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5072B1 - 용기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용기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072B1
KR101875072B1 KR1020160134779A KR20160134779A KR101875072B1 KR 101875072 B1 KR101875072 B1 KR 101875072B1 KR 1020160134779 A KR1020160134779 A KR 1020160134779A KR 20160134779 A KR20160134779 A KR 20160134779A KR 101875072 B1 KR101875072 B1 KR 10187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er
tube
fluid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537A (ko
Inventor
이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진
Priority to KR1020160134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0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0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65D1/323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the container comprising internally a dip tube through which the contents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12Grad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소정 공간을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용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용기와 상기 소정 공간을 관통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용기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용 디스펜서{DISPENSER FOR BOTTLE}
본 발명은 용기에 결합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되는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 또는 세제 용기와 같은 용기는 점성을 갖는 유체와 점성을 갖지 않는 유체로 구분되어 수용하는 용기가 구분된다. 또한, 대부분의 용기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디스펜서에 가한 압력에 따라 용기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펌프 디스펜서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자체가 펌핑 형태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눌러서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이렇게 사용하는 경우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결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손으로 튜브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고, 토출하는 용기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고, 소정 공간을 포함하는 실린더; 및 상기 용기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용기와 상기 소정 공간을 관통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용기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는 상부 격벽과 하부 격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격벽은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벽은 상기 튜브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실린더의 측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눈금선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격벽과 상기 튜브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상부 말단은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의 소정 공간으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하부 말단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 구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튜브의 유입 구멍으로부터 상기 용기의 바닥 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튜브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용기용 디스펜서는 상기 실린더의 상부 격벽과 힌지로 연결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용기용 디스펜서는 디스펜서가 아닌 용기를 펌핑하는 것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유체의 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용기용 디스펜서는 한 손으로 용기를 펌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손을 이용하여 원터치(one touch)로 캡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펜서보다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용기용 디스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에 포함된 실린더와 튜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에 포함된 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가 용기에 결합되어 유체를 토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실린더에 저장된 유체를 토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와 용기용 디스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200)의 입구에 결합되어 용기(200)를 펌핑하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상기 내용물을 펌핑하여 실린더(110)의 내부로 토출할 수 있고, 여러 횟수의 펌핑에 따라 적절량이 저장된 실린더(111) 내부의 내용물은 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200)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0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200)의 내용물은 점성이 낮은 유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200)라는 명칭은 점성이 낮은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모든 용기(200)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200)는 화장품 용기, 세제 용기, 섬유 유연제 용기 및 플라스틱 술 용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용기(200)의 내용물은 점성이 낮은 유체인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일체의 사출 성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용 디스펜서(100)의 실린더(110), 튜브(120), 결합부(130) 및 캡(140)은 별개의 사출 성형을 통해 만들어진 이후 결합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의 하부 격벽(114)과 튜브(12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용기용 디스펜서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실린더(110), 튜브(120), 결합부(130) 및 캡(14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10)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200)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고, 소정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10)는 튜브(120)를 통해 토출된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110)는 소정 공간(111)의 유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10)의 부피는 용기(200)의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110)의 바닥 면적(s)은 용기(200)의 입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100)의 높이(h1)를 변화시켜 실린더(110)의 부피가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ml용기의 경우 실린더(110)의 부피는 50ml로 제작될 수 있고, 50ml용기의 경우 실린더(110)의 부피는 5ml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 실린더(110)에 대하여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튜브(120)는 용기(200)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용기(200)와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튜브(120)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유로를 포함하는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200)의 내용물은 용기(200)를 펌핑하는 사용자의 압력에 기초하여 튜브(120)를 통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튜브(120)는 관통구(112)에 결합되어 용기(200)의 내용물을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하, 튜브(120)에 대하여는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결합부(130)는 실린더(110)의 하부 격벽(114) 저면에 형성되어 용기(200)의 입구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130)는 결합부(130)의 내주면에 나사 홈(131)을 포함하고 있어, 용기(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201)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30)의 직경은 용기(200)의 입구의 직경에 기초하여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캡(140)은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과 힌지(hinge, 150)를 통해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하, 캡(140)에 대하여는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에 포함된 실린더와 튜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린더(110)는 소정 공간(111)을 포함하고, 상부 격벽(113) 및 하부 격벽(114)로 구성되는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소정 공간(111)은 실린더(110) 내부의 빈 공간으로 튜브(120)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관통구(11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린더(110)의 평면도는 도넛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관통구(112)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관통구(112)에 결합되는 튜브(120)의 모양에 기초하여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격벽(113)은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출구(115)는 상부 격벽(113)의 일단에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115)는 일정 크기의 관통 홀이 아닌 상부 격벽(113)의 일단이 전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린더(110)에 포함된 유체를 외부로 쉽게 토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배출구(115)는 원형 모양의 관통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구(115)는 상부 격벽(113)의 중앙 또는 중앙이 아닌 일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115)가 중앙이 아닌 영역에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캡(140)이 생략되더라도 유체가 쉽게 넘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구(115)는 캡(140)이 열린 상태에서,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에 저장된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200)를 손에 쥐고 기울임으로써 소정 공간(111) 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하부 격벽(114)은 튜브(120)가 관통되는 관통구(1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통구(112)는 하부 격벽(11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은 캡(140)의 개방 버튼(141)의 하단에 위치하는 손가락 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손가락 홈(116)은 사용자가 캡(140)의 개방 버튼(141)을 이용하여 캡(140)을 열 때 손가락을 얕게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실린더(110) 외주에 손가락 모양으로 파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 외부에 손가락 홈이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캡(140)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는 실린더(110)의 측면에 눈금선(11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눈금선(117)은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에 저장되는 유체의 용량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눈금선(110)은 실린더(1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공간(111)에 저장된 유체의 용량이 5ml, 10ml, 15ml, 20ml, 25ml, 30ml인 것을 나타내는 눈금선(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5ml, 15ml, 25ml와 10ml, 20ml, 30ml는 눈금선(117)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110)의 측면에는 눈금선(117)의 용량을 나타내는 숫자가 눈금선(117)과 함께 음각 또는 양각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용 디스펜서에 포함된 튜브(120)는 상부 말단(121) 및 하부 말단(122)를 포함하는 긴 원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에서부터 하부 말단(122)까지의 전체 길이는 용기(200)의 높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튜브(120)의 직경은 용기(200)의 입구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튜브(120) 내에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유체의 총량은 용기(200)에 저장될 수 있는 유체의 총량의 1/20 이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튜브(120)는 용기(200)와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을 한번에 관통하는 하나의 튜브(120)로 도시되었으나, 튜브(120)는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튜브(120)는 실린더(110)의 하부 격벽(114)를 기준으로, 하부 격벽(114)의 관통구(112)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 튜브와 관통구(112)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튜브로 구분될 수 있다. 튜브(120)가 상부 튜브와 하부 튜브로 구분되는 경우, 상부 말단(121)은 상부 튜브의 상부 말단(121)에 대응할 수 있고, 하부 말단(122)는 하부 튜브의 하부 말단(122)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부 튜브와 하부 튜브는 직경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말단(121)은 콘(cone)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체를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 구멍(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말단(122)은 용기(200)에 저장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 구멍(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구멍(123)은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 구멍(123)은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토출 구멍(123)은 실린더(110)의 눈금 선(117)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토출 구멍(123)이 실린더(110)의 눈금 선(117)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눈금 선(117)에 기재된 용량만큼 실린더(110)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으로부터 토출 구멍(123)까지의 길이는 관통구(112)로부터 토출 구멍(123)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유입 구멍(124)은 튜브(120)의 하부 말단(122)에 경사를 가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용기(200) 내에 유체가 거의 없는 경우에도 유입 구멍(124)을 통해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 구멍(124)으로부터 용기(200)의 바닥 면까지의 거리는 튜브(12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200)에 저장된 유체는 용기(200)를 펌핑하는 사용자의 압력에 기초하여, 유입 구멍(124)을 통해 튜브(120)로 유입되어 튜브(120)의 상하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튜브(120)의 내부유로를 통해 튜브의 상부 말단(121)으로 이동한 유체는 토출 구멍(123)을 통해 튜브(120) 밖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토출된 유체는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용기(200)에 압력을 가해 유체를 토출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에 포함된 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캡을 측면에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캡을 후면에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의 (c) 및 (d)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용기용 디스펜서에 포함된 캡(140)은 개방 버튼(141) 및 배출마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캡(140)은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의 일 부분과 힌지(150)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캡(140)은 내부가 빈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140)의 높이(h2)는 용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캡(140)은 용기용 디스펜서(10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실린더(110)를 덮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캡(140)은 힌지(15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실린더(110)와 절개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개방 버튼(141)은 얇은 두께를 갖는 반원 모양으로 캡(14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개방 버튼(141)의 크기는 캡(14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개방 버튼은 캡(140)의 일 측면에 손가락 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손가락 홈으로 형성된 개방 버튼을 이용하여 손쉽게 캡(140)를 열 수 있다.
배출마개(142)는 캡(140)의 저면에 배출구(115)의 구멍보다 지름이 살짝 작은 돌출된 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마개의 높이(h1)는 배출구를 덮기 위하여 캡(140)의 높이(h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출 마개(142)는 캡(140)이 닫힌 상태에서, 배출구(115)를 막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캡(140)이 닫힌 상태에서는, 배출마개(142)가 배출구(115)를 막은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캡(140)을 닫아 놓을 수 있고, 캡(140)이 닫힌 상태에서는 배출마개(142)로 인하여 실린더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캡(140)를 닫은 상태에서 용기(200)를 펌핑하여 유체가 소정 공간(111)으로 토출되더라도 배출마개(142)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본 발명의 용기용 디스펜서(100)가 배출마개(1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배출마개(142)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힌지(150)는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과 캡(140)를 연결하는 얇은 판 형태의 플라스틱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150)의 길이는 캡(140)의 둘레의 1/10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힌지(150)는 캡(140)이 개폐되는 경우, 실린더(110)로부터 캡(140)이 완전히 떨어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힌지(150)에 대하여는 도 3의 (b)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힌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힌지(150)는 실린더(110) 상부 격벽(113)과 캡(14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용 디스펜서(100)가 캡(140)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힌지(150) 역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힌지(150)는 단순히 몸체와 캡(140)를 연결하는 용도로만 제작되기 때문에, 성형될 당시 날카로운 부분이 남아있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힌지(150)는 제 1 경사(151)와 제 2 경사(152)의 끝단이 꼭지점으로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캡(140)을 한 손으로 잡고 개방 버튼(141)을 여는 경우, 힌지(150)는 필연적으로 손가락 또는 손바닥에 닿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힌지(150)에 날카로운 부분이 남아 있는 경우 사용자는 손을 쉽게 다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힌지(150)는 부드러운 리본 또는 나비 모양의 성형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캡(140)의 후면을 참조하면, 힌지(150)의 제 1 경사(151)와 제 2 경사(152)의 끝단이 모두 곡선으로 맞닿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캡(140)을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더라도 힌지(150)에 의해 손을 다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과 캡(140)를 개폐하는 힌지(150)의 측면 부분(153, 154)은 주름 모양을 형성하여 캡(140)이 자주 개폐되더라도 힌지(150)가 쉽게 고장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의 (c) 및 (d)를 참조하면, 용기용 디스펜서(100)는 리브(160, 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c)의 제 1 리브(160)는 실린더(110)이 상부 격벽(113)의 저면에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리브(160)의 높이(h3)는 상부 격벽(113)에서부터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즉, 제 1 리브(160)는 토출 구멍(123)으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안정적으로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에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기(200)를 세게 펌핑하여 유체가 튜브(120)를 통해 토출될 때, 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튀어나갈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리브(160)는 튜브(120)의 토출 구멍(123) 주위를 둘러싸고 있어 유체가 사용자의 의도 없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도록 도울 수 있다.
도 3의 (d)의 제 2 리브(161)는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에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리브(161)는 상부 말단(121)의 토출 구멍(123) 상부에 상방을 향하는 깔때기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리브(161)는 제 1 리브(160)와 마찬가지로 토출 구멍(123)으로부터 토출된 유체가 안정적으로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에 저장되도록, 토출된 유체가 더 이상 위로 분출하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가 용기에 결합되어 유체를 토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유체가 저장된 용기(200)의 외벽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는 튜브(120)의 유입 구멍(124)을 통해 튜브(120)로 유입되어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까지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용기(200)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 튜브(120)에 유체가 가득 찬 경우, 상부 말단(121)으로 이동한 유체는 토출 구멍(123)을 통해 튜브(120) 밖으로 토출되어 소정 공간(111)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용기(200)의 외벽을 누르는 동작을 해제하는 경우, 토출 구멍(123)을 통해 소정 공간(111)으로 토출되지 못하고 튜브(120) 내에 남아 있는 유체는 유입 구멍(124)을 통해 다시 용기(200)로 돌아 갈 수 있다.
사용자는 용기(200)를 여러 번 펌핑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용기(200)에 저장된 유체의 일정량을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실린더(110)에 포함된 눈금선(117)을 통해 현재 소정 공간(111)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유체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실린더에 저장된 유체를 토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에 필요한 양의 유체가 저장된 것을 확인한 사용자는 배출구(115)를 이용해 유체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용기용 디스펜서(100)가 캡(140)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개방 버튼(141) 또는 손가락 홈(116)을 이용해 캡(140)을 연 후, 용기(200)를 기울여 소정 공간(111)에 저장된 유체를 토출할 수 있다.
특히,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오직 한 손만을 이용하여 용기(200)를 펌핑하여 적당량의 유체를 소정 공간(111)에 저장시킨 후, 동일한 손으로 캡(140)을 열고 용기(200)를 기울여 유체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최근에 사용되는 섬유유연제는 점성이 낮은 유체인 액체로 되어 있으며, 섬유유연제 용기는 압력을 가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섬유유연제는 세탁물의 용량에 따라 세탁 시 넣어야 할 양이 기 지정되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디스펜서(100)가 섬유유연제 용기에 결합된다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섬유유연제의 양을 정확히 확인하고 세탁기에 넣을 수 있어 기존의 섬유유연제 용기용 디스펜서를 사용할 때보다 편리할 수 있다.
100: 용기용 디스펜서
110: 실린더
111: 소정 공간
112: 관통구
113: 상부 격벽
114: 하부 격벽
115: 배출구
116: 손가락 홈
117: 눈금 선
120: 튜브
121: 상부 말단
122: 하부 말단
123: 토출 구멍
124: 유입 구멍
130: 결합부
131: 결합부의 나사 홈
140: 캡
141: 개방 버튼
142: 배출 마개
150: 힌지
160: 제 1 리브
161: 제 2 리브
200: 용기
201: 용기의 나사

Claims (7)

  1. 점성이 기준값보다 낮은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200)의 입구에 결합되고, 소정 공간(111)을 포함하는 실린더(110);
    상기 실린더(110)의 상부 격벽(113)과 힌지(150)로 연결되는 캡(140); 및
    상기 용기(200)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유체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용기(200)와 상기 소정 공간(111)을 관통하는 튜브(120)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110)는 상부 격벽(113)과 하부 격벽(1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격벽(113)은 캡(140)의 개방 버튼(141)의 하단에 위치하는 손가락 홈(116)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격벽(113)은 상기 유체를 외부로 토출하는 배출구(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벽(114)은 상기 튜브(120)가 관통되고,
    상기 튜브(120)의 상부 말단(121)은 상기 유체를 상기 실린더(110)의 소정 공간(111)으로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 구멍(12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120)의 하부 말단(122)은 상기 용기(200)에 저장된 유체를 유입하는 유입 구멍(1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입 구멍(124)은 상기 튜브(120)의 상기 하부 말단(122)에 경사를 가진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150)는 리본 모양의 성형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150)의 제 1 경사(151)와 제 2 경사(152)의 끝단이 곡선으로 맞닿은,
    용기용 디스펜서(10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110)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실린더(110)의 측면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눈금선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114)과 상기 튜브(12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디스펜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20)의 유입 구멍(124)으로부터 상기 용기(200)의 바닥 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튜브(12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디스펜서.
  7. 삭제
KR1020160134779A 2016-10-18 2016-10-18 용기용 디스펜서 Active KR10187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779A KR101875072B1 (ko) 2016-10-18 2016-10-18 용기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779A KR101875072B1 (ko) 2016-10-18 2016-10-18 용기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537A KR20180042537A (ko) 2018-04-26
KR101875072B1 true KR101875072B1 (ko) 2018-08-02

Family

ID=6208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779A Active KR101875072B1 (ko) 2016-10-18 2016-10-18 용기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0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24218T2 (de) * 1989-07-07 1996-07-18 Procter & Gamble Far East Inc Füllmesska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537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5852B1 (en) Controlled release container
US8657159B2 (en)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US4438869A (en) Dosing device with ball valve and operating method
EP2130472A1 (en) Improved liquid dispenser with anti-retraction feature
RU2702403C1 (ru) Насос с полимерной пружиной
EP3251960B1 (en) Double-walled container
RU243307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JP5279970B1 (ja) 残量低減部材
US9409760B1 (en) Fluid dispenser
TWI447046B (zh) 擠壓容器
KR101875072B1 (ko) 용기용 디스펜서
JP6942650B2 (ja) 注出容器
JP6740733B2 (ja) スクイズ容器
KR102698876B1 (ko) 주출 스파우트
JP3603110B2 (ja) 液体注出容器
JP5978093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6175856B2 (ja) 逆止弁および該逆止弁を備えた容器
JP5546944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JP3125538U (ja) 漏斗
JP6848444B2 (ja) 注出口栓及び包装容器
EP2857328B1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EP2737821B1 (en) Bottle for a pump dispenser and use of a bottle
JP7449554B2 (ja) 注出キャップおよび容器
JP3603109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307299Y1 (ko) 약액 흘러넘침 방지를 위한 스포이트 일체형 시약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