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39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8397B1 KR101848397B1 KR1020120004655A KR20120004655A KR101848397B1 KR 101848397 B1 KR101848397 B1 KR 101848397B1 KR 1020120004655 A KR1020120004655 A KR 1020120004655A KR 20120004655 A KR20120004655 A KR 20120004655A KR 101848397 B1 KR101848397 B1 KR 1018483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ink
- pressing
- developing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108091008695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창을 포함하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커버와 연동하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광창을 개방하고, 커버가 본체를 개방할 때 광창을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한다. 셔터유닛은 광창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광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현상롤러와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도 2는 현상롤러와 감광체를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셔터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링크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셔터유닛이 제2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셔터유닛이 제1위치에 배치될 때 현상롤러 및 감광체가 접촉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11: 커버, 20: 인쇄매체 공급유닛,
30: 광주사유닛, 40: 현상유닛,
50: 감광체유닛, 60: 전사유닛,
70: 정착유닛, 80: 인쇄매체 배출유닛,
100: 셔터유닛, 110: 몸체부,
120: 개방구, 130: 가압부,
200: 링크유닛,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30: 가이드.
Claims (25)
-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며, 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창;을 포함하는 광주사유닛;과,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기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며,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광창을 개방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광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가압면과 상기 현상롤러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광창을 투과하는 광을 통과시키는 개방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상,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현상유닛의 하단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현상롤러가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셔터유닛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링크유닛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connection ro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커버와 접촉하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각각 접촉하며, 제1회전방향 및 상기 제1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링크와 접촉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와 접촉하는 제2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면은 상기 제2접촉면보다 상기 제2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더 먼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로드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1가압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2링크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제2가압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폐하며,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방하는 제1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커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광주사유닛을 폐쇄하는 제2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주사된 광을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의 양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과 접촉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감광체를 포함하는 감광체유닛;과,
상기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과,
상기 감광체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감광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유닛;과,
상기 광주사유닛을 개폐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동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폐쇄할 때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를 개방할 때 상기 현상유닛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체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가압부는 상기 현상유닛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셔터유닛을 연동시키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커버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셔터유닛의 일단과 접촉하며,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셔터유닛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2링크와 접촉하며, 상기 제2링크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제1가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는, 상기 제2링크와 접촉하며, 상기 제2링크가 상기 제1가압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링크의 가압력을 전달받는 제2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돌기는 상기 제1가압돌기에 비해 상기 제2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655A KR101848397B1 (ko) | 2012-01-16 | 2012-01-16 | 화상형성장치 |
US13/742,019 US8948651B2 (en) | 2012-01-16 | 2013-01-15 | Image forming apparatus |
EP13151372.3A EP2626751B1 (en) | 2012-01-16 | 2013-01-15 | Image forming apparatus |
CN201310015914.0A CN103207549B (zh) | 2012-01-16 | 2013-01-16 | 成像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4655A KR101848397B1 (ko) | 2012-01-16 | 2012-01-16 |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3999A KR20130083999A (ko) | 2013-07-24 |
KR101848397B1 true KR101848397B1 (ko) | 2018-05-28 |
Family
ID=47826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46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8397B1 (ko) | 2012-01-16 | 2012-01-16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948651B2 (ko) |
EP (1) | EP2626751B1 (ko) |
KR (1) | KR101848397B1 (ko) |
CN (1) | CN10320754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34743B2 (en) * | 2009-03-27 | 2014-01-21 | Fuji Xerox Co., Ltd. | Detachable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6119536B2 (ja) * | 2013-09-30 | 2017-04-2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20160028218A (ko) * | 2014-09-03 | 2016-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KR20160028217A (ko) * | 2014-09-03 | 2016-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JP6946628B2 (ja) | 2016-09-30 | 2021-10-0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069851B2 (ja) * | 2018-03-06 | 2022-05-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056491B2 (ja) * | 2018-09-27 | 2022-04-19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7647380B2 (ja) * | 2021-06-22 | 2025-03-1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1637A (ja) | 2005-09-30 | 2007-04-19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 |
JP2011141532A (ja) | 2009-12-11 | 2011-07-21 | Canon Inc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2011215561A (ja) | 2010-03-18 | 2011-10-27 | Ricoh Co Ltd |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067875B2 (ja) | 2008-03-31 | 2012-11-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99162B2 (ja) * | 1997-07-03 | 2006-07-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H11109833A (ja) | 1997-10-03 | 1999-04-23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3634807B2 (ja) * | 2002-02-20 | 2005-03-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4585746B2 (ja) * | 2002-06-25 | 2010-11-24 | 三星電子株式会社 |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現像ユニット及びそれを採用した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 |
JP4134984B2 (ja) * | 2004-12-27 | 2008-08-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695913B2 (ja) * | 2005-04-12 | 2011-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EP1939695B1 (en) | 2006-12-28 | 2015-07-29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device capable of positioning developing unit and developer cartridge precisely |
JP5282375B2 (ja) | 2007-06-25 | 2013-09-0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 |
KR101212295B1 (ko) | 2008-01-08 | 2012-1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JP4721471B2 (ja) * | 2009-03-23 | 2011-07-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4985819B2 (ja) * | 2010-05-17 | 2012-07-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299441B2 (ja) * | 2011-01-14 | 2013-09-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
2012
- 2012-01-16 KR KR1020120004655A patent/KR10184839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1-15 US US13/742,019 patent/US8948651B2/en active Active
- 2013-01-15 EP EP13151372.3A patent/EP2626751B1/en active Active
- 2013-01-16 CN CN201310015914.0A patent/CN10320754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1637A (ja) | 2005-09-30 | 2007-04-19 | Brother Ind Ltd | 画像形成装置 |
JP5067875B2 (ja) | 2008-03-31 | 2012-11-0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2011141532A (ja) | 2009-12-11 | 2011-07-21 | Canon Inc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2011215561A (ja) | 2010-03-18 | 2011-10-27 | Ricoh Co Ltd | 光書込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07549A (zh) | 2013-07-17 |
US8948651B2 (en) | 2015-02-03 |
EP2626751B1 (en) | 2015-04-01 |
EP2626751A1 (en) | 2013-08-14 |
KR20130083999A (ko) | 2013-07-24 |
US20130183062A1 (en) | 2013-07-18 |
CN103207549B (zh) | 2018-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8397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9291993B2 (en) | 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US8824919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ion-regulated process cartridge | |
US8837982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792805B2 (en) |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606143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acting and spacing member | |
US9360832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0969725B1 (ko) |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
US809503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opening and closing unit | |
US8320794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12526856B (zh) | 盒和成像装置 | |
JP2016008977A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ユニット | |
KR101766782B1 (ko) | 화상형성장치 | |
JP5241138B2 (ja)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US1026146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260173B2 (en) |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184689B2 (en) | Developing cartridge having protective cov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101848386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1089584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link mechanism for positioning cartridge | |
US2013010728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76164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CN215264384U (zh) | 图像形成装置 | |
CN117130246A (zh) | 盒和成像装置 | |
JP2023000341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1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