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73721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21B1
KR101873721B1 KR1020170145486A KR20170145486A KR101873721B1 KR 101873721 B1 KR101873721 B1 KR 101873721B1 KR 1020170145486 A KR1020170145486 A KR 1020170145486A KR 20170145486 A KR20170145486 A KR 20170145486A KR 101873721 B1 KR101873721 B1 KR 101873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rame
joint
chai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아스 filed Critical (주)코아스
Priority to KR102017014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헤드 레스트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 등받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 및 마운팅브라켓을 끼움 결합하고, 레일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며,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HEAD-REST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며,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의자는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의자와 자동차,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운송용 의자 등이 있으며, 의자의 사용자를 위하여 대부분의 의자에는 그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헤드 레스트(head-rest)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업무용(사무용) 의자 또는 운송용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공부, 업무, 운전 등의 일(이하 '업무'로 칭하며, '업무'가 아닌 경우는 '휴식'이라 칭함)을 수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헤드 레스트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허리를 곧게 펴고 업무를 수행하고,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 머리와 등을 뒤로 젖혀 사용자의 머리를 헤드 레스트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하면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사용자의 휴식을 위해 거의 대부분의 의자의 헤드 레스트는 사용자 머리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업무 및 휴식을 위해서, 사용자의 업무 수행시에 사용자의 등과 허리부를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부 또는 허리받이부에 대한 개선된 방안은 매우 많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비해 사용자의 머리부 및 목부를 동시에 업무시 또는 휴식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종래 방안은 그리 많이 제안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종래 방안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836호(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가 제안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6661호(발명의 명칭: 목지지부로 가변되는 의자용 헤드 레스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의자용 헤드 레스트는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 또는 틸팅 조절 가능하게 되는데, 헤드 레스트의 위치 가변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심미감이 저하되고, 신체 일부 끼임 등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의자용 헤드 레스트는 위치 가변장치의 분리 및 장착이 불편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등받이에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헤드 레스트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 등받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헤드 레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는, 본체; 상기 마운팅리브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립홀부;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된 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조립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레일부 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조립홀부에 삽입된 상기 마운팅리브를 적어도 양측에서 가압하는 탄성편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리브는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마운팅리브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등받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연통홀부를 통공한 프레임; 및 상기 롤러부재의 구름 회전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헤드 레스트의 다단 위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연통홀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턱부; 및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요철부를 따라 강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부에 접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탄성편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돌부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일측 가장자리에 모따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한 채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등받이에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헤드 레스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확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조립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헤드 레스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확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조립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는 좌판(20), 등받이(30) 및 헤드 레스트(head-rest,40)를 포함한다.
좌판(20)은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등받이(30)는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의 허리와 요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좌판(20)과 등받이(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구비되어, 등받이(30)에 기대는 착석자의 목이나 허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헤드 레스트(4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결합되는데, 헤드 레스트(40)와 등받이(30)의 결합 부위는 최대한 외부로 노출 방지된다. 그래서, 등받이(30)는 함몰홈부(32)를 형성한다.
그리고, 헤드 레스트(40)는 마운팅 브라켓, 레일부(200) 및 조인트(300)에 의해 함몰홈부(32) 내측에서 등받이(30)와 결합된다. 또한, 헤드 레스트(40)는 함몰홈부(32)를 통해 등받이(3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세히, 마운팅브라켓(100)은 헤드 레스트(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일부(200)는 함몰홈부(32)의 내측에 해당되는 등받이(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마운팅브라켓(100)은 헤드 레스트(40)에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되고, 레일부(200)는 등받이(30)에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된다.
아울러, 조인트(300)는 마운팅브라켓(100)을 끼움 결합하고, 레일부(200)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헤드 레스트(40)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한 역할을 한다.
특히, 조인트(300)가 마운팅브라켓(1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채 레일부(200)에 끼움 결합(조립) 가능함에 따라,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마운팅브라켓(100)은 바디(110) 및 마운팅리브(12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헤드 레스트(40)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마운팅리브(120)는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조인트(300)의 본체(310)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즉, 마운팅리브(120)가 본체(310)에 억지 결합됨에 따라, 마운팅리브(120)는 임의적으로 조인트(300)에서 분리 방지된다. 물론, 마운팅리브(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고, 바디(110)에 분리 또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00)는 본체(310), 조립홀부(320), 롤러부재(330) 및 탄성편(340)을 포함한다.
본체(310)는 조립홀부(320)와 롤러부재(330) 및 탄성편(34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조인트(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310)는 레일부(200)의 특정 부위를 통해 레일부(200)에 용이하게 조립되고, 레일부(200)의 특정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레일부(200)에 조립된 상태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레일부(20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 방지된다.
물론, 본체(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조립홀부(320)는 마운팅리브(120)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본체(310)에 형성된다. 이때, 조립홀부(320)는 본체(310)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조립홀부(320)는 마운팅리브(120)를 삽입하기 위해 일측으로만 개방될 수도 있다.
롤러부재(330)는 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부(200)의 해당 부위에 구름 회전됨에 따라, 본체(310)가 레일부(200)에 안내된 채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롤러부재(330)는 개수, 재질 및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롤러부재(330)는 본체(3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편(340)은 조립홀부(32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본체(310)에서 적어도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어 레일부(200) 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탄성편(340)은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
특히, 탄성편(340)은 조립홀부(320)에 삽입된 마운팅리브(120)를 적어도 양측에서 탄성 가압함으로써, 마운팅리브(120)를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탄성편(3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마운팅리브(120)는 조립홀부(320)에 삽입된 채 본체(310)에 더욱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운팅리브(120)는 둘레면에 수용홈부(122)를 함몰 형성하고, 탄성편(340)은 수용홈부(122)에 수용되어 마운팅리브(1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돌부(342)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탄성편(340)이 탄성적으로 마운팅리브(120)의 둘레면을 가압함에 따라, 수용돌부(342)는 수용홈부(12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마운팅브라켓(100)은 조인트(300)에 대한 결속력이 증대된다.
물론, 수용돌부(342)와 수용홈부(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레일부(200)는 프레임(210) 및 요철부(220)를 포함한다.
프레임(210)은 레일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등받이(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인트(300)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연통홀부(212)를 통공 형성한다. 물론, 프레임(210)의 외형은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연통홀부(212)는 헤드 레스트(40)의 높낮이 조절을 허용하기 위해 프레임(210)에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요철부(220)는 본체(310)의 롤러부재(330)가 구름 회전하며 이동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헤드 레스트(40)의 다단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연통홀부(212)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특히, 롤러부재(330)가 요철부(220)에 접함에 따라, 본체(310)가 연통홀부(212)를 통해 프레임(21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요철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체(310)는 이탈방지부(400)에 의해 프레임(210)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400)는 지지턱부(410) 및 지지돌부(420)를 포함한다.
지지턱부(410)는 연통홀부(212)의 하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프레임(210)에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돌부(420)는 탄성편(340) 각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지지턱부(410)에 접한 상태로 이동된다. 그래서, 본체(310)에 구비된 롤러부재(330)는 요철부(220)에 항상 접한 상태로 요철부(220)를 따라 다단으로 강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지지돌부(420)가 지지턱부(410)에 접함으로써, 본체(310)가 프레임(21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조인트(300)의 본체(310)는 견고하게 프레임(210)에 결속된 상태로 연통홀부(212)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지지턱부(410)와 지지돌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탄성편(340)은 외측으로 수용돌부(342)를 돌출 형성하고, 내측으로 지지돌부(420)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수용돌부(342)와 지지돌부(420)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수용돌부(342)를 외측으로 연장 형성한 탄성편(340)이 프레임(210)의 연통홀부(212) 내측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프레임(210)은 적어도 한 쌍의 탄성편(340)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420)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돌부(342)를 삽입하기 위해, 연통홀부(212)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일측 가장자리에 모따기부(230)를 형성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이웃한 한 쌍의 탄성편(340)을 모따기부(230) 위치에서 연통홀부(212)에 강제 삽입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340)은 탄성 변형되며 모아진 상태로 연통홀부(212)에 삽입되거나, 또는 순서대로 연통홀부(212)에 삽입된다.
이 후, 롤러부재(330)가 요철부(220)에 접하고, 지지돌부(420)가 지지턱부(410)에 접하도록, 사용자는 헤드 레스트(40)를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340)은 탄성 복원됨으로써 연통홀부(212)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 방지된다.
물론, 모따기부(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본체(310)는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스페이서(312)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스페이서(312)는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왕복 이동을 안내함에 따라, 롤러부재(330)는 요철부(2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스페이서(3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40)를 들고 연통홀부(212)의 하측 위치에서 프레임(210)의 연통홀부(212)에 강제 삽입 후 헤드 레스트(40)를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결합된 레일부(200)에 결속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40)를 연통홀부(212)의 하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 후 잡아당기면,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의 레일부(200)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의자 20: 좌판
30: 등받이 32: 함몰홈부
40: 헤드 레스트 100: 마운팅브라켓
110: 바디 120: 마운팅리브
122: 수용홈부 200: 레일부
210: 프레임 212: 연통홀부
220: 요철부 230: 모따기부
300: 조인트 310: 본체
312: 스페이서 320: 조립홀부
330: 롤러부재 340: 탄성편
342: 수용돌부 400: 이탈방지부
410: 지지턱부 420: 지지돌부

Claims (8)

  1. 헤드 레스트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 등받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조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본체; 상기 마운팅리브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립홀부;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된 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조립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레일부 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조립홀부에 삽입된 상기 마운팅리브를 적어도 양측에서 가압하는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등받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연통홀부를 통공한 프레임; 및 상기 롤러부재의 구름 회전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헤드 레스트의 다단 위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연통홀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턱부; 및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요철부를 따라 강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부에 접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헤드 레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리브를 연장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리브는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마운팅리브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탄성편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돌부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일측 가장자리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한 채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70145486A 2017-11-02 2017-11-02 의자 KR101873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86A KR101873721B1 (ko) 2017-11-02 2017-11-02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86A KR101873721B1 (ko) 2017-11-02 2017-11-02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21B1 true KR101873721B1 (ko) 2018-07-03

Family

ID=6291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486A KR101873721B1 (ko) 2017-11-02 2017-11-02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63B1 (ko) *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체어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472402B1 (ko) * 2022-08-31 2022-12-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GB2623525A (en) * 2022-10-17 2024-04-24 Duelhawk Ltd Chair with accessory hold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80842Y (zh) * 2002-11-18 2003-10-22 苏同华 座椅头枕的组接装置
KR100743935B1 (ko) * 2006-06-22 2007-07-30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80842Y (zh) * 2002-11-18 2003-10-22 苏同华 座椅头枕的组接装置
KR100743935B1 (ko) * 2006-06-22 2007-07-30 주식회사 퍼시스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563B1 (ko) * 2022-06-17 2022-09-21 주식회사 체어로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KR102472402B1 (ko) * 2022-08-31 2022-12-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GB2623525A (en) * 2022-10-17 2024-04-24 Duelhawk Ltd Chair with accessory hold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4799C (en) Chair assembly
KR101608737B1 (ko)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KR101873721B1 (ko) 의자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1476622B1 (ko) 일체형 등판셀이 구비된 의자
US6832814B2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depth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482738B1 (ko) 슬라이딩장치가 구비된 의자
JP6172988B2 (ja) 椅子
CN108652303B (zh) 椅子的头枕的上下调整结构
KR20120005993A (ko) 등받이의자
JP4255804B2 (ja) 椅子
KR101869729B1 (ko) 의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0436742Y1 (ko) 의자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AU2020206600B2 (en) Seating furniture chassis
KR101069769B1 (ko) 의자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3004663U (ja) 椅子肘掛け
JP2006280416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4491319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563537B1 (ko) 좌방석이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2668185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그가 적용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