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6482B1 - 무격막 충격파관 - Google Patents

무격막 충격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482B1
KR101796482B1 KR1020160021635A KR20160021635A KR101796482B1 KR 101796482 B1 KR101796482 B1 KR 101796482B1 KR 1020160021635 A KR1020160021635 A KR 1020160021635A KR 20160021635 A KR20160021635 A KR 20160021635A KR 101796482 B1 KR101796482 B1 KR 10179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amber
chamber
shock wave
high pressure
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506A (ko
Inventor
김희동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주)대주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주기계 filed Critical (주)대주기계
Priority to KR102016002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4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00Processes of utilising sub-atmospheric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to effect chemical or physical change of matter; Apparatus therefor
    • B01J3/06Processes using ultra-high pressure, e.g. for the formation of diamonds; Apparatus therefor, e.g. moulds or dies
    • B01J3/08Application of shock waves for chemical reactions or for modifying the crystal structure of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무격막 충격파관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리크챔버 접속구멍이 마련된 고압챔버; 일단부가 고압챔버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저압챔버; 고압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크챔버; 고압챔버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고무;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충격파 발생과정에서의 파편이나 부스러기가 발생되지 않게 되고, 격막 교체 등의 실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반복적인 충격파 실험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무격막 충격파관 { DIAPHRAGMLESS SHOCK TUBE }
본 발명은 무격막 충격파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리크챔버에 충진된 기체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개폐고무를 통해 저압챔버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파막에 의한 파편이나 부스러기의 발생이 없도록 하고 격막의 교체 없이 반복적인 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충격파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격막의 파막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파관(10; Shock Tube)은 도 1과 같이 고압실(11)과 저압실(12) 그리고 이들을 구분하는 격막(13)의 단순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충격파관(10)은 격막(13)의 파막에 의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유동을 통해 저압관에서 충격파를 얻게 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충격파관(10)은 현재까지 매우 여러 형태가 개발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항공우주용뿐만 아니라 의료용 기계장치 등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충격파관(10)에서 격막(13)의 파막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파는 저압실(12)을 향하여 압축파의 형태로 전파되고, 저압실(12)로 충격파가 전파될 때에 고압실(11)로는 팽창파가 전파된다.
이러한 파동이 관 내부에 전파되어 관의 막힌 부분이나 개방단(Open end of pipe)에서 반사되는 경우 매우 복합한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충격파관으로 얻어진 충격파는 순간적인 압력, 온도 상승을 수반하게 되고, 매우 빠른 속도로 전파되기 때문에 최근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 공업적 수요가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충격파관의 공학적 응용에서는 대부분 충격파의 강도(압력 상승)나 전파 속도는 주로 고압실과 저압실의 압력비, 그리고 격막의 재질의 두께 등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단순히 압력비나 격막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다른 강도의 충격파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격막의 재질은 충격파관의 사용 압력비가 낮은 경우 약한 충격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두께가 매우 얇은 셀포판, 합성비닐 등을 사용하며, 매우 강한 충격파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동판이나 철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격막의 파막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파관의 고압판과 저압판의 압력차에 의한 자연 파막과 외부로부터 격침(needle) 등에 의한 강제 파막 등의 형태가 있다.
도 2의 (a)는 자연파막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b)는 격침에 의한 파막을 나타낸 것이다.
대부분의 충격파관의 응용에서 접하게 되는 중요한 이슈들로, 충격파관의 파막과정에 대한 재현성의 문제와 파막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이나 부스러기 등에 의한 오염 문제가 있다.
도 3은 파막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이나 부스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충격파관의 압력비가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파막과정의 상세는 실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파막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반드시 파막에 의한 파편 등의 부스러기가 발생하여 충격파관의 공학적 응용에서는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기술적 문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염들을 깨끗하게 정리한 후 새로운 실험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막후에 격막을 다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격막재로 교체하여야 하며, 이러한 문제들은 충격파관의 기술적 응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개선된 충격파관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4-0009116호(1994년 05월 16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격막을 파막하지 않고 충격파를 발생하는 것에 의해 충격파 발생과정에서의 파편이나 부스러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격막 교체 등의 실험 준비에 필요한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반복적인 충격파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격막 충격파관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은 일측에 리크챔버 접속구멍이 마련된 고압챔버; 일단부가 고압챔버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저압챔버; 고압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크챔버; 고압챔버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은 개폐고무의 리크챔버 쪽에 요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은 개폐고무의 요입부에 유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은 저압챔버의 선단부에 유도경사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게 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고, 저압챔버에 충격파가 전파되는 과정에서 파막에 의한 파편이나 부스러기의 발생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에 의하면, 격막을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에 의하면, 고압챔버와 저압챔버를 재사용하여 반복적인 충격파 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격판 충격파관에 의하면, 고압챔버의 기체가 저압챔버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동의 줄일 수 있게 되고, 저압챔버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충격파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충격파관의 구성도,
도 2는 격막의 파막 예시도,
도 3은 파막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편이나 부스러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구성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요부 상세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구성도,
도 8은 동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요부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요부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은 고압챔버(110), 저압챔버(120), 리크챔버(130), 개폐고무(140)를 포함한다.
고압챔버(110)의 사방이 밀폐된 형태이고, 그의 내부에는 고압의 기체가 충진된다.
고압챔버(110)의 일측에는 리크챔버 접속구멍(113)이 마련된다.
저압챔버(120)는 고압챔버(110)보다 작은 직경으로, 일단부가 고압챔버(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저압챔버(120)의 내부에는 고압챔버(110)에 충진된 기체의 압력보다 낮은 압력의 기체가 충진된다.
고압챔버(110)의 내부로 삽입된 저압챔버(120)의 선단부는 고압챔버(110)의 내측면과 이격되고, 저압챔버(120)의 후단부는 고압챔버(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리크챔버(130)는 고압챔버(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고무(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압챔버(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리크챔버(130)의 내부에는 고압챔버(110)에 충진되는 기체의 압력보다 높은 압력의 기체가 충진된다.
리크챔버(130)에는 그의 내부에 충진된 고압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격막 또는 급속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개폐고무(140)는 저압챔버(120)의 선단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고압챔버(1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개폐고무(140)는 리크챔버(130) 쪽에 요입부(141)가 마련되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는 리크챔버(130)에 충진되는 기체의 압력(Ps)이 고압챔버(110)에 충진되는 기체의 압력(Ph)보다 크다.
또한, 리크챔버(130)에 충진된 고압의 기체는 고압챔버(110)의 리크챔버 접속구멍(113)을 통해 개폐고무(140)의 요입부(141)에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개폐고무(140)가 팽창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팽창 상태의 개폐고무(140)는 저압챔버(120)의 선단부를 밀폐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에 있어서 리크챔버(130)의 격막을 파막하거나 급속개폐밸브를 열어 리크챔버(130)에 충진된 고압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면 리크챔버(130)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된다.
리크챔버(13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고압챔버(110)의 압력이 작용하는 개폐고무(140)가 수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저압챔버(120)의 선단부가 개방되고, 고압챔버(110)에 충진된 고압의 기체가 저압챔버(120)로 전파되면서 종래의 충격파관(10)과 마찬가지로 저압챔버(120)의 내부에 충격파가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은 리크챔버(130)에 충진된 기체의 압력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하는 개폐고무(140)를 통해 저압챔버(120)를 폐쇄 및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고무(140)의 개방으로 저압챔버(120)에 충격파가 전파되는 때에 파막에 의한 파편이나 부스러기의 발생이 없게 된다.
또한, 격막을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험 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고, 고압챔버(110)와 저압챔버(120)를 재사용하여 반복적인 충격파 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동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은 개폐고무(140)의 요입부(141)에 유도부재(150)를 설치하고, 저압챔버(120)의 선단부에 유도경사부(121)를 마련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에 있어서 유도부재(150)는 리크챔버(130)의 압력이 저하된 때에 개폐고무(140)가 과도하게 수축되는 억제하여 개폐고무(140)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또한, 유도부재(150)는 개폐고무(140)를 일정한 형태로 수축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저압챔버(120)가 개방되었을 때에 고압챔버(110)쪽에서 저압챔버(120) 쪽으로 향하는 유동의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유도부재(150)는 고압챔버(110) 쪽에서 저압챔버(120) 쪽으로 향하는 유동이 안정화함으로서 충격파 유동의 재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도부재(150)는 고압챔버(110)와 저압챔버(120) 사이의 압력 손실을 저감하게 된다.
도면부호 160은 오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격막 충격파관(100)에 있어서 저압챔버(120)의 선단부에 마련된 유도경사부(121)는 저압챔버(120)가 개방된 순간에 고압챔버(110)로부터 저압챔버(120)로 이동하는 고압챔버(110)의 기체를 보다 원활하게 저압챔버(120) 쪽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무격막 충격파관
110 : 고압챔버
120 : 저압챔버
130 : 리크챔버
140 : 개폐고무
150 : 유도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측에 리크챔버 접속구멍(113)이 마련된 고압챔버(110);
    일단부가 고압챔버(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저압챔버(120);
    고압챔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크챔버(130);
    고압챔버(1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고무(140);를 포함하고,
    개폐고무(140)는 리크챔버(130) 쪽에 요입부(14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충격파관.
  5. 제4항에 있어서,
    개폐고무(140)의 요입부(141)에 유도부재(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충격파관.
  6. 일측에 리크챔버 접속구멍(113)이 마련된 고압챔버(110);
    일단부가 고압챔버(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저압챔버(120);
    고압챔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리크챔버(130);
    고압챔버(110)의 내부 일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개폐고무(140);를 포함하고,
    저압챔버(120)의 선단부에 유도경사부(12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충격파관.
KR1020160021635A 2016-02-24 2016-02-24 무격막 충격파관 Active KR10179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35A KR101796482B1 (ko) 2016-02-24 2016-02-24 무격막 충격파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35A KR101796482B1 (ko) 2016-02-24 2016-02-24 무격막 충격파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06A KR20170099506A (ko) 2017-09-01
KR101796482B1 true KR101796482B1 (ko) 2017-12-01

Family

ID=5992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635A Active KR101796482B1 (ko) 2016-02-24 2016-02-24 무격막 충격파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482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ophysical Reseach Letters, 2014, vol. 41, no. 2, pp. 414~4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06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484B1 (ko) 자유 피스톤을 이용한 무격막 충격파관
NO20084232L (no) Fremgangsmate for opphenging av ror i bronner
JP5541624B2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の拡管装置
IE37342B1 (en) Recovery and repair of offshore pipelines
CN105408562A (zh) 用于封闭墙及类似物中的孔的密封塞
KR101796482B1 (ko) 무격막 충격파관
EP0288745A3 (en) Sealing device
CN205763202U (zh) 管材液压胀型活塞式密封推头
KR20130100435A (ko) 선체블록의 기밀시험용 막음지그
GB1498803A (en) Pipeline tool
CN113015871B (zh) 用于修理脐带缆的软管的装置和方法
JP4982207B2 (ja) パッカー
US1885896A (en) Pipe line stopper
JP6742215B2 (ja) ガス栓取外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栓取外方法
DK1540301T3 (da) Fremgangsmåde til at overföre en tryksat fluidpröve ind i en pröveflaske ved hjælp af en indspröjtningsnål
CN209654837U (zh) 抗振型气管组件
CN114382895A (zh) 一种轴流式快速开关阀
CN207648340U (zh) 一种堵漏装置
JP2005201406A (ja) 配管の補修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配管の補修方法
JP5127326B2 (ja) ガス活管遮断工法におけるストッパ装置
CN102729040A (zh) 水锤消除器的装配方法
CN206904358U (zh) 充气密封装置及非开挖施工管道
RU2521736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монтажа магистрали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CN105772557B (zh) 高压动态密封装置
CN217736587U (zh) 一种用于管道施工的水管防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