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3298B1 -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298B1
KR101843298B1 KR1020167008496A KR20167008496A KR101843298B1 KR 101843298 B1 KR101843298 B1 KR 101843298B1 KR 1020167008496 A KR1020167008496 A KR 1020167008496A KR 20167008496 A KR20167008496 A KR 20167008496A KR 101843298 B1 KR101843298 B1 KR 10184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toner
scooping
containe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974A (ko
Inventor
신고 구보키
준 시오리
히데오 요시자와
나츠미 마츠에
다이스케 하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5864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5141859A1/en
Publication of KR2016004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2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10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characterised by carrier part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55Materials and manufacturing of the developing device
    • G03G2215/0872Housing of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가 제공된다. 분체 용기는 화상 형성용의 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분체 저장부와, 상기 분체 저장부의 일단에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개구부와,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할 때 개구부측 분체를 퍼올리고 상기 분체를 상기 노즐의 분체 수납구로 공급하는 스쿠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에 대략 평행하다.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고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에 접하는 가상선에 대해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경사진다.

Description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복사기 또는 상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복사기의 복수의 기능을 갖춘 복합기 등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분체인 토너를 수용한 분체 용기로서의 토너 용기로부터 토너를 분체 보급 장치를 사용하여 현상 장치로 공급(보급)하고 있다. 토너 용기는 토너가 수용되는 분체 수용부와, 분체 수용부의 일단에 설치된 개구부와, 토너 용기로부터의 토너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구를 갖는 노즐을 수용하는 개구부에 설치된 노즐 삽입 부재와, 분체 수용부의 개구부측으로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분체 수용부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개구부측의 토너를 퍼올려 분체 수납구로 낙하시켜 공급하는 분체 스쿠핑부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의 예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2-133349호에 개시되어 있다.
노즐 삽입 부재의 개구부에 삽입된 노즐의 분체 수납구에 대하여 토너를 퍼올려 공급하는 시스템의 경우, 토너의 유동성에 기인하여 토너를 효율적으로 분체 수납구로 공급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 용기 내에 삽입된 노즐의 분체 수납구로 효율적으로 현상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가 제공된다. 분체 용기는 화상 형성용의 분체를 수용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 가능한 분체 수용부와, 분체 수용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화상 형상 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개구부와, 개구부측의 분체를 퍼올리고 분체 수용부의 회전시 해당 분체를 노즐의 분체 수납구로 공급하는 스쿠핑부를 포함한다. 스쿠핑부는 분체 수용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을 포함한다.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는 분체 수용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내측 단부의 에지는 회전축과 대략 평행하다. 회전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스쿠핑면은 회전축을 통과하면서 내측 단부의 에지에 접하는 가상선보다 분체 수용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를 장착하기 전의 분체 반송 장치와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분체 용기가 용기 수납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의 분체 반송 장치에 분체 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6은 분체 용기를 장착한 상태의 분체 반송 장치와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분체 용기를 장착한 상태의 분체 반송 장치와 분체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분체 수용부의 구성과 노즐 수납 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노즐 수납 부재를 분체 수용부에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용기 선단 측에서 바라본 노즐 수납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a~12d는 개폐 부재와 노즐의 장착 동작시의 상태를 설명하는 상부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분체 수용부의 개구부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분체 수용부가 회전했을 때의 개구부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분체 스쿠핑부)의 스쿠핑면의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6은 스쿠핑면이 마이너스 방향으로 경사진 경우의 퍼올림 특성(scooping characteristic)이 되는 토너 잔량과 보급량의 관계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17은 스쿠핑면의 경사각을 변경한 경우의 퍼올림 특성이 되는 토너 잔량과 보급량의 관계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18은 용기 본체의 회전수를 변경한 경우의 스쿠핑면의 퍼올림 특성이 되는 토너 잔량과 보급량의 관계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스쿠핑면의 경사각과 토너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퍼올림 특성이 되는 토너 잔량과 배출량의 관계를 비교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에 대하여 용기 본체의 회전수를 변경하고 스쿠핑면의 경사각과 토너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퍼올림 특성이 되는 토너 잔량과 배출량의 관계를 비교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양산 모델에 의한 용기 본체의 스쿠핑면의 경사각과 용기 본체의 회전수를 변경한 경우의 퍼올림 특성이 되는 토너 잔량과 배출량의 관계를 비교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분체 용기의 양산 모델에 의한 용기 본체의 스쿠핑면의 경사각과 토너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퍼올림 특성이 되는 토너 잔량과 보급량의 관계를 비교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3a~2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고;
도 24는 스쿠핑부와 반송부의 연결부와 반송부의 분체 수납구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25는 스쿠핑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6a 및 도 26b는 스쿠핑부에 형성되는 분체 수납구 측에 위치하는 벽부와 분체 수납구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27a~27c는 스쿠핑부 내에 위치하는 반송부와 스쿠핑면 사이의 관계와 작용을 설명하는 다이어그램이고;
도 28은 반송부와 스쿠핑면에 의해 형성된 각도를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9a~29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고;
도 30a~30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고;
도 31a 및 도 31b는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구성과 스쿠핑부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고;
도 32는 반송부와 스쿠핑부 사이의 회전축 방향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3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3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의 개구부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의 개구부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의 스쿠핑면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고;
도 37a~37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고;
도 38a~38c는 도 37c로부터 연속된 스쿠핑부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고;
도 39a는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이 작은 경우의 토너의 확산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9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증가시킨 경우의 토너의 확산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동일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지시되며, 후단의 실시 형태에서 동일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기재는 단지 여러 가지 예이며,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를 구상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은 당연히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면에서, Y, M, C, K는 각각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에 대응한 구성 부재에 부여된 부호이며, 적절히 생략된다.
도 2는 소정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전자 사진 방식의 텐덤형의 칼라 복사기(이하, "복사기(500)"로 지칭됨)의 전체 구성도이다. 복사기(500)는 흑백 복사기일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복사기 대신에,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또는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스캐너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일 수 있다. 복사기(500)는 복사기 본체(이하, "프린터(100)"로 지칭됨), 급지 테이블(이하, "급지부(200)"로 지칭됨) 및 프린터(100) 상에 장착되는 스캐너부(이하, "스캐너부(400)"로 지칭됨)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프린터(100)의 상부에 설치된 분체 용기 수납부로서의 토너 용기 홀더(70)에는 복수의 색(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에 대응하는 분체 용기로서의 4개의 토너 용기(32(Y, M, C, K))가 착탈 가능하게(교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토너 용기 홀더(70)의 하방에는 중간 전사 장치(85)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장치(85)는 중간 전사체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48), 4개의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 M, C, K)), 2차 전사 백업 롤러(82), 복수의 텐션 롤러, 중간 전사 클리닝 기구 등을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48)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연신되고 지지를 받고, 이들 복수의 롤러의 하나인 2차 전사 백업 롤러(82)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무단 이동한다.
프린터(100)에는 중간 전사 벨트(48)를 향하도록 각 색에 대응하는 4개의 화상 형성부(46(Y, M, C, K))가 탠덤형으로 배치된다. 토너 용기(32(Y, M, C, K))의 각각의 하방에는 4가지 색의 4개의 토너 용기(32(Y, M, C, K))에 대응하는 분체 공급(보급) 장치로서의 토너 보급 장치(60(Y, M, C, K))가 배치되어 있다. 토너 용기(32(Y, M, C, K))에 수용된 분체의 현상제인 토너는 토너 보급 장치(60(Y, M, C, K)) 각각에 의해 각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 M, C, K))의 현상 장치로 공급(보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4개의 화상 형성부(46(Y, M, C, K))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이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100)는 4개의 화상 형성부(46)의 하방에 잠상 형성 수단인 노광 장치(47)를 포함한다. 노광 장치(47)는 스캐너부(400)에 의해 판독된 원고 화상(original image)의 화상 정보를 기초로 화상 담지체(후술됨)로서의 광전도체(41(Y, M, C, K))의 표면을 노광 주사함으로써, 광전도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화상 정보는 스캐너부(400)에 의해 판독되는 대신에 복사기(500)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광 장치(47)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레이저 빔 스캐닝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노광 수단으로서는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구성 등의 다른 구성도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화상 형성부(46Y)는 드럼형의 광전도체(41Y)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46Y)는 대전 기구인 대전 롤러(44Y), 현상 수단인 현상 기구(50Y), 광전도체 클리닝 기구인 클리닝 기구(42Y), 제전 기구 등을 광전도체(41Y)의 주위에 배치한 구성이다. 광전도체(41Y)에 대해 화상 형성 공정(대전 공정, 노광 공정, 현상 공정, 전사 공정, 클리닝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광전도체(41Y) 상에 옐로우의 토너상이 형성된다.
다른 3개의 화상 형성부(46(M, C, K))도 사용되는 토너의 색이 다른 점 이외에는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광전도체(41M, 41C, 41K) 상에 각각의 토너 색에 대응하는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하, 옐로우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Y)만을 설명하고, 다른 3개의 화상 형성부(46(M, C, K))의 설명을 적당하게 생략한다.
광전도체(41Y)는 구동 모터에 의해 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대전 롤러(44Y)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균일하게 대전된다(대전 공정). 이후,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노광 장치(47)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광(L)의 조사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노광 주사를 통해 옐로우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노광 공정). 이후,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현상 기구(50Y)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정전 잠상이 옐로우의 토너로 현상되어 옐로우의 토너상이 형성된다(현상 공정).
중간 전사 장치(85)의 4개의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 M, C, K))와 광전도체(41(Y, M, C, K))는 중간 전사 벨트(48)를 사이에 끼워 개별 1차 전사 닙(nip)을 형성하고 있다.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 M, C, K)) 각각에는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 공정을 통해 토너상이 형성된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중간 전사 벨트(48)를 가로질러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에 대향하는 1차 전사 닙에 도달하고, 해당 1차 전사 닙에서 광전도체(41Y) 상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 된다(1차 전사 공정). 이때, 광전도체(41Y) 상에는 미전사된 소량의 토너가 잔존한다. 1차 전사 닙에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된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클리닝 기구(42Y)와의 대향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광전도체(41Y) 상에 잔존하는 미전사 토너는 클리닝 기구(42Y)에 포함된 클리닝 블레이드(42a)에 의해 기계적으로 회수된다(클리닝 공정). 최종적으로, 광전도체(41Y)의 표면은 제전 기구와의 대향 위치에 도달하고, 해당 위치에서 광전도체(41Y) 상의 잔류 전위가 제거된다. 이 방식으로, 광전도체(41Y) 상에 행해지는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전술한 화상 형성 공정은 옐로우용의 화상 형성부(46Y)와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화상 형성부(46(M, C, K))에 대해서도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46(M, C, K))의 하방에 배치된 노광 장치(47)는 화상 정보에 근거한 레이저 광(L)을 화상 형성부(46(M, C, K))의 광전도체(41(M, C, K)) 측으로 조사한다. 더 구체적으로, 노광 장치(47)는 광원으로부터 레이저 광(L)을 방출하고 그 레이저 광(L)을 회전 구동된 다각형 거울로 주사하면서 복수의 광학 소자를 통해 각 광전도체(41(M, C, K)) 상에 조사한다. 이후, 현상 공정을 거쳐 광전도체(41(M, C, K)) 상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48)로 전사된다.
이때, 중간 전사 벨트(48)는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고, 1차 전사 바이어스 롤러(49(Y, M, C, K))의 1차 전사 닙을 차례로 통과한다. 따라서, 광전도체(41(Y, M, C, K)) 상의 각 색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겹쳐지는 방식으로 1차 전사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겹쳐진 각 색의 토너상에 의해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48)는 2차 전사 롤러(89)와의 대향 위치에 도달한다. 이 위치에서, 2차 전사 백업 롤러(82)와 2차 전사 롤러(89)의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48)가 배치됨으로써 2차 전사 닙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48) 상에 형성된 컬러 토너상은 2차 전사 닙의 위치로 반송된 전사지 등의 기록 매체(P) 상에, 예컨대 2차 전사 백업 롤러(82)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의 작용에 의해 전사된다. 이때, 중간 전사 벨트(48)에는 기록 매체(P)에 전사되지 않았던 미전사 토너가 잔존한다. 2차 전사 닙을 통과한 중간 전사 벨트(48)는 중간 전사 클리닝 기구의 위치에 도달되며, 해당 위치에서 그 표면상의 미전사 토너가 회수된다. 이 방식으로, 중간 전사 벨트(48)에 대해 행해지는 일련의 전사 공정이 완료된다.
다음에, 기록 매체(P)의 움직임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2차 전사 닙에 반송되는 기록 매체(P)는 프린터(100)의 하방에 배치된 급지부(200)에 설치된 급지 트레이(26)로부터 급지 롤러(27), 레지스터 롤러 쌍(28) 등을 경유해 반송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급지 트레이(26)에는 기록 매체(P)가 복수 매 적층된다. 급지 롤러(27)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맨 위의 기록 매체(P)가 레지스터 롤러 쌍(28)의 두 개의 롤러 사이의 닙으로 반송된다.
레지스터 롤러 쌍(28)으로 반송된 기록 매체(P)는 회전을 정지한 레지스터 롤러 쌍(28)의 롤러 사이의 닙의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중간 전사 벨트(48) 상의 컬러 토너상이 2차 전사 닙에 도달하는 타이밍에 따라 레지스터 롤러 쌍(28)이 회전됨으로써 기록 매체(P)가 2차 전사 닙을 향해서 반송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P) 상에 원하는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2차 전사 닙에서 컬러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 기구(86)의 위치로 반송된다. 정착 기구(86)에서는 정착 벨트 및 가압 롤러에 의해 인가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 매체(P)의 표면에 전사된 컬러 토너상이 기록 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 기구(86)를 통과한 기록 매체(P)는 배지 롤러 쌍(29)의 롤러 사이의 닙을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배지 롤러 쌍(29)에 의해 장치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출력 화상으로서 스택부(30) 상에 차례로 적층된다. 이 방식으로, 복사기(500)에 있어서의 일련의 화상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이하, 화상 형성부(46)에 있어서의 현상 기구(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옐로우에 대응한 화상 형성부(46Y)를 예로써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색에 대응하는 화상 형성부(46(M, C, K))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기구(50Y)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51Y), 현상제 규제판으로서의 닥터 블레이드(52Y),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 토너 농도 센서(56Y) 등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51Y)는 광전도체(41Y)와 마주한다. 닥터 블레이드(52Y)는 현상 롤러(51Y)와 마주한다.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는 2개의 현상제 수용부, 즉 제1 및 제2 현상제 수용부(53Y, 54Y) 내에 배치된다. 현상 롤러(51Y)는 내부에 배치된 자석 롤러, 자석 롤러의 주위를 회전하는 슬리브 등을 포함한다. 제1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에는 캐리어와 토너를 포함하는 2-성분의 현상제(G)가 수용되어 있다. 제2 현상제 수용부(54Y)는 그 상부측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 토너 낙하 경로(64Y)와 연통한다. 토너 농도 센서(56Y)는 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의 현상제(G) 중의 토너 농도를 검지한다.
현상 기구(50Y) 내의 현상제(G)는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에 의해 교반되면서 제1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 현상제 수용부(54Y)의 사이를 순환한다. 제1 현상제 수용부(53Y) 내의 현상제(G)는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 중 하나에 의해 반송되면서 현상 롤러(51Y) 내의 자석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 표면 상에 공급되어 담지된다. 현상 롤러(51Y)의 슬리브는 도 3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으로 회전되며,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에 따라 현상 롤러(51Y) 상을 이동한다. 이때, 현상제(G)중의 토너는 현상제(G) 중의 캐리어와의 마찰 대전에 의해 캐리어와는 역극성의 전위로 대전됨으로써 정전적으로 캐리어에 흡착되고, 현상 롤러(51Y) 상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끌어들일 수 있는 캐리어와 함께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다.
현상 롤러(51Y) 상에 담지된 현상제(G)는 도 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고, 닥터 블레이드(52Y)와 현상 롤러(51Y)가 대향하는 닥터부(doctor section)에 이른다. 현상 롤러(51Y) 상의 현상제(G)는 닥터부를 통과할 때 그 양이 적당량으로 조절 및 조정된 후, 광전도체(41Y)와 마주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된다. 현상 영역에서는, 현상 롤러(51Y)와 광전도체(41Y)의 사이에 형성된 현상 자기장에 의해 광전도체(41Y) 상에 형성된 잠상에 현상제(G) 중의 토너가 흡착된다. 현상 영역을 통과한 현상 롤러(51Y)의 표면 상에 남은 현상제(G)는 슬리브의 회전에 수반해 제1 현상제 수용부(53Y)의 상방에 도달한다. 이때, 현상제(G)는 현상 롤러(51Y)로부터 이탈된다.
현상 기구(50Y) 내의 현상제(G)는 토너 농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도록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32Y)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가 현상 기구(50Y) 내의 현상제(G)에 포함되는 토너의 현상에 의한 소비량에 따라 토너 보급 장치(60Y)(후술됨)에 의해 토너 낙하 경로(64Y)를 통해 제2 현상제 수용부(54Y)에 보급된다. 제2 현상제 수용부(54Y) 내에 보급된 토너는 2개의 현상제 반송 스크류(55Y)에 의해 현상제(G)와 함께 혼합 및 교반되면서 제1 현상제 수용부(53Y)와 제2 현상제 수용부(54Y)의 사이를 순환한다.
도 4는 토너 용기 홀더(70)에 4개의 토너 용기(32(Y, M, C, K))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토너 보급 장치(60)에 토너 용기(32Y)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각 색의 토너 보급 장치(60(Y, M, C, K))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5에서는 토너 보급 장치(60)와 토너 용기(32Y) 만을 부호(Y, M, C, K) 없이 설명한다. 색마다 다른 구성이 있는 경우는 특정의 색을 나타내는 부호인 Y, M, C 또는 K를 이용한다. 색마다 다른 구성이 아닌 경우, 또는 모든 색에 공통의 구성인 경우에는 Y, M, C, K 부호를 사용하거나 부호를 적절히 생략할 수 있다. 도 4에서, 화살표 Q는 각 색의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을 나타내고, Q1은 각 색의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방향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프린터(100)의 토너 용기 홀더(70)에 장착된 토너 용기(32(Y, M, C, K))) 내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기구(50) 내의 토너 소비에 따라 적절하게 현상 기구로 보급된다. 이때, 토너 용기(32) 각각에 담겨진 토너는 각 색의 토너 보급 장치(60)에 의해 보급된다. 토너 보급 장치(60)는 토너 용기 홀더(70), 노즐로서의 반송 노즐(611), 본체 반송 부재로서의 반송 스크류(614), 토너 낙하 경로(64), 용기 회전부로서의 구동부(91)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해 토너 용기(32)가 도 5에서 장착 방향(Q)으로 밀어 넣어지는 장착 동작이 수행되고 토너 용기(32)가 장착 방향(Q)을 따라 프린터(100)의 토너 용기 홀더(70) 내에서 이동되면, 그 장착 동작에서 토너 용기(32)의 전단측으로부터 토너 보급 장치(60)의 반송 노즐(611)이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토너 용기(32)와 반송 노즐(611)이 서로 연통한다. 장착 동작에 따른 연통의 구성은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각 색의 토너 용기(32)는 토너 병으로 지칭될 수 있다. 토너 용기(32)는 주로 토너 용기 홀더(70)에 회전 불가능하게 보관 유지되는 용기 커버로서의 용기 전단측 커버(34)를 포함하고, 용기측 기어로서의 용기 기어(301)와 일체로 형성된 분체 수용부로서 대략적으로 원통형인 용기 본체(33)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33) 각각은 용기 전단측 커버(3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보관 유지되어 있다. 도 5에서 세팅 커버(608)는 토너 용기 홀더(70)의 용기 커버 수용부(73)의 일부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용기 홀더(70)는 주로 삽입구 형성부(71), 용기 수용부(72) 및 용기 커버 수용부(73)를 포함한다.
삽입구 형성부(71)는 토너 용기(32(Y, M, C, K))의 장착 동작에 사용되는 삽입 개구로서의 삽입구(71a)를 형성한다. 복사기(500)의 전방측(도 2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 전방측)에 설치된 본체 커버를 개방하면, 토너 용기 홀더(70)의 삽입구 형성부(71)가 노출된다. 종방향이 수평 방향에 평행하도록 토너 용기(32(Y, M, C, K)))를 배향한 상태로 복사기(500)의 전방으로부터 토너 용기(32)의 착탈 조작(토너 용기(32(Y, M, C, K)))의 종방향을 각 색의 토너 용기(32)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해 착탈되는 착탈 방향으로서 취한 착탈 조작)을 실시한다.
용기 수용부(72)는 토너 용기(32)의 용기 본체(33(Y, M, C, K))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용기 수용부(72)는 토너 보급 장치(60)에 토너 용기(32(Y, M, C, K))를 장착시 토너 용기(32(Y, M, C, K))을 활주 이동시키는 부분이다. 용기 수용부(72)는 토너 용기(32(Y, M, C, K))의 길이 방향(착탈 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W)으로 4개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용기 수용부(72)는 각 용기 본체(33)의 종방향을 따라 삽입구 형성부(71)로부터 용기 커버 수납부(73)까지 연장되는 용기 장착부로서의 홈부(gutter)를 포함한다. 각 색의 토너 용기(32(Y, M, C, K))는 이 홈부 상에서 종방향으로 활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기 수용부(72)는 그 종방향 길이가 각 색의 용기 본체(33(Y, M, C, K))의 종방향 길이와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 커버 수용부(73)는 각 색의 토너 용기(32(Y, M, C, K))의 용기 전단측 커버(34(Y, M, C, K))와 용기 본체(33(Y, M, C, K))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용기 커버 수용부(73)는 용기 수용부(72)에 있어서의 종방향(착탈 방향)의 용기 전단측(장착 방향(Q) 하류측)에 설치되며, 삽입구 형성부(71)는 용기 수용부(72)에 있어서의 종방향의 일단측(이탈 방향(Q1)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4개의 토너 용기(32(Y, M, C, K))는 용기 수용부(72) 상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토너 용기(Y, M, C, K)의 장착 동작에 따라, 용기 전단측 커버(34(Y, M, C, K))는 먼저 삽입구 형성부(71)를 통과하고 잠시 동안 용기 수용부(72) 위를 활주한 후 용기 커버 수용부(73)에 장착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용기 본체(33) 상에 기어로서의 용기 기어(301)가 설치된다. 각각의 용기 본체(33)에서는 용기 전단측 커버(34)가 용기 커버 수용부(73)에 장착된 상태로, 구동 모터와 구동 기어 등을 포함하는 구동부(용기 회전부)(91)로부터 장치 본체측 기어로서의 용기 구동 기어(601)를 통해 각각의 용기 기어(301)에 회전 구동이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각 색의 용기 본체(33)는 도 5에서 화살표(A) 방향(이하 회전 방향(A)으로 지칭됨)으로 회전된다.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는 각각의 용기 본체(33)의 회전을 통해 용기 본체(33)의 내면 상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선형 리브(302)에 의해 용기 본체의 종방향을 따라 도 5에서 우측 일단으로부터 도 5에서 좌측의 타단으로 반송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선형 리브(302Y)가 회전 반송부로서 사용된다. 결국, 용기 전단측 커버(34)가 설치된 토너 용기(32)의 타단으로부터 반송 노즐(611Y)에 형성된 분체 수용구로서 상향 개구된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 내에 각 색의 토너가 공급된다. 각각의 노즐 개구(610)는 각각의 용기 본체(33Y)의 종방향으로 용기 기어(301)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해 안쪽의 위치에서 셔터 지지부(후술됨)의 셔터측 개구로서의 개구(335b)와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용기 기어(301)는 각각의 노즐 개구(610)와 셔터 지지부의 개구(335b)가 서로 연통하는 위치에 대해 용기 개구(33a)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용기 구동 기어(601)와 서로 맞물린다.
각각의 반송 노즐(611Y) 내에는 반송 스크류(614Y)가 배치되어 있다. 반송 스크류(614Y)는 구동부(용기 회전부)(91)로부터 반송 스크류 기어(605)로 회전 구동이 입력될 때 회전되어 반송 노즐(611) 내에 공급된 토너를 반송한다. 반송 노즐(611)의 반송 방향 하류단은 토너 낙하 경로(64)에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반송 스크류(614)에 의해 반송된 토너는 토너 낙하 경로(64)를 따라 자중 낙하되어 현상 기구(50)(제2 현상제 수용부(54)) 내에 보급된다.
토너 용기(32(Y, M, C, K))는 각각 수명의 말미(수용하는 토너가 거의 모두 소비되어 용기가 비워질 때)에 신품으로 교환된다. 도 4에서 토너 용기(32(Y, M, C, K))의 종방향에 있어서의 용기 전단측 커버(34(Y, M, C, K))와는 반대측의 단부, 즉 이탈 방향(Q1) 하류측에 손잡이(303(Y, M, C, K))가 설치된다. 토너 용기 교환 시에는 작업자가 손잡이(303(Y, M, C, K))를 잡아당겨 토너 용기 홀더(70)에 장착된 토너 용기(32(Y, M, C, K)를 떼어낼 수 있다.
구동부(91)의 구성을 도 6을 참조로 아래에 더 설명한다. 도 6에서, 색을 나타내는 부호는 생략한다. 구동부(91)는 각 색의 용기 구동 기어(601)와 반송 스크류 기어(605)를 포함한다. 용기 구동 기어(601)는 각 설치 기판(602)에 고정된 구동 모터(603)가 구동되어 그 출력 기어가 회전될 때 회전 구동된다. 각각의 반송 스크류 기어(605)는 각 색의 연결 기어(604)를 통한 출력 기어의 회전을 받는 것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보급 장치(60)에서는 각각의 반송 스크류(614)의 회전수에 의해 현상 기구(50)로의 토너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반송 노즐(611) 내를 통과한 토너는 현상 기구(50)로의 토너 공급량을 제어할 필요없이 토너 낙하 경로(64)를 통해 직접 현상 기구(50)로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을 토너 용기(32) 내에 삽입하도록 된 토너 보급 장치(60)에서도 토너 호퍼 등의 토너 일시 저장부를 설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토너 용기(32(Y, M, C, K)) 및 토너 보급 장치(60(Y, M, C, K))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Y, M, C, K)) 및 토너 보급 장치(60(Y, M, C, K))는 각각 사용하는 토너의 색이 다른 것 외는 거의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에서 토너의 색을 나타내는 부호 Y, M, C, K는 생략하고 하나의 토너 용기(32)와 하나의 토너 보급 장치(6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토너 용기(32)를 장착하기 전의 토너 보급 장치(60)와 용기 전단측의 토너 용기(32)의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토너 용기(32)의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용기(32)를 장착한 상태의 토너 보급 장치(60)와 용기 전단측의 토너 용기(32)의 단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보급 장치(60)는 내부에 반송 스크류(614)를 갖춘 반송 노즐(611)과 노즐 개폐 부재로서의 노즐 셔터(612)를 포함한다. 노즐 셔터(612)는 토너 용기(32)가 장착되기 전의 비장착시(도 1의 상태)에 노즐 개구(610)를 폐쇄하고 토너 용기(32)가 장착된 장착시(도 8의 상태)에는 노즐 개구(610)를 개방하도록 반송 노즐(611)의 외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노즐셔터(612)는 노즐 삽입 부재(후술됨)로서 노즐 수납 부재(330)에 있어서의 반송 노즐(611)과 접하는 단면보다 장착 방향 하류측의 플랜지로서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32)의 전단의 중앙에는 장착시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는 노즐 삽입 개구로서의 노즐 수용구(331)가 제공되며, 비장착시에 노즐 수용구(331)를 폐쇄하는 개폐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332)가 배치된다.
세트 커버(608)의 중앙에 반송 노즐(611)이 배치되어 있다. 반송 노즐(611)은 토너 용기(32)의 장착 방향(Q)으로 하류측에 위치된 용기 세트부(615)에 있어서의 장착 방향 내측인 단부면(615b)으로부터 장착 방향 상류측을 향해 용기 커버 수용부(73) 내에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용기 수용부로서의 용기 세트부(615)는 반송 노즐(611)을 둘러싸도록 반송 노즐(611)의 돌출 방향, 즉 토너 용기(32)의 장착 방향 상류측으로 기립 방식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세트부(615)는 반송 노즐(611)의 베이스에 배치되며, 토너 용기(32) 내의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토너 용기(32) 내의 회전 반송 수단이 회전할 때 회전축부로서 기능하는 용기 개구부(33a)의 토너 용기 홀더(70)에 대한 위치 결정부로서 사용된다. 즉,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세트부(615)에 삽입되어 결합되면, 용기 개구부(33a)의 반경 방향 위치가 확정된다. 토너 용기(32)는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면(33b)이 용기 세트부(615)에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용기 세트부(615)의 내면(615a)과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의 외면(33b)의 결합에 의해 토너 용기(32)의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한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착탈 방향)에 직교하는 반경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토너 용기(32)의 회전시, 용기 개구부(33a)의 외면(33b)은 회전축부로서 기능하고 용기 세트부(615)의 내면(615a)은 베어링으로서 기능한다. 도 8에서, α는 용기 개구부(33a)의 외면(33b)이 용기 세트부(615)의 내면(615a)과 활주 접촉되고 토너 용기(32)의 토너 보급 장치(60)에 대한 반경 방향의 위치가 결정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하 토너 용기(32)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는 토너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33)와 용기 전단측 커버(34)를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도 9는 용기 전단측 커버(34)가 분리되는 용기 본체(33)의 구성과 용기 본체(33)에 부착된 노즐 수납 부재(330)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노즐 수납 부재(330)가 용기 본체(33)에 부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는 대략 원통형이며, 종방향으로 토너 용기(32)의 중심축인 회전축(O)으로서의 원통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하,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에 있어서 노즐 수용구(331)가 제공된 토너 용기(32)의 일측(용기 전단측 커버(34)가 배치되어 있는 측)을 "용기 전단측"으로 부르기로 한다. 토너 용기(32)에 있어서 손잡이(303)가 배치되어 있는 타측(용기 전단측과는 반대측)을 "용기 후단측"으로 부르기로 한다. 토너 용기(32)의 종방향은 회전축 방향이며, 토너 보급 장치(60)에 토너 용기(32)를 장착한 상태에서 종방향은 수평 방향에 대응한다. 용기 본체(33)의 용기 기어(301)보다 용기 후단측은 용기 전단측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그 내면 상에는 나선형 리브(302)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33)가 도면에서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면,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는 나선형 리브(302)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용기 후단측)으로부터 타단측(용기 전단측)을 향하는 반송력이 부여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용기 전단측의 내벽에는 분체 스쿠핑부로서의 스쿠핑부(304)가 제공된다. 스쿠핑부는 용기 본체(33)가 도면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나선형 리브(302)에 의해 용기 전단측으로 반송된 토너를 상방으로 퍼 올린다. 스쿠핑부(304)는 나선형 리브(302)의 반송력에 의해 반송된 토너를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그 스쿠핑면(3040)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방으로 퍼 올린다. 따라서, 삽입된 반송 노즐(611)보다 상방으로 토너를 퍼 올릴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핑부(304)의 내면에도 나선형 리브(302)와 유사하게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가 제공된다.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는 나선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토너를 스쿠핑면(3040)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로 되어 있다. 스쿠핑부(304)를 상세하게 후술한다.
용기 본체(33)의 스쿠핑부(304)보다 용기 전단부에는 용기 기어(301)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전단측 커버(34) 상에는 용기 전단측(34)이 용기 본체(33)에 장착될 때 용기 기어(301)의 일부(도 7에서 먼쪽)가 노출되도록 기어 노출 개구부(34a)가 설치되어 있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기어 노출 개구부(34a)로부터 노출된 용기 기어(301)는 토너 보급 장치(60)의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린다. 용기 기어(301)는 용기 구동 기어(601)와 맞물릴 수 있도록 용기 본체(33)의 종방향으로 노즐 개구(610)에 대해 용기 개구부(33a)(용기 개구부(33a)의 근방)에 설치된다. 용기 기어(301)는 용기 구동 기어(601)에 서로 맞물리는 것으로 회전 반송 수단을 회전시킨다.
용기 본체(33)의 용기 기어(301)보다 용기 전단측에는 원통형의 용기 개구부(33a)가 용기 기어(301)와 동축이 되도록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개구부(33a)에 용기 개구부(33a)와 동축이 되도록 노즐 수납 부재(330)의 노즐 수납 부재 고정부(337)을 압입하는 것으로써 용기 본체(33)에 대해 노즐 수납 부재(330)를 부착할 수 있다. 토너 용기(32)는 용기 본체(33)에 대해 그 일단측에 설치된 개구부로서의 용기 개구부(33a)로부터 토너를 충전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 부재(330)를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에 삽입 및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용기 개구부(33a)는 반송 노즐(611)을 토너 용기(32)의 회전 중심으로서의 위치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와 용기 기어(301)의 사이에는 규제자로서의 커버 후크 스토퍼(306)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후크 스토퍼(306)는 용기 전단측 커버(34)의 장착 방향 전단부에 회전 방향(외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을 가진다.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전단측 커버(34)는 토너 용기(32)(용기 본체(33))에 용기 전단측(도 8의 좌하측)으로부터 설치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는 종방향으로 용기 전단측 커버(34)를 관통하고 커버 후크(341)가 규제자로서의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결합된다. 용기 본체(33)와 용기 전단측 커버(34)는 커버 후크(341)가 커버 후크 스토퍼(306)와 결합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토너 용기(32)가 도 5에 도시된 토너 용기 홀더(70)에 의해 유지되면, 가압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압축시키는 응력(복원력)과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압축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에 인가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32)는 화상 형성용 토너를 담고 있는 토너 용기(32)가 장착되는 복사기(500)에 장착 가능하다. 복사기(500)는 토너를 반송하는 반송 노즐(611)과, 반송 노즐에 제공된 분체 수용구로서의 노즐 개구(610)를 개폐시키는 분체 수용구 개폐 부재로서의 노즐 셔터(612)와, 노즐 개구(610)를 폐쇄하도록 노즐 셔터(612)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노즐 셔터 스프링(613)과, 토너 용기(32) 내의 회전 반송부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장치 본체 기어로서의 용기 구동 기어(601)와, 반송 노즐(611)과 동축이 되도록 반송 노즐(611) 주변에 배치되고 토너 용기(32)를 수납하는 용기 수납부로서의 용기 세트부(615)를 포함한다.
이하 용기 본체(33)에 장착된 노즐 수납 부재(330)를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 부재(330)는 지지부로서의 용기 셔터 지지부(340)와, 용기 셔터(332)와, 밀봉부로서의 용기 밀봉부(333)와, 가압 부재로서의 용기 셔터 스프링(336)과, 노즐 수납 부재 고정부(337)를 포함한다. 용기 셔터 지지부(340)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다. 셔터 지지부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와 개구(335b)는 2개의 대향하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원통부의 일부를 구성하고 셔터 지지부의 개구(335b)에 대응하는 부분들(2개 부분)이 원통부로부터 크게 절단되도록 용기 셔터 지지부(340) 상에 토너 용기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라, 용기 셔터(332)를 원통부의 내부 원통형 공간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용기 본체(33)에 장착되는 노즐 수납 부재(330)는 용기 본체(33)의 회전시에 용기 본체(33)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노즐 수납 부재(330)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토너 보급 장치(60)측의 반송 노즐(611)의 주위를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하고 있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반송 노즐(611)의 상부에 형성된 노즐 개구(610)의 바로 위 공간을 교대로 통과한다. 결국, 노즐 개구(610)의 상방으로 토너가 잠깐 퇴적하는 경우에도, 그 퇴적 토너를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횡단해 무너뜨리므로, 장치가 가동되지 않을 때 퇴적된 토너가 응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장치가 재가동될 때 토너의 반송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반송 노즐(611)의 측방에 위치하고 노즐 개구(610)와 셔터 지지부의 개구(335b)가 서로 대향되면, 도 8의 화살표(β)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가 반송 노즐(611) 내로 공급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는 폐쇄 부재로서의 전단 원통부(332c), 활주부 또는 밀봉부로서의 활주 영역(332d), 신장부로서의 가이드 로드(332e) 및 셔터 후크(332a)를 포함한다. 전단 원통부(332c)는 용기 밀봉부(333)의 원통 개구(수용구(331))와 밀착될 용기 전단측의 부분이다. 활주 영역(332d)은 전단 원통부(332c)보다 용기 후단 측에 형성된 원통부이다. 활주 영역(332d)은 전단 원통부(332c)보다는 외경이 조금 크고,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의 내면 상에서 활주된다.
가이드 로드(332e)는 전단 원통부(332c)의 원통 내부로부터 용기 후단측으로 기립한 원통부이다. 가이드 로드(332e)는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코일 내부에 삽입되며 용기 셔터 스프링(336)이 좌굴되지 않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을 안내하는 로드 부분이다. 셔터 후크(332a)는 가이드 로드(332e)가 기립되는 베이스에 반대측의 단부 상에 제공되어, 용기 셔터(332)가 용기 셔터 지지부(340)로부터 탈락되지 않게 하는 한 쌍의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전단부는 전단 원통부(332c)의 내벽면에 연접되고,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후단측 단부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벽면에 연접된다. 이때, 용기 셔터 스프링(336)은 압축한 상태이므로, 용기 셔터(332)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용기 전단 방향)으로 작용력을 받는다. 그러나, 용기 셔터(332)의 용기 후단측의 단부에 형성된 셔터 후크(332a)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의 외벽 상에 걸린다. 따라서, 용기 셔터(332)는 셔터 후단 지지부(33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셔터 후크(332a)와 셔터 후단 지지부(335) 사이의 걸림 상태와 용기 셔터 스프링(336)의 작용력에 기인하여 위치 결정이 수행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할 때, 토너 보급 장치(60)의 노즐 셔터(612)의 노즐 셔터 플랜지(612a)가 노즐 셔터 스프링(613)의 작용력을 받아 용기 밀봉부(333)의 돌출부를 압박 변형시킨다. 노즐 셔터 플랜지(612a)는 더 내측으로 이동되어 도 11에 도시된 노즐 셔터 배치 리브(337a)의 용기 전단부에 연접됨으로써 용기 밀봉부(333)의 전단측 단면을 용기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밀봉한다. 따라서,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구(331)에 있어서의 반송 노즐(611) 주위의 밀봉성을 확보하여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의해 작용력을 받은 노즐 셔터 플랜지(612a)의 표면의 후측은 노즐 셔터 스프링(613)에 연접됨으로써 노즐 셔터(612)의 토너 용기(32)에 대한 종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 따라서, 용기 밀봉부(333)의 전방 단부면, 전단 개구(305)(후술하는 용기 개구부(33a) 내에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의 수용 부재 고정부(337)의 내부 공간)의 전방 단부면 및 노즐 셔터(612)의 종방향의 위치 관계가 정해진다.
다음에, 용기 셔터(332)와 반송 노즐(611)의 동작에 대해 도 1, 도 8 및 도 12a~12d를 참조로 설명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하기 전 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는 수용구(33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측으로 용기 셔터 스프링(336)에 의해 작용력을 받는다. 이때의 용기 셔터(332)와 반송 노즐(611)의 외관을 도 12a에 나타낸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하면,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이 수용구(331)에 삽입된다. 토너 용기(32)를 토너 보급 장치(60)로 한층 더 밀어넣으면, 용기 셔터(332)의 단면이 되는 전단 원통부(332c)의 단부면(332h)(이하, "용기 셔터의 단면(332h)"으로 지칭됨)과 반송 노즐(611)의 삽입 방향으로 반송 노즐(611)의 단면으로서의 전단부(611a)(이하, "반송 노즐의 전단부(단부면)(611a)"로 지칭됨)이 서로 접촉된다. 전술한 상태로부터 토너 용기(32)를 한층 더 밀어넣으면,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셔터(332)가 밀어 넣어진다. 따라서,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노즐(611)이 수용구(331)로부터 셔터 후단 지지부(335)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내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어 세트 위치가 된다. 이때, 도 1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는 셔터 지지부의 개구(335b)와 겹쳐지는 위치에 있다.
이후, 용기 본체(33)가 회전하면, 스쿠핑부(304)에 의해 반송 노즐(611)보다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퍼 올려진 토너가 상향 개구된 노즐 개구(610)를 통해 반송 노즐(611) 내에 낙하되어 도입된다. 반송 노즐(611) 내에 도입된 토너는 반송 스크류(614)가 회전하는 것으로 반송 노즐(611) 내로 토너 낙하 경로(64)측으로 반송된다. 이후, 토너는 토너 낙하 경로(6)를 통해 현상 기구(50)로 낙하되어 공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가 스쿠핑부(304)에 의해 퍼올려져서, 용기 본체(33)에 장착된 노즐 수납 부재(330)의 개구로서의 전단측 개구(305)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로 공급되면, 일부의 경우, 토너의 유동성, 용기 본체(33)의 회전수 등에 따라 토너를 스쿠핑부(304)로부터 노즐 개구(610)로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스쿠핑부(304)(용기 본체(33))의 구성을 연구하여 일부 효과적인 구성을 발견하였다. 그 구성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측에 형성된 스쿠핑부(304)는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용기 개구부(33a)측으로 반송된 토너(T)를 퍼올려 노즐 개구(610)(도 15 참조)로 공급한다. 용기 개구부(33a)에는 노즐 수납 부재(33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하, 스쿠핑부(304)의 설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는 노즐 수납구(331)로서 설명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부(304)는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으로부터 연장되는 스쿠핑면(3040)을 포함한다. 스쿠핑면(3040)에서 회전축(O)측의 내측 단부(3040a)가 용기 본체(33)의 회전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쿠핑부(304)의 내측 단부(3040a) 상의 회전축(0)측에 형성된 에지(측면)(3042)가 회전축(O)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의 회전축(O)측으로 돌출된 부분(33c')과 스쿠핑면(3040) 사이에 회전축(O)을 따른 릿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쿠핑면(3040)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가상선(X)에 대해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의 상류측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경사진다. 가상선(X)은 회전축(O)을 통과하고 회전축(O)에 수직한 단면에서 스쿠핑면(3040)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에 접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사각(θ)의 소정 범위는 25도 ±5도로 설정된다. 에지(측면)는 날카로운 에지 또는 둥근 에지일 수 있다.
도 15에서는 스쿠핑면(3040)을 회전 방향으로 2개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스쿠핑면(3040)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쿠핑면(3040)을 복수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쿠핑면들을 복수의 에지(측면)(3042)가 회전축(O)에 대해 점대칭이고 회전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인 위치(예컨대 180도 간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의 유효 범위에 관하여 평가 모델을 작성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것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평가용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기(500)에 스쿠핑면의 경사각(θ)을 변경한 복수의 평가 모델로서 제작된 토너 병을 장착하고, 용기 본체(33)를 일정 속도로 일정 시간 회전시킨 후 용기 내의 토너 잔량을 측정하였다.
스쿠핑면의 경사각(θ)(°) 토너 잔량 (g) 토너 보급량의 추종성(%)
네거티브(-) 양호하지 않음 무평가
0 양호 35
15 양호 70
25 양호 100
표 1은 평가 결과의 리스트이다. 표 1에서,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은 회전축(0)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가상선(XI)(도 15 참조)에 대략 평행하게 스쿠핑면(3040)이 위치하는 상태를 0도로 하고, 스쿠핑면(3040)의 위치가 가상선(X1)보다 상측(회전 방향(A)으로 하류측)인 경우를 플러스(+), 스쿠핑면(3040)의 위치가 가상선(X1)보다 하측( 회전 방향(A)으로 상류측)인 경우를 마이너스(-)로 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가상선 X와 X1가 중복되는 위치 관계, 즉, 회전축(O) 및 에지(측면)(3042)가 수평으로 배치될 때, 스쿠핑면(3040)이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으로 상류측으로 경사진 경우를 플러스(+), 스쿠핑면(3040)이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으로 하류측으로 경사진 경우를 마이너스(-)로 하고 있다.
또한, 가상선(X)에 대한 스쿠핑면(3040)의 각도(θ)를 경사각(θ)으로 부른다. 가상선(X)은 회전축(O)을 통과하고 토너 용기(32)의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 상의 에지(측면)(3042)에 접하는 직선을 그리는 것에 의해 작성된다. 2개의 스쿠핑면(3040)을 갖는 토너 용기(32)의 경우에는 2개의 에지(측면)(3042)에 접하는 직선을 그리는 것에 의해 가상선(X)을 작성할 수 있다.
토너 잔량(g)은 용기 본체(33) 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T)의 양을 나타낸다.
토너 보급량의 추종성은 미리 정해진 설정 보급량에 대한 실제 보급량(실 보급량)의 차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추종성 100%는 실 보급량이 설정 보급량과 같아서 토너 보급 부족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은 현상 장치(50)(도 4 참조)에 대해 필요 충분량의 토너(T)를 보급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상태이다. 추종성의 수치가 저하됨에 따라 실 보급량이 설정 보급량으로부터 감소됨으로써 현상 장치(50)(도4 참조)에 대한 토너 공급량이 저하된다. 경사각(θ)이 네거티브(-)인 경우, 토너 잔량이 양호하지 않아서 추종성의 평가를 수행하지 않았다(표 1 참조).
경사각(θ)이 다른 스쿠핑면(3040)을 갖는 용기 본체(33)에 이용하는 토너에는 동일한 겉보기 밀도(겉보기 벌크 밀도 또는 루즈 겉보기 밀도)(g/cm3)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겉보기 밀도(g/cm3)는 변동을 고려하여 0.41~0.48 g/cm3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용기 본체(33) 내에 잔류하는 토너량(토너 잔량)은 예컨대 15 g를 기준치로 하여 이 기준치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준치는 용기 본체(33)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전술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은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마이너스 측으로 한 경우의 스쿠핑 특성으로서 토너 잔량과 보급량의 관계를 예시한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θ)을 마이너스 측으로 설정하면, 토너 잔량이 기준치보다 훨씬 크고 토너 잔량이 기준치에 도달하지 않는다.
도 17은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변경한 경우의 스쿠핑 특성으로서 토너 잔량과 보급량의 관계를 예시한다. 경사각(θ)은 0도, 15도 및 25도로 설정된다. 모든 경사각(θ)에서 토너 잔량은 기준치에 도달한다. 예컨대, 토너 잔량이 75g 이하로 작은 영역과 같이, 토너 잔량이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있는 경우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 영역에서는, 경사각(θ)이 0도<15도<25도가 되도록 증가함에 따라서 토너 보급량이 가장 안정한 상태에 도달하고 추종성이 최고값에 도달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은 토너 잔량(g) 및 토너 보급량의 추종성(%)을 고려하면 25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조 오차도 고려하면, 경사각(θ)을 25도 ± 5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용기 본체(33)의 회전수(rpm)와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의 관계에 대한 평가 모델을 작성하여 평가하였다. 이것을 아래에 설명한다.
용기 본체의 회전수(rpm) 토너 배출량 환경 변화에 따른 토너 보급량의 변화
95 양호 -
110 95 rpm보다 양호 우수
130 110 rpm보다 양호 양호
표 2는 동일한 겉보기 밀도(g/cm3)의 토너(T)를 사용하고 용기 본체(33)의 회전수(rpm)를 변경한 경우의 평가 결과의 리스트이다. 평가 방법으로서는 평가용 화상 형성 장치에 복수의 평가 모델로서 제작한(실험적으로 생산한) 토너 병을 장착하고 용기 본체(33)의 회전수를 변경하여 각 회전수에서의 토너 배출량을 측정하였다.
토너 배출량(g)은 용기 본체(33)가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 얻어진 배출량을 나타낸다. 배출량의 값은 토너 보급량에 해당한다.
환경 변화에 따른 토너 보급량의 변화는 조건 변동에 따른 토너의 배출성의 변동을 나타낸다.
도 18은 용기 본체(33)의 회전수(rpm)를 변경한 경우의 토너 잔량(g)과 용기 본체(33)로부터의 배출량(g)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33)의 회전수(rpm)를 95 rpm, 110 rpm, 130 rpm의 3개 레벨로 설정하였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회전수(rpm)를 변경하더라도 토너 보급량으로서의 배출량(g)은 안정적이고, 보급량(g)은 95 rpm<110 rpm<130 rpm의 회전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평가 모델의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과 토너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스쿠핑 특성으로서 토너 잔량과 배출량의 관계를 비교한 다이어그램이다.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은 10도, 15도, 20도의 3개 레벨로 설정된다. 도 19a는 용기 본체(33)가 130 rpm으로 회전하고 환경 조건을 N1 조건으로 설정한 경우의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9b는 용기 본체(33)가 130 rpm으로 회전하고 환경 조건을 N2 조건으로 설정한 경우의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N1 조건은 토너 배출성이 좋은 조건이고, 예컨대 LL(낮은 온도/낮은 습도) 환경 등이다. N2 조건은 토너 배출성이 나쁜 조건이고, 예컨대 HH(높은 온도/높은 습도) 환경 등이다. 도 19a 및 도 19b에서는 N1 조건에서 10℃의 온도와 15%의 습도에서 그리고 N2 조건에서 45℃의 온도와 32%의 습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표준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MM(중간 온도/중간 습도) 환경 등이고, 23℃의 온도와 50%의 습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N1 조건으로부터 N2 조건으로의 환경 변화를 환경 변동으로서 간주한다.
도 20a 및 도 20b는 평가 모델의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과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스쿠핑 특성으로서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관계를 비교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0a는 용기 본체(33)가 110 rpm으로 회전하고 환경 조건을 N1 조건으로 했을 때의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0b는 용기 본체(33)가 110 rpm으로 회전하고 환경 조건을 N2 조건으로 했을 때의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N1과 N2의 조건들은 도 19a 및 도 19b에 예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19a 및 도 1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회전수가 130 rpm인 경우,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이 10도, 15도, 또는 20도로 변경되더라도, N1 조건 쪽이 N2 조건보다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변동이 적은 경향을 나타낸다.
도 20a 및 도 2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회전수가 110 rpm인 경우도 130 rpm인 경우와 유사하게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이 10도, 15도, 또는 20도로 변경되더라도, N1 조건 쪽이 N2 조건보다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변동이 적은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19a와 도 20a를 서로 비교하면, 도 2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가 110 rpm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도 1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가 13O rpm으로 회전하는 경우보다 변동이 적은 경향이 있다.
이상으로부터,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소정 범위 내에서 변경한 경우에도, 용기 본체(33)의 회전수가 110 rpm 근방이면, 토너 잔량과 배출량 사이의 변동이 적고 안정적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 본체(33)의 회전수(rpm)를 110 rpm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수(rpm)의 상한 및 하한과 관련하여,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토너 잔량과 배출량의 특성이 95 rpm 및 130 rpm의 경우가 110 rpm의 경우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하한을 95 rpm, 상한을 13O rpm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으로의 회전은 소정 회전수의 범위인 110 rpm ± 15 rpm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25도 ± 5도로 설정하고,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으로의 회전수를 110 rpm ± 15 rpm으로 하고, 겉보기 밀도(g/cm3)가 0.41~0.48 g/cm3의 범위인 토너(T)를 사용하면,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로 토너가 공급될 때까지 스쿠핑면(3040)으로부터 토너가 낭비되게 흘리는 것이 없고, 스쿠핑면(3040)이 토너(T)를 보유한 상태로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통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쿠핑면(3040)은 적절한 위치까지 토너(T)를 퍼올릴 수 있으므로, 겉보기 밀도, 환경 등에 따라 토너의 유동성이 변하는 조건에 있는 경우에도 노즐 개구(610) 내로의 토너 유입량의 변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1a, 도 21b, 도 22a 및 도 22b는 상술한 평가 모델(시제 모델)의 분체 용기보다는 양산 모델로서 제작한 토너 병(32)을 실제 기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단일체 시험기(토너 보급 단일체 시험기)에 장착하여 동작시키도록 수행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21a 및 도 21b는 양산 모델의 용기 본체(33)의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마다의 토너 배출량을 동일 조건하에서 비교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1a는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0°, 15°, 25°, 45°로 설정한 4개의 양산 모델의 용기 본체(33)를 실제 기계에 장착하여 95 rpm의 회전수로 회전시킨 경우의 토너 배출량(g)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21b는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0°, 15°, 25°, 45°로 설정한 4개의 양산 모델의 용기 본체(33)를 실제 기계에 장착하여 120 rpm의 회전수로 회전시킨 경우의 토너 배출량(g)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평가는 토너 잔량이 적은 영역의 토너 배출량(g)이 높을수록 우수하다. 도 2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낮은 회전수(95 rpm)에서는 경사각(θ)이 15°와 30°에서 거의 동일하게 배출량이 피크 값을 나타낸다. 그러나, 0도의 경사각(θ)에서 배출량이 가장 낮으므로, 배출량은 경사각(θ)이 45도로 증가되는 경우 감소된다. 이에 대해, 도 2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높은 회전수(120 rpm)에서는 경사각(θ)이 15°에서 피크를 나타내고, 경사각(θ)이 30°와 45°에서 거의 동등하게 제2 피크 값을 나타내고, 경사각(θ)이 0°에서 가장 낮다. 실제 기계의 병의 회전수에 대한 목표 값은 전술한 2개의 조건 사이에서 설정되며, 따라서 최적의 경사각(θ)은 15~30도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실제 기계에 의한 인쇄의 경우, 토너 배출량이 클수록 인쇄 면적이 큰 화상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토너 잔량이 많은 레벨에서의 배출량이 기계에서 요구하는 배출량으로서 파선으로 나타낸 요구 배출량보다 낮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요구 배출량을 기준으로 각 경사각(θ)의 도식을 서로 비교하면, 경사각(θ)이 15°와 30°에서 가장 우수하고, 잔량 5g 정도까지 배출량이 요구 배출량을 상회하는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두 번째 우수한 경우는 경사각(θ)이 45°인 경우이고, 잔량이 15~25g 정도까지 배출량이 요구 배출량을 상회하는 목표를 달성한다. 가장 낮은 경우는 경사각(θ)이 0°인 경우이고, 잔량이 60~90g까지밖에 배출량이 요구 배출량을 상회하는 목표를 완전하게 달성하고 있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최적의 경사각(θ)은 15°~30°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된다.
도 22a 및 도 22b는 양산 모델의 용기 본체(33)의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마다의 토너 보급량의 환경 부하에 의한 변동폭을 비교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2a는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15°로 설정한 양산 모델의 용기 본체(33)를 실제 기계에 장착하여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시킴과 함께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토너 보급량(g/sec)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도 22b는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을 25°로 설정한 양산 모델의 용기 본체(33)를 실제 기계에 장착하여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시킴과 함께 환경 조건을 변경한 경우의 토너 보급량(g/sec)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환경 또는 조건에 의한 보급량 변동이 적을수록 보급이 더 안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는 이러한 보급이 가능한 경우가 우수하다. 도 22a 및 도 2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토너의 겉보기 밀도, 온도, 습도 등)를 가장 우수한 조건으로 설정한 것을 N1 조건, 상기 인자를 가장 불리한 조건으로 설정한 것을 N2 조건으로 상정하고, 도 21a 및 도 21b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정된 95~120 rpm의 범위의 병 회전수와 15~30도 범위의 경사각(θ)에서 환경에 대한 우열을 비교한다. 구체적인 값으로서, 병 회전수가 11O rpm에서 경사각(θ)이 15°와 경사각(θ)이 25°인 용기 본체를 비교한다. 도면 중의 파선은 단위 시간당 목표 보급량(목표치)을 나타낸다. 비교 결과,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이 15°와 25° 모두의 용기 본체에서 토너 잔량이 적은 영역에서 목표 보급량(목표치)이 달성되며, 보급량도 거의 동등하다. 그러나, 표준 조건보다 상측인 N1 조건의 경우와 표준 조건보다 하측인 N2 조건의 경우에서의 보급량 차이인 환경 변동폭의 대소 관계에 중점을 두면, 경사각(θ)이 15°인 경우보다 경사각(θ)이 25°인 환경 변동폭이 작아서 25°의 경사각(θ)이 우위인 것이 확인된다. 또한, N1 조건, N2 조건 및 표준 조건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는 도 19a, 도 19b, 도 20a 및 도 20b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평가 모델 및 양산 모델을 막론하고,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θ)은 회전축(0) 및 에지(측면)(3042)를 통과하는 가상선(X)에 대하여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으로 상류측으로 스쿠핑면(3040)을 25도± 5도의 범위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너 용기(32)의 회전수의 범위는 110 rpm± 15 rp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의 위치와 높이(즉,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의 길이)에 중점을 둔다.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는 회전축(O)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는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되어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시 도 23a에 예시된 위치로부터 도 23c에 예시된 위치로 회전할 때, 도 2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반송 노즐(611)의 단면 범위(W1)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노즐 개구(610)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는 용기 본체(33)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노즐 개구(610)의 적어도 일부와 회전축 방향으로 중복되는 범위이다. 스쿠핑면(3040)은 도 2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가상선(X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즐 개구(610)의 중심은 회전축(O)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가상선(X1)은 노즐 개구(610)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른다. 도 23a에서, X2는 노즐 개구(610)의 상면의 연장선이 되는 가상선을 나타낸다. 이 가상선(X2)은 가상선(X2)과 대략 평행한 면이다. 즉, 제2 실시 형태에서,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를 포함하는 스쿠핑면(3040)은 도 2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면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쿠핑부(304)에는 스쿠핑면(3040)과 대향하는 부위에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은 스쿠핑면(3040)과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로서 스쿠핑부에 형성된 나선형 리브(304a)는 이 공간(S)의 노즐 수납구(331)측을 향해 토너를 반송하도록 사용된다. 스쿠핑부에서 종단부로서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제1 단부(304a1)는 스쿠핑면(3040)에 연결된다. 또한, 개구부에서 먼 쪽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2 단부(304a2)는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보다 이탈 방향(Q1)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단부(304a2)는 도 32에 예시된다. 스쿠핑면(3040)과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 사이의 연결부(S7)는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었을 때의 노즐 개구(610)의 회전축 방향의 개방 범위(W3) 내에 배치된다. 연결부(S7)는 반송부의 시작 위치 또는 시작점(즉,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시작 위치)이 된다. 다시 말해, 반송부는 연결부(S7)에서 스쿠핑면(3040)에 연결되고, 연결부(S7)는 회전축 방향으로 노즐 개구(610)의 개방 범위(W3) 내에 있다. 개방 범위(W3)는 회전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노즐 개구(610)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610c)와 단부(610d) 사이의 간격이다. 즉, 용기 본체(33)에서, 연결부(S7)는 회전축 방향으로 위치하는 노즐 개구(610)의 일단(610c)의 위치(S5)보다 장착 방향(Q)으로 하류측에 위치된다. 스쿠핑부(304)에는 공간(S)의 용기 전단측 영역에 벽부(3041)가 제공된다. 벽부(3041)는 스쿠핑면(3040)과 노즐 수납구(331)에 연결된 용기 전방 벽부가 되며,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벽부(3041)는 회전축 방향으로 공간(S)(토너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스쿠핑면(3040)은 회전 방향으로 공간(S)의 상류측을 형성한다. 벽부(3041)는 노즐 개구(610)의 축방향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개방 범위(W2)는 추후 설명한다. 스쿠핑면(3040) 상의 토너(T)는 공간(S)으로부터 벽부(3041)를 통해 노즐 수납구(331), 즉, 노즐 개구(610)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33)에 설치된 스쿠핑부(304)의 스쿠핑면(3040)과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가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회전 방향으로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인 노즐 개구(610)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스쿠핑면(3040)이 경사질 때에 유동성이 높은 토너가 이른 시기에 스쿠핑면(3040)을 따라 활주 낙하되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결국,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쿠핑면(3040)은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이 상측을 향할 때 가상선(X1)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스쿠핑면(3040)이 회전축(O)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경우에도, 스쿠핑면(3040)은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동성이 낮은 토너가 스쿠핑면(3040) 상에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고, 용기 본체(33) 내의 잔류 토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쿠핑부에 나선형 리브(304a)가 없는 경우, 용기 본체(33)의 회전 속도가 빠르면, 스쿠핑면(3040)의 용기 외주측(회전축(O)에서 먼 내벽면(33c)측)까지 퍼올려진 토너는 스쿠핑면(3040)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측으로 활주 낙하되기 전에 노즐 개구(610)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과 대향하는 공간(S)에 대하여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토너가 반송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회전 변동이나 토너의 유동성이 변화된 경우에도 스쿠핑면(3040)으로 충분한 양의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개구(610)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스쿠핑면(3040)과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제1 단부(304a1) 사이의 연결부(S7)는 노즐 개구(610)의 회전축 방향의 개방 범위(W3) 내에 배치되므로,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는 노즐 개구(610) 주변에 모인다. 따라서, 노즐 개구(610)가 아닌 곳으로 활주 낙하되는 토너량을 감소시켜 스쿠핑면(3040) 상의 토너를 보다 효율적으로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S)의 형상이 개구부로서의 노즐 수납구(331)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공간(S)의 노즐 수납구(331) 근처의 용기 전단 벽부로서의 벽부(3041)의 폭(S2)은 노즐 수납구(331)로부터 먼 측의 폭(S1)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폭(S1, S2)은 회전축(O) 및 스쿠핑면(3040)과 수직한 방향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공간(S)의 형상이 노즐 수납구(331)측에 위치하는 벽부(3041)측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면, 스쿠핑면(3040)으로부터 벽부(3041)를 통해 노즐 수납구(331)로 유동되는 토너량을 벽부(3041)의 폭(S2)의 조정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양의 토너를 노즐 개구(61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부(3041)의 위치(S9)가 노즐 개구(610)의 단부(610d)의 위치(S8)보다 장착 방향(Q)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벽부(3041)를 통과한 토너는 장착 방향(Q)으로 노즐 개구(610) 전방 영역으로 반송된다. 위치(S8)와 위치(S9) 사이의 영역(S10)은 노즐 개구(610)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틀어지고 있기 때문에, 노즐 개구(610)로 공급될 수 없는 잔류 토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부(3041)는 노즐 수납구(331)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었을 때 노즐 개구(610)의 축선 방향으로의 개방 범위(W3)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벽부(3041)의 위치(S9)는 노즐 개구(610)의 단부(610d)의 위치(S8)보다 이탈 방향(Q1)으로 하류측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공급부가 되는 벽부(3041)의 위치를 규정하면, 스쿠핑면(3040) 상의 토너(T)를 벽부(3041)를 통해 노즐 개구(610)로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높이로서 내벽면(33c)으로부터 회전축(O)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h2)이 내벽면(33c)으로부터 스쿠핑면(3040)(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까지의 높이(h1)보다 낮은 경우, 용기 본체(33)가 회전시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모아진 토너가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돌기 너머로 통과될 수 있다.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돌기를 넘어 통과된 토너는 토너 반송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토너를 수납구(331)로 안내하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돌출량(높이)(h2)은 스쿠핑면(3040)의 높이(h1)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쿠핑면(3040)에 의해 토너가 퍼올려지는 동안 토너가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이면(반송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토너를 노즐 개구(61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와 스쿠핑면(3040) 사이의 각도(θ1)는 토너(T)의 안식각(repose angle)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연결부(S7)에서의 스쿠핑면(3040)의 경사각을 각도(θ1)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도(θ1)를 설정하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 상에 토너가 모아지는 것이 적어진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토너를 스쿠핑면(3040)으로 반송할 수 있다. 결국, 스쿠핑면(3040) 상의 토너를 보다 효율적으로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9a~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의 노즐 수납구(331)(용기 개구부(33a))측에 제공된 스쿠핑부(304B)는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노즐 수납구(331)로 반송된 토너(T)를 퍼올려 노즐 개구(610)로 공급한다.
스쿠핑부(304B)는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측에서 용기 본체의 회전축(O)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3040B)을 포함한다(그러나, 스쿠핑면(3040B)의 연장선은 회전축(0)을 통과하지 않는다). 이 스쿠핑면(3040B)에서의 노즐 개구(610) 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3040Ba)는 회전축(O)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에지(측면)(3042B)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B)는 회전축(O)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도 29a에 예시된 위치로부터 도 29c에 예시된 위치로 회전시 도 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반송 노즐(611)의 단면 범위(W1) 내에, 바람직하게는 노즐 개구(610)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비해 스쿠핑면(3040B)은 내벽면(33c)측이 내측 단부(3040Ba)의 에지(측면)(3042B)보다 낮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B)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는 용기 본체(33)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될 때 노즐 개구(610)의 적어도 일부와 회전축 방향으로 중복하는 범위이다. 스쿠핑면(3040B)은 도 2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회전축(O)을 통과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X1)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즐 개구(610)의 중심은 회전축(O)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가상선(X1)은 노즐 개구(610)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른다. 노즐 개구(610)의 상면의 연장선이 되는 가상선(X2)은 가상선(X1)과 대략 평행한 면이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B)를 포함하는 스쿠핑면(3040B)은 도 2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면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쿠핑부(304B)에는 스쿠핑면(3040B)과 대향하는 부위에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은 스쿠핑면(3040B)과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반송부로서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는 공간(S)을 포함하는 스쿠핑부의 노즐 수납구(331)측(용기 전단측)으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는 스쿠핑면(3040B)에 연결된다. 스쿠핑부(304B) 상에서, 스쿠핑면(3040B)과 수납구(331)에 연결된 벽부(3041)(용기 전단 벽부, 도 13 및 도 14 참조)는 공간(S)의 용기 전단부의 부위에 제공된다. 스쿠핑면(3040B) 상의 토너(T)는 공간(S)으로부터 벽부(3041)를 통해 노즐 수납구(331), 즉, 노즐 개구(610)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 본체(33)에 설치된 스쿠핑부(304)의 스쿠핑면(3040)과 용기 본체(33) 상에 배치된 스쿠핑부(304B)의 에지(측면)(3042B)가 도 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노즐 개구(610)의 회전 방향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스쿠핑면(3040B)이 경사질 때에 유동성이 높은 토너가 이른 시기에 스쿠핑면(3040B)을 따라 활주 낙하되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결국,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쿠핑면(3040B)은 도 2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B)이 상측을 향할 때 가상선(X1)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스쿠핑면(3040B)이 회전축(O)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경우에도, 스쿠핑면(3040B)은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동성이 낮은 토너가 스쿠핑면(3040B) 상에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고, 용기 본체(33) 내의 잔류 토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쿠핑부에 나선형 리브(304a)가 없는 경우, 용기 본체(33)의 회전 속도가 빠르면, 용기 본체(33)는 스쿠핑면(3040B)의 용기 외주측(회전축(O)에서 먼 내벽면(33c)측)까지 퍼올려진 토너(T)를 스쿠핑면(3040B)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B)측으로 활주 낙하되기 전에 노즐 개구(610)를 통과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B)과 대향하는 공간(S)에 대하여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토너가 반송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회전 변동이나 토너의 유동성이 변화된 경우에도 스쿠핑면(3040B)으로 충분한 양의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개구(610)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30a~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의 노즐 수납구(331)(용기 개구부(33a))측에 제공된 스쿠핑부(304C)는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노즐 수납구(331)로 반송된 토너(T)를 퍼올려 노즐 개구(610)로 공급한다.
스쿠핑부(304C)는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측에서 용기 본체의 회전축(O)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3040C)을 포함한다(그러나, 스쿠핑면(3040C)의 연장선은 회전축(0)을 통과하지 않는다). 이 스쿠핑면(3040C)에서의 노즐 개구(610) 측에 위치하는 내측 단부(3040Ca)는 회전축(O)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고, 에지(측면)(3042C)가 형성되어 있다. 에지(측면)(3042C)는 회전축(O)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시 도 30a에 예시된 위치로부터 도 30c에 예시된 위치로 회전시 에지(측면)(3042C)는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반송 노즐(611)의 단면 범위(W1)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노즐 개구(610)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C)은 내벽면(33c)측이 내측 단부(3040Ca)의 에지(측면)(3042C)보다 낮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C)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는 용기 본체(33)가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될 때 노즐 개구(610)의 적어도 일부와 회전축 방향으로 중복하는 범위이다. 스쿠핑면(3040C)은 도 3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회전축(O)을 통과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X1)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노즐 개구(610)의 중심은 회전축(O)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가상선(X1)은 노즐 개구(610)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른다. 노즐 개구(610)의 상면의 연장선이 되는 가상선(X2)은 가상선(X1)과 대략 평행한 면이다. 즉,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C)를 포함하는 스쿠핑면(3040C)은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면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쿠핑부(304C)에는 스쿠핑면(3040C)과 대향하는 부위에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S)은 스쿠핑면(3040C)과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다. 반송부로서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는 공간(S) 내에서 노즐 수납구(331)측(용기 전단측)으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는 스쿠핑면(3040C)에 연결된다. 스쿠핑부(304C) 상에서, 스쿠핑면(3040C)과 수납구(331)에 연결된 벽부(3041)(용기 전단 벽부, 도 13 및 도 14 참조)는 공간(S)의 용기 전단부의 부위에 제공된다. 스쿠핑면(3040C) 상의 토너(T)는 공간(S)으로부터 벽부(3041)를 통해 노즐 수납구(331), 즉, 노즐 개구(610)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C)과 용기 본체(33) 상에 배치된 스쿠핑부(304C)의 에지(측면)(3042C)가 도 3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노즐 개구(610)의 회전 방향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스쿠핑면(3040C)이 경사질 때에 유동성이 높은 토너가 이른 시기에 스쿠핑면(3040C)을 따라 활주 낙하되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결국,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스쿠핑면(3040C)은 도 3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C)이 상측을 향할 때 가상선(X1)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3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스쿠핑면(3040C)이 회전축(O)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경우에도, 스쿠핑면(3040C)은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유동성이 낮은 토너가 스쿠핑면(3040C) 상에 잔류하고 있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고, 용기 본체(33) 내의 잔류 토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스쿠핑부에 나선형 리브(304a)가 없는 경우, 용기 본체(33)의 회전 속도가 빠르면, 용기 본체(33)는 스쿠핑면(3040C)의 용기 외주측(회전축(O)에서 먼 내벽면(33c)측)까지 퍼올려진 토너(T)를 스쿠핑면(3040C)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C)측으로 활주 낙하되기 전에 노즐 개구(610)를 통과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C)과 대향하는 공간(S)에 대하여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토너가 반송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33)의 회전 변동이나 토너의 유동성이 변화된 경우에도 스쿠핑면(3040C)으로 충분한 양의 토너를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개구(610)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스쿠핑면(3040~3040C) 각각은 노즐 개구(610)의 상면의 연장선으로서의 가상선(X2)보다 하측에 각 에지(측면)(3042~3042C)가 위치하도록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D)은 가상선(X1) 및 노즐 개구(610)의 상면의 연장선이 되는 가상선(X2)보다 상측에 에지(측면)(3042D)가 위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D)과 용기 본체(33) 상에 배치된 스쿠핑부(304D)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D)는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노즐 개구(610)의 회전 방향으로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스쿠핑면(3040D)이 경사질 때에 유동성이 높은 토너가 이른 시기에 스쿠핑면(3040D)을 따라 활주 낙하되는 경우에도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결국, 용기 본체(33)에 삽입된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에 효율적으로 토너(T)를 공급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도 25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공간(S)의 형상을 개구부가 되는 노즐 수납구(331)를 향하여 좁게 되도록 형성하여, 공간(S)의 노즐 수납구(331)에 가까운 벽부(3041)의 폭(S2)을 노즐 수납구(331)로부터 먼 측의 폭(S1)보다도 좁게 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공간(S)의 형상이 노즐 수납구(331) 측에 위치하는 벽부(3041) 측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면, 스쿠핑면(3040~3040D) 각각으로부터 벽부(3041)를 통해 노즐 수납구(331)로 유동되는 토너량을 벽부(3041)의 폭(S2)의 조정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양의 토너를 노즐 개구(610)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26a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벽부(3041)의 위치(S9)가 노즐 개구(610)의 단부(610d)의 위치(S8)보다 장착 방향(Q)으로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벽부(3041)를 통과한 토너는 장착 방향(Q)으로 노즐 개구(610) 전방 영역으로 반송된다. 위치(S8)와 위치(S9) 사이의 영역(S10)은 노즐 개구(610)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틀어져 있기 때문에, 노즐 개구(610)로 공급될 수 없는 잔류 토너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6b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벽부(3041)는 노즐 수납구(331)에 반송 노즐(611)이 삽입되었을 때 노즐 개구(610)의 축선 방향으로의 개방 범위(W1)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벽부(3041)의 위치(S9)는 노즐 개구(610)의 단부(610d)의 위치(S8)보다도 이탈 방향(Q1)으로 하류측에 위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공급부가 되는 벽부(3041)의 위치를 규정하면, 각 스쿠핑면(3040~3040D) 상의 토너(T)를 벽부(3041)를 통해 노즐 개구(610)로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높이로서 내벽면(33c)으로부터 회전축(O)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량(h2)이 내벽면(33c)으로부터 각 스쿠핑면(3040~3040D)(에지(측면)(3042~3042D))까지의 높이(h1)보다 낮은 경우, 용기 본체(33)가 회전시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모아진 토너가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돌기 너머로 통과될 수 있다.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를 넘어 통과된 토너는 토너 반송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토너를 수납구(331)로 안내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하, 도 27c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돌출량(높이)(h2)이 각각의 스쿠핑면(3040~3040D)의 높이(h1)와 동일하면, 각 스쿠핑면(3040~3040D)에 의해 토너가 퍼올려지는 동안 토너가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이면(토너 반송에 기여하지 않는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토너를 노즐 개구(610)에 공급할 수 있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28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와 각 스쿠핑면(3040~3040D)에 의해 형성된 각도(θ1)가 토너(T)의 안식각(repose angle)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연결부(S7)에서의 각 스쿠핑면(3040~3040D)의 경사각을 각도(θ1)로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도(θ1)를 설정하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 상에 토너가 모아지는 것이 적어진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토너를 각 스쿠핑면(3040~3040D)으로 반송할 수 있다. 결국, 각 스쿠핑면(3040~3040D) 상의 토너를 보다 효율적으로 노즐 개구(61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쿠핑부(304~304D)는 노즐 수납구(331)로부터 먼 측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제2 단부(304a2)의 위치(S3)에 대해 회전축 방향으로 수납구(331)(용기 개구부(33a)) 측 위치에 스쿠핑부(304~304D)가 제공된다. 이 구성에서, 개구부로부터 먼 측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의 제2 단부(304a2)로부터 반송된 토너는 수납구(331)에 대해 토너 반송 방향으로 상류측(전방측)으로 스쿠핑부 각각에 의해 퍼올려진다. 이 구성은 스쿠핑면(3040~3040D) 상의 토너를 노즐 개구(610)로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스쿠핑부(304, 304B, 304D)는 가상선(X1)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스쿠핑부(304C)는 가상선(X1) 하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용기 본체(33)가 회전함에 따라 각 측면 또는 스쿠핑면 각각의 위치가 노즐 수납구(331)의 회전시에 개방 범위(W2)에 위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스쿠핑부는 가상선(X1)과 회전 방향(A)으로 동일한 위치, 즉 동일 평면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면(3040)의 회전 방향(A)의 소정 범위의 경사각(θ)을 25도 ± 5도로 규정하고, 용기 본체(33)의 소정의 회전수(rpm)의 범위를 110 rpm ± 15 rpm으로 규정하고, 토너의 겉보기 밀도(g/cm3)를 0.41~0.48 g/cm3의 범위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소정 범위의 경사각(θ), 소정의 회전수(rpm), 겉보기 밀도(g/cm3)를 제2~제4의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 내로 토너가 유입되기까지 각 스쿠핑면(3040~3040D)으로부터 토너가 낭비되게 흘려지지 않고, 또한, 각 스쿠핑면(3040~3040D)이 토너(T)를 보유한 상태로 노즐 개구(610)의 상측을 통과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각의 스쿠핑면(3040~3040D)은 적절한 위치까지 토너(T)를 퍼올릴 수 있기 때문에, 겉보기 밀도, 환경 등에 의해 토너 유동성이 변하는 조건하에 있더라도, 노즐 개구(610)로의 토너 유입량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분체 용기인 토너 용기(32)의 용기 개구부(33a) 부근에서의 용기 본체(33) 내의 토너의 움직임에 관해서 설명한다.
분체 현상제인 토너를 용기 본체(33) 내에 봉입한 토너 병(32)은 장기간 동일한 자세로 유지되면, 토너가 굳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 전에, 상하 내지는 좌우로 흔들어 토너를 푸는 예비 동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또한, 토너 용기(32)를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통상, 토너 보급 장치(60)(복사기(500))로의 장착 상태와 같이 토너 병(32)을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보관 공간을 위해, 토너 병(32)을 용기 개구부(33a)를 아래쪽으로 하여 기립 방식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제1~제4 실시 형태의 토너 병(32)을 수평 보관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왕복 회수로 결정된 일정 회수로 상하 내지는 좌우로 흔들어 토너 보급 장치(60)(복사기(500))에 장착시, 용기 개구부(33a)에 반송 노즐(611)이 충분히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문제의 원인을 추적하여, 도 3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3040B~3040D)의 에지(3042)(3042B~3042D)에 연결된 용기 본체(33)의 회전축(O) 측으로 돌출하는 부분(33c')이 용기 내부측으로 오목한 표면의 형상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토너 병(32)을 흔들어 예비 동작을 하더라도, 상기 오목한 표면에서 힘이 분산되고 용기 내에서 토너가 빠져나가는 공간이 제한됨으로써 토너를 충분히 푸는 것이 곤란하다(푸는 힘을 토너에 작용되게 하기가 곤란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부분(33c')은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회전 방향을 따라 원호형 오목면을 포함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용기의 내측으로 오목한 표면의 형상으로 돌출되는 용기 본체(33)의 부분(33c')의 형상, 즉 스쿠핑부의 형상을 볼록한 형태로 변경하여, 볼록한 형상의 도움으로 힘을 집중시키고 용기 내에서 토너가 빠져나갈 공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토너가 빠져나가는 공간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33a~39b를 참조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토너 용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제4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용기 본체(33)에 형성되어 있는 분체 스쿠핑부(304E)의 구성이 다른 실시 형태의 스쿠핑부(304)의 구성과는 다른 것에 있지만, 기본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과 같다. 따라서,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304E)의 구성을 주로 설명한다.
도 33a는 스쿠핑부(304E)를 갖춘 용기 본체(33)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3b는 스쿠핑부(304E)를 갖춘 용기 본체(33)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4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5는 용기 본체의 개구부측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6은 용기 후단부로부터 용기 전단부로 바라본, 스쿠핑부(304E)의 스쿠핑면(3040E)의 구성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37a~37c는 스쿠핑부(304E)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다 도 38a~38c는 도 37c로부터 연속된 스쿠핑부(304E)의 회전시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동작도이다. 도 37a~37c 및 도 38a~38c는 도 36과 유사하게 용기 후단부로부터 용기 전단부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9a는 용기 본체(33)의 내부 공간이 작은 경우의 토너의 확산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9b는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스쿠핑부(304E)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33)의 내부 공간을 증가시킨 경우의 토너의 확산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5 실시 형태에서,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 측에 형성된 스쿠핑부(304E)는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용기 개구부(33a)로 반송된 토너(T)를 퍼올려 노즐 개구(610)(도 15 참조)로 공급한다. 용기 개구부(33a)에는 노즐 수납 부재(330)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하, 스쿠핑부(304)의 설명에 있어서, 용기 본체(33)의 용기 개구부(33a)는 노즐 수납구(331)로서 설명된다. 즉, 용기 본체(33)의 용기 전단측의 내벽에는 도 34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의해서 토너를 상측으로 퍼올리는 스쿠핑부(304E)가 제공된다. 스쿠핑부(304E)는 나선형 리브(302)의 반송력에 의해 반송된 토너를 용기 본체(33)의 회전에 따라 스쿠핑면(3040E)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측으로 퍼올린다. 이에 따라, 삽입된 반송 노즐(611)보다도 상측으로 위치되도록 토너를 퍼올릴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쿠핑부(304E)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O)에 대하여 180도 변위된 2개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쿠핑부(304E)의 내면에도 나선형 리브(302)와 유사하게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가 제공된다. 나선형 리브(304a)는 나선형 형태를 가지며, 내부의 토너를 스쿠핑면(3040E)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로 되어 있다.
제5 실시 형태에서, 각 스쿠핑부(304E)는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으로부터 회전축(0) 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3040E)을 포함한다(그러나, 스쿠핑면(3040E)의 연장선은 회전축(O)을 통과하지 않는다).
회전축(O) 측의 각 스쿠핑면(3040E)의 내측 단부(3040Ea)가 용기 본체(33)의 회전축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쿠핑면(3040E)의 내측 단부(3040Ea) 상의 회전축(0) 측에 최근접 형성된 에지(측면)(3042E)가 회전축(O)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용기 본체(33)의 내벽면(33c)의 회전축(O) 측으로 돌출된 부분(33c')과 스쿠핑면(3040E) 사이에 회전축(O)을 따른 릿지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쿠핑면(3040E)은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가상선(X)에 대해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A)의 상류측으로 소정 각도 범위로 경사진다. 가상선은 회전축(O)을 통과하고 회전축(O)에 스쿠핑면(3040E)의 내측 단부의 에지(측면)(3042E)에 접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경사각(θ)의 소정 범위는 25도 ± 5도(25°± 5°)로 설정된다.
제5 실시 형태에서, 각각의 스쿠핑부(304E)는 내벽면(33c)으로부터 병의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스쿠핑면(3040E)을 포함한다. 스쿠핑면(3040E)은 병의 가장 내측에 배치된 에지(측면)(3042E)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쿠핑부(304E)는 스쿠핑면(3040E)과 에지(측면)(3042E)로부터 이어지는 표면(3043)이 삼각형 돌출부를 구성하도록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에지(측면)(3042E)는 회전축(O)에 수직인 단면에서 삼각형 돌출부의 산형 정점이다. 분체 저장부 내의 삼각형 돌출부는 분체 저장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스쿠핑면(3040E)과 표면(3043) 간의 각도는 예각인 각도(θ2)로 설정된다.
용기 본체(33)를 블로우 성형하는 경우, 스쿠핑부(304E)에 대해 스쿠핑면(3040E)만을 내벽면(33c)으로부터 판형으로 돌출시키기는 어렵다. 따라서,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도 36)에서 정점으로서의 에지(3042E)에서의 각도(θ2)를 대략 예각을 갖도록 스쿠핑부(304E)를 구성한다. 이것은 블로우 성형으로 용이하게 용기 본체(33)를 형성할 수 있고, 도 39b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3a, 33b 및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가 스쿠핑면(3040E)에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종단부로서의 제1 단부(304a1)가 스쿠핑면(3040E)에 대략 수직하도록 스쿠핑면(3040E)으로부터 기립되는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종단부로서의 제1 단부(304a1)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스쿠핑면(3040E)은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나선형 리브의 종단부는 수직으로 스쿠핑면(3040E)과 교차된다. 따라서, 종단부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스쿠핑면(3040E)의 일부가 내측으로 리세스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 스쿠핑면(3040E) 및 토너 용기(32)의 내벽면(33c)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을 다량의 토너를 더 많이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형 리브의 종단부로서의 제1 단부(304a1)보다도 회전축 방향으로 토너 용기(32)의 개구부(33a) 측의 스쿠핑면(3040E)은 토너 용기(32)를 화상 형성 장치(토너 보급 장치)에 장착했을 때에 노즐 개구(610)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와 스쿠핑면(3040E)에 의해 형성되는 유지부는 노즐 개구(610)에 대향되어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304a)에 의해 반송된 토너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쿠핑부(304E)는 토너를 효율적으로 퍼올리고 노즐 개구(610)로 토너를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304a1)는 노즐 개구(610)가 연장되는 방향(반송 노즐(611)의 축선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하기 때문에 토너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내측 단부의 각 에지(측면)(3042E)는 토너 보급 장치(60)에 장착되어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시 도 36에 예시된 위치로 회전할 때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반송 노즐(611)의 단면 범위(W1) 내에, 더 바람직하게는 노즐 개구(610)의 개방 범위(W2)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의 스쿠핑부(304E)에 의한 퍼올림 동작을 도 37a~37c 및 도 38a~38c를 참조로 아래에 설명한다. 도 37a는 용기 본체(33)가 토너 보급 장치(60)(복사기(500))에 장착되어 회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를 0°의 자세로 지칭한다. 이 0°의 자세에 있어서는, 노즐 수납 부재(330)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를 도면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반송 노즐(611)의 노즐 개구(610)의 상측과, 상측에서 셔터 측면 지지부로부터 180도로 변위되도록 반송 노즐(611)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또한, 각 스쿠핑면(3040E)은 회전축(O)을 통과하면서 에지(3042E)에 접하는 가상선(X1)에 대해 용기 본체(33)의 회전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θ)만큼 경사진다. 이와 같이, 노즐 수납 부재(330)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와 2개의 스쿠핑면(3040E)은 회전축(O)에 대하여 회전 방향(A)으로의 위치 관계가 대략 수직한 배치 관계로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셔터 측면 지지부(335a)는 스쿠핑면의 에지(3042E)와 대향하지 않는 위치, 즉, 스쿠핑면의 에지(3042E)에 접하고 회전축(O)을 통하는 가상선(X)으로부터 벗어난 회전 방향 위치에 배열된다. 이 구성에서, 스쿠핑면(3040E)으로부터 노즐 개구(610)로 떨어지는 토너가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의해 방해받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 토너(T)가 유지되어 있는 한편의 스쿠핑면(3040E)보다 상측(회전 방향(A)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 중점을 둔 경우,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서의 회전 방향(A)으로 상류 단부(도 36의 우측)와 한편의 스쿠핑면(3040E)의 에지(3042E) 사이의 간격(D1)이 셔터 측면 지지부(335a)에서의 회전 방향(A)으로 하류 단부(도 36의 좌측)와 다른 쪽 스쿠핑면(3040E)의 에지(3042E)(도 36에 설명된 셔터 측면 지지부(335a)보다 좌측) 사이의 간격(D2)보다 넓은 쪽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상대 배치를 통해 토너가 흐르는 유로를 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0°자세에 있어서는 한편의 스쿠핑면(3040E)에 의해 이미 토너(T)가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용기 본체(33)가 도면에서 화살표(A)로 지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도 3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E) 상의 토너(T)를 유지한 상태로 더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37b는 0°의 자세로부터 30°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30°의 자세를 나타낸다. 또한, 용기 본체(33)가 도면에서 화살표(A)로 나타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노즐 수납 부재(330)의 한 쌍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도 일체로 회전하여, 도 3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쿠핑면(3040E) 상의 토너(T)를 유지한 상태로 더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도 37c는 30° 자세로부터 60°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60° 자세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노즐 개구(610)로부터 더 이동됨으로써 노즐 개구(610)가 개방된다. 또한, 스쿠핑면(3040E)이 회전축(O)에 대해 하방 경사짐으로써 스쿠핑면(3040E) 상의 토너(T)가 자중에 의해 서서히 활주 이동되어 노즐 개구(610) 내에 낙하된다.
도 3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회전이 60° 자세로부터 90° 자세로 회전시, 스쿠핑면(3040E) 상의 토너(T)는 전부 자중으로 낙하하여 노즐 개구(610)에 공급된다. 또한, 90° 자세에서는 다른 쪽의 스쿠핑부(304E)가 용기 본체(33)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에 저장되어 있는 토너(T)를 스쿠핑면(3040E)에서 잡는다.
용기 본체(33)의 회전이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 자세로부터 120° 자세로 더 회전되면, 스쿠핑면(3040E)이 하부에 저장되어 있는 토너(T)를 새로이 퍼올리기 시작하고 다른 쪽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노즐 개구(610)의 상측의 일부를 덮게 된다.
또한, 도 3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의 회전이 120° 자세로부터 150° 자세로 더 회전되면, 스쿠핑면(3040E)이 토너를 더 퍼올리고 다른 쪽의 셔터 측면 지지부(335a)가 노즐 개구(610)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토너 보급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33)가 회전 방향(A)으로 회전하면, 스쿠핑면(3040E)에 의해 퍼올려진 토너(T)를 노즐 개구(610)의 상부로부터 반송 노즐(611) 내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스쿠핑부(304E)는 스쿠핑면(3040E)을 내벽면(33c)으로부터 병 내부측으로 돌출되는 스쿠핑면(3040E)을 포함한다. 스쿠핑면(3040E)은 가장 병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측면)(3042E)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쿠핑부(304E)는 스쿠핑면(3040E)과 에지(측면)(3042E)로부터 이어지는 표면(3043)이 삼각형 돌출부를 구성하도록 하는 형태를 가진다. 에지(측면)(3042E)는 회전축(O)에 수직인 단면에서 삼각형 돌출부의 산형 정점이다. 분체 저장부 내의 삼각형 돌출부는 분체 저장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스쿠핑면(3040E)과 표면(3043) 간의 각도는 예각인 각도(θ2)로 설정된다. 따라서, 도 3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33) 내의 내부 공간을 도 39a의 점선 원에 대응하는 영역만큼 증가될 수 있어서, 용기 셔터(332)로 형성되는 공간(S2)(도 36 및 도 37a~37c 참조)도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예비 동작시에 토너(T)가 빠져나가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어서 토너(T)를 풀어내는 것이 쉽게 된다.
전술한 제5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제1~제4 실시 형태에 설명한 스쿠핑부(304)(304B~304D)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분체 용기 내에 담겨진 분체인 현상제를 분체 용기에 삽입된 노즐의 분체 수납구(331)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전하고 명쾌한 개시를 위해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그와 같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안출할 수 있고 여기 언급된 기본적인 교시 내용의 범위 내에 정당하게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대안적인 구성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 양태를 더 포함한다.
실시 양태 A1
화상 형성용의 분체를 담는 분체 용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의 분체를 수납하는 분체 수납구를 갖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된 분체 용기를 회전시킬 때 해당 분체 용기를 소정 회전수의 범위로 회전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로서,
상기 화상 형성용의 분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회전 가능한 분체 저장부;
상기 분체 저장부의 일단에 있고 상기 노즐을 해당 분체 용기의 회전 중심이 되는 위치 내로 삽입되도록 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측으로 상기 분체 저장부 내의 분체를 반송하는 회전 반송 수단;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하는 것을 통해 상기 개구부측의 분체를 퍼올려 상기 분체 수납구로 공급하는 스쿠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벽면으로부터 회전축을 향하여 연장되는 스쿠핑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쿠핑면의 회전축측 내측 단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에 대략 평행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고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에 접하는 가상선에 대해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소정 범위의 경사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2
실시 양태 A1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의 경사각은 25도 ± 5도의 범위에 있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3
실시 양태 A1 또는 A2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수의 소정의 범위는 110±15 rpm의 범위에 있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4
실시 양태 A1~A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0.41~0.48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 토너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5
실시 양태 A1~A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시, 상기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분체 수납구 상측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회전 방향의 개방 범위 내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6
실시 양태 A5에 있어서,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며, 상기 스쿠핑면이 상측으로 대향될 때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과 동일한 위치 또는 그 상측의 위치에 위치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7
실시 양태 A5 또는 A6에 있어서, 상기 분체를 상기 스쿠핑면에 대향하는 공간의 개구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8
실시 양태 A7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의 전방의 상기 반송부의 시작 위치는 상기 반송 노즐이 상기 개구부 내로 삽입될 때 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 내에 있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9
실시 양태 A7 또는 A8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상기 회전 방향으로 하류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0
실시 양태 A7~A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스쿠핑면과 상기 공간의 상기 회전 방향으로 상기 하류부에 있는 상기 개구부에 연결된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반송 노즐이 상기 개구부 내에 삽입될 때 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 내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1
실시 양태 A7~A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로부터 먼 측의 상기 반송부의 단부에 대해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2
실시 양태 A7~A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부로 돌출된 나선형 돌출부이고,
상기 나선형 돌출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나선형 돌출부의 일부는 상기 공간 내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3
실시 양태 A12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 내의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스쿠핑면의 높이와 같은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4
실시 양태 A1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스쿠핑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분체의 안식각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5
실시 양태 A1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을 구성하는 상기 분체 용기의 내벽면은 상기 스쿠핑면의 에지가 정점이 되는 산형으로 형성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6
실시 양태 A15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의 단부가 정점이 되는 상기 산형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2개의 표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예각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A17
실시 양태 A1~A1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
상기 분체 용기로부터 반송된 분체를 이용하는 것으로 화상 담지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실시 양태 A18
실시 양태 A17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의 회전수의 소정의 범위는 110±15 rpm의 범위에 있는 화상 형성 장치.
실시 양태 B1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로서,
화상 형성용의 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분체 저장부;
상기 분체 저장부의 일단에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개구부;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시 개구부측 분체를 퍼올리고 상기 분체를 상기 노즐의 분체 수납구로 공급하는 스쿠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에 대략 평행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고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에 접하는 가상선에 대해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2
실시 양태 B1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은 소정 범위의 경사각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스쿠핑면의 경사각은 25도 ± 5도의 범위에 있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3
실시 양태 B1 또는 B2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는 소정의 범위의 회전수로 회전되며,
상기 분체 용기의 상기 회전수의 소정의 범위는 110±15 rpm의 범위에 있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4
실시 양태 B1~B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0.41~0.48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 토너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5
실시 양태 B1~B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되고 상기 스쿠핑면이 상기 분체 수납구 상측에 위치될 때, 상기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분체 수납구의 회전 방향의 개방 범위 내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6
실시 양태 B5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되고 상기 스쿠핑면이 상기 분체 수납구의 상측에 위치될 때,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7
실시 양태 B5 또는 B6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이 상측으로 대향될 때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측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8
실시 양태 B1~B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 내의 분체를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송하는 회전 반송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9
실시 양태 B1~B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를 상기 스쿠핑부 내의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0
실시 양태 B9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시작 위치에서 상기 스쿠핑면에 연결되며,
상기 반송부의 시작 위치는 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 내에 있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1
실시 양태 B1~B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스쿠핑면의 상기 개구부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의 유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 방향으로 상기 유지 공간의 상류측을 형성하며,
상기 벽부는 축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 내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2
실시 양태 B11에 있어서, 상기 유지 공간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좁아지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3
실시 양태 B9~B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로부터 먼 측의 상기 반송부의 단부에 대해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4
실시 양태 B9~B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부로 돌출된 나선형 리브이고,
상기 나선형 리브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나선형 리브의 일부는 상기 스쿠핑부 내에 위치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5
실시 양태 B14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면으로부터의 상기 나선형 리브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상기 스쿠핑면의 길이와 동일한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6
실시 양태 B14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리브와 상기 스쿠핑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분체의 안식각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7
실시 양태 B1~B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삼각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8
실시 양태 B17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의 에지는 상기 삼각형 돌출부의 정점이 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19
실시 양태 B17 또는 B18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돌출부의 두 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인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20
실시 양태 B1~B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분체는 토너를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21
실시 양태 B20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캐리어 입자를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실시 양태 B22
실시 양태 B1~B2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Y, 32M, 32C, 32K 토너 용기(분체 용기)
33 용기 본체(분체 저장부)
33a 개구부(용기 개구부)
33c 용기 본체의 내벽부
34 용기 전단측 커버(용기 커버)
41 광전도체(상 담지체)
46Y, 46M, 46C, 46K 화상 형성부(화상 형성 유닛)
50 현상 기구
60 토너 보급 장치(분체 보급(공급) 장치)
100 프린터(복사기 본체)
200 급지 테이블(급지부)
301 용기 기어
302 나선형 리브(회전 반송 수단)
304, 304B~304E 스쿠핑부(분체 스쿠핑부)
304a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반송부)
304a1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스쿠핑부의 종단부)
304a2 개구부로부터 먼 측의 스쿠핑부의 나선형 리브의 제2 단부
3040, 3040B~3040E 스쿠핑면
3040a, 3040Ba~3040Ea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
3041 벽부(용기 전단 벽부)
3042, 3042B~3042E 에지(측면)
3043 표면
330 노즐 수용체(노즐 수납 부재)
331 수납구(노즐 수납구)
332 용기 셔터(개폐 부재)
335 셔터 후단 지지부(셔터 후단부)
335a 셔터 측면 지지부(측면부)
335b 셔터 지지부의 개구(셔터 측면 개구)
340 용기 셔터 지지부
500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
608 세트 커버
610 노즐 개구(분체 수용구)
611 반송 노즐
615 용기 세트부(용기 수용부)
θ 스쿠핑면의 경사각
θ1 돌출부와 스쿠핑면 사이의 각도
θ2 스쿠핑면의 에지를 형성하는 두 면 사이의 각도
O 회전축
h1 스쿠핑면의 높이
h2 돌출부의 높이
S 공간(토너 유지 공간)
S7 토너 반송 시작 위치(시작점, 연결부)
T 토너(화상 형성용 분체)
W 분체 수납구의 회전 방향의 개방 범위
W1 분체 수납구의 축선 방향의 개방 범위
X, X1 가상선
P 기록매체
G 현상제
Q 장착 방향
Q1 이탈 방향

Claims (22)

  1.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분체 용기로서,
    화상 형성용의 분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분체 저장부;
    상기 분체 저장부의 일단에 있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노즐이 삽입되는 개구부;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할 때 개구부측 분체를 퍼올리고 상기 분체를 상기 노즐의 분체 수납구에 공급하는 스쿠핑부(scooping portion)
    를 포함하고,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쿠핑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에 대략 평행하며,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단면에서,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고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에 접하는 가상선에 대해 상기 분체 저장부의 회전 방향으로 상류측을 향해 경사지며,
    상기 분체를 상기 스쿠핑부 내의 상기 개구부측을 향하여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송부는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부로 돌출된 나선형 리브이며,
    상기 나선형 리브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나선형 리브의 일부는 상기 스쿠핑부 내에 위치되고,
    반송부로서 역할하는 상기 스쿠핑부에서의 상기 나선형 리브의 제1 단부는 상기 스쿠핑면에 연결되는 것인 분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은 미리 정해진 범위의 경사각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스쿠핑면의 경사각은 25±5 도의 범위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용기는 미리 정해진 범위의 회전수로 회전되며,
    상기 분체 용기의 상기 회전수의 미리 정해진 범위는 110±15 rpm의 범위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0.41~0.48 g/cm3의 겉보기 밀도를 갖는 토너인 것인 분체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되고 상기 스쿠핑면이 상기 분체 수납구 상측에 위치될 때, 상기 스쿠핑면의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분체 수납구의 회전 방향의 개방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가 회전되고 상기 스쿠핑면이 상기 분체 수납구의 상측에 위치될 때, 상기 내측 단부의 에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것인 분체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이 상측을 향할 때,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축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상측에 위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 내의 분체를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송하는 회전 반송 수단(rotary conveyor)을 더 포함하는 분체 용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는 시작 위치에서 상기 스쿠핑면에 연결되고,
    상기 반송부의 시작 위치는 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 내에 있는 것인 분체 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스쿠핑면의 상기 개구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분체의 유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스쿠핑면은 상기 회전 방향으로 상기 유지 공간의 상류측을 형성하며,
    상기 벽부는 축방향으로 상기 분체 수납구의 개방 범위 내에 위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공간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를 향해 좁아지는 것인 분체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로부터 먼 측의 상기 반송부의 단부에 대해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되는 것인 분체 용기.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의 내면으로부터의 상기 나선형 리브의 길이는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상기 스쿠핑면의 길이와 동일한 것인 분체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리브와 상기 스쿠핑면 사이의 각도는 상기 분체의 안식각(repose angle)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인 분체 용기.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부는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삼각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쿠핑면의 에지는 상기 삼각형 돌출부의 정점이 되는 것인 분체 용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 돌출부의 두 면 사이의 각도는 예각인 것인 분체 용기.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저장부 내에 저장된 상기 분체는 토너를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캐리어 입자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체 용기.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분체 용기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67008496A 2014-03-17 2015-03-16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Active KR101843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3627 2014-03-17
JP2014053627 2014-03-17
JPJP-P-2014-216451 2014-10-23
JP2014216451 2014-10-23
JP2014252409A JP6394351B2 (ja) 2014-03-17 2014-12-12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4-252409 2014-12-12
PCT/JP2015/058640 WO2015141859A1 (en) 2014-03-17 2015-03-16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974A KR20160048974A (ko) 2016-05-04
KR101843298B1 true KR101843298B1 (ko) 2018-03-28

Family

ID=5595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496A Active KR101843298B1 (ko) 2014-03-17 2015-03-16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10383B2 (ko)
EP (1) EP3120194B1 (ko)
JP (1) JP6394351B2 (ko)
KR (1) KR101843298B1 (ko)
CN (1) CN105637423B (ko)
BR (1) BR112016007092B1 (ko)
ES (1) ES2831354T3 (ko)
MX (1) MX383057B (ko)
RU (1) RU264641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2368B2 (ja) * 2015-01-27 2018-12-05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5594B2 (ja) * 2015-03-06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5598B2 (ja) * 2015-03-09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5601B2 (ja) * 2015-03-12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5604B2 (ja) * 2015-03-13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5608B2 (ja) * 2015-03-16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515610B2 (ja) * 2015-03-17 2019-05-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107980A (zh) * 2017-10-05 2020-05-0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存储构建材料的腔室
US11048189B2 (en) 2019-03-13 2021-06-29 Ricoh Company, Ltd. Toner container,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sheet member with two portions to move toner
JP7305105B2 (ja) 2019-07-16 2023-07-1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494602B2 (en) 2020-09-15 2022-11-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768449B2 (en) * 2021-04-19 2023-09-2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Developer storage container capable of reducing remaining developer at time of replacement,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678B2 (ja) * 1996-01-11 2007-07-11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用内側プラグ
JP2009276659A (ja) * 2008-05-16 2009-11-26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12133349A (ja) * 2010-12-03 2012-07-12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13946A (ja) * 2011-11-25 2013-06-10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6377C2 (de) * 1989-05-18 1994-06-30 Berolina Schriftbild Verfahren zum Umgestalten einer Entwicklerstation für Laserdrucker
TW240299B (ko) 1992-12-30 1995-02-11 Ricoh Kk
US5495323A (en) * 1994-02-28 1996-02-27 Xerox Corporation Clean spiral toner cartridge
US6229976B1 (en) * 2000-02-01 2001-05-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Exchangeable toner cartridge having an auger and a regulation member
JP3880858B2 (ja) * 2002-01-09 2007-02-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132747B2 (ja) * 2001-08-07 2008-08-1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現像剤、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30152857A1 (en) * 2001-08-07 2003-08-14 Hideki Sugiura Toner, developer, image-forming method and image-forming device
JP4383898B2 (ja) 2003-02-28 2009-12-1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剤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428850B1 (en) 2005-03-04 2013-09-2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 system
TWI627514B (zh) 2005-04-27 2018-06-21 Ricoh Co Ltd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device
ES2556542T3 (es) 2005-06-07 2016-01-18 Ricoh Company, Ltd. Recipiente de tóner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agen
US8050597B2 (en) 2006-11-09 2011-11-01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having a gear por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77566B2 (ja) 2007-05-31 2013-08-2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39656A (ja) * 2007-12-06 2009-06-25 Fuji Xerox Co Ltd 搬送部材及び現像剤収容器
JP4518137B2 (ja) * 2007-11-27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充填方法
US7869747B2 (en) * 2007-11-27 2011-01-11 Fuji Xerox Co., Ltd. Developer container and method for filling the same
JP4593655B2 (ja) * 2008-06-27 2010-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ユニットと画像形成装置
JP2010134265A (ja) 2008-12-05 2010-06-17 Ricoh Co Ltd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0257B2 (ja) 2010-03-01 2014-03-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3314331B (zh) 2010-12-03 2017-02-15 株式会社理光 粉末容器、粉末供给装置和成像设备
JP5641924B2 (ja) * 2010-12-28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補給用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方法
JP5663452B2 (ja) * 2011-10-24 2015-02-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TWI559104B (zh) 2011-11-25 2016-11-21 理光股份有限公司 粉末容器及影像形成設備
JP6173102B2 (ja) * 2013-07-31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619246B2 (ja) * 2013-09-20 2014-11-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及びこれが適用され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2678B2 (ja) * 1996-01-11 2007-07-11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用内側プラグ
JP2009276659A (ja) * 2008-05-16 2009-11-26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12133349A (ja) * 2010-12-03 2012-07-12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13946A (ja) * 2011-11-25 2013-06-10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0194A4 (en) 2017-05-10
EP3120194A1 (en) 2017-01-25
US20170212449A1 (en) 2017-07-27
JP6394351B2 (ja) 2018-09-26
RU2016111900A (ru) 2017-10-05
MX2016004017A (es) 2016-06-02
BR112016007092B1 (pt) 2022-09-13
JP2016075882A (ja) 2016-05-12
RU2646417C2 (ru) 2018-03-05
BR112016007092A2 (pt) 2017-08-01
MX383057B (es) 2025-03-13
ES2831354T3 (es) 2021-06-08
US9910383B2 (en) 2018-03-06
KR20160048974A (ko) 2016-05-04
CN105637423B (zh) 2019-12-24
EP3120194B1 (en) 2020-10-14
CN105637423A (zh)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298B1 (ko)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897431B1 (ko) 노즐 수용체, 분체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9354586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2546701B1 (en) Toner replenis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109707B1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CN103488069A (zh) 粉体收纳容器以及图像形成装置
EP2511773B1 (en) Develop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developer cartridge is applied
AU2017225038B2 (en) Nozzle Receiver,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U2017216477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2141382A (ja) トナーボトル及び画像形成装置
JP4951662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