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8984B1 - 광커넥터용 페룰 - Google Patents

광커넥터용 페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84B1
KR101838984B1 KR1020160088490A KR20160088490A KR101838984B1 KR 101838984 B1 KR101838984 B1 KR 101838984B1 KR 1020160088490 A KR1020160088490 A KR 1020160088490A KR 20160088490 A KR20160088490 A KR 20160088490A KR 101838984 B1 KR101838984 B1 KR 10183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holder
insertion hole
chuck
fi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458A (ko
Inventor
김선주
윤영갑
조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상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to KR102016008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9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0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without a ferrule embedding the fibre end, i.e. with bare fibre e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errules comprising functional elements,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용 페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삽입된 파이버 홀더를 페룰 바디에 푸시 결합함으로써 에어 갭 타입 광커넥터용 페룰을 에폭시 접착을 이용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광커넥터용 페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광파이버 삽입홀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물림척이 형성된 파이버 홀더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버 홀더에 광파이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림척이 상기 홀더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페룰 바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커넥터용 페룰{FEFFULE FOR 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커넥터용 페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삽입된 파이버 홀더를 페룰 바디에 푸시 결합함으로써 에어 갭 타입 광커넥터용 페룰을 에폭시 접착을 이용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광커넥터용 페룰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방법의 하나로 광파이버의 단부를 커넥터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광커넥터는 광섬유를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한 형태로 접속하는 것으로, 광섬유끼리의 접속 또는 광기기 등과 광섬유와의 접속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커넥터의 기본적인 접속방식은 서로 맞대는 접속으로 코어를 축과 맞대는 구조와, 그 축과 맞댄 상태를 보호 유지하는 기구가 기본으로 되어 있다. 광섬유의 코어 직경은 10∼500㎛정도로 작기 때문에, 광커넥터 접속에 있어서 정밀도가 양호하게 광축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는 부품수가 적고 비교적 접속손실이 적은 페룰(ferrule)형의 커넥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195호(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8640호(광커넥터용 페룰 및 그 제조 방법)에는 이러한 페룰형 광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페룰은 광커넥터에는 광파이버의 단부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시키고 서로의 단부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중심에 광섬유 외경보다 약간 큰 미소한 직경을 가지며, 광섬유를 그 구멍 속에 삽입하여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정확한 위치정밀도를 확보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페룰로는 고정밀도로 가공이 가능한 금속 페룰 (Metal Ferrule)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페룰(1)에 광섬유(F)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는 페룰(1)의 말단에 에어갭(A)이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페룰(1)은 광섬유(F)를 삽입한 상태에서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로 광섬유(F)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 광섬유(F)가 페룰(1)에 결합된 상태에서 냉각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페룰(1)의 말단부에 에어갭(A)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면에는 에어갭(A)의 형성을 위해서 페룰(1)의 광섬유 삽입홀 내부에 단턱(1a)을 형성시키고 그 단턱(1a)에 광섭유(F)가 정밀하고 확실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단턱(1a)를 페룰(1)의 내부에 형성하기 위한 가공은 매우 어렵다.
한편, 상기와 같이 페룰(1)에 광섬유(F)가 삽입된 상태에서 광섬유(F)의 말단(Fe)과 페룰(1)의 말단이 일치되도록 광섬유(F)의 말단(Fe)을 연마하는데, 페룰(1)에 광섬유(F)가 결합된 상태에서 연마가공을 하는 과정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에어갭(A)이 있는 경우에 광섬유 말단(Fe)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연마는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195호 : 광섬유 커넥터와 이의 조립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8640호 : 광커넥터용 페룰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가 삽입된 파이버 홀더를 페룰 바디에 푸시 결합함으로써 에어 갭 타입 광커넥터용 페룰을 에폭시 접착을 이용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광커넥터용 페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광파이버 삽입홀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물림척이 형성된 파이버 홀더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버 홀더에 광파이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림척이 상기 홀더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페룰 바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상기 파이버 홀더의 물림척은 전단에서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페룰 바디의 홀더 삽입홀은 내부 일정 위치에 상기 물림척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물림척의 선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조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상기 파이버 홀더의 물림척은 전단에서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페룰 바디의 홀더 삽입홀은 후단에서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늘어나게 형성되되, 후단의 직경은 상기 물림척의 선단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상기 물림척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 삽입홀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스토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상기 파이버 홀더에는 광섬유의 전단부가 상기 물림척를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고, 상기 물림척를 지나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 전단부는 상기 홀더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물림척 전방에 에어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은 광섬유가 삽입된 파이버 홀더를 페룰 바디에 푸시 결합함으로써 에어 갭 타입 광커넥터용 페룰을 에폭시 접착을 이용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광커넥터용 페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10)은 광파이버(F)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10)은 광파이버(F)가 삽입된 파이버 홀더(12)를 페룰 바디(11)에 결합시킴으로써 광파이버(F)가 파이버 홀더(12)의 물림척(121)에 물리면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파이버 홀더(12)는 광파이버(F)를 페룰 바디(11)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광파이버(F)를 조이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파이버 홀더는 전단에 물림척(121)이 형성되고, 후단에 체결 바디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물림척(121)와 체결 바디부(123) 사이에 스토퍼부(122)가 돌출 형성된 구조의 몰체를 갖는다. 또한 상기 파이버 홀더(12)는 몸체가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갖고 그 몸체의 단면 중앙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구조의 파이버 삽입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물림척(121)은 상기 물림척(121) 부분을 상기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파이버 삽입홀에 삽입된 광파이버(F)를 조이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물림척(121)은 상기 파이버 홀더(11)의 전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틈(121a)에 의해 복수개로 분리되면서 형성된다. 도면에는 상기 물림척(121)이 4개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물림척(121)은 상기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절개틈(121a)가 좁아지게 되면서 그 물림척(121)으로 둘러싸인 광파이버(F)가 조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 물림척(121)이 상기 홀더 삽입홀에 삽입되고 그 홀더 삽입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파이버 홀더(12)가 페룰 바디(11)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상기 물림척(121)이 더욱 조여지도록 상기 물림척(121)의 외주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파이버 홀더(12)의 물림척(121)은 전단에서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는 이러한 테이퍼를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스토퍼부(122)는 상기 물림척(121)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림척(121)이 상기 홀더 삽입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더이상 삽입되지 않고 위치가 결정되도록 상기 홀더 삽입홀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리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파이버 홀더(12)는 물림척(121)이 상기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로 삽입되어 상기 페룰 바디(11)와 결합된다.
상기 페룰 바디(11)는 상기 파이버 홀더(12)가 결합되면서 광파이버(F)가 파이버 홀더(12)의 물림척(121)에 의해 조여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페룰 바디(11)는 단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더 삽입홀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광파이버(F)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 삽입홀에 상기 물림척(121)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홀더 삽입홀에 물림척(121)이 삽입되어 조여지도록 상기 홀더 삽입홀의 내부 일정 위치에 조임부(112)가 단턱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조임부(112)는 외주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물림척(121)의 선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조임부(112)에 상기 파이버 홀더(12)의 물림척(121)의 선단이 걸리면서 상기 물림척(121)의 선단은 상기 조임부(112)에 의해 압박되면서 조여지게 된다.
한편, 상기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은 물림척(121)의 테이퍼 형상과 대응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물림척(121)이 삽입되는 상기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은 후방 부분(113)은 후단에서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늘어나게 형성되되, 후단의 직경은 상기 물림척(121)의 선단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홀더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물림척(121)은 파이버 홀더(12)가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은 물림척(121)이 홀더 삽입홀의 후방 부분(113)에 의해 압박되면서 더욱 조여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광파이버(F)의 주위에 에어갭(A)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파이버(F)는 상기 파이버 홀더(12)의 파이버 삽입홀에 삽입되는데, 그 광섬유의 전단부가 상기 물림척(121)를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된다. 상기 물림척(121)을 지나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F) 전단부는 상기 홀더 삽입홀의 전방 부분(1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물림척 전방에 에어갭(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페룰 바디(11)과 파이버 홀더(12)로 분리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네턱용 페룰(10)은 광파이버(F)의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용 페룰(10)은 광파이버(F)를 파이버 홀더(12)의 파이버 삽입홀에 삽입한다. 이때 물림척(121)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광파이버(F)의 길이는 파이버 홀더(12)가 페룰 바디(11)에 결합된 상태에서 광파이버(F)의 선단과 페룰 바디(11)의 선단이 일치되도록 지그(Jig)등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광파이버(F)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버 홀더(12)의 물림척(121)을 상기 페룰 바디(11)의 홀더 삽입홀에 삽입하면 상기 물림척(121)이 상기 페룰 바디(11)의 조임부(112)나 홀더 삽입홀의 후방 부분에 의해 조여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물림척(121)에 의해 광파이버(F)가 물려 고정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광커넥터용 페룰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광커넥터용 페룰
11 페룰 바디
112 조임부
12 파이버 홀더
121 물림척
122 스토퍼부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광파이버 삽입홀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물림척이 형성된 파이버 홀더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홀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버 홀더에 광파이버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물림척이 상기 홀더 삽입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페룰 바디가 포함되되,
    상기 물림척의 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 삽입홀의 후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스토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버 홀더의 물림척은 전단에서 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테이퍼 형상이고,
    상기 페룰 바디의 홀더 삽입홀은 내부 일정 위치에 상기 물림척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물림척의 선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조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페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바디의 홀더 삽입홀은 후단에서 전방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늘어나게 형성되되,
    상기 홀더 삽입홀의 후단은 상기 물림척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물림척의 선단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페룰.
  3. 삭제
  4. 제1항 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홀더에는 광섬유의 전단부가 상기 물림척를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삽입되고,
    상기 물림척를 지나 외부로 노출된 광섬유 전단부는 상기 홀더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물림척 전방에 에어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용 페룰.
  5. 삭제
KR1020160088490A 2016-07-13 2016-07-13 광커넥터용 페룰 Active KR10183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90A KR101838984B1 (ko) 2016-07-13 2016-07-13 광커넥터용 페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90A KR101838984B1 (ko) 2016-07-13 2016-07-13 광커넥터용 페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58A KR20180007458A (ko) 2018-01-23
KR101838984B1 true KR101838984B1 (ko) 2018-03-15

Family

ID=6107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90A Active KR101838984B1 (ko) 2016-07-13 2016-07-13 광커넥터용 페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3690A (zh) * 2018-04-19 2018-07-27 中科光电集团有限公司 一种双光纤对接适配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34B1 (ko) * 2012-03-29 2013-07-05 (주)옵토네스트 광섬유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34B1 (ko) * 2012-03-29 2013-07-05 (주)옵토네스트 광섬유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458A (ko)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311B2 (en) Optical connector, method of attaching the optical connector to coated optical fiber, and optical connection member
JP3347399B2 (ja) 光コネクタ
EP0174013A2 (en) Opt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air of ferrules therefor
JP5677182B2 (ja) 光コネクタ
JP5705602B2 (ja) 光コネクタ
KR101838984B1 (ko) 광커넥터용 페룰
WO2016117470A1 (ja) 光レセプタクル、光通信用送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光レセプタクルの製造方法
US10712505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JP2016514859A (ja) 耐欠け性フェルール
JP6049420B2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283433B2 (ja) 光コネクタ
JP2005345753A (ja)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JP5367733B2 (ja) 被覆除去部材、被覆除去部材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
JP3811387B2 (ja) 光ファイバ固定具及びその製造方法
CN216526397U (zh) 插芯组件
KR100368437B1 (ko) 페룰의 내경 가공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JP2014197089A (ja) 光レセプタクル
JP6924468B2 (ja) フェルール、光ファイバ付きフェルール、及び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
JP2010096981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2018283A (ja) 光コネクタ組立用治具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2012198429A (ja) 多心式光ファイバホルダとホルダ本体部
KR100347913B1 (ko) 페룰의 내경 가공 지그 및 그 제조방법
JP2005241956A (ja) フェルール
CN114089468A (zh) 保偏光纤插芯组件及其装配工艺
JP5154460B2 (ja) 光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