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05993A - 등받이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993A
KR20120005993A KR1020110073728A KR20110073728A KR20120005993A KR 20120005993 A KR20120005993 A KR 20120005993A KR 1020110073728 A KR1020110073728 A KR 1020110073728A KR 20110073728 A KR20110073728 A KR 20110073728A KR 20120005993 A KR20120005993 A KR 2012000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ackrest
support
lumbar support
lum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7816B1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10073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8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81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걸상 등을 사용하는 사람의 자세에 대응하여 인체를 잘 지지하기 위한 의자의 등받이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책상, 작업대 등을 앞에 두고 학습, 연구를 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의자의 요추받이가 착석자에게 적절한 지지를 줌으로서 몸에 최대한의 편안함을 주게 하여 정신을 최대한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있는 의자의 안쪽에 좌판 또는 의자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한 요추받이를 부가함으로써 작업자의 몸이 책상이나 작업대 쪽으로 접근할 때에도 의자 몸체 자체를 전진함이 없이 슬라이딩 가능한 요추받이를 용이하게 전진하여 지지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요추에 발생된 긴장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등받이의자{Backrest Chair}
의자요추받이란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후방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등받이로서, 이러한 등받이를 이하 의자요추받이라 한다.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있는 의자의 안쪽에 등받이와 독립적으로 설치된 의자요추받이로서, 변동하는 작업자의 자세에도 잘 대응하여 의자의 요추받이가 위치를 전후 상하로 변동되어 작업자의 인체를 편안하게 지지하도록 작용하는 의자, 걸상의 요추받이에 대한 것이다.
의자의 일반 형태는 하체의 엉덩이를 주된 용도로 지지하기 위해서 좌판과 그 좌판을 고정하기 위한 몸체 부분으로 구성되거나, 이에 척추를 지지하기 위해서 등받이를 구비한 것, 척추만을 지지하기 위하여 좌판과 등받이만으로 구성된 것 등이다.
이를 기본으로 인체를 편안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좌판의 형상을 바꾸거나 등받이의 형상을 변형한 것으로서 그 형태가 고정된 것이 있으며 변동하는 인체에 대응하기 위하여 등받이에 탄성을 준 것,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도록 한 것 등은 범용으로 시도된 것이고 좌판 자체에 약간의 틸팅이나 슬라이딩 기능을 생각한 것 등이 있다.
이들 의자는 나름대로 편안함을 주었다. 한편, 착석자가 학습, 연구 등 작업을 할 때 작업자는 수시로 의자의 좌판 앞, 뒤로 앉는 이동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등받이와 신체는 떨어져서 신체 자체의 근력으로 척추를 지지하게 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특히 작업자가 책상에 의존하여 작업을 하는 사람일 경우 신체의 자세는 C자형의 모습을 하게 되어 요추부위에 최대의 긴장을 주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 요추받이 쿠션이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이에 대응한 의자가 생각되어 요추받이를 의자 등받이에 따로 부설한 것들이 선보였다. 그런데 이들 요추받이 등받이는 상하이동 기능은 구현하기 쉬운 편이어서 그러한 기능이 부여된 의자는 있는 편이나 정작 앞뒤 방향으로 이동되며 요추를 받쳐주는 기능은 구현되기 어려웠다. 구현된 상하이동 기능의 실시도 그 실시를 위해서는 의자에서 이탈하여 조작을 해야했다.
본 발명은 책상 등 작업대를 대하여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의 자세를 작업대 쪽으로 전진하고 앞으로 숙일 때에는 의자등받이와 허리가 이격되어 척추에 긴장이 발생하고 특히 C자형 작업자세에서는 긴장의 대부분이 요추에 집중되게 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착석자의 요추를 잘 지지할 수 있는 의자의 구조적 기능적 방법을 마련함으로써 인체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정신능력을 고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등받이가 있는 의자에 있어서, 당해 요추받이는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후방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의자 착석자의 등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등판과 등판을 지지하는 구조체로 형성되며 좌판의 하부 쪽으로 연장된 구조체 부분은 등받이의 안쪽에 등받이와 독립적으로, 좌판 또는 의자 프레임에 고정되어 좌판에 대해 앞뒤 방향으로 변동을 조정하는 기구인, 가이드레일과 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에 대해서 이동자와 결속되어 이 레일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한 요추받이를 부설하였으며 의자요추받이 등판에는 등판 지지구조체를 따라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작업대를 앞에 두고 작업에 몰입한 작업자의 요추부위 자세변동에 대응하여 요추를 잘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요추받이에 대해서 부착 가이드레일의 앞쪽에 탄성부재(스프링 등)의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에 부착하여 요추받이에 앞쪽으로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몸을 앞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요추받이가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전진 운동을 추적하도록 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의 작동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작동의 효과를 반대편에도 전달하는 연결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추받이에 대하여 요추받이 구조체의 하부는 가이드레일 이동자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요추받이 구조체의 중간부에는 관절(여기서 관절이란 기계의 연결부위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이하 관절이라 함)을 두어 앞뒤로 회전하여 꺾일 수 있으며, 스토퍼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관절부위는 좌우의 스토퍼를 연동하는 부재로 연결되어 한쪽 스토퍼의 작동효과가 반대편에도 전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자 등받이 안쪽에 설치되는 요추받이는;
책상 등 작업대를 대하여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 작업을 위하여 작업자의 자세를 작업대 쪽으로 전진하고 앞으로 숙일 때에는 의자등받이와 허리가 이격되어 척추에 긴장이 발생하고 특히 C자형 작업자세에서는 긴장의 대부분이 요추에 집중되게 되는데 이러한 때에 착석자의 요추를 잘 지지할 수 있도록 요추받이도 전후 상하로 위치를 바꾸어 지지하게 함으로써 인체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작업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한다.
[도 1] 의자 등받이 안쪽에 설치된 의자요추받이 실시 예
[도 2] 의자좌판에 설치된 이동 가능한 의자요추받이 시스템의 사시도
[도 3] 도 2의 A부분 상세도
[도 4] 요추받이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하는 의자 사시도
[도 5] 도 4의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하는 c부분 상세도
[도 6] 의자좌판에 설치된 의자요추받이 시스템의 분해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과 같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2의 부분상세도인 도 3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기존의 등받이를 생략하고 요추받이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요추받이 등판(1)은 등받이 구조체(2)에 조립되며, 구조체의 중간 부위에 관절을 두어 앞, 뒤로 회전하여 꺾일 수 있으며 적당한 부위에 고정하고자 할 때는 스토퍼(4)를 조여서 고정한다.
관절의 접촉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브레이크 능력을 높인다. 스토퍼(4)를 조이는 영향은 연결대(3)에 의하여 다른 쪽에도 작용된다. 등받이 구조체하부(5)는 가이드레일(10)과 보조레일(1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6)에 끼워져서 연결되고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동자(6)의 한편에 스톱나사가 설치되어 스톱나사를 조임으로써 원하는 높이의 위치에 고정된다.
가이드레일(10)은 의자좌판(15)에 고정되며 의자의 좌판과 하부 몸체가 일체로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의자인 경우에는 좌판(15)이나 의자의 몸체에 고정된다. 보조레일(11)은 의자좌판이나 가이드레일(10) 몸체에 고정된다.
이동자(6)는 전방에 브레이크편(7)과 연결되며 브레이크레버(8)를 작동하여 보조레일(11)에 압착됨으로써 고정된다. 보조레일(11)과 브레이크레버(8)의 접촉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브레이크 작동시 미끄러짐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그림에서 표시는 생략됨). 브레이크레버(8)는 연결대(9)에 의하여 브레이크레버(8)를 작동하는 영향이 다른 쪽에도 작용한다.
스프링요소(12)를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6)의 한쪽과 고정자(13)에 연결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등받이부는 의자의 앞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는 착석자가 체위를 앞쪽으로 기울일 경우 브레이크(8)를 풀었을 때 자동적으로 착석자의 몸에 밀착하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며 적당한 위치에 위치했을 때 브레이크(8)를 작용함으로써 고정된다.
반대로, 착석자가 체위를 뒤쪽으로 기울이거나 이동하고자 할 경우 브레이크(8)를 풀어주고 착석자의 몸으로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밂으로써 등받이부는 이동하게 되고 원하는 위치일 때 브레이크(8)를 작동함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좌판하부에 커버(14)를 도 3과 같이 장착함으로써 브레이크 좌우 연결대(9)의 전후이동 공간을 확보하게 되며 이 커버의 하부에 의자의 하부 몸체가 지지된다.
도 4와 도 4의 c부분 상세도인 도 5는 등판(1)에 설치된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다.
등판높이조절시스템 구조체(104)의 일부분은 등판(1)에 고정되며(103) 구조체의 연장된 일부분은 수평 하게 형성되고 중간에 축에 수직 방향으로 판상으로 돌출되어 고정된 고정부(106)를 가지며 브레이크 작동편(105)의 중간에 상방으로 판상으로 돌출된 부분의 천공면이 구조체(104) 수평부분에 끼워짐으로써 구조체(104)의 수평부분은 브레이크작동편(105)의 가이드가 된다.
고정부(106)와 브레이크작동편(105) 중간의 판상 돌출부 사이에 신장력을 가지는 스프링(107)이 삽입됨으로써 그 신장력에 의해 브레이크작동편(105)의 바깥쪽 양 단부가 요추받이의 구조체(2)에 형성된 요철(102)에 이가 들어맞아 물리도록 작용하여 등판(1)이 고정된다.
등판(1)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브레이크 작동편(105)의 하방으로 돌출된 손잡이를 움켜쥐어 브레이크 작동편의 바깥쪽 양 단부가 요추받이의 구조체(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하면, 등판(1)은 요추받이의 구조체(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브레이크작동편(105)의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로 위나 아래로 힘을 작용함으로써 등판(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브레이크작동편(105)의 손잡이를 놓음으로써 브레이크작동편의 단부는 다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요추받이의 구조체(2)에 형성된 요철(102)에 이가 들어맞아 물림으로써 등판(1)이 고정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요추받이는 등받이와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등받이와 독립적으로 기능 하는 것으로서 등받이가 있는 여러 형태의 기존 의자 등받이 안쪽에 적용할 수 있으며 좌식의자에 있어서도 기존 좌식의자 등받이 안쪽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 등판 2: (등받이)구조체 3: 연결대
4: 스토퍼 5: 구조체하부 6: 이동자
7: 브레이크편 8: 브레이크레버 9:(브레이크) 연결대
10:가이드레일 11:보조레일 12: 스프링요소
13:고정자 14:커버 15:좌판
105:브레이크작동편 106:고정부 107:스프링

Claims (4)

  1. 등받이의자에 있어서,
    등판(1)에 고정되는 구조체(104)와 구조체(104)의 연장된 일부분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 끼워지는 브레이크작동편(105)과, 상기 좌우 브레이크작동편(105)은 스프링(107)에 의해 변동에 대해 회복되도록 지지되며; 브레이크작동편(105)의 바깥쪽과, 등받이 구조체(2)에 형성된 요철(102)에 이가 들어맞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한 등받이의자.
  2. 1항에 있어서, 구조체(104)의 수평부 중간에 돌출된 고정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06)의 좌우 브레이크작동편 사이에 각각의 스프링(107)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하는 등받이의자.
  3. 1항에 있어서, 등받이의 구조체는 이동자(6)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자(6)는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구성된 가이드레일(10)에 결합하여, 등받이가 앞뒤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자.
  4. 1 내지 3항에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등판높이조절시스템을 포함하는 등받이의 후방에 독립적인 등받이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자.
KR1020110073728A 2011-07-25 2011-07-25 등받이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101167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728A KR101167816B1 (ko) 2011-07-25 2011-07-25 등받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728A KR101167816B1 (ko) 2011-07-25 2011-07-25 등받이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636A Division KR101095279B1 (ko) 2010-06-11 2010-07-09 의자요추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93A true KR20120005993A (ko) 2012-01-17
KR101167816B1 KR101167816B1 (ko) 2012-07-25

Family

ID=4561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7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7816B1 (ko) 2011-07-25 2011-07-25 등받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8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24B1 (ko) * 2012-04-09 2014-01-16 박영호 이동 등받이 의자
KR20140068347A (ko) * 2012-11-28 2014-06-09 박영호 등받이 의자
KR20170004296U (ko) * 2012-11-29 2017-12-20 박영호 등받이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973B1 (ko) 2015-06-18 2016-11-29 박영호 등받이 이동 의자
KR101680974B1 (ko) 2015-06-18 2016-11-29 박영호 등받이 이동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12Y1 (ko) * 2006-03-24 2006-08-29 전달용 등판과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좌판 및 허리받침부를포함하는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24B1 (ko) * 2012-04-09 2014-01-16 박영호 이동 등받이 의자
KR20140068347A (ko) * 2012-11-28 2014-06-09 박영호 등받이 의자
KR20170004296U (ko) * 2012-11-29 2017-12-20 박영호 등받이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816B1 (ko)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0992A2 (en) Chair
KR101167816B1 (ko) 등받이의자
JP2010505507A5 (ko)
MX2008012133A (es) Silla reclinable con ajustabilidad mejorada.
JP2000501969A (ja) 椅子用調節装置
KR101232825B1 (ko) 의자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101095279B1 (ko) 의자요추받이
US20160296392A1 (en) Seat
KR20090002113U (ko)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WO2012077837A1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교정용 의자
KR20100059407A (ko) 등받이의 위치조절 기능이 구비된 의자
EP2465385A1 (en) Rocking chair
KR102411900B1 (ko) 각도 가변 지지부를 구비한 의자
KR101103154B1 (ko) 인체자세에 대응하는 의자등받이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KR200436742Y1 (ko) 의자
KR101092785B1 (ko) 의자
EP2839762A1 (en) Headrest assembly and chai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0409172Y1 (ko) 의자등받이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82304Y1 (ko) 의자용 등받이
JP2012075791A (ja) リクライニング式着座具
KR20140034998A (ko) 등받이 형상 변형 의자
KR101133846B1 (ko) 의자 경사조절장치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