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2451B1 -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451B1
KR101792451B1 KR1020167021985A KR20167021985A KR101792451B1 KR 101792451 B1 KR101792451 B1 KR 101792451B1 KR 1020167021985 A KR1020167021985 A KR 1020167021985A KR 20167021985 A KR20167021985 A KR 20167021985A KR 101792451 B1 KR101792451 B1 KR 10179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disposed
bobbin
wound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740A (ko
Inventor
요시히코 혼다
아키라 하마지마
다카시 스에후지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4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around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in liquid or ga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leads, i.e. conducting wi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과제) 스테이터의 다른 부분을 피하면서 적절하게 도선을 권회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테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은, 도선 (97) 이 홈 (100) 내에 도입되는 도입부와, 홈 (100) 내로 권회되는 도선 (97) 을 포함하는 조정부 (97b) 와, 티스 (91) 의 연신 방향을 따라 도선 (97) 이 인접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도선층 (CL1 ∼ CL4) 을 구비한다. 복수의 도선층 (CL1 ∼ CL4) 중, 홀수층째의 도선층 (CL1, CL3)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 (C3, C4, C21, C22) 과 외주부 (95) 의 내주면은 반피치 이간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STATOR AND BRUSHLESS MOT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67778호에는, 전기자의 티스를 덮는 인슐레이터에 도선을 권회함으로써 코일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코일은, 도선이 인슐레이터의 외주에 서로 평행하게 권회되는 제 1 층과, 도선이 제 1 층 상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권회되는 제 2 층을 포함한다.
티스에 장착되는 보빈 상에 도선을 권회할 때에는, 예를 들어 스테이터의 외벽 등의 스테이터의 다른 부분을 피하면서 도선을 권회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스테이터의 다른 부분을 피하면서 적절하게 도선을 권회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모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터는, 외주부와,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보빈과, 복수의 코일을 구비한다. 외주부는 통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티스는, 외주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티스는, 외주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다. 복수의 보빈은, 복수의 티스에 장착된다. 각 보빈은, 각 티스의 외주부측의 제 1 단과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당해 티스의 측면을 한바퀴 돈다. 복수의 코일은, 복수의 보빈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보빈의 각각은, 제 1 단측의 단 (端) 에 있어서, 당해 보빈의 외주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에 위치하는 홈을 구비한다. 복수의 코일의 각각은, 당해 코일의 도선이 보빈 외로부터 홈 내에 배치되는 도입부와, 도입부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보빈에 1 또는 2 회 권회되는 도선 중, 홈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1 또는 2 개의 도선을 포함하는 조정부와, 각각이 티스의 연신 방향을 따라 도선이 인접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도선층을 구비한다.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선층의 가장 아래의 도선층은, 조정부에 포함되는 도선 및 보빈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복수 개의 코일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선층 중, 홀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도선은 제 1 단측으로부터 제 2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고,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 층의 도선층 중, 짝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도선은 제 2 단측으로부터 제 1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다. 복수 층의 도선층 중, 홀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과 외주부의 내주면은 반피치 이간되어 있고, 복수 층의 도선층 중, 2 층째 이상의 도선층에서는, 보빈의 도입부측의 단면 (端面) 상에 배치되는 도선 이외의 도선은, 1 층 아래의 도선층의 인접하는 2 개의 도선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은, 1 개 아래의 도선층의 도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의 면 상에서는, 짝수층째의 도선층은, 제 2 단으로부터 제 1 단을 향해 권회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짝수층째의 도선층에 있어서, 외주부 부근의 도선을 권회하는 상황에서는, 권회해야 할 도선의 제 2 단측에 인접하는 도선이 이미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주부 부근의 도선은, 인접하는 도선으로 안내되어, 외주부 부근에 적절하게 권회된다. 이 결과, 도선 혹은 도선을 권회시키기 위한 장치가, 외주부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면서 권회할 수 있다.
한편,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의 면 상에서는, 홀수층째의 도선층은, 제 1 단으로부터 제 2 단을 향해 권회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홀수층째의 도선층의 도선의 권회를 개시할 때에, 외주부를 피하면서 권회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홀수층째의 도선층의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은, 외주부의 내주면과 반피치만큼 이간되어 있다. 이 결과, 홀수층째의 도선층의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이, 외주부의 내주면과 이간되지 않고 위치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당해 도선을 권회할 때에, 도선 혹은 도선을 권회시키기 위한 장치가, 외주부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모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스테이터는, 외주부와, 복수의 티스와, 복수의 보빈과, 복수의 코일을 구비한다. 외주부는 통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티스는, 외주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티스는, 외주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다. 복수의 보빈은, 복수의 티스에 장착된다. 각 보빈은, 각 티스의 외주부측의 제 1 단과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당해 티스의 측면을 한바퀴 돈다. 복수의 코일은, 복수의 보빈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보빈의 각각은 홈과 확폭부 (擴幅部) 를 구비한다. 홈은 제 1 단측의 단에 있어서, 당해 보빈의 외주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에 위치한다. 확폭부는, 홈 중 1 쌍의 면의 일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홈의 폭을 확폭한다. 확폭부의 폭은, 도선의 선 직경보다 작다. 복수의 코일의 각각은, 당해 코일의 도선이 보빈 외로부터, 홈 중 1 쌍의 면의 타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도입부와, 도입부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보빈에 1 또는 2 회 권회되는 도선 중, 홈 내에 배치되는 1 또는 2 개의 도선을 포함하는 조정부와, 각각이 티스의 연신 방향을 따라 도선이 인접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도선층을 구비한다.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선층의 가장 아래의 도선층은, 조정부에 포함되는 도선 및 보빈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다. 복수 개의 코일의 각각에 있어서,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선층 중, 홀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도선은 제 1 단측으로부터 제 2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고,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 층의 도선층 중, 짝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도선은 제 2 단측으로부터 제 1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다. 복수 층의 도선층 중, 2 층째 이상의 도선층에서는, 보빈의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이외의 도선은, 1 층 아래의 도선층의 인접하는 2 개의 도선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은, 1 개 아래의 도선층의 도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은, 연료 펌프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스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전개된 코어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 는, 제 1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 은, 제 1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 은, 제 1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 은, 제 1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 는, 제 1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 은, 제 1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은, 비교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비교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3 은, 제 2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5 는, 제 3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6 은, 제 3 실시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7 은, 제 3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8 은, 변형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9 는, 변형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우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0 은, 변형예의 보빈에 도선을 권회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부분 코어를 좌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1 은, 제 4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는, 제 4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은, 제 5 실시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24 는, 제 5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는, 제 6 실시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26 은, 제 6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은, 제 7 실시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28 은, 제 7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 는, 제 8 실시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30 은, 제 8 실시예의 도선의 권회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은, 변형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32 는, 변형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33 은, 변형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도 34 는, 변형예의 부분 코어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주요한 특징을 나열하여 기재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기술 요소는, 각각 독립적인 기술 요소로서,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특징 1) 스테이터에서는, 1 층째의 도선층에 있어서, 최초로 권회되는 특정한 도선은, 조정부에 권회되어 있는 도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2) 스테이터에 있어서, 조정부에서는, 도선은, 홈을 형성하는 측벽에 인접하여, 1 회 권회되어 있어도 된다. 1 층째의 도선층 중, 최초로 권회되는 특정한 도선은, 조정부에 권회되어 있는 도선과 측벽의 상단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의 도선과 홈의 측벽에 의해,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3) 스테이터에 있어서, 조정부에서는, 도선은, 인접하여 2 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2 단측에 위치하는 도선은, 홈을 형성하는 측벽에 인접하고 있어도 된다. 1 층째의 도선층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은, 조정부의 도선과 측벽의 상단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의 도선과 홈의 측벽에 의해,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4) 스테이터에 있어서, 조정부에서는, 도선은, 인접하여 2 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1 층째의 도선층 중, 최초로 권회되는 특정한 도선은, 조정부의 인접하는 도선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권회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의 인접하는 도선에 의해,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징 5) 스테이터에 있어서, 홀수층째의 도선층의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과 외주부의 내주면은 반피치 이간되어 있고, 짝수층의 도선층의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은, 외주부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선의 권회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
(특징 6) 스테이터에 있어서, 홈은 제 1 단측의 단에 있어서, 당해 보빈의 외주면을 한바퀴 돌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짝수층째의 도선층에 있어서, 외주부 부근의 도선을 권회하는 상황에서는, 권회해야 할 도선의 제 2 단측에 인접하는 도선이, 이미 보빈을 한바퀴 돌아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주부 부근의 도선은, 인접하는 도선에, 보빈의 전체 둘레에 걸쳐 안내되어, 외주부 부근에 적절하게 권회된다. 이로써, 도선을 적절하게, 제 1 단측에 배치할 수 있다.
(특징 7) 상기의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모터 및 당해 모터를 구비하는 펌프도 신규하며 유용하다.
(특징 8) 스테이터에서는, 홈은, 보빈의 외주면 중, 적어도, 외주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보빈의 각각은 홈 중 1 쌍의 면의 일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홈의 폭을 확폭하는 확폭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확폭부의 폭은, 도선의 선 직경보다 작아도 된다. 도입부는, 홈 중 1 쌍의 면의 타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정부 위에 권회되는 도선이 조정부 위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테이터 (60) 및 모터부 (50) 는, 연료 펌프 (10) 에 사용된다. 연료 펌프 (10) 는, 연료 탱크 (도시 생략) 내에 배치되어,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엔진 (도시 생략) 에 연료 (예를 들어 가솔린 등) 를 공급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펌프 (10) 는, 모터부 (50) 외에, 펌프부 (30) 를 구비한다. 모터부 (50) 와 펌프부 (30) 는, 하우징 (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2) 은, 양 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펌프부 (30) 는, 케이싱 (32) 과 임펠러 (34) 를 구비한다. 케이싱 (32) 은, 하우징 (2) 의 하단의 개구를 폐색한다. 케이싱 (32) 의 하단에는, 흡입구 (38) 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32) 의 상단에는, 케이싱 (32) 내와 모터부 (50) 를 연통하는 연통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32) 내에는, 임펠러 (34) 가 수용되어 있다.
모터부 (50) 는, 펌프부 (30) 의 상방에 위치한다. 모터부 (50) 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며, 삼상 모터이다. 모터부 (50) 는, 로터 (54) 와, 스테이터 (60) 와, 터미널 (70) 을 구비한다. 로터 (54) 는, 영구 자석을 구비한다. 로터 (54) 의 중심에는, 샤프트 (52) 가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샤프트 (52) 의 하단은, 임펠러 (34) 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관통하고 있다. 로터 (54) 는, 샤프트 (52) 의 양 단부에 배치된 베어링에 의해,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도 1 의 상태에서 상하를 규정한다. 즉, 모터부 (50) 에서 보았을 때 펌프부 (30) 는 「아래」에 위치하고, 펌프부 (30) 에서 보았을 때 모터부 (50) 는 「위」에 위치한다.
스테이터 (60) 는 수지층 (66) 에 덮여 있다. 수지층 (66) 은, 하우징 (2) 의 상단의 개구를 폐색한다. 수지층 (66) 의 상단에는, 토출구 (11)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 (11) 는, 모터부 (50) 와 연료 펌프 (10) 외의 연료 경로를 연통한다. 토출구 (11) 는, 펌프부 (30) 에서 승압된 연료를, 연료 경로로 토출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수지층 (66) 에서는, 스테이터 (60) 를 덮는 부분과 토출구 (11) 가, 수지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60) 를 덮는 부분과 토출구 (11) 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스테이터 (60) 는, 코어 본체 (90) 와, 코어 본체 (90) 에 배치되는 복수 (본 실시예에서는 6 개) 의 코일 (96) 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60) 의 상단에는, 터미널 (70) 이 장착되어 있다. 터미널 (70) 은, 제어 회로를 개재하여 배터리 (모두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터미널 (70) 은, 스테이터 (60) 의 코일 (96)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이다.
코어 본체 (90) 는, 코어 플레이트군 (92, 92, ·) 과, 코어 플레이트군 (92, 92, ·) 의 표면에 형성된 인슐레이터 (94) 를 구비한다. 코어 플레이트군 (92, 92, ·) 은, 복수 장의 코어 플레이트 (9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서는, 시인 용이성을 우선하여, 복수 장의 코어 플레이트 (92) 의 단면 (斷面) 을 나타내는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복수 장의 코어 플레이트 (92) 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각 코어 플레이트 (92) 는 자성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 (94) 는, 절연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인슐레이터 (94) 는, 적층된 복수 장의 코어 플레이트 (92) 로 이루어지는 코어 플레이트군 (92, 92, ·) 의 표면을 덮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본체 (90) 는, 6 개의 부분 코어 (U1, V1, W1, U2, V2, W2) 를 구비한다. 6 개의 부분 코어 (U1 ∼ W2) 는,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6 개의 부분 코어 (U1 ∼ W2) 는, 2 개의 U 상의 부분 코어 (U1, U2) 와, 2 개의 V 상의 부분 코어 (V1, V2) 와, 2 개의 W 상의 부분 코어 (W1, W2)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부분 코어 (U1 ∼ W2) 는 거의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부분 코어 (W1) 에 대해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부분 코어 (W1) 는, 외주부 (95) 와 티스 (91) (도 3 참조) 와 보빈 (99) (도 3 참조) 을 구비한다. 외주부 (95) 는, 부분 코어 (W1) 의 가장 외주측에 위치한다. 외주부 (95) 는, 코어 플레이트 (92) 의 외주 부분과 코어 플레이트 (92) 의 외주 부분을 덮는 인슐레이터 (9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주부 (95) 의 외주면은, 부분 원통 형상을 갖는다. 외주부 (95) 의 내주면은, 평판 형상을 갖는다. 외주부 (95) 는, 인접하는 부분 코어 (U2, V1) 의 각각의 외주부 (95) 에 연결되어 있다. 6 개의 부분 코어 (U1 ∼ W2) 가, 각각의 외주부 (95) 에 있어서 연결됨으로써, 통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 (95) 의 중앙부에는, 스테이터 (60) 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티스 (91)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부분 코어 (W1) 와, 부분 코어 (W1) 에 인접하는 부분 코어 (V1, U2) 가 기재되어 있지만, 도 3 에 나타내는 코어 본체 (90) 의 전개 상태에서는, 6 개의 부분 코어 (U1 ∼ W2) 가, 부분 코어 (W1, V1, U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티스 (91) 는, 코어 플레이트 (92) 중, 외주부 (95) 를 구성하는 코어 플레이트 (92) 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외주부 (95) 의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서는, 코어 플레이트 (92) 중, 부분 코어 (W1) 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코어 플레이트 (92) 는, 6개의 부분 코어 (U1 ∼ W2) 에 대응하는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 개의 부분 코어 (U1 ∼ W2) 에 배치되어 있는 6 개의 티스 (91) 는, 외주부 (95) 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티스 (91) 의 중간 부분 (91a) 은, 외주부 (95) 로부터 외주부 (95) 의 내주측 (도 3 의 하측) 으로 연장되어 있다. 티스 (91) 의 내주단은, 외주부 (95) 의 둘레 방향으로 넓어지고 있고, 로터 (54) 의 외주면을 본뜬 형상을 갖는다. 티스 (91) 는, 인슐레이터 (94) 에 의해 덮여 있다. 티스 (91) 의 내주측의 단에는, 인슐레이터 (94) 에 덮여 있는 내주부 (91b) 가 배치되어 있다.
보빈 (99) 은, 티스 (91) 를 덮는 인슐레이터 (94) 중, 중간 부분 (91a) 을 덮는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빈 (99) 은, 중간 부분 (91a) 의 측면을 한바퀴 돌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빈 (99) 은, 중간 부분 (91a) 중, 외주부 (95) 와 티스 (91) 의 내주단 사이에 위치하는 4 개의 면을 덮고 있다. 보빈 (99) 의 외주면에는, 도선 (97) 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99a) 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99a) 는, 보빈 (99) 의 외주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99a) 는, 적어도 보빈 (99) 의 4 개의 모서리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99a) 는, 보빈 (99)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99a) 는, 도선 (97) 의 외형을 본뜬 형상을 갖는다.
보빈 (99)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는, 홈 (100) 이 형성되어 있다. 홈 (100) 에서는, 보빈 (99) 의 외주면이, 다른 부분의 보빈 (99) 의 외주면보다 패여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홈 (100) 에서는, 보빈 (99) 의 외주면이, 다른 부분의 보빈 (99) 의 외주면보다, 티스 (91) 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홈 (100) 은, 보빈 (99) 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홈 (100) 이 형성되어 있는 보빈 (99) 의 둘레 길이는, 다른 부분의 보빈 (99) 의 둘레 길이보다 짧다. 홈 (100) 의 폭 (즉 스테이터 (60) 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홈 (100) 의 길이) 은, 도선 (97) 의 선 직경과 거의 동등하다. 홈 (100) 의 깊이 (즉 홈 (100) 의 단면에 있어서, 홈 (100) 의 폭과 수직 방향인 길이) 는, 도선 (97) 의 선 직경과 거의 동등하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99) 에는, 코일 (96) 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96) 은, 도선 (97) 이 보빈 (99) 에 권회되는 것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코일 (96) 은, 터미널 (70)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부분 코어 (W1) 의 코일 (96) 은, 부분 코어 (W2) 의 코일 (96) 과 접속되어 있고, 부분 코어 (W1) 의 코일 (96) 및 부분 코어 (W2) 의 코일 (96) 에는, 동 위상의 전위가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부분 코어 (U1) 의 코일 (96) 은, 부분 코어 (U2) 의 코일 (96) 과 접속되어 있고, 부분 코어 (U1) 의 코일 (96) 및 부분 코어 (U2) 의 코일 (96) 에는, 동 위상의 전위가 공급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부분 코어 (V1) 의 코일 (96) 은, 부분 코어 (V2) 의 코일 (96) 과 접속되어 있고, 부분 코어 (V1) 의 코일 (96) 및 부분 코어 (V2) 의 코일 (96) 에는, 동 위상의 전위가 공급된다.
(도선의 권회 방법)
다음으로, 도 4 ∼ 10 을 참조하여, 도선 (97) 을 권회하여, 코일 (96) 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선 (97)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코어 (U1 ∼ W2) 가, 직선상으로 나열된 상태에서 권회된다. 또한, 도 4 이후의 도면에서는, 도면의 시인 용이성을 우선하여, 보빈 (99) 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99a) 를 생략하거나 하여, 간략화하여 기재한다. 도선 (97) 은, 도 4 로부터 도 9 의 순서로 권회된다. 또한, 도 7 은, 도 6 에 나타나는 상태와 동일한 타이밍에 있어서의 도선 (97) 의 권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이 부분 코어 (W1) 의 상방으로부터 보고 있는 데에 반해, 부분 코어 (W1) 의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0 은, 코일 (96) 이 제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선 (97) 은, 보빈 (99) 의 상면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로, 도선 (97) 의 일단을, 외주부 (95) 의 상단에 위치하는 걸기부 (95a) 에 건다. 또한, 도선 (97) 은, 권회 장치 (8) 로부터 공급된다. 그리고, 걸기부 (95a) 에 걸린 도선 (97) 을, 보빈 (99) 의 좌측으로부터 보빈 (99) 의 상면을 넘어, 보빈 (99) 의 우측까지 당긴다. 이어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회 장치 (8) 를, 보빈 (99)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선 (97) 을 홈 (100) 내로 권회한다.
이 결과,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97) 은, 걸기부 (95a) 로부터 홈 (100) 까지의 도입부 (97a) 를 거쳐, 홈 (100) 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선 (97) 은, 도입부 (97a) 로부터, 외주부 (95) 에 형성된 확장부 (95b) 를 개재하여, 홈 (100) 내에 도입된다. 확장부 (95b) 는, 홈 (100) 의 폭을, 외주부 (95) 측으로 확장하고 있다. 확장부 (95b) 는, 홈 (100) 의 폭이 하방을 향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로터 (54) 의 직경 방향의 확장부 (95b) 의 길이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짧아지고 있다. 그리고, 확장부 (95b) 는, 홈 (100) 의 상하 방향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 소멸된다. 확장부 (95b) 는, 도선 (97) 을 보빈 (99) 에 권회할 때에, 도입부 (97a) 의 도선 (97) 이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부 (95b) 내의 도선 (97) 은, 도선 (97) 을 보빈 (99) 에 권회하고 있는 동안에, 도선 (97) 에 눌려, Y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도 5 의 상태로부터, 추가로 권회 장치 (8) 를 보빈 (99)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Y 축을 따른 도선 (97) 의 진행에 맞추어, Y 축으로 평행하게 내주부 (91b) 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로써, 도 6,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부 (97b) 와 1 층째의 도선층 (CL1) 이 형성된다. 조정부 (97b) 는, 홈 (100) 내에 있어서, 도선 (97) 이 1 회만 권회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도선층 (CL1) 에서는, 보빈 (99) 의 외주부 (95) 측의 단으로부터 반대측의 단을 향하여, 도선 (97) 이 조밀하게, 즉, 인접하여 권회되어 있다. 즉, 코일 (96) 의 피치는, 도선 (97) 의 선 직경과 동등하다. 상세하게는, 도선층 (CL1) 의 보빈 (99) 의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은, 조정부 (97b) 의 도선 (97) 과 홈 (100) 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도 10 의 오목부 (X1) 참조) 를 따라 권회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 (97)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이후에 권회되는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선층 (CL1) 의 보빈 (99) 의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3, C4))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반피치 (즉, 도선 (97) 의 선 직경의 1/2 의 길이) 만큼 이간되어 있다. 한편, 도선층 (CL1) 의 보빈 (99) 의 내주부 (91b) 측의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11, C12)) 은, 내주부 (91b) 에 맞닿아 있다.
도 6, 7 을 비교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제 1 층째의 도선층 (CL1) 에서는, 보빈 (99) 의 상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97) 은, X 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한편, 보빈 (99) 의 하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97) 은, 도선 (97) 의 진행 방향 (즉 Y 축 방향) 에 대해 수직 (즉 X 축 방향으로 평행) 으로 권회되어 있다.
계속해서, 권회 장치 (8) 를, 보빈 (99)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Y 축을 따른 도선 (97) 의 진행에 맞추어, 내주부 (91b) 로부터 외주부 (95) 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 결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층째의 도선층 (CL2) 이 형성된다. 도선층 (CL2) 에서는, 보빈 (99) 의 내주부 (91b) 측의 단으로부터 외주부 (95) 측의 단을 향해, 도선 (97) 이 조밀하게 권회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선층 (CL2) 에서는, 내주부 (91b) 측의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11, C12)) 은, 내주부 (91b) 에 맞닿아 있고,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19, C20)) 은, 외주부 (95) 에 맞닿아 있다. 또, 도선층 (CL2) 중 양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13 ∼ C18)) 은,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권회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19, C20)) 을 권회할 때에는, 도선 (97) 을,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의 1 권회 전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17, C18)) 에 접촉시키면서 권회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 의 도선 (C21) 에 나타나는 위치에 도선 (97) 을 배치하여 권회하면, 도선 (97) 은, 도선 (C17) 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져, 도선 (C19) 의 위치에 들어간다. 이 때문에, 권회 장치 (8) 를, 외주부 (95) 에 맞닿을 정도로, 외주부 (95) 에 근접시키지 않아도 권회할 수 있다.
또, 도선층 (CL2) 에서는, 보빈 (99) 의 상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97) 은, X 축에 대해 도선 (97) 의 Y 축을 따른 진행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한편, 보빈 (99) 의 하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97) 은, X 축과 평행하게 권회되어 있다. 보빈 (99) 의 상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97) 은, 도선층 (CL1) 의 도선 (97) 과 교차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어서, 도 8 의 상태로부터, 3 층째의 도선층 (CL3) (도 10 참조) 을 형성하기 위해서, 권회 장치 (8) 를 보빈 (99)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결과, 도선층 (CL3)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권회되는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21, C22)) 은, 도선층 (CL2) 의 외주부 (95) 측의 단으로부터 2 회 권회되어 있는 도선 (97) (도 10 의 도선 (C17 ∼ C20)) 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X2) 를 따라 권회된다.
이 결과, 도선층 (CL3) 의 보빈 (99) 의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즉 도 10 의 도선 (C21, C22))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반피치만큼 이간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권회 장치 (8) 를, 외주부 (95) 에 맞닿을 정도로, 외주부 (95) 에 근접시키지 않아도 권회할 수 있다.
도 9 의 상태로부터, 권회 장치 (8) 를, 보빈 (99) 의 둘레 방향 및 외주부 (95) 와 내주부 (91b) 사이에서 이동시켜, 도선층 (CL3, CL4) 을 형성함으로써, 코일 (96) 이 제작된다. 또한, 코일 (96) 의 도선 (97) 의 단은, 부분 코어 (W2) 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96) 의 도선 (97) 에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부분 코어 (U1) 의 코일 (96) 의 도선 (97) 의 단은, 부분 코어 (U2) 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96) 의 도선 (97) 에 접속되고, 부분 코어 (V1) 의 코일 (96) 의 도선 (97) 의 단은, 부분 코어 (V2) 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96) 의 도선 (97) 에 접속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96) 에서는, 홀수층의 도선층 (CL1, CL3) 에서는, 도선 (C3, C4, C21, C22)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으로부터 도선 (97) 의 선 직경의 1/2 만큼 이간되어 있다. 한편, 짝수층의 도선층 (CL2, CL4) 에서는, 도선 (C19, C20, C37)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코일 (96) 은, 5 층 이상의 도선층이 권회되어 있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홀수층의 도선층 (CL1, CL3 …) 에서는, 도선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으로부터 도선 (97) 의 선 직경의 1/2 만큼 이간되고, 짝수층의 도선층 (CL2, CL4 …) 에서는, 도선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효과)
도 11, 12 에 기재되어 있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한다. 비교예에서는, 보빈 (199) 에 홈 (100) 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외주부 (95) 측의 단으로부터 내주부 (91b) 측의 단까지 동일한 둘레 길이를 갖는다. 이 비교예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층째의 도선층의 도선 (97)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는 한편, 2 층째의 도선층 (CL2) 의 도선 (97)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반피치만큼 이간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가능한 한 코일 (96) 의 도선 (97) 에 조밀하게 권회하고자 하면, 3 층째의 도선층 (CL3) 에서는,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은, 3 층째의 도선층 (CL3) 의 도선 (97)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이다. 이 때문에, 3 층째의 도선층에는,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도선은 권회되어 있지 않다.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은, 2 층째의 도선층의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과 외주부 (95) 의 내주면 사이의 오목부를 따라 권회된다. 이 때문에, 권회 장치 (8) 를, 외주부 (95) 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도선 (97) 을 권회해야 한다. 또, 이 상태에서는, 권회 장치 (8) 로부터 연장하는 도선 (97) 을 강하게 잡아 당기면, 도선 (97) 이, 2 층째의 도선층의 외주부 (95) 측의 단의 도선 (97) 과 외주부 (95) 의 내주면 사이의 오목부로부터 탈락해 버려, 적절하게 권회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테이터 (60) 에서는, 조정부 (97b) 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홀수층의 도선층 (CL1, CL3) (즉, 도선 (C3, C4, C21, C22))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으로부터 대략 반피치만큼 이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비교예와 같은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짝수층의 도선층 (CL2, CL4) (즉, 도선 (C19, C20, C37)) 은,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데, 짝수층의 도선층 (CL2, CL4) 에서는, 도선 (97) 은, 내주부 (91b) 로부터 외주부 (95) 를 향해 권회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선 (C19, C20, C37) 을 권회하는 상황에서는, 이미, 짝수층의 도선층 (CL2, CL4) 에 있어서,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는 도선 (97) 에 인접하는 도선 (97) (즉, 도선 (C17, C18, C35)) 이 권회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선 (C19, C20, C37) 은, 도선 (C17, C18, C35) 에 안내되어 적절하게 권회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도선 (97) 을, 외주부 (95) 에 강하게 접촉시키지 않고, 고밀도로 적절하게 권회할 수 있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3 층째의 도선층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 (97) 을 권회할 때에, 당해 도선 (97) 은, 도입부 (97a) 의 도선 (97) 과 간섭한다. 이 때문에, 도선 (97) 을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권회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 층째의 도선층 (CL2) 중, 외주부 (95) 측의 단에 권회되는 도선 (97), 및 3 층째의 도선층 (CL3) 중, 외주부 (95) 측의 단에 권회되는 도선 (97) 은,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층 (CL2) 의 외주부 (95) 측의 2 개의 도선 (97) (도 10 의 도선 (C17 과 C19, C18 과 C20)) 사이를 따라 권회되기 때문에, 권회시에, 도입부 (97a) 의 도선 (97) 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스테이터 (60) 에 의하면, 도선 (97) 의 권회시에, 도선 (97) 이 도입부 (97a) 에 맞닿아, 권회가 붕괴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3, 14 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홈 (200) 의 형상이, 제 1 실시예의 홈 (100) 의 형상과 상이하다. 또,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코일 (96) 을 구성하는 도선 (97) 의 권회 방법이 상이하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200) 은, 홈 (100) 과 마찬가지로, 보빈 (99)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배치되어 있고, 홈 (200) 에서는, 보빈 (99) 의 외주면이, 다른 부분의 보빈 (99) 의 외주면보다 패여 있다. 홈 (200) 의 폭은, 도선 (97) 의 선 직경의 2 배와 거의 동등하다. 그 밖의 홈 (200) 의 구성은, 홈 (100) 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선의 권회 방법)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97) 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입부 (97a) 를 거쳐, 홈 (200)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선 (97) 은, 홈 (200) 내에 있어서, 2 회만 권회된다. 이 결과, 홈 (200) 내에는, Y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도선 (97) 이 배치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200) 내의 도선 (97) 은, 외주부 (95) 로부터 내주부 (91b) 를 향하는 방향, 즉, 도선 (C1, C2, C3, C4) 의 순서로 권회된다. 이로써, 홈 (200) 내에, 조정부 (297b) 가 형성된다.
조정부 (297b) 가 형성되면, 계속해서, 도 13 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97) 은, 조정부 (297b) 상에 권회된다. 이 결과, 도선층 (CL1) 의 최초의 도선 (C5, C6) 이 권회된다. 도선층 (CL5, CL6) 은, 조정부 (297b) 의 도선 (C1, C2, C3, C4) 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X201) 를 따라 권회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 (97)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이후에 권회되는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권회 방법에서는,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 (97) 은, 조정부 (297b) 를 형성하는 도선 (97) 과 보빈 (99) 의 상단측에서 교차한다.
계속해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선 (97) 이 도선층 (CL1 ∼ CL4) 까지 권회되어, 코일 (96) 이 제작된다. 또한, 코일 (96) 은, 5 층 이상의 도선층에 의해 제작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5 ∼ 17 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코일 (96) 을 구성하는 도선 (97) 의 권회 방법이 상이하다.
(도선의 권회 방법)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97) 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입부 (97a) 를 거쳐, 홈 (200) 내에 배치된다. 그리고, 도선 (97) 은, 홈 (200) 내에 있어서, 2 회만 권회된다. 이 결과, 홈 (200) 내에는, 외주부 (95) 와 내주부 (91b) 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도선 (97) 이 배치된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200) 내의 도선 (97) 은, 외주부 (95) 로부터 내주부 (91b) 를 향하는 방향, 즉, 도선 (C1, C2, C3, C4) 의 순서로 권회된다. 이로써, 홈 (200) 내에, 조정부 (397b) 가 형성된다.
조정부 (397b) 가 형성되면, 계속해서, 도선 (97) 은, 도선층 (CL1)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 (97) 을, 조정부 (397b) 의 내주부 (91b) 측의 단의 도선 (97) 과 홈 (200) 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X301) (도 17 참조) 를 따라 권회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중,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 (97)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이후에 권회되는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선 (97) 은, 내주부 (91b) 를 향해 권회된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내주부 (91b) 에 맞닿을 때까지 권회되면 (도 17 의 도선 (C9, C10)), 제 1,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선층 (CL2) 의 내주부 (91b) 측의 단의 도선 (97) (도 17 의 도선 (C11, C12)) 으로부터 순서대로, 도선층 (CL2) 이 형성된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층 (CL2) 의 도선 (C15, C16) 이 권회되면, 이어서, 도선 (97) 은, 조정부 (397b) 의 도선 (C1 ∼ C4) 상에 권회된다. 즉, 도선 (C15, C16) 이 권회되면, 도선층 (CL1) 을 형성하는 도선 (97) 이 권회된다. 이어서, 도선 (C5, C6, C17, C18) 상에, 도선층 (CL2) 을 형성하는 도선 (C19, C20) 이 권회되고, 이어서, 도선 (C21, C22) 이 권회된다. 이로써, 도선층 (CL2) 이 형성된다. 이후, 제 1,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선 (97) 이 권회되어, 도선층 (CL1 ∼ CL4) 을 갖는 코일 (96) 이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상기 서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홈 (100) 은, 보빈 (99) 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홈 (100) 은, 보빈 (99) 의 외주면 중, 티스 (91) 의 중간 부분 (91a)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 쌍의 면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면) 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도입부 (97a) 의 하단은, 홈 (100) 에 배치되는 도선 (97) 에 연속하고 있다. 도 21, 도 22 에는, 보빈 (99)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면에 홈 (100) 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도선 (97) 의 권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도선 (97) 이, 보빈 (99) 의 상면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으로 나타나고 있고, 도 22는, 도선 (97) 이, 보빈 (99) 의 상면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 보빈 (99) 의 상면의 수직인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면 중의 도선 (97) 내의 숫자는, 도선 (97) 의 권회 수를 나타낸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권회째 (즉 도선 (97) 내의 숫자가 「1」) 의 도선 (97) 은, 홈 (100)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10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서는, 1 권회째의 도선 (97) 은, 1 층째의 최초로 권회되는 도선에 상당한다. 홈 (100) 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서는, 1 층째의 도선층 (CL1) ∼ 4 층째의 도선층 (CL4) 의 각각에 있어서, 도선 (97) 은, 4 회, 5 회, 4 회, 5 회 권회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홈 (100)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서는, 도선층 (CL1) ∼ 도선층 (CL4) 의 각각에 있어서, 도선 (97) 은, 5 회, 4 회, 5 회, 4 회 권회되어 있다.
2 층째의 도선층 (CL2)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 (도 21 의 즉 도선 (97) 내의 숫자가 「10」) 은, 상기한 제 1 ∼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도선 (도 21 의 즉 도선 (97) 내의 숫자가 「9」) 을 따라 미끄러져 떨어져, 2 층째의 도선층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들어간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있어서, 2 층째의 도선층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위치하는 도선 (97) 은, 보빈 (99) 의 상하 단면에서는, 3 층째의 도선층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도, 도선 (97)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의 2 층째의 도선 (도 21 의 즉 도선 (97) 내의 숫자가 「9」) 에 의해 안내되어 있기 때문에, 권회 장치 (8) 를, 외주부 (95) 에 맞닿을 정도로, 외주부 (95) 에 근접시키지 않아도 권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 1 ∼ 3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홈 (100) 은, 보빈 (99) 의 외주면 중, 적어도 티스 (91) 의 중간 부분 (91a)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 쌍의 면 중, 보빈 (99) 의 상하 단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도입부 (97a) 의 하단은, 홈 (100) 에 배치되는 도선 (97) 에 연속하고 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1) 상기 서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연료 펌프 (10) 에 사용한 예였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브러시리스 모터는, 냉각수 펌프 등의 전동 펌프나, 다른 장치에 사용되어도 된다.
(2) 상기한 제 2 실시예에서는, 홈 (200) 내의 도선 (97) 은, 외주부 (95) 로부터 내주부 (91b) 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다. 그러나, 도 18 ∼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부 (297b) 에서는, 도입부 (97a) 로부터 도선 (97) 이 홈 (200) 에 도입되면, 홈 (200) 을 1 회 권회하는 동안에, 홈 (200) 의 내주부 (91b) 측의 단 (도 18 의 P 로 나타나는 위치) 으로 진행하고 있어도 된다. 계속해서, 도선 (97) 은, 보빈 (99) 의 상단을, Y 축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어서,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97) 이, 보빈 (99) 의 일방의 측면 (도 18 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면) 에 있어서 교차되어,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99) 의 타방의 측면 (도 18 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면) 에 있어서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권회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6 슬롯의 3 상 모터인 모터부 (50) 가 기재되어 있지만, 모터는, 3 × N (N 은, 양의 정수) 개의 슬롯을 갖는 3 상의 교류 모터여도 된다. 이 경우, 3 × N 개의 부분 코어가, 스테이터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3 × N 개의 부분 코어는, N 개의 코어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각 코어 그룹에 속하는 3 개의 부분 코어는, 스테이터의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1 개의 코어 그룹에 속하는 3 개의 부분 코어에서는, 대향면은 맞닿아 있어도 된다. 한편, 코어 그룹 사이에 위치하는 대향면 중 적어도 1 세트의 대향면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동일한 코어 그룹의 인접하는 부분 코어에 포함되는 1 세트의 대향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 5 실시예)
도 23, 24 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홈 (100) 의 일부에 있어서, 홈 (100) 의 폭, 즉, 홈 (100) 의 스테이터 (60) 의 직경 방향 (즉 Y 축 방향) 의 길이가, 제 1 실시예의 홈 (100) 의 폭보다 k 만큼 길다. k 는, 0 보다 크고, 도선 (97) 의 선 직경보다 가늘다. 이로써, 홈 (100) 의 폭은, W (W 는, 홈 (100) 에 권회되는 횟수로, 도선 (97) 의 선 직경 (D) 을 곱한 값) + k (0 < k < D) 가 된다. 예를 들어, k 는, 도선 (97) 의 선 직경의 1/4 이상 3/4 이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보빈 (99) 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홈 (100) 중, 외주부 (95) 의 축 방향 (즉 도 23 의 지면 수직 방향) 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확장부 (95b)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부분에, 확폭부 (100a) 가 배치되어 있다. 확폭부 (100a) 는, 홈 (100)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 배치되어 있다. 확폭부 (100a) 는,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확폭부 (100a) 의 깊이, 즉, 홈 (100) 의 스테이터 (60) 의 직경 방향의 길이는, 상기한 k 이다. 또, 확폭부 (100a) 의 높이, 즉, 외주부 (95) 의 내주면에 평행한 방향 (즉 X 축 방향) 의 길이는, 도선 (97) 의 선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확폭부 (100a) 는,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빈 (99) 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확폭부 (100a) 는,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빈 (99) 보다 짧아도 된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권회 방법을 이용하여 도선 (97) 을 권회시키면, 도선 (C2)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2) 은, Y 축 방향에 있어서, 도선 (C1) 과 동일한 위치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 (C4)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4) 은, 도선 (C2) 과 홈 (100) 의 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도선 (C2) 은, 도선 (C4) 에 의해, 확폭부 (100a) 측으로 가압되어 외주부 (95) 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된다. 이로써, 도선 (C2) 과 홈 (100) 의 측면 사이에 오목부 (X5) 가 형성된다. 오목부 (X5) 의 Y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한 k 와 동일하다. 도선 (C4) 은, 오목부 (X5) 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목부 (X5) 를 따라 권회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 (X5) 에 의해, 도선 (C4)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도선 (C5) 이후가 권회되는 단계에서, 도선 (C4) 이 오목부 (X5) 로부터 내주부 (91b) 측으로 이동하여,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25, 26 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홈 (200) 의 일부에 있어서, 홈 (200) 의 폭, 즉, 홈 (200) 의 스테이터 (60) 의 직경 방향 (즉 Y 축 방향) 의 길이가, 제 2 실시예의 홈 (200) 의 폭보다 k 만큼 길다. k 는, 0 보다 크고, 도선 (97) 의 선 직경보다 가늘다. 예를 들어, k 는, 도선 (97) 의 선 직경의 1/4 이상 3/4 이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홈 (200) 의 외주부 (95) 측의 단에는, 확폭부 (100a) 와 동일한 확폭부 (200a) 가 배치되어 있다.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권회 방법을 이용하여 도선 (97) 을 권회시키면, 도선 (C1 ∼ C4)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2, C4) 의 각각은, Y 축 방향에 있어서, 도선 (C1, C3) 의 각각과 동일한 위치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 (C6)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6) 은, 도선 (C2) 과 도선 (C4)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도선 (C2) 은, 도선 (C6) 에 의해, 확폭부 (100a) 측으로 가압되어 외주부 (95) 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된다. 이로써, 도선 (C2) 과 도선 (C4) 사이에 오목부 (X6) 가 형성된다. 오목부 (X6) 의 Y 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한 k 와 동일하다. 도선 (C6) 은, 오목부 (X5) 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목부 (X5) 를 따라 권회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 (X5) 에 의해, 도선 (C6)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도선 (C6) 이후가 권회되는 단계에서, 도선 (C6) 이 오목부 (X5) 로부터 내주부 (91b) 로 이동하여,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도 27, 28 을 참조하여, 제 5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폭부 (300a) 는, 홈 (100) 의 내주부 (91b) 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홈 (100) 의 폭은, 확폭부 (300a)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 내주부 (91b) 측으로 k 만큼 확폭되어 있다. 확폭부 (300a) 는,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빈 (99) 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변형예에서는, 확폭부 (300a) 는, XY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보빈 (99) 보다 짧아도 된다.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권회 방법을 이용하여 도선 (97) 을 권회시키면, 도선 (C2)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2) 은, Y 축 방향에 있어서, 도선 (C1) 과 동일한 위치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 (C4)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4) 은, 도선 (C2) 과 홈 (100) 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X7) 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목부 (X7) 를 따라 권회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 (X7) 에 의해, 도선 (C4)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도선 (C7) 이후가 권회되는 단계에서, 도선 (C4) 이 오목부 (X7) 로부터 내주부 (91b) 로 이동하여,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8 실시예)
도 29, 30 을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폭부 (400a) 는, 제 7 실시예의 확폭부 (300a) 와 동일하게, 홈 (200) 의 내주부 (91b)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선 (C1 ∼ C4)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2, C4) 의 각각은, Y 축 방향에 있어서, 도선 (C1, C3) 의 각각과 동일한 위치에 권회되어 있다. 그리고, 도선 (C6) 이 권회되는 단계에서는, 도선 (C6) 은, 도선 (C2) 과 도선 (C4)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도선 (C4) 은, 도선 (C6) 에 의해, 내주부 (91b) 측으로 가압되어 확폭부 (400a) 의 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된다. 이로써, 도선 (C2) 과 도선 (C4) 사이에 오목부 (X8) 가 형성된다. 도선 (C6) 은, 오목부 (X8) 에 끼워진 상태에서, 오목부 (X8) 를 따라 권회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 (X8) 에 의해, 도선 (C6) 을 적절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도선 (C6) 이후가 권회되는 단계에서, 도선 (C6) 이 오목부 (X5) 로부터 내주부 (91b) 로 이동하여, 도선층 (CL1) 의 도선 (97) 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 7 실시예의 확폭부 (300a) 는, 홈 (100) 의 깊이 (즉 X 축 방향의 길이) 와 동일한 깊이를 가지고 있지만, 확폭부 (300a)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폭부 (500a) 의 깊이는, 홈 (100) 보다 얕아도 된다. 그 밖의 확폭부 (500a) 의 형상은, 확폭부 (300a) 의 형상과 동일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제 7 실시예의 확폭부 (300a) 의 폭 (즉, Y 축 방향의 길이) 은, X 축 방향으로 일정하지만, 확폭부 (300a)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폭부 (600a) 의 폭은, X 축 방향을 따라 변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확폭부 (600a) 는, 홈 (100) 의 내주부 (91b) 측의 측벽을 모따기함으로써 제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99) 의 홈 (100) 을 형성하는 면을 만곡면 (700a) 에 형성함으로써, 확폭부를 형성해도 된다. 혹은, 도 3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99) 의 홈 (100) 측의 단부가, X 축을 따라, 확장부 (95b) 가 형성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면 (800a) 을 형성함으로써, 홈 (100) 을 확폭시켜도 된다.
상기의 확폭부 (500a ∼ 800a) 는, 일반적으로 말하면, 「확폭부는, 홈 중, 적어도 보빈의 외주측의 단부 (혹은, 티스의 측면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측의 단부) 의 폭을 확폭한다」라고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확폭부 (500a ∼ 800a) 도, 「홈 중 1 쌍의 면의 타방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홈의 폭이, W (W 는, 상기 조정부에 권회되는 횟수에, 도선의 선 직경 (D) 을 곱한 값) + k (0 < k < D) 인」구성, 및 「홈 중 1 쌍의 면의 일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홈의 폭을 확폭하는」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확폭부 (500a ∼ 800a) 는, 홈 (200) 을 확폭하기 위한 확폭부로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고,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10:연료 펌프
30:펌프부
50:모터부
54:로터
60:스테이터
90:코어 본체
91:티스
91a:중간 부분
91b:내주부
95:외주부
96:코일
99:보빈
U1, V1, W1, U2, V2, W2:부분 코어

Claims (10)

  1. 모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로서,
    통 형상의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로서, 상기 외주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복수의 티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보빈으로서, 각 보빈은, 각 티스의 외주부측의 제 1 단과 상기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당해 티스의 측면을 한바퀴 도는 상기 복수의 보빈과,
    상기 복수의 보빈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빈의 각각은, 상기 제 1 단측의 단에 있어서, 당해 보빈의 외주면 중,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에 위치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은,
    당해 코일의 도선이 상기 보빈 외로부터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도입부와,
    도입부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 1 또는 2 회 권회되는 상기 도선 중, 상기 홈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1 또는 2 개의 상기 도선을 포함하는 조정부와,
    각각이 상기 티스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기 도선이 인접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도선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의 가장 아래의 도선층은, 상기 조정부에 포함되는 상기 도선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 중, 홀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상기 도선은, 상기 제 1 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상기 도선과 상기 외주부의 상기 내주면은 반피치 이간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 중, 짝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상기 도선은, 상기 제 2 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도선층 중, 2 층째 이상의 도선층에서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이외의 상기 도선은, 1 층 아래의 도선층의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도선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도선은, 상기 1 개 아래의 도선층의 상기 도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 중, 적어도, 상기 외주부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보빈의 각각은, 상기 홈 중, 상기 1 쌍의 면의 일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을 확폭하는 확폭부로서, 상기 확폭부의 폭은, 상기 도선의 선 직경보다 작은 상기 확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입부는, 상기 홈 중, 상기 1 쌍의 면의 타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1 층째의 도선층에 있어서, 최초로 권회되는 특정한 도선은, 상기 조정부에 권회되어 있는 상기 도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에서는, 상기 도선은, 상기 홈을 형성하는 측벽에 인접하여, 1 회 권회되어 있고,
    상기 특정한 도선은, 상기 조정부에 권회되어 있는 상기 도선과 상기 측벽의 상단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에서는, 상기 도선은, 인접하여 2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도선은, 상기 홈을 형성하는 측벽에 인접하고 있고,
    상기 특정한 도선은, 상기 조정부의 상기 도선과 상기 측벽의 상단 사이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에서는, 상기 도선은, 인접하여 2 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특정한 도선은, 상기 조정부의 인접하는 상기 도선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권회되어 있는 스테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수층째의 도선층의 상기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상기 도선과 상기 외주부의 상기 내주면은 반피치 이간되어 있고,
    상기 짝수층째의 도선층의 상기 제 1 단측의 단에 위치하는 상기 도선은, 상기 외주부의 상기 내주면에 맞닿아 있는 스테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 1 단측의 단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을 한바퀴 도는 스테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테이터와,
    상기 티스의 상기 제 2 단측에 배치되는 로터를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10. 모터에 사용되는 스테이터로서,
    통 형상의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티스로서, 상기 외주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는 상기 복수의 티스와,
    상기 복수의 티스에 장착되는 복수의 보빈으로서, 각 보빈은, 각 티스의 외주부측의 제 1 단과 상기 제 1 단의 반대측의 제 2 단의 중간 위치에 있어서, 당해 티스의 측면을 한바퀴 도는 상기 복수의 보빈과,
    상기 복수의 보빈 상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보빈의 각각은,
    상기 제 1 단측의 단에 있어서, 당해 보빈의 외주면 중, 적어도, 상기 외주부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에 위치하는 홈과,
    상기 홈 중, 상기 1 쌍의 면의 일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을 확폭하는 확폭부로서, 상기 확폭부의 폭은, 상기 코일의 도선의 선 직경보다 작은 상기 확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은,
    당해 코일의 상기 도선이 상기 보빈 외로부터, 상기 홈 중, 상기 1 쌍의 면의 타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도입부와,
    도입부에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빈에 1 또는 2 회 권회되는 상기 도선 중, 상기 홈 내에 배치되는 1 또는 2 개의 상기 도선을 포함하는 조정부와,
    각각이 상기 티스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기 도선이 인접하여 나열되는 복수의 도선층으로서,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의 가장 아래의 도선층은, 상기 조정부에 포함되는 상기 도선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코일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 중, 홀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상기 도선은, 상기 제 1 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2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도선층 중, 짝수층째의 도선층에서는, 상기 도선은, 상기 제 2 단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단측을 향해 순서대로 권회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도선층 중, 2 층째 이상의 도선층에서는, 상기 보빈의 상기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도선 이외의 상기 도선은, 1 층 아래의 도선층의 인접하는 2 개의 상기 도선 사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입부측의 단면 상에 배치되는 상기 도선은, 상기 1 개 아래의 도선층의 상기 도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테이터.
KR1020167021985A 2014-03-20 2014-11-28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Active KR101792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58659 2014-03-20
JPJP-P-2014-058659 2014-03-20
JP2014122328A JP6181002B2 (ja) 2014-03-20 2014-06-13 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JPJP-P-2014-122328 2014-06-13
PCT/JP2014/081559 WO2015141069A1 (ja) 2014-03-20 2014-11-28 ステ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740A KR20160106740A (ko) 2016-09-12
KR101792451B1 true KR101792451B1 (ko) 2017-10-31

Family

ID=5414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985A Active KR101792451B1 (ko) 2014-03-20 2014-11-28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64493B2 (ko)
JP (1) JP6181002B2 (ko)
KR (1) KR101792451B1 (ko)
CN (1) CN106165265B (ko)
DE (1) DE112014006488B4 (ko)
WO (1) WO2015141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4653B2 (ja) * 2014-08-18 2018-12-26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テータ及び電動ポンプ
CN108141082B (zh) * 2015-10-29 2020-03-06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
JP6537438B2 (ja) * 2015-11-09 2019-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GB2557347A (en) * 2016-12-08 2018-06-20 Ge Energy Power Conversion Uk Ltd Salient pole rotors and methods for winding rotor coils thereon
CN110168861A (zh) * 2017-01-11 2019-08-23 三菱电机株式会社 分割铁芯单元、旋转电机、分割铁芯单元的制造方法及旋转电机的制造方法
WO2018138853A1 (ja) * 2017-01-27 2018-08-0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
US10312770B2 (en) * 2017-02-25 2019-06-04 Applied Motion Products, Inc. Motor with integrated connector enclosure
JP6869092B2 (ja) * 2017-04-27 2021-05-12 日立Astemo株式会社 回転電機に用いられる固定子、回転電機、及び固定子の製造方法
EP3410577A1 (de) * 2017-06-02 2018-12-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Leitungsdurchführung
CN109428423B (zh) * 2017-08-22 2020-09-25 马渊马达株式会社 定子及其制造方法、马达及其制造方法、绕线方法
JP2019097309A (ja) * 2017-11-22 2019-06-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固定子
CN109756039B (zh) * 2018-12-24 2024-04-19 宁波圣龙汽车动力系统股份有限公司 定子齿模块、定子、电机及该定子齿模块内的绕组绕制方法
JP7258625B2 (ja) * 2019-03-27 2023-04-17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モータ用ステータ
DE102019211262A1 (de) * 2019-07-30 2021-02-0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Spulenträger für eine Statorwicklung eines Elektromotors
DE102020119680A1 (de) 2020-07-27 2022-01-27 Audi Aktiengesellschaft Sternscheibe für einen Rotor einer fremderregten Synchronmaschine
US20240063675A1 (en) * 2020-12-28 2024-02-22 Panasonic Holdings Corporation Insulator, electric motor, and applied equipment
EP4423880A1 (en) * 2021-10-28 2024-09-04 Services Pétroliers Schlumberger Terminal assembly for encapsulated sta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565A (ja) 2004-10-12 2006-04-27 Asmo Co Ltd インシュレータ、電動機、及び巻線の巻回方法
JP2007006636A (ja) 2005-06-24 2007-01-11 Daikin Ind Ltd 電機子用鉄心、電機子及びモータ
JP2008228471A (ja) 2007-03-14 2008-09-25 Yaskawa Electric Corp インシュレータと固定子および電動機
JP2012178932A (ja) 2011-02-25 201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製造方法
JP2013013191A (ja) 2011-06-28 2013-01-17 Nissan Motor Co Ltd ステーター及びそのステーターを使用するモーター並びにインシュレーター
JP2013208021A (ja) 2012-03-29 2013-10-07 Mitsuba Corp ステータコア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4262Y2 (ko) * 1973-09-10 1979-08-17
US3979615A (en) * 1975-02-05 1976-09-07 Amp Incorporated Field assembly for electric motors
JPH11341720A (ja) 1998-05-26 1999-12-10 Aisin Seiki Co Ltd 電気モータ用コイル
JP3437927B2 (ja) * 1998-06-10 2003-08-18 日本サーボ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
JP4151344B2 (ja) * 2002-08-09 2008-09-17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インシュレータ及び該インシュレータを備えたモータ
JP4076837B2 (ja) 2002-10-21 2008-04-16 アスモ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及び回転磁界型電動機
US7026739B2 (en) * 2003-05-23 2006-04-11 Honda Motor Co., Ltd Stator and insulating bobbin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tator
JP4826718B2 (ja) 2004-07-27 2011-11-30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用の電機子およびモータ
JP4483480B2 (ja) * 2004-08-27 2010-06-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固定子及びモータ
JP4106375B2 (ja) * 2005-09-26 200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5214150B2 (ja) * 2007-01-26 2013-06-19 オリエンタルモーター株式会社 回転電機用固定子構造
JP2012019574A (ja) * 2010-07-06 2012-01-26 Honda Motor Co Ltd 電動機の突極集中巻きステータ
JP5843156B2 (ja) * 2011-06-13 2016-01-13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テ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
DE102013001916A1 (de) * 2012-02-07 2013-08-08 Ebm-Papst St. Georgen Gmbh & Co. Kg Elektromotor
JP5652671B2 (ja) * 2012-05-22 2015-01-14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ポン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5565A (ja) 2004-10-12 2006-04-27 Asmo Co Ltd インシュレータ、電動機、及び巻線の巻回方法
JP2007006636A (ja) 2005-06-24 2007-01-11 Daikin Ind Ltd 電機子用鉄心、電機子及びモータ
JP2008228471A (ja) 2007-03-14 2008-09-25 Yaskawa Electric Corp インシュレータと固定子および電動機
JP2012178932A (ja) 2011-02-25 2012-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製造方法
JP2013013191A (ja) 2011-06-28 2013-01-17 Nissan Motor Co Ltd ステーター及びそのステーターを使用するモーター並びにインシュレーター
JP2013208021A (ja) 2012-03-29 2013-10-07 Mitsuba Corp ステータコ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5265A (zh) 2016-11-23
DE112014006488T5 (de) 2016-12-01
JP6181002B2 (ja) 2017-08-16
US10164493B2 (en) 2018-12-25
WO2015141069A1 (ja) 2015-09-24
KR20160106740A (ko) 2016-09-12
DE112014006488B4 (de) 2025-07-03
JP2015195693A (ja) 2015-11-05
US20170141634A1 (en) 2017-05-18
CN106165265B (zh)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451B1 (ko) 스테이터 및 브러시리스 모터
CN103187808B (zh) 电动机
CN106416024B (zh) 轴向间隙型旋转电机
WO2021237991A1 (zh) 扁线定子组件及电机
US11063488B2 (en) Stator for electric rotating machine
US10069351B2 (en) Armature and rotating electrical device
US20190319506A1 (en) Insulator of stator and stator
CN102201708A (zh) 旋转电机定子
JP2017131046A (ja) コイル及び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の固定子
EP2690757A2 (en) Electricity collection and distribution ring and electric motor
JP6444653B2 (ja) ステータ及び電動ポンプ
US20240322632A1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06849435B (zh) 旋转电机
KR20140004019A (ko) 전기 모터의 로터 내에서 코일 와이어의 배치
US11557935B2 (en) Stator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hairpin of stator of electric rotat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251373A (zh) 旋转电机及旋转电机用绝缘件
CN100555802C (zh) 定子和绝缘绕线架以及该定子的制造方法
EP2031735B1 (en) Stator and electric motor
CN103107609A (zh) 带角铜线绕组电机的定子结构及其制造方法
CN106464054A (zh) 旋转电机及其制造方法
JP6334365B2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
CN107534330B (zh) 电机的绕组齿
JP2003204645A (ja) 電動機
JP2016019377A (ja) 電動機用ステータ
JP5383208B2 (ja) ステータの巻線方法、並びにインシュレータ、電動機のステータ、及び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