100,000 내지 140,000 g/mol 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충격강도 및 물성 밸런스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a)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고, 중합 후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에 산화방지제 및 안정제를 투여하고 응집 후 탈수 및 건조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그라프트 효율이 10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무광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아크릴계 고무 60 내지 95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1 내지 3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 내지 20 중량%; 또는 아크릴계 고무 71 내지 9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8 내지 2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 내지 9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물성 밸런스가 우수하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 g/mol, 70,000 내지 250,000 g/ml, 또는 80,000 내지 230,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b)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일례로, 유화제 및 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 중합되되, 그라프트제는 사용하지 않고 중합되고, 중합 후 상기 수득된 그라프트 공중합체 라텍스에 산화방지제 및 안정제를 투여한 다음 응집 후 탈수 및 건조시켜 그라프트 공중합체 분말을 얻는다.
상기 (a)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와 (b)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비는 또 다른 예로 2~6:1이고, 이 범위 내에서 사출성형시 유광효과가 우수하고, 압출성형시 무광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는 일례로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 또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65 내지 75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5 내지 35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일례로 탄소수 1 내지 15개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일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중합된 고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일례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일례로 난연제, 항균제, 대전방지제, 적하방지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UV 안정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무기물첨가제, 안정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출 성형시 유광 효과가 우수하고 압출 성형시 무광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ASTM D528에 의거하여 측정한 사출성형 광택도는 60 내지 100이고, 압출성형 광택도는 20 내지 45이며, 또 다른 예로 사출성형 광택도는 70 내지 90이고, 압출성형 광택도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무광 제품 및 유광 제품에 모두 적용 가능한 양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즉 유무광 양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일 수 있다.
본 기재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그라프트 효율 50 내지 95%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0 내지 59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5 내지 49%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1 내지 20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21 내지 89 중량%;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1:1~10:1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혼련은 일례로 200 내지 290℃, 또는 200 내지 260℃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기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ASA-1: 그라프트 효율이 73.1%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39,000 g/mol이고, 부틸아크릴레이트 40 중량%, 스티렌 4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로 중합된 수지
* ASA-2: 그라프트 효율이 16.0%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9,000 g/mol이고, 부틸아크릴레이트 85 중량%, 스티렌 12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3 중량%로 중합된 수지
* ASA-3: 그라프트 효율이 15.6%이며 중량평균분자량이 81,000 g/mol이고, 부틸아크릴레이트 75 중량%, 스티렌 2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로 중합된 수지
* SAN 수지: 스티렌 7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30 중량%로 중합된 수지
* 대구경 ABS 수지: 평균입경이 10㎛의 부타디엔 15 중량%, 스티렌 7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15 중량%로 중합된 수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대로 각각의 성분들을 해당 함량으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240℃ 조건 하에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한 후, 펠렛 형태로 제조하고 건조시켰다.
< 사출 시편 제조 >
상기 건조된 펠렛을 사출온도 200 ~ 240℃에서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을 제조하였다.
< 압출 시편 제조 >
상기 건조된 펠렛을 압출온도 200 ~ 240℃에서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평균 입경(㎛): 다이나믹 레이져 라이트 스케터링(dynamic laser light scattering)법으로 인텐시티 가우시안 분포(intensity Gaussian distribution, Nicomp 38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그라프트 효율(%): 중합체를 입자로 분리하여 건조한 다음, 실온에서 아세톤에 담가 팽윤시킨 후, 이를 0℃, 12000 rpm에서 120분간 원심 분리시켜 아세톤 불용분 겔과 아세톤 용해분 졸을 취하여 열풍건조기에서 건조 시켜서 다음 수학식 1로부터 값을 구하였다.
[수학식 1]
그라프트효율(%) = (그래프트된 단량체의 총 중량 / 쉘 모노머의 총 중량) × 100
* 충격강도(1/4",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인장강도(kgf/cm2):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굴곡강도(kg/cm2):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광택(45°): 사출된 시편 및 압출된 시편을 45°각도에서 ASTM D52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ASA-1 30 30 25 40 35 30 - - 15
ASA-2 5 - - 7 - - 35 - 20
ASA-3 - 5 10 - - - - 35 -
대구경
ABS
- - - - - 5 - - -
SAN 65 65 65 53 65 65 65 65 65
충격강도 5.3 5.3 5.5 6.4 4.6 7.2 3.1 2.8 3.9
인장강도 499 517 507 482 518 526 522 524 509
굴곡강도 816 850 858 798 825 878 868 872 830
사출광택 72 82 80 71 61 28 30 32 45
압출광택 38 38 35 37 58 46 34 35 3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는 충격강도,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사출광택 및 압출 광택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에, 그라프트 효율이 낮은 ASA-2, 또는 ASA-3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압출광택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충격강도도 저하되었고, 그라프트 효율이 낮은 ASA 수지 대신 대구경 ABS 수지를 포함하는 비교예 2는 압출광택이 증가되어 저광택성이 저하되면서 사출광택이 급격히 저하되어 고광택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ASA-1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3 및 4는 충격강도, 사출광택 및 압출 광택이 모두 저하되었고, ASA-1과 ASA-2의 중량비가 1:1.33인 비교예 5도 충격강도, 사출광택 및 압출 광택이 모두 저하되었다.

Claims (17)

  1. (a) 그라프트 효율 70 내지 80%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5 내지 40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10 내지 20%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3 내지 1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53 내지 65 중량%;
    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2~6 : 1이고,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 71 내지 9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8 내지 2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 내지 9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230,000 g/mol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528에 의거하여 측정한 사출성형 광택도는 70 내지 90이고, 압출성형 광택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및 (b)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각각 평균입경이 0.05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 10 내지 6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10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5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60 내지 8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탄소수 1 내지 15개인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및 비닐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고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중합된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항균제, 대전방지제, 적하방지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활제, UV 안정제, 충격보강제, 충진제, 무기물 첨가제, 안정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디엔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무광 제품 및 유광 제품에 모두 적용 가능한 양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a) 그라프트 효율 70 내지 80%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25 내지 40 중량%;
    (b) 그라프트 효율 10 내지 20%의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3 내지 15 중량%; 및
    (c) 방향족 비닐 화합물-비닐시안 화합물 공중합체 수지 53 내지 65 중량%;를 용융혼련 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와 (b)의 중량비는 2~6 : 1 이고,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아크릴계 고무 71 내지 90 중량%, 방향족 비닐 화합물 8 내지 20 중량% 및 비닐시안 화합물 2 내지 9 중량%를 포함하여 중합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80,000 내지 230,000 g/mol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528에 의거하여 측정한 사출성형 광택도는 70 내지 90이고, 압출성형 광택도는 3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1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50172709A 2015-12-04 2015-12-04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ctive KR10188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709A KR101884972B1 (ko) 2015-12-04 2015-12-04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CT/KR2016/012704 WO2017095031A1 (ko) 2015-12-04 2016-11-04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16870927.7A EP3219754B1 (en) 2015-12-04 2016-11-0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matteness and glossines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1680004650.0A CN107109023B (zh) 2015-12-04 2016-11-04 表现出优异的哑光和光泽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制备的模制品
US15/533,357 US10364344B2 (en) 2015-12-04 2016-11-0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superior matte and gloss,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from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709A KR101884972B1 (ko) 2015-12-04 2015-12-04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103A KR20170066103A (ko) 2017-06-14
KR101884972B1 true KR101884972B1 (ko) 2018-08-02

Family

ID=5879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709A Active KR101884972B1 (ko) 2015-12-04 2015-12-04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64344B2 (ko)
EP (1) EP3219754B1 (ko)
KR (1) KR101884972B1 (ko)
CN (1) CN107109023B (ko)
WO (1) WO2017095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2652B1 (ko) 2020-07-23 2024-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EP4011973B1 (en) 2020-07-23 2025-07-09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2692861B1 (ko) * 2020-07-23 2024-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2642820B1 (ko) * 2020-07-23 2024-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KR102772203B1 (ko) * 2021-03-02 2025-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외장재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1162A1 (de) 1990-04-06 1991-10-10 Basf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
ES2147300T3 (es) 1995-09-13 2000-09-01 Bayer Antwerpen Nv Composicion polimerica de bajo brillo y resistente a la intemperie.
DE19649255A1 (de) 1996-11-28 1998-06-04 Bayer Ag Thermoplastische Hochglanz-Formmassen vom ABS-Typ
US6100001A (en) * 1997-05-07 2000-08-08 Mitsui Chemicals, Inc. Nitrile resin for electro-photographic carrier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US6395828B1 (en) 2001-09-26 2002-05-28 Bayer Corporation Low gloss ASA resin
KR100548628B1 (ko) 2003-10-08 2006-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79159B1 (ko) * 2005-08-30 2007-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0586B1 (ko) * 2007-08-13 201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87957B1 (ko) 2008-12-09 2010-10-18 제일모직주식회사 저광택 방향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N103443154B (zh) 2011-03-29 2015-05-20 Umgabs株式会社 丙烯酸类橡胶系接枝共聚物和热塑性树脂组合物
EP2739286A4 (en) * 2011-08-04 2015-06-03 Lumena Pharmaceuticals Inc GALLENIC ACID FLUID FOR THE TREATMENT OF PANCREATITIS
KR101457403B1 (ko) * 2011-12-28 2014-11-12 제일모직주식회사 고온 내열변색 특성이 우수한 asa 수지 조성물
WO2013100448A1 (ko) * 2011-12-30 2013-07-0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내후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asa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25754B1 (ko) * 2012-08-27 2014-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레이트―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50002267A (ko) * 2013-06-28 2015-01-07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681212B1 (ko) * 2013-09-03 2016-11-3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용 성형품
KR20150114239A (ko) * 2014-04-01 2015-10-1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 및 착색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70054644A (ko) * 2015-11-10 201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출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9023B (zh) 2019-09-17
EP3219754A4 (en) 2018-10-03
EP3219754A1 (en) 2017-09-20
EP3219754B1 (en) 2023-01-04
CN107109023A (zh) 2017-08-29
US10364344B2 (en) 2019-07-30
KR20170066103A (ko) 2017-06-14
WO2017095031A1 (ko) 2017-06-08
US20170369692A1 (en)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1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4559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267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03910967B (zh) 透明热塑性树脂组合物及使用它的模制品
KR101884972B1 (ko)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4000551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9829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62175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7243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50068313A (ko) 스티렌계 내화학성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08038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20170054644A (ko) 저광 특성, 내후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압출 물품
KR2016012853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91736B1 (ko) 저광택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건축용 외장재
KR10176098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2895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80071835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76521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120076301A (ko) 내열성과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782250B1 (ko)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24177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9004340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49371B1 (ko) 내후성 열가소성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240030799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