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4636B1 -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636B1
KR101854636B1 KR1020170080300A KR20170080300A KR101854636B1 KR 101854636 B1 KR101854636 B1 KR 101854636B1 KR 1020170080300 A KR1020170080300 A KR 1020170080300A KR 20170080300 A KR20170080300 A KR 20170080300A KR 101854636 B1 KR101854636 B1 KR 10185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etting unit
capsules
pump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666A (ko
Inventor
원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8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luid-like particles, e.g. sand, mud, seeds, gel, b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자세를 바꿔 주어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BED FOR PREVENTING BEDSORE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욕창방지하기 위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환자의 자세를 바꿔 주어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환자를 관리할 수 있는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스피스 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집중적으로 치료받는 중환자들은 대부분 의식이 없거나 거동이 심각하게 불편한 환자들이 장기간 치료받고 있게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 짧게는 수개월 길게는 수년 동안 침대에 침대에 누운채 치료를 받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의식이 없는 환자가 침대에 장기간 누워 있는 경우, 환자의 체중에 의해 신체가 눌려 혈액순환이 원할하지 않게 되면서 눌린 신체부위에 욕창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수시로 환자의 자세를 바꿔주어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자세를 바꿔 주는 조치가 다양한 이유로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특히 체중이 무거운 환자의 경우 자세를 바꾸어 주는 것이 체력적으로도 상당한 무리가 있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욕창방지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30039988호(욕창방지용 전동침대), 공개실용신안 제0-2010-0007469호(환자용 욕창 방지 침대), 등록특허 제1008777690000호(욕창방지용 침대) 등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침대나 매트리스는 구성이 매우 복잡하거나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어 대체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정해준 시간에 맞추어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주는 자동형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수동으로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줄 수 있고, 구성이 간소하고 취급이 용이한 수동형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를 제조함에 있어 구성이 간소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취급이 용이한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동 욕창방지장치를 채용한 침대의 구현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컨트롤러의 모드설정부(300b)를 "미사용"으로 선택하면, 타이머의 시간설정 유무에 관계없이 제1 배관(T1)에 결합된 전자변(v1)에 전기회로적으로 전원인 인가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이 서로 통해지고, 동시에 제3 배관(T3)에 부착된 전자변(bp1)(bp2)과 펌프(P)는 전원이 차단되어 제3 배관(T3)의 관로는 폐쇄상태로 유지되어 제1 및 제2 캡슐의 내부압은 동일하게 유지하여 매트리스(101)는 수평하게 배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 설정부를 "우측"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설정한 뒤 스위치(파워)를 켜(On)면, 전자변(bp2)과 펌프(P)에 전기 회로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제1 캡슐(201a)내에 들어 있는 유체가 펌프(P)의 펌핑동작에 의해 제2 배관(T2)에 부착된 체크밸브(cv1)를 통과해서 제2 캡슐(201b)속으로 진입하여 팽창된 제2 캡슐(201b)에 의해 매트리스(110)의 우측 부분이 부풀어 오르면서 환자가 좌측으로 자세가 바뀌도록 구현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모드 설정부를 "좌측"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설정한 뒤 스위치(파워)를 온(On)하면, 전자변(bp1)과 펌프(P)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 캡슐내에 있는 유체는 펌프의 펌핑동작에 의해 제2 배관(T2)에 부착된 체크밸브(cv2)를 통과해서 제1 캡슐(201a)속으로 진입하여 팽창된 제1 캡슐(201a)에 의해 매트리스(110)의 좌측 부분이 부풀어 오르게 해서 환자를 우측으로 기울여 자세를 바꾸어 주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주기로 전원을 전기회로적으로 제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캡슐과 제2 캡슐을 교대로 팽창시켜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주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에 채용된 수동식 욕창방지장치의 해결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핸들을 사용하여 스크류을 회전시켜 스크류(320)의 나선운동에 의해 제2 피벗축(304)을 단턱(도면부호 미표기)이 밀거나 당겨 환봉에 회전되게 결합된 연장부재(302)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부재가 결합된 판상체를 회전시켜 그 위에 설치된 매트리스와 함께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주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형 욕창방지장치는 간병인이나 보호자(이하 간병인 이라 함)가 환자의 자세를 주기적으로 직접 바꾸어 줄 필요가 없이 타이머를 통해 설정한 시간에 맞추어 매트리스의 높이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환자의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간병인은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고, 간병에 따른 체력적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욕창방지장치는 간병인이 수동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원하는 위치의 매트리스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체중이 무거운 환자라 하더라도 체력적 소모 없이 손쉽게 환자의 자세를 바꿔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알 수 있듯이 구성이 매우 간소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트리스를 예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매트리스의 저면에 설치되는 포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켓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포켓의 구성을 예시한 블럭다이야 그램,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형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 도시된 수동형 욕창방지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침대에 채용된 전동식 욕창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자용 침대(100)의 매트리스(110)와 매트리스(110)를 지지하는 베드프레임(101)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채용된 매트리스(110)는 물이 충진되어 있는 워터 배드(water bed)로, 워터 배드는 환자의 신체가 접하는 부위에 가해지는 체중압을 흡수하고 분산시켜 욕창이 생기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매트리스(110)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평평한 판상형 포켓(200)이 설치되는데, 상기한 포켓(20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리스의 길이방향으로 대략 2등분, 혹은 3등분으로 구획되어 독립된 각각의 공간을 지닌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은 격벽(도면에는 미도시)에 의해 각각 독립된 공간을 지닌 밀폐체로, 그 내부에 에어 혹은 물이 기밀되게 충진되어 있고, 배관을 통해 서로 통해지게 연결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캡슐들의 배관 연결상태를 예시한 배관도로, 도 4에서 참조번호 T1, T2, T3는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이 서로 통해지도록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배관이다.
상기 제1 배관(T1)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관로를 개방시키는 폐쇄형 전자변(v1)이 부착되어 있고, 제2 배관(T2)에는 제2 캡슐(201b)속으로 유체나 공압이 진행하도록 개방되는 체크밸브(cv1)와 제1 캡슐(201a)속으로 유체나 공압이 진입하도록 관로를 개방시키는 체크밸브(cv2)가 결합되어 있고 양 체크밸브사이에 전술한 유체이송용 펌프(P)가 결합되어 있으며, 제3 배관(T3)에는 전원이 인가되면 제1 및 제2 캡슐에서 유체가 배출되도록 관로를 개폐시키는 폐쇄형 전자변(bp1)(bp2)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양 전자변(bp1)(bp2) 사이에 상기 펌프(P)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체크벨브(cv1)(cv2)는 제1 및 제2 캡슐(201a)(201b)내의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관로를 차단하는 밸브이고, 반대로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속으로는 유체가 진입할 수 있도록 관로가 개방되어 있는 밸브이며, 전자변(v1)은 전원이 인가되면 제1 배관(T1)의 관로를 개방하여 제1 및 제2 캡슐(201a)(201b)내의 압력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되어 환자가 메트리스(100)에 하늘을 향해 반듯히 누운 자세가 된다.
전술한 전자변(v1)(bp1)(bp2)은 컨트롤러의 제어(전기회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 설정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되어 제1 캡슐(201a) 혹은 제2 캡슐(201b)을 선택적으로 팽창시켜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게 된다. 상기한 펌프와 폐쇄형 전자변들은 컨트롤러의 전기적 회로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전술한 펌프(P)는 유체이송용 혹은 공압용 펌프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체이송용 펌프를 채용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채용예를 설명한 것일 뿐 유체이송용 펌프를 에어펌프로 변경하더라도 전술한 양 캡슐속에 충진되는 유체가 공압으로 바뀌는 차이만 있을 뿐 제1 또는 제2 캡슐을 선택적으로 팽창시켜 환자의 자세를 변경하는 작용은 거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300)에 의한 제1 및 제2 캡슐의 제어방법으로는, 환자가 하늘을 향해 메트리스(100)에 반듯이 누운 상태로 유지하는 미사용 모드와, 환자의 좌/우 중 어느 측 자세를 먼저 변경할 것인지는 설정하는 위치설정모드를 포함하는 모드설정부(300b)와, 환자의 자세를 변경할 주기(시간)를 설정하는 시간설정부(300c)와,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301) 및 모드설정부(300b)와 시간설정부(300c)에 설정에 따라 회로적으로 펌프의 회전방향과 전술한 전자변의 개방여부를 제어하는 복수의 릴레이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모드설정부(300b)는 스위치회로로 이루어진 소자이고, 시간설정부(300c)는 타이머이다.
따라서 스위치회로와 타이머 및 릴레이에 의한 전기적 회로의 전환에 의해 펌프의 구동여부와 펌프의 회전방향 및 폐쇄형 전자변의 선택적 개로여부가 제어된다.
컨트롤러(300)에 의한 제1 및 제2 캡슐의 제어방법으로서 모드설정부(300b)를 "미사용"으로 선택하면, 타이머의 시간설정 유무에 관계없이 제1 배관(T1)에 결합된 전자변(v1)에 전기회로적으로 전원인 인가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이 서로 통해지고, 동시에 제3 배관(T3)에 부착된 전자변(bp1)(bp2)과 펌프(P)는 전원이 차단되어 제3 배관(T3)의 관로는 폐쇄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배관(T1)의 관로 개방에 따라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의 내부압은 서로 같아지므로 매트리스(101)는 평평한 상태가 된다.
컨트롤러(300)에 의한 제1 및 제2 캡슐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모드 설정부를 "우측"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설정한 뒤 스위치(파워)를 켜(On)면, 전자변(bp2)과 펌프(P)에 전기 회로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제1 캡슐(201a)내에 들어 있는 유체가 펌프(P)의 펌핑동작에 의해 제2 배관(T2)에 부착된 체크밸브(cv1)를 통과해서 제2 캡슐(201b)속으로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팽창된 제2 캡슐(201b)의 팽창에 의해 매트리스(110)의 우측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그로 인해 환자의 체위는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변경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모드 설정부를 "좌측"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설정한 뒤 스위치(파워)를 온(On)하면, 전자변(bp1)과 펌프(P)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 캡슐내에 있는 유체는 펌프의 펌핑동작에 의해 제2 배관(T2)에 부착된 체크밸브(cv2)를 통과해서 제1 캡슐(201a)속으로 이송되게 된다.
따라서 팽창된 제1 캡슐(201a)에 의해 매트리스(110)의 좌측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그로 인해 환자의 체위는 우측으로 비스듬하게 변경되게 된다.
이때 전술한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전원공급이 전기회로적으로 제어되면서 제1 캡슐과 제2 캡슐을 교대로 팽창시켜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수동형 욕창방지장치를 채용한 침대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에 채용된 수동형 욕창방지장치는,
메트리스(100)의 저면에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는 양 베드프레임(101)사이에 결합된 환봉(301)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302)가 부착된 분할된 한 쌍의 경사판(310)과;
침대의 폭방향으로 대칭되는 양 베드프레임(10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피벗축(303)에 나선결합되되, 상기 연장부재(302)에 피벗 결합된 제2 피벗축(304)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단턱(도면부호 미표기)을 갖추고, 상기 제2 피벗축(304)에 관통되도록 대칭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320)와;
상기 제2 피벗축(304)을 관통한 스크류(320)의 단부를 스크류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샤프트(331)를 구비하는 유니버셜 조인트(330)(UNIVERSAL JOINT)로 구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경사판(310)은 표면에 타공(도면에는 미도시)이 마련된 판상체로, 매트리스의 폭에 대해 약 1/2 크기로 양분되어 각각의 경사판(310)이 매트리스의 저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의 경사판(310)은 그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한 쌍의 연장부재(30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재(302)는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양 베드프레임(101)사이에 결합된 환봉(301)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채용된 수동형 욕창방지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핸들(도면부호 미표기)을 스크류(320)에 끼우고 핸들(도면부호 미표기)을 회전시키면, 스크류(320)가 회전되는데, 이때 제1 피벗축(303)과 나선결합되어 있으므로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른 전후진 운동에 의해 제2 피벗축(304)을 단턱(도면부호 미표기)이 밀거나 당기게 되므로 연장부재(302)는 환봉(301)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질 때 스크류(320)의 단부는 유니버셜 조인트(330)의 샤프트(331) 속에서 진퇴만 이루어질 뿐 스크류(320)는 헛돌게 되므로 스크류(320)의 회전력은 반대쪽 스크류쪽으로 전달되지 않고 일측 경사판만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기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양 경사판은 대칭되는 각각의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전술한 동일한 방식으로 경사판의 각도를 바꾸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양 경사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자세를 바꾸어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동형 욕창방지장치는 침대의 좌우측에서 각각 손으로 핸들을 사용하여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환자의 자세를 수동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
100: 환자용 침대 101: 베드프레임
110: 매트리스 200: 포켓
201a, 201b: 제1 및 제2 캡슐 300: 컨트롤러
300a: 파워 스위치 300b: 모드설정부
300c: 시간설정부 301: 환봉
302: 연장부재 303: 제1 피벗축
304: 제2 피벗축 310: 경사판
330: 유니버셜 조인트 331: 조인트 샤프트
cv1, cv2: 체크밸브
P: 펌프
T1, T2, T3: 제1 내지 제3 배관
v1, bp1, bp2: 폐쇄형 전자변

Claims (1)

  1. 매트리스(110)의 저면에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는 양 베드프레임(101)사이에 결합된 환봉(301)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장부재(302)가 부착된 분할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경사판(310)과;
    침대의 폭방향으로 대칭되는 양 베드프레임(10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 피벗축(303)에 나선결합되되, 상기 연장부재(302)에 피벗 결합된 제2 피벗축(304)을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단턱을 갖추고, 상기 제2 피벗축(304)에 관통되도록 각각 대칭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크류(320)와;
    상기 제2 피벗축(304)을 관통한 스크류(320)의 단부를 스크류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용하는 샤프트(331)를 구비하는 유니버셜 조인트(330)로 구성되는 침대와;
    상기 매트리스(110) 저면에 설치되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유체가 충진된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을 포함하는 판상형 신축 포켓(200)과;
    상기 제1 및 제2 캡슐을 제1 내지 제3 배관(T1~T3)을 통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되, 제1 배관(T1)에는 전원에 의해 개로되는 폐쇄형 전자변(v1)이 부착되고, 제2 배관(T2)에는 상기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쪽으로만 개로되는 각각의 체크밸브(cv1)(cv2)가 부착되고, 제3 배관(T3)에는 전원에 의해 개로되는 폐쇄형 전자변(bp1)(bp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양 체크밸브(cv1)(cv2)와 양 폐쇄형 전자변(bp1)(bp2)사이에 펌프(P)가 결합되고,
    모드설정부와, 시간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설정부와 시간설정부의 설정에 따라 전기 회로적으로 상기한 전자변과 펌프를 전기 회로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는 상기 모드설정부에 의해 운전모드가 "미사용" 모드로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배관의 전자변(v1)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의 압력이 동일하게 유체를 분배하고,
    상기 모드 설정부가 "우측"으로 선택된 경우, 전자변(bp2)과 펌프(P)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 캡슐(201a)내의 유체를 상기 제2 캡슐(201b)쪽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모드 설정부가 "좌측"으로 선택된 경우, 전자변(bp1)과 펌프(P)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 캡슐(201b)내의 유체를 체크밸브(cv2)를 통해 제1 캡슐(201a)쪽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시간설정부의 설정주기로 상기 제1 및 제2 캡슐(201a)(201b)에 교대로 유체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KR1020170080300A 2017-06-26 2017-06-26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101854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00A KR101854636B1 (ko) 2017-06-26 2017-06-26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300A KR101854636B1 (ko) 2017-06-26 2017-06-26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929A Division KR101854637B1 (ko) 2016-07-13 2016-07-13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66A KR20180007666A (ko) 2018-01-23
KR101854636B1 true KR101854636B1 (ko) 2018-06-14

Family

ID=6107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300A KR101854636B1 (ko) 2017-06-26 2017-06-26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6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41Y1 (ko) * 2006-04-28 2006-08-02 이상용 침대의 상부판 각도조절장치
KR20100010365A (ko) * 2008-07-22 2010-02-01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수면 호흡장애 및 욕창의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101066948B1 (ko) * 2010-05-28 2011-09-22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욕창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041Y1 (ko) * 2006-04-28 2006-08-02 이상용 침대의 상부판 각도조절장치
KR20100010365A (ko) * 2008-07-22 2010-02-01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수면 호흡장애 및 욕창의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101066948B1 (ko) * 2010-05-28 2011-09-22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욕창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666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676B2 (en) Automatic portable pneumatic compression system
JP3121817B2 (ja) 低空気損失ベッドおよび低空気損失ベッド用の空気袋
US77228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awing biological materials
US20180280219A1 (en) Air mattress turning device
BRPI0808878B1 (pt) Dispositivo de mudança e um sistema de iirrigação compreendendo o dispositivo
SE539744C2 (en) PERFORMING PERITONEAL ULTRAFILTRATION APPLIANCE
EP2616118B1 (en) Drain and fill logic for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ATE327802T1 (de) Mehrwegeventil
RU2727578C2 (ru) Молокоотсос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US10327971B2 (en) Bidirectional fluid flow valve and method
US4862921A (en) Air distribution system for air support convalescent beds
EP3179966A1 (en) Thermoregu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54636B1 (ko)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CN111939363A (zh) 便携式妇产科护理用清洗消菌装置
KR101854637B1 (ko)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TW520430B (en) Connecter
JP6903406B2 (ja) 統合消毒ケース付き体外血液浄化システム
AU2002319410A1 (en) Connector
JP2011012545A (ja) 可搬型簡易トイレ
US10682433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sinfecting piping for medical uses
US3187774A (en) Valve assembly
CN101133978A (zh) 磁力控制式人工肛门括约肌系统
CN110327504A (zh) 一种应用于急性肾损伤早期的腹膜透析设备
JP4701787B2 (ja) 可搬型簡易トイレ
JP4951887B2 (ja) 腹膜灌流装置およびその駆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607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60088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8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0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