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21B1 - Head-rest for chair - Google Patents
Head-rest for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3721B1 KR101873721B1 KR1020170145486A KR20170145486A KR101873721B1 KR 101873721 B1 KR101873721 B1 KR 101873721B1 KR 1020170145486 A KR1020170145486 A KR 1020170145486A KR 20170145486 A KR20170145486 A KR 20170145486A KR 101873721 B1 KR101873721 B1 KR 1018737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rest
- frame
- joint
- chair
- backre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헤드 레스트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 등받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 및 마운팅브라켓을 끼움 결합하고, 레일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며,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which comprises a mounting bracket provided on a headrest, one or more leg portions provided on a backrest, and a mounting bracket, and a join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by allowing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rail portion And a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 which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a backrest, provides ease of maintenance through easy separation and coupling, and prevents a joint between a headrest and a backrest from being exposed, And the sensibility and the merchantability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며,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rest that can be easi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a backrest, provides ease of maintenance through easy separation and coupling, And to increase the esthetics and merchantability of the chair.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의자는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업무용 의자와 자동차, 비행기 등의 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운송용 의자 등이 있으며, 의자의 사용자를 위하여 대부분의 의자에는 그 상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헤드 레스트(head-rest)가 형성되어 있다.Generally, widely used chairs include business chairs used in schools, offices, and transportation chairs used in vehicles such as automobiles and airplanes. For the chair user, most chairs support the user's head on the chair A head-rest is formed.
이러한 업무용(사무용) 의자 또는 운송용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공부, 업무, 운전 등의 일(이하 '업무'로 칭하며, '업무'가 아닌 경우는 '휴식'이라 칭함)을 수행할 때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헤드 레스트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허리를 곧게 펴고 업무를 수행하고,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 머리와 등을 뒤로 젖혀 사용자의 머리를 헤드 레스트에 맞닿아 지지되도록 하면서 휴식을 취하게 되며, 사용자의 휴식을 위해 거의 대부분의 의자의 헤드 레스트는 사용자 머리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When a user using such a business (office) chair or a transportation chair performs 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 for studying, work, or driv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st" So that the user's head can be held against the headrest to be rested while the head and back are turned backward to rest and work, The head rest of the chair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ser's head by a certain distance and disposed rearward.
이와 같이 사용자의 업무 및 휴식을 위해서, 사용자의 업무 수행시에 사용자의 등과 허리부를 편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의자의 등받이부 또는 허리받이부에 대한 개선된 방안은 매우 많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비해 사용자의 머리부 및 목부를 동시에 업무시 또는 휴식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종래 방안은 그리 많이 제안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As described above, for the user's work and rest, there have been proposed many improvements to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of the chair which can comfortably support the back and back of the user at the time of the user's work, And the neck can not be comfortably supported at the time of work or at the same time.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종래 방안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836호(고안의 명칭: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가 제안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6661호(발명의 명칭: 목지지부로 가변되는 의자용 헤드 레스트)가 제안된 바 있다.A conventional method for comfortably supporting the head and neck of a user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26836 (design name: neck-headrest of a car chair), Korean Patent No. 10-1656661 (Headrest for a chair which is variable in its neck support).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technical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기존의 의자용 헤드 레스트는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높낮이 또는 틸팅 조절 가능하게 되는데, 헤드 레스트의 위치 가변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심미감이 저하되고, 신체 일부 끼임 등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chair headrests are adjustable in height or tilting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seated person.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of the headrest is exposed to the outside,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of aesthetic sense, and a safety accident such as a part of the body is caused.
아울러, 기존의 의자용 헤드 레스트는 위치 가변장치의 분리 및 장착이 불편하여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eadrest for a chai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install the position variable device and maintenance because of inconvenienc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which can easily couple and detach a headrest to and from a back, .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등받이에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air for enhancing a sense of beauty and merchandise by preventing the joint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backrest from being exposed to the maximum extent in the backrest.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헤드 레스트에 구비된 마운팅브라켓; 등받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레일부; 및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끼움 결합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상기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인트를 포함한다.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unting bracket provided on a headrest; One or more rails provided on the back; And a joint for fitting the mounting bracket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by permitting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rail portion.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헤드 레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조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리브를 포함한다.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rest; And a mounting rib extending from the bod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joint.
상기 조인트는, 본체; 상기 마운팅리브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립홀부;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된 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조립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레일부 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조립홀부에 삽입된 상기 마운팅리브를 적어도 양측에서 가압하는 탄성편을 포함한다.The joint comprising: a body; An assembling hole formed in the body for axially inserting the mounting rib; A roller member rotat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movable while being guided by the rail portion; And an elastic piec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assembly hole part to the rail part side and elastically deformable to press the mounting rib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part at least at both sides.
상기 마운팅리브는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마운팅리브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The mounting rib may be recessed to receive the elastic piece. The elastic piece may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protrude from the receiving protrusion to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mounting rib.
상기 레일부는, 상기 등받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연통홀부를 통공한 프레임; 및 상기 롤러부재의 구름 회전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헤드 레스트의 다단 위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rail portion includes: a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rest, the frame having the joint on the inside and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for guiding movement; And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on an upper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ller member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o set the multi-stage position of the headrest and prevent the body from being releas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do.
상기 본체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bod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naturally by the escape prevention portion.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연통홀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턱부; 및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요철부를 따라 강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부에 접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한다.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comprises: a suppor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rame corresponding to a lower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And a support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elastic piece and contacting the supporting jaw, for guiding the roller member to be forcedly moved along the concave-convex part and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rame.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탄성편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돌부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일측 가장자리에 모따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frame may be formed with chamfered portions at one side edg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for inserting the receiv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upporting protrusions projecting inward from the respective at least one pair of the elastic pieces .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한 채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spacers to guide reciprocating movemen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헤드 레스트를 등받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용이한 분리 및 결합을 통해 유지 보수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uple and separate the headrest to and from the back, unlike the prior art, and can provide convenience in maintenance through easy separation and coupling.
그리고, 본 발명은 헤드 레스트와 등받이의 결합부위가 등받이에서 최대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심미감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joint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backrest is not exposed to the maximum extent in the backrest,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sthetics and the merchan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헤드 레스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확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조립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portion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nlarged bottom surface of a joint portion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joint portion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헤드 레스트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ir in which a headrest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를 보인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확대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joint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oint portion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헤드 레스트의 결합 부위의 조립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C-C선 단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joint portion between a chair and a head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는 좌판(20), 등받이(30) 및 헤드 레스트(head-rest,40)를 포함한다.1 to 9, a
좌판(20)은 착석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등받이(30)는 좌판(20)에 착석한 착석자의 허리와 요추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at (20) serves to support the hip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and the backrest (30) serves to support the waist and lumbar of the seat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20).
물론, 좌판(20)과 등받이(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아울러,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구비되어, 등받이(30)에 기대는 착석자의 목이나 허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헤드 레스트(4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이때,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결합되는데, 헤드 레스트(40)와 등받이(30)의 결합 부위는 최대한 외부로 노출 방지된다. 그래서, 등받이(30)는 함몰홈부(32)를 형성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헤드 레스트(40)는 마운팅 브라켓, 레일부(200) 및 조인트(300)에 의해 함몰홈부(32) 내측에서 등받이(30)와 결합된다. 또한, 헤드 레스트(40)는 함몰홈부(32)를 통해 등받이(3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상세히, 마운팅브라켓(100)은 헤드 레스트(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In detail, the
레일부(200)는 함몰홈부(32)의 내측에 해당되는 등받이(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마운팅브라켓(100)은 헤드 레스트(40)에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되고, 레일부(200)는 등받이(30)에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된다.The
아울러, 조인트(300)는 마운팅브라켓(100)을 끼움 결합하고, 레일부(200)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헤드 레스트(40)의 높낮이를 조절 가능한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특히, 조인트(300)가 마운팅브라켓(1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채 레일부(200)에 끼움 결합(조립) 가능함에 따라,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더욱 상세히, 마운팅브라켓(100)은 바디(110) 및 마운팅리브(12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바디(110)는 헤드 레스트(40)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바디(1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
그리고, 마운팅리브(120)는 바디(110)에서 연장되어 조인트(300)의 본체(310)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즉, 마운팅리브(120)가 본체(310)에 억지 결합됨에 따라, 마운팅리브(120)는 임의적으로 조인트(300)에서 분리 방지된다. 물론, 마운팅리브(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 가능하고, 바디(110)에 분리 또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The
또한, 조인트(300)는 본체(310), 조립홀부(320), 롤러부재(330) 및 탄성편(340)을 포함한다.The joint 300 also includes a
본체(310)는 조립홀부(320)와 롤러부재(330) 및 탄성편(34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조인트(300)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310)는 레일부(200)의 특정 부위를 통해 레일부(200)에 용이하게 조립되고, 레일부(200)의 특정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레일부(200)에 조립된 상태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레일부(200)로부터 임의적으로 분리 방지된다.The
물론, 본체(3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그리고, 조립홀부(320)는 마운팅리브(120)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본체(310)에 형성된다. 이때, 조립홀부(320)는 본체(310)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조립홀부(320)는 마운팅리브(120)를 삽입하기 위해 일측으로만 개방될 수도 있다.The
롤러부재(330)는 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부(200)의 해당 부위에 구름 회전됨에 따라, 본체(310)가 레일부(200)에 안내된 채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이때, 롤러부재(330)는 개수, 재질 및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롤러부재(330)는 본체(3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탄성편(340)은 조립홀부(320)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본체(310)에서 적어도 마주하도록 한 쌍이 구비되어 레일부(200) 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탄성편(340)은 각각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된다.The pair of
특히, 탄성편(340)은 조립홀부(320)에 삽입된 마운팅리브(120)를 적어도 양측에서 탄성 가압함으로써, 마운팅리브(120)를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물론, 탄성편(34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한편, 마운팅리브(120)는 조립홀부(320)에 삽입된 채 본체(310)에 더욱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unting
이를 위해, 마운팅리브(120)는 둘레면에 수용홈부(122)를 함몰 형성하고, 탄성편(340)은 수용홈부(122)에 수용되어 마운팅리브(1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돌부(342)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탄성편(340)이 탄성적으로 마운팅리브(120)의 둘레면을 가압함에 따라, 수용돌부(342)는 수용홈부(122)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마운팅브라켓(100)은 조인트(300)에 대한 결속력이 증대된다. For this purpose, the mounting
물론, 수용돌부(342)와 수용홈부(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receiving
또한, 레일부(200)는 프레임(210) 및 요철부(2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프레임(210)은 레일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등받이(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인트(300)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연통홀부(212)를 통공 형성한다. 물론, 프레임(210)의 외형은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The
그리고, 연통홀부(212)는 헤드 레스트(40)의 높낮이 조절을 허용하기 위해 프레임(210)에 장방형으로 형성된다.The
요철부(220)는 본체(310)의 롤러부재(330)가 구름 회전하며 이동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헤드 레스트(40)의 다단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연통홀부(212)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특히, 롤러부재(330)가 요철부(220)에 접함에 따라, 본체(310)가 연통홀부(212)를 통해 프레임(210)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요철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concave and
또한, 본체(310)는 이탈방지부(400)에 의해 프레임(210)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Also, the
여기서, 이탈방지부(400)는 지지턱부(410) 및 지지돌부(420)를 포함한다.Here, the
지지턱부(410)는 연통홀부(212)의 하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프레임(210)에 형성된다.The supporting
그리고, 지지돌부(420)는 탄성편(340) 각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지지턱부(410)에 접한 상태로 이동된다. 그래서, 본체(310)에 구비된 롤러부재(330)는 요철부(220)에 항상 접한 상태로 요철부(220)를 따라 다단으로 강제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supporting
아울러, 지지돌부(420)가 지지턱부(410)에 접함으로써, 본체(310)가 프레임(21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결과적으로, 조인트(300)의 본체(310)는 견고하게 프레임(210)에 결속된 상태로 연통홀부(212)를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As a result, the
물론, 지지턱부(410)와 지지돌부(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supporting
이때, 탄성편(340)은 외측으로 수용돌부(342)를 돌출 형성하고, 내측으로 지지돌부(420)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수용돌부(342)와 지지돌부(420)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특히, 수용돌부(342)를 외측으로 연장 형성한 탄성편(340)이 프레임(210)의 연통홀부(212) 내측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어야 한다. Particularly, the
이를 위해, 프레임(210)은 적어도 한 쌍의 탄성편(340) 각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420)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돌부(342)를 삽입하기 위해, 연통홀부(212)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일측 가장자리에 모따기부(230)를 형성한다.The
그래서, 사용자가 이웃한 한 쌍의 탄성편(340)을 모따기부(230) 위치에서 연통홀부(212)에 강제 삽입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340)은 탄성 변형되며 모아진 상태로 연통홀부(212)에 삽입되거나, 또는 순서대로 연통홀부(212)에 삽입된다.Thus, the user inserts the adjacent pair of
이 후, 롤러부재(330)가 요철부(220)에 접하고, 지지돌부(420)가 지지턱부(410)에 접하도록, 사용자는 헤드 레스트(40)를 밀어 이동시킨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340)은 탄성 복원됨으로써 연통홀부(212)의 상측과 하측으로 이탈 방지된다.Thereafter, the user pushes and moves the
물론, 모따기부(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또한, 본체(310)는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스페이서(312)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스페이서(312)는 프레임(210)의 내측면에 접한 채 왕복 이동을 안내함에 따라, 롤러부재(330)는 요철부(220)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스페이서(3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40)를 들고 연통홀부(212)의 하측 위치에서 프레임(210)의 연통홀부(212)에 강제 삽입 후 헤드 레스트(40)를 상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에 결합된 레일부(200)에 결속된다.As a result, when the user lifts the
반대로,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40)를 연통홀부(212)의 하측 방향으로 강제 이동 후 잡아당기면, 헤드 레스트(40)는 등받이(30)의 레일부(200)로부터 분리된다.Conversely, when the user forcibly moves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의자 20: 좌판
30: 등받이 32: 함몰홈부
40: 헤드 레스트 100: 마운팅브라켓
110: 바디 120: 마운팅리브
122: 수용홈부 200: 레일부
210: 프레임 212: 연통홀부
220: 요철부 230: 모따기부
300: 조인트 310: 본체
312: 스페이서 320: 조립홀부
330: 롤러부재 340: 탄성편
342: 수용돌부 400: 이탈방지부
410: 지지턱부 420: 지지돌부 10: Chair 20: Seat
30: backrest 32: recessed groove
40: Headrest 100: Mounting bracket
110: Body 120: Mounting rib
122: receiving groove 200:
210: frame 212: communicating hole portion
220: concave / convex portion 230: chamfered portion
300: joint 310: body
312: spacer 320:
330: roller member 340:
342: receiving protrusion 400:
410: supporting jaw 420: supporting projection
Claims (8)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조인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운팅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는, 본체; 상기 마운팅리브를 축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조립홀부; 상기 본체가 상기 레일부에 안내된 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부재; 및 상기 조립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레일부 측으로 연장되고,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조립홀부에 삽입된 상기 마운팅리브를 적어도 양측에서 가압하는 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등받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동 안내하도록 연통홀부를 통공한 프레임; 및 상기 롤러부재의 구름 회전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헤드 레스트의 다단 위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연통홀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지지턱부; 및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요철부를 따라 강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편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턱부에 접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A mounting bracket provided on the headrest; One or more rails provided on the back; And a joint for fitting the mounting bracket and adjusting a height of the headrest by allowing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rail portion,
Wherein the mounting bracket includes a mounting rib detachably coupled to the joint,
The joint comprising: a body; An assembling hole formed in the body for axially inserting the mounting rib; A roller member rotatably provided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is movable while being guided by the rail portion; And an elastic piece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assembly hole part to the rail part side and elastically deformable to press the mounting rib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part at least at both sides,
Wherein the rail portion includes: a fram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rest, the frame having the joint on the inside and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for guiding movement; And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on an upper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ller member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o set the multi-stage position of the headrest and prevent the body from being releas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In addition,
The body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rame naturally by the escape prevention portion,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comprises: a support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rame corresponding to a lower edge of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And
And a support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elastic piece and contacting the supporting jaw for guiding the roller member to be forcedly moved along the concave-convex part and preventing the main body from being separ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ame. .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헤드 레스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마운팅리브를 연장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bracket comprises a body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rest and extending the mounting rib.
상기 마운팅리브는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 상기 마운팅리브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돌부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rib is recessed into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the resilient piece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and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recess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mounting rib.
상기 프레임은 적어도 한 쌍의 상기 탄성편 각각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부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용돌부를 삽입하기 위해, 상기 연통홀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일측 가장자리에 모따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has chamfer portions at one side edg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communicating hole portion for inserting a receiv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so as to correspond to a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the resilient pieces The chair.
상기 본체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접한 채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has spacers for guiding reciprocating movemen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486A KR101873721B1 (en) | 2017-11-02 | 2017-11-02 | Head-rest for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5486A KR101873721B1 (en) | 2017-11-02 | 2017-11-02 | Head-rest for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3721B1 true KR101873721B1 (en) | 2018-07-03 |
Family
ID=6291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5486A Active KR101873721B1 (en) | 2017-11-02 | 2017-11-02 | Head-rest for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372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5563B1 (en) * | 2022-06-17 | 2022-09-21 | 주식회사 체어로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KR102472402B1 (en) * | 2022-08-31 | 2022-12-01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Lumbar supporting device for chair |
GB2623525A (en) * | 2022-10-17 | 2024-04-24 | Duelhawk Ltd | Chair with accessory holder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580842Y (en) * | 2002-11-18 | 2003-10-22 | 苏同华 | Assembling device for seat headrest |
KR100743935B1 (en) * | 2006-06-22 | 2007-07-30 | 주식회사 퍼시스 | Chair Armrest Adjuster |
-
2017
- 2017-11-02 KR KR1020170145486A patent/KR1018737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580842Y (en) * | 2002-11-18 | 2003-10-22 | 苏同华 | Assembling device for seat headrest |
KR100743935B1 (en) * | 2006-06-22 | 2007-07-30 | 주식회사 퍼시스 | Chair Armrest Adjust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5563B1 (en) * | 2022-06-17 | 2022-09-21 | 주식회사 체어로 |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Function |
KR102472402B1 (en) * | 2022-08-31 | 2022-12-01 |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 Lumbar supporting device for chair |
GB2623525A (en) * | 2022-10-17 | 2024-04-24 | Duelhawk Ltd | Chair with accessory holder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97498B1 (en) | Chair assembly | |
KR101608737B1 (en) | Lumbar vertebrae supporting apparatus and chair having the apparatus | |
KR101873721B1 (en) | Head-rest for chair | |
KR101839782B1 (en) | Device for tilting the lumbar support of chair seat back | |
KR101476622B1 (en) | Chair with integrated back | |
US6832814B2 (en) | Chair with adjustable seat depth | |
KR100972233B1 (en) | Frame chair | |
KR101729041B1 (en) | Chair arm | |
KR101482738B1 (en) | The slid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chair | |
KR101869729B1 (en) | Chair | |
KR102521635B1 (en) | Chair Headrest with Angle and Height Adjustment | |
JP6172988B2 (en) | Chair | |
KR20120005993A (en) | Backrest chair | |
KR200191797Y1 (en) | Chair to control position of the back of chair | |
JP4255804B2 (en) | Chair | |
KR200436742Y1 (en) | chair | |
KR101670655B1 (en) | Back of chair | |
AU2020206600B2 (en) | Seating furniture chassis | |
KR101069769B1 (en) | chair | |
JP5600151B2 (en) | Chair backrest device | |
JP3004663U (en) | Chair armrest | |
JP2006280416A (en) | Backrest device for chair | |
KR101563537B1 (en) | Adjusting chair of the sheet for the people | |
KR102668185B1 (en) | Armrest and chair with the same | |
KR200302692Y1 (en) | Back of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