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66948B1 - 욕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욕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948B1
KR101066948B1 KR1020100050074A KR20100050074A KR101066948B1 KR 101066948 B1 KR101066948 B1 KR 101066948B1 KR 1020100050074 A KR1020100050074 A KR 1020100050074A KR 20100050074 A KR20100050074 A KR 20100050074A KR 101066948 B1 KR101066948 B1 KR 10106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tress
air chambers
user
ope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화
신철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948B1/ko
Priority to PCT/KR2010/005053 priority patent/WO201114914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9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2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cut-outs or depressions in order to relieve the pressure on a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1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means for turning-ove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구성된 매트리스와, 매트리스의 각각의 섹션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와, 각 에어챔버가 팽창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에어챔버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와, 선택된 동작을 동작시키도록 에어공급수단 및 에어챔버 각각으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각각의 에어챔버가 초기로부터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를 포함하되, 매트리스를 다수의 섹션으로 분리함에 따라 이동이 편리하고, 체압이 집중되는 매트리스의 둔부 섹션에는 도넛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환부에 대한 접촉면을 줄이면서도 통기성을 좋게 하고, 머리 섹션에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를 포함하고, 에어챔버의 각각은 피팅 오픈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하며, 제어부는 에어챔버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환산함에 따라, 환자의 영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욕창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FROM BEDSORE}
본 발명은 와상 생활자의 욕창 발생을 방지하기에 알맞은 자세 변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나아가서 자세 변화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특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분리된 매트리스가 마련되어 이동이 편리하고, 수면자의 체중과 신장도 측정 가능한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 이상이나 그 외의 병변에 의하여 와상(누운상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환자는 스스로 일정기간 내에 체위를 변경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욕창을 예방하고자 일정시간(최소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욕창자문위원회(NPUAP)의 권고 사항으로서 욕창 예방을 위한 체위변경은 접촉압력과 전단력이 최소화되는 30°측와위 체위를 유지해 주는 것이며(The 30 Degree Rule: JoAnn Maklebust, Mary Sieggreen, 'Pressure Ulcers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Nursing', 1991) 일반적으로 체위를 변경하기 위하여 두 명 이상의 개호인(Caregiver)이 환자를 들어 올린 후 베개 또는 스폰지 등의 보조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욕창을 예방하는 방법에는 고식적인 방법으로 Nutritional and skin care assessment가 있으나, 논란이 있으며(Lange, Bates-Jensen, 2003). 욕창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인 압력과 관련하여, 신체 피부 상의 contact pressure (body pressure)를 모세혈관의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하는 최소압력 이하로 감압하거나, 자세를 바꿈으로써 압력이 집중되는 부위를 이동시키는 방법 등이 널리 쓰인다(Kosiak, 1959). 이러한 방법을 응용하여 pressure-reducing devices (static or dynamic)가 사용되고 있으나(Thomas, 2006), 이들에 대한 유용한 효과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다(Reddy, 2006).
일부 교대부양 에어매트리스의 경우 체압 분산의 효과가 없고 오히려 체압을 집중시키며 매트리스 재질에 의한 습기 유발이 욕창을 발생시키기도 하며 틸팅(tilting) 기능이 적용된 경우에도 충분한 각도를 형성시켜주지 못하여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개호인의 피로 누적에 의한 체위변경 회피 가능성이 높고, 1인의 개호인이 다수의 환자를 담당할 경우 변경시간을 확인하기 어려우며, 주기적 체위 변경에 의한 개호인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욕창 발생으로 의료진과의 의료 분쟁 가능성이 높아진다.
미국의 의료과실 발생률 3% 중 20%에 해당하는 환자가 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 중 가장 많이 발생한 의료과실은 욕창이 45만 5305건으로 전체의 40.53%를 차지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환자의 체위를 충분히 변환해주고 변환 시, 피부로부터 압축 및 인장 응력과 전단력을 최소화하며 체중에 의한 접촉 압력을 분산시키는 자동 자세변환 매트리스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유사 선행기술로는 자세변환을 통하여 코골이 및 수면호흡장애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948883호에 따른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100)의 구성이 도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100)는 인체의 등 양측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와,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팽창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40)과,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150)와,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시 팽창을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유지시간설정부(170)와,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하기 시작하여 수면자가 수면에 들어가서 수면 호흡장애를 일으키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동작시간설정부(180)와, 유지시간설정부(170) 및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들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163)와, 에어공급수단(140)과 동작선택부(150)와 유지시간설정부(170)와 동작시간설정부(1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며, 에어공급라인(141)에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각각에 연결되는 분기된 측에 마련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3방향 밸브(161,162)의 동작을 제어부(140)가 제어하여 에어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팽창하여 수면자가 수면 중 자세를 달리하더라도 좌측 또는 우측 측와위(側臥位)로의 자세 변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면자의 등에 마련되는 에어챔버의 팽창에 의해 수면 자세를 각성없이 자연스럽게 변화시킴으로써 수면자가 수면 호흡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숙면을 유지시키고, 에어챔버가 수면자의 등에 정확하게 위치함으로써 에어챔버의 팽창 및 수면자의 수면중 위치와 자세 변경에도 불구하고 수면자가 수면 호흡장애 방지를 위한 자세 변화가 정확하게 실시되도록 하며, 수면자가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기에 알맞은 자세 변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나아가서 자세 변화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면자마다 상이한 수면 호흡장애 방지 특성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의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20)가 수면자의 등부분에 대응하는 매트리스(190) 저면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마련되지만, 이러한 매트리스(190)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매트리스를 일체형이 아닌 수면자의 신체부위에 따라 다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하되, 각 섹션 마다 에어챔버가 팽창 및 수축 가능하도록 마련된 욕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요양 또는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체압이 집중되는 부분의 매트리스에 구멍을 형성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체중 및 신장을 에어챔버의 압력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환자의 영양상태를 파악 할 수 있는 욕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욕창 방지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다수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각각의 섹션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에 팽창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1 및 제 2 에어챔버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와, 상기 동작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에어공급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가 초기로부터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경과 시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를 동작시킨다.
매트리스는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되어 분리되며, 둔부 섹션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머리 섹션에는 수면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수면자의 체중을 환산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은 피팅 오픈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욕창을 방지하기에 알맞은 자세 변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나아가서 자세 변화를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병변에 알맞도록 효율적으로 적용하여 욕창을 방지함과 동시에, 매트리스가 신체부위별로 구획되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하고, 체압이 집중되는 매트리스의 섹션에 도넛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부에 대한 접촉 압력을 줄이면서도 통기성을 좋게 하고, 장기간 치료를 요하는 환자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할 수 있어 환자의 영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가 부착된 매트리스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욕창 방지장치가 부착된 매트리스를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욕창 방지장치에 있어서 측정된 압력과 체중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3 욕창 방지장치의 체중 측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욕창 방지장치가 부착된 매트리스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200)는 수면자의 소정 신체부위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와,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팽창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40)과,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150)와, 동작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는 사용자의 소정 신체부위, 즉 크게 머리(head rest), 상체, 둔부(hip) 및 다리의 양측, 구체적으로 좌측과 우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상면에 사용자가 누울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매트리스(300)를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로 다수의 섹션, 즉 머리 섹션(320), 상체 섹션(340), 둔부 섹션(360) 및 다리 섹션(380)으로 구획하여 분리하고, 각 섹션의 바닥면의 좌측과 우측에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마련되며, 이로 인해 저면으로부터 팽창하는 각각의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지면을 밀게 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의 팽창에 의해 매트리스(300) 자체가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매트리스(300)에 누운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측와위(側臥位)로의 자세 변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는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구조,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구조적으로는 셔링 처리 또는 다트 처리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재질적으로는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합성수지, 천연고무, 인조고무, 섬유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세를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체적을 가진다.
에어공급수단(140)은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에어를 각각 공급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처럼 단일로 이루어져서 에어공급라인(141)의 분기된 끝단을 통해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압축된 가스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펌핑에 의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펌프가 사용된다.
동작선택부(150)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되고,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해당하는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하며, 제어부(160)는 동작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에어공급수단(140)의 구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의 에어 공급과 에어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욕창 발생을 방지한다.
제어부(160)는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 에어를 공급함과 아울러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에어공급수단(140)이 에어펌프인 경우 에어공급라인(141)에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 각각에 연결되는 분기된 측에 솔레노이드가 바람직한 3방향 밸브(161,162)를 마련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3방향 밸브(161,162)의 동작에 의해 에어공급수단(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채워진 에어를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가압에 의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시 팽창을 유지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유지시간설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팽창 및 수축의 반복적인 동작시 유지시간설정부(170)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를 팽창시키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팽창 후 유지시간설정부(170)에 의한 설정시간이 경과 후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로부터 에어가 배출되도록 3방향 밸브(161,162)를 제어한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초기, 바람직하게는 전원이 온(on)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 예컨대, 전원이 온(on)된 후 사용자가 작동 및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동작시간설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시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120,130)를 동작시키도록 에어공급수단(140) 및 3방향 밸브(161,162)를 각각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유지시간설정부(170) 및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의해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이들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시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163)를 가짐으로써 유지시간설정부(170) 및 동작시간설정부(180)에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인식하게 된다.
매트리스(300)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주기 위하여 에어 주입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이나 발포재 등이 내측에 설치되거나 채워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는 자동차의 시트와 같이 우레탄 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쇠약해진 환자나 뇌척수신경의 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가 매트리스(300)에 오랫동안 있게 되면, 환자의 체중으로 압박받는 부위, 특히 주로 뼈의 돌출부에 지속적인 또는 반복적인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혈액순환이 잘 안되어 조직이 죽어서 염증이나 괴사로 인해 그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속되거나 함몰되는 궤양, 즉 욕창(pressure sore: 압박궤양)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욕창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위는 견갑골(scapula), 천골(sacrum, 꼬리뼈), 뒤꿈치 등이므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200)는 매트리스(300)의 둔부 섹션(360)에 구멍(362)을 형성하여 천골부분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최소화한다.
또한, 쇠약해진 환자나 뇌척수신경의 장애로 체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없는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환자에게 심폐소생술 등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매트리스(300)의 각 섹션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공급된 공기를 급속하게 배출할 필요가 있는 바,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200)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를 피팅 오픈(fitting open)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욕창 발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의 영양 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환자의 체중과 신장의 측정이 필요하므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200)는 매트리스(300)의 머리 섹션(320)에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300)의 각 섹션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압력센서(도시하지 않음)로 측정하고,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를 받은 제어부(1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체중이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의 각각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에 선형 또는 비선형의 관계에 있으므로, 즉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압력센서(도시하지 않음)로서 감지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환자의 체중이 증가함을 의미하고, 압력이 감소하면 환자의 체중이 감소함을 의미하므로, 압력센서의 신호를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하여 이를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상에 표시함으로써 환자 체중의 증감을 확인하여 환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환자의 체중 측정의 동작을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 욕창 방지장치의 체중 측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창 방지장치(200)의 체중 측정은 작동중인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의 공기를 배출하는 단계(S10)와, 공기가 배출된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 압력측정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S20)와, 안정화를 위해 소정 시간 대기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안정화가 되면, 압력센서가 압력을 측정하고(S40), 제어부(160)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을 받아 환자의 체중으로 환산한다.(S50)
이어 체중의 측정이 종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S60), 체중의 환산이 끝나면, 환산된 체중을 디스플레이하고(S70), 압력측정을 위해 공급된 공기를 제 1 및 제 2 에어챔버(120)(130)에서 배출하여 다시 자세제어모드로 복귀한다(S8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는 매트리스(300)가 신체부위별로 구획되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동이 편리하고, 체압이 집중되는 매트리스의 섹션에 도넛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환부에 대한 접촉면을 줄여주면서도 통기성을 좋게 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고, 환자의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여 환자의 영양상태를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욕창 방지장치를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요소가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200 : 본 발명 욕창 방지장치 300 : 매트리스
320 : 머리 섹션 322 : 줄자
340 : 상체 섹션 360 : 둔부 섹션
362 : 구멍 380 : 다리 섹션

Claims (6)

  1. 욕창 방지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머리, 상체, 둔부, 다리의 섹션으로 구획하여 분리되도록 구성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의 각각의 섹션의 양측에 팽창 및 수축에 의해 동작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가 팽창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거나 상기 1 및 제 2 에어챔버를 교대로 동작시키도록 선택하는 동작선택부와,
    상기 동작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동작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에어공급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로의 에어 공급과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가 초기로부터 동작하기 시작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동작시간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경과 시 상기 제 1 또는 제 2 에어챔버를 동작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에 공급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환산하고,
    상기 매트리스의 둔부 섹션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리스의 머리 섹션에는 사용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줄자를 포함하는
    욕창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챔버의 각각은 피팅 오픈에 의해 급속배기가 가능한
    욕창 방지장치.
KR1020100050074A 2010-05-28 2010-05-28 욕창 방지장치 Active KR10106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74A KR101066948B1 (ko) 2010-05-28 2010-05-28 욕창 방지장치
PCT/KR2010/005053 WO2011149147A1 (ko) 2010-05-28 2010-07-30 욕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074A KR101066948B1 (ko) 2010-05-28 2010-05-28 욕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948B1 true KR101066948B1 (ko) 2011-09-22

Family

ID=4495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074A Active KR101066948B1 (ko) 2010-05-28 2010-05-28 욕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6948B1 (ko)
WO (1) WO201114914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7666A (ko) * 2017-06-26 2018-01-23 주식회사 지혜텍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20180030270A (ko) * 2016-07-13 2018-03-22 주식회사 지혜텍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20190100776A (ko) *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욕창방지장치
KR20210047639A (ko) * 2019-10-22 2021-04-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KR20210052022A (ko) * 2019-10-31 2021-05-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102690615B1 (ko) * 2023-06-12 2024-07-31 김영채 욕창 방지 매트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욕창 방지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1058B (en) * 2021-09-24 2024-03-27 Gbuk Group Ltd Inflatable suppo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507A (ko) * 2004-07-20 2006-01-26 산재의료관리원 체압저하를 위한 공기 매트리스의 공압제어방법
KR100948883B1 (ko) * 2007-10-15 2010-03-24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935A (ja) * 2002-11-27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排泄物処理システム
JP2004271368A (ja) * 2003-03-10 2004-09-30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患者の体重測定装置
KR200400454Y1 (ko) * 2005-08-12 2005-11-08 장성철 욕창방지 좌우가변 에어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507A (ko) * 2004-07-20 2006-01-26 산재의료관리원 체압저하를 위한 공기 매트리스의 공압제어방법
KR100948883B1 (ko) * 2007-10-15 2010-03-24 바이오슬립메드 주식회사 수면 호흡장애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270A (ko) * 2016-07-13 2018-03-22 주식회사 지혜텍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101854637B1 (ko) * 2016-07-13 2018-06-14 주식회사 드림테크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20180007666A (ko) * 2017-06-26 2018-01-23 주식회사 지혜텍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101854636B1 (ko) * 2017-06-26 2018-06-14 주식회사 드림테크 욕창방지장치를 갖춘 환자용 침대 및 욕창방지장치 제어방법
KR20190100776A (ko) *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욕창방지장치
WO2019164243A1 (ko) * 2018-02-21 2019-08-2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욕창방지장치
KR102051070B1 (ko) * 2018-02-21 2019-12-0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욕창방지장치
KR20210047639A (ko) * 2019-10-22 2021-04-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KR102306661B1 (ko) * 2019-10-22 2021-09-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KR20210052022A (ko) * 2019-10-31 2021-05-1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102306651B1 (ko) * 2019-10-31 2021-09-30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욕창 방지용 휠체어 제어방법
KR102690615B1 (ko) * 2023-06-12 2024-07-31 김영채 욕창 방지 매트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욕창 방지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147A1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948B1 (ko) 욕창 방지장치
US20230123631A1 (en) Independently adjustable support system
WO2020233329A1 (zh) 一种用于卧床老人长期护理的防压疮气囊床垫装置
US8281434B2 (en) Localized patient support
US11672715B2 (en) Suppo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8832887B2 (en) Anti-snore bed having inflatable members
KR100730803B1 (ko) 팽창가능한 지지체
JP4849991B2 (ja) 床ずれ防止用ベッド
US20170095090A1 (en) Air mattress
CA2892048C (en) Adjustable support system
US8296887B2 (en) Resilient material/air bladder system
CN112472447A (zh) 一种防褥疮气垫床
US20120011658A1 (en) Patient support device with lower extremity raiser
CN205411508U (zh) 一种防褥疮充气床垫
US20220347027A1 (en) Devices and Methods to Help Prevent Decubitus Ulcers
CN205913485U (zh) 一种充气床垫
WO2007146059A2 (en) Localized patient support
Rithalia et al. Assessment of alternating air mattresses using a time-based interface pressure threshold technique
US20050262638A1 (en) Inflatable, pressure alleviating, eggcrate mattress pad
US20100281619A1 (en) Air mattress system with inflatable limb chamber
JP2007190150A (ja) ベッド
JP4585935B2 (ja) ベッド
EP3697362B1 (en) Two-in-one mattress with air mattress and memory foam for patient care
US20030135929A1 (en) Buttocksrest pad
JP3237550U (ja) 荷重支持コンポーネントが改良された床ずれ防止マット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