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930B1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930B1 KR101815930B1 KR1020150076351A KR20150076351A KR101815930B1 KR 101815930 B1 KR101815930 B1 KR 101815930B1 KR 1020150076351 A KR1020150076351 A KR 1020150076351A KR 20150076351 A KR20150076351 A KR 20150076351A KR 101815930 B1 KR101815930 B1 KR 1018159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polycarbonate copolymer
- formula
- substituted
- bo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6—Aliphatic-aromatic or araliphatic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45—Aromatic polycarbonates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8—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other mono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62—Mechanical asp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9)
- 반복단위로서,
(A)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히드록시-말단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화합물 유래 단위; 및
(B) 카보네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1-1]
HO-[A(-CH2CH2C(=O)OR)]-OH
상기 화학식 1-1에서,
R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이거나,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이며,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케톤 결합 및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1에서,
R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10알킬기, C6-C12아릴기, C6-C12아릴-C1-C10알킬기, 또는 C1-C10알킬-C6-C12아릴기를 나타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탄소수 5 내지 30의 지방족 또는 총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이거나,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원자수 5 내지 3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이며,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케톤 결합 및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1에서,
R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C6알킬기 또는 C6아릴-C1-C6알킬기를 나타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이거나,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총 고리원자수 5 내지 20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이며,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케톤 결합 및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반복단위로서, (A)와 상이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 유래 단위 (A')를 더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7항에 있어서, (A)와 상이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이 비스페놀A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카보네이트 단위가 카보닐 클로라이드, 비스(트리클로로메틸) 카보네이트,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 할로 포르메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카보네이트 단위가 비스(트리클로로메틸) 카보네이트로부터 유래된 것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제1항에 있어서, (A)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히드록시-말단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화합물 유래 단위의 함량이, 공중합체 내의 전체 디올 화합물 유래 단위 100몰%에 대하여 1~100몰%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 (1) 카보네이트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 용액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히드록시-말단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올 성분을 투입하고 혼합하는 단계, 및
(3) 상기 (2)단계의 결과 혼합물을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히드록시-말단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화합물이, (메트)아크릴산기를 갖는 히드록시-말단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화합물과 알킬 알코올, 아릴 알코올, 아릴알킬 알코올 또는 알킬아릴 알코올을 산 또는 염기 촉매의 존재하에 에스테르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디올 성분이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히드록시-말단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화합물과 상이한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중합이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수지 가공품.
-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화학식 1-1]
HO-[A(-CH2CH2C(=O)OR)]-OH
상기 화학식 1-1에서,
R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알킬아릴기를 나타내고;
A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사이클릭, 폴리사이클릭 또는 융합 사이클릭 그룹이거나, 또는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2가의 모노헤테로사이클릭, 폴리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융합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이며,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케톤 결합 및 우레탄 결합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6351A KR101815930B1 (ko) | 2015-05-29 | 2015-05-29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6351A KR101815930B1 (ko) | 2015-05-29 | 2015-05-29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268A KR20160141268A (ko) | 2016-12-08 |
KR101815930B1 true KR101815930B1 (ko) | 2018-01-09 |
Family
ID=5757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6351A Active KR101815930B1 (ko) | 2015-05-29 | 2015-05-29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93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122083A (ja) * | 2019-01-30 | 2020-08-13 | 出光興産株式会社 | カーボネート−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及びその組成物 |
KR102253358B1 (ko) * | 2019-09-04 | 2021-05-20 | 주식회사 삼양사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2472429B1 (ko) * | 2020-12-28 | 2022-12-01 | 주식회사 삼양사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KR102544992B1 (ko) * | 2020-12-28 | 2023-06-21 | 주식회사 삼양사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충격 강도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게 균형잡힌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JPWO2023074830A1 (ko) | 2021-10-29 | 2023-05-04 |
-
2015
- 2015-05-29 KR KR1020150076351A patent/KR101815930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1268A (ko) | 2016-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91122B (zh) | 共聚碳酸酯組成物及含彼的物件 | |
KR101815930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JP7081883B2 (ja) |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 |
KR101608411B1 (ko) | [폴리(아이소소바이드 카보네이트-방향족 카보네이트)]-[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EP2660271B1 (en) |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
KR101748621B1 (ko) | 벤조페논 구조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TWI610966B (zh) | 新穎聚有機矽氧烷、及使用其製得之共聚碳酸酯 | |
KR102253358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72429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01472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73001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66809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62559B1 (ko) | 우수한 내스크래치성 및 고굴절률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51834B1 (ko) |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균형 잡힌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JP6498840B2 (ja) | 新規な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るコポリカーボネート | |
KR102432074B1 (ko)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25503B1 (ko)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80465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67229B1 (ko) |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게 균형 잡힌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
KR102436857B1 (ko)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친환경성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44992B1 (ko)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며 충격 강도와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게 균형잡힌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230101140A (ko) | 내열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220058743A (ko) | 향상된 표면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240158204A (ko)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
KR20220058742A (ko) | 폴리에스테르 올리고머 및 그 제조방법, 및 이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표면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