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5307B1 -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307B1
KR101785307B1 KR1020170088013A KR20170088013A KR101785307B1 KR 101785307 B1 KR101785307 B1 KR 101785307B1 KR 1020170088013 A KR1020170088013 A KR 1020170088013A KR 20170088013 A KR20170088013 A KR 20170088013A KR 101785307 B1 KR101785307 B1 KR 10178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sheet
light emitting
flash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Priority to KR1020170088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07B1/ko
Priority to CN201821100777.5U priority patent/CN208537875U/zh
Priority to CN201810759573.0A priority patent/CN109240023A/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storing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pagers or smart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8Trick photography
    • A45C201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9Iridescent, pearlescen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발광시트, 반사시트, 투명 시트를 포함한다. 발광시트는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된다. 반사시트는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투명 시트는 상기 발광시트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되고 하프 미러 코팅된다.

Description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Protection 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휴대기기를 감싸도록 휴대기기의 외곽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휴대기기가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주로 하였다. 그런데, 최근에는 휴대기기 보호케이스가 단순히 휴대기기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의 개성을 표현하는 일종의 패션 아이템으로서도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일 예로 휴대기기의 배면 부위에 배치되는 평판의 한쪽면에 캐릭터 이미지 등을 인쇄하고 그 위에 미러 코팅을 하며, 반대면에는 블랙실크인쇄를 하여 외부에서 보았을 때 캐릭터 이미지와 반짝이는 금속 거울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한 것이 있다(도 1 참조).
위와 같은 종래의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보다 더욱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1527호(2016. 02. 01)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사용자들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발광시트, 반사시트, 투명 시트를 포함한다. 발광시트는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된다. 반사시트는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투명 시트는 상기 발광시트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되고 하프 미러 코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로서,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빛나게 되는 발광시트,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및 상기 발광시트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반투명의 패널시트는 휴대기기의 후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로서,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되는 발광시트,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및 휴대기기의 후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반투명의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반사판의 표면에는 홀로그램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 플래시에서 발광하는 빛에 의해 빛나게 되는 발광시트의 음각 무늬와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는 부재에 인쇄된 이미지 및 하프 미러 코팅 등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반사시트의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느낌의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서 플래시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흰색 반사면을 가진 발광시트를 장착한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남색 반사면을 가진 발광시트를 장착한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외관 모습이다.
도 7는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플래시의 빛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대응되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번호로 참조된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형상이나 크기 등은 실제보다 과장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서 플래시 주변영역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100)는 후면에 플래시(F)가 구비된 휴대기기(M)에 결합되어 휴대기기(M)를 보호하는 물품이다. 이러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는 발광시트(130), 반사시트(120) 및 투명시트(110)를 포함한다.
발광시트(130)는 휴대기기(M)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M)의 플래시(F)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131)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131)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된다. 발광시트(130)는 빛이 입사되어 전파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일 수 있으며 수지로 만들 수 있다.
한편, 음각 무늬는 V, U형의 홈을 긁거나 프레스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각 무늬 부분에서는 그 단면에 빛이 맺히면서 주위에 비해 밝게 빛나기 때문에 각종 도안이나 글씨, 그림 등의 패턴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이나 정보, 광고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반사시트(120)는 휴대기기(M)의 플래시(F)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121)가 형성되고 휴대기기(M)와 발광시트(130)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시트(13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반사시트(120)는 발광시트(13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잘 반사시킬 수 있도록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사시트(120)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 종이나 얇은 플라스틱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반사시트(120)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시트(13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120)의 반사면(120a)은 다양한 색이 입혀질 수 있다. 반사면(120a)에 입혀진 색에 따라 다양한 느낌의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발광시트(130)의 반사면을 흰색과 남색으로 했을 때 서로 다른 느낌의 이미지가 연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반사시트(120)는 지문이나 이물질에 의해 발광시트(130)가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투명시트(110)는 발광시트(130)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되고 하프 미러 코팅된다. 투명시트(110)는 아크릴, PC, 유리 등 투명한 소재의 일면에 실크 인쇄로 이미지(110a)를 인쇄하고 그 위에 하프 미러 증착을 하여 만들 수 있다. 투명시트(110)에 인쇄된 이미지(110a)는 캐릭터 이미지일 수 있으며 각종 색상 또는 형광물질이 인쇄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미러 증착의 경우 빛의 투과 방지를 위하여 증착막 위에 블랙 실크 인쇄를 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투명시트(110)의 하프 미러 증착막 위에는 블랙 실크 인쇄를 할 필요가 없다. 반사시트(120)가 빛의 투과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100)를 위와 같이 만드는 경우, 휴대기기 플래시에서 발광한 빛이 발광시트(130)에 새겨진 음각 무늬를 거쳐 하프 미러 코팅된 투명 시트를 통과하므로 사용자가 반짝이는 무늬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반짝이는 무늬와 투명시트(110)에 인쇄된 이미지 및 하프 미러 코팅의 조합을 통해 고급스러우면서도 스포티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투명시트(110) 대신에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배치할 수도 있다. 반투명의 패널시트는 발광시트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된다.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반사시트(120)가 빛을 반사시키므로 외부에서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되며 플래시에서 발광하여 발광시트(130)에 새겨진 음각 무늬를 비추는 빛은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통과하므로 사용자가 반짝이는 무늬를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반투명의 패널시트는 휴대기기의 후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금형에 인서트한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반투명의 패널시트와 커버부재를 별도로 사출 성형한 후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커버부재에 조립 부착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투명시트(110) 대신에 반투명의 패널시트를 사용하는 경우, 하프 미러 코팅과는 다른 느낌의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반투명 패널시트 없이 일체로 형성된 반투명의 커버부재가 패널시트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반투명의 커버부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 TPU) 혹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만들 수 있다. 위와 같이 별도의 반투명 패널시트 없이 일체로 형성된 반투명의 커버부재를 만드는 경우, 색다른 느낌의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의 표면에는 홀로그램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반사판의 표면에 홀로그램이 형성되는 경우 투명시트, 반투명의 패널시트 등에 형성된 인쇄와 어울려 다양한 유니크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외관 모습이며 도 7는 도 6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플래시의 빛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나타낸 모습이다.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가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화가 오는 등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여 플래시가 발광하게 되면, 플래시에서 나온 빛이 반사시트(120)의 개구(121)를 통과한 후 발광시트(130)의 개구(131)를 통해 발광시트(130)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 다음 옆으로 전파되며 발광시트(130)에 형성된 음각무늬 부분을 밝게 비추게 된다. 한편, 일부 빛들은 발광시트(130)와 투명시트(110)의 경계면 또는 투명시트(110)의 인쇄면에서 반사되어 반사시트(120)로 향하게 되는데 이러한 빛들은 반사시트(120)에서 다시 반사, 전파되어 반사시트(120)의 음각무늬 부분을 밝게 비추게 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외부에서 보게 되면 플래시(F)가 발광하기 전에는 투명시트(110)의 하프미러 증착막과 인쇄 무늬만이 보이다가 플래시(F)가 발광하게 되면 반사시트(120)의 패턴부가 빛나면서 함께 보이게 되어 아름다운 외관을 연출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커버부재(210)가 2개의 부분(211, 212)으로 이루어져 상하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커버부재(210)의 상하 슬라이딩은 하나의 커버부재(211)에는 홈을 형성하고 다른 커버부재(212)에는 해당 홈에 맞는 돌기를 형성하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커버부재(210)가 2개의 부분(211, 212)으로 이루어져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되면, 전화가 오는 등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여 플래시가 발광하게 되더라도 커버부재(210)의 상하 부분(211, 212)이 서로 맞은 상태에서만 빛이 반사시트(220), 발광시트(230), 투명시트(210)을 통과하게 되므로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를 통해 더욱 다양한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110, 210: 투명시트
120, 220: 반사시트
120a: 반사면
130, 230: 발광시트
111, 121, 131: 개구

Claims (5)

  1.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되는 발광시트;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및
    상기 발광시트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되고 하프 미러 코팅된 투명 시트;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2.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되는 발광시트;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및
    상기 발광시트의 바깥쪽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휴대기기의 후면을 덮으며 일면에 이미지가 인쇄된 반투명의 패널시트;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의 패널시트는 휴대기기의 후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4. 후면에 플래시가 구비된 휴대기기에 결합되어 휴대기기를 보호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기기의 후면에 배치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며 표면에 음각 무늬가 형성되어, 플래시가 발광하면 개구를 통해 입사된 후 전파되는 빛에 의해 음각 무늬가 빛나게 되는 발광시트;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되고 휴대기기와 상기 발광시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시트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시트; 및
    상기 휴대기기의 후면과 측면들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휴대기기의 플래시에 대응되는 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반투명의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의 표면에는 홀로그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1020170088013A 2017-07-11 2017-07-11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Active KR10178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13A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07-11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CN201821100777.5U CN208537875U (zh) 2017-07-11 2018-07-11 便携式设备保护壳
CN201810759573.0A CN109240023A (zh) 2017-07-11 2018-07-11 便携式设备保护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13A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07-11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307B1 true KR101785307B1 (ko) 2017-11-15

Family

ID=6038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13A Active KR101785307B1 (ko) 2017-07-11 2017-07-11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5307B1 (ko)
CN (2) CN1092400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70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07B1 (ko) * 2017-07-11 2017-11-1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854B1 (ko) 2012-05-11 2012-12-28 백용승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KR101378223B1 (ko)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200481820Y1 (ko) 2016-07-20 2016-11-14 김희영 3d프린팅 앱 연동형 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29B1 (ko) * 2009-07-22 2010-04-28 이상규 티피유 엘라스토머를 이용한 터치폰용 논슬립 보호케이스
CN104662875B (zh) * 2012-09-12 2017-09-12 黑罗有限公司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壳体
KR101535506B1 (ko) * 2013-03-27 2015-07-09 주식회사 아이지 스마트폰의 발광케이스
CN203632999U (zh) * 2013-11-26 2014-06-04 刘磊 一种可发光的数码产品保护壳
CN106402732A (zh) * 2016-09-08 2017-02-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后壳体可发光的电子设备
KR101785307B1 (ko) * 2017-07-11 2017-11-1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854B1 (ko) 2012-05-11 2012-12-28 백용승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KR101378223B1 (ko) 2012-11-30 2014-03-28 백용승 휴대폰 스킨
KR200481820Y1 (ko) 2016-07-20 2016-11-14 김희영 3d프린팅 앱 연동형 폰 케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9719 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70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KR102496035B1 (ko) 2020-12-28 2023-02-06 주식회사 에스지디자인 플래시를 이용한 휴대기기 도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537875U (zh) 2019-02-22
CN109240023A (zh)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4808B2 (ja) 突板を用いた表示装置
US10696218B1 (en) Illumination device
US920394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08127B1 (ko) 발광장치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부재
KR101785307B1 (ko) 휴대기기 보호 케이스
KR101494760B1 (ko)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커버 부재
WO2010061836A1 (ja) 照光式キーシート及び押釦スイッチ
US10493847B2 (en) Decoration panel
JP3722636B2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30937B1 (ko) 이동단말기의 백라이팅 구조물 제조방법, 이동단말기의백라이팅 구조물 및 백라이팅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JP4585712B2 (ja) キーシート
JP5196661B2 (ja) ライトガ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2012099321A (ja) 照光式キーシート
WO2015078090A1 (zh) 一种可发光的数码产品保护壳
KR200391823Y1 (ko)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32140A (ko)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하우징의 제조방법
KR100779065B1 (ko)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458433B1 (ko) 휴대폰의 키버튼 구조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01698939U (zh) 按键单元
JP5483614B2 (ja) 電子機器用カバー部材および電池蓋
JP6771235B2 (ja) 加飾成形体
KR100464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광 디스플레이장치
KR20230085790A (ko) 폰케이스 및 스마트폰
JP6518962B2 (ja) 加飾照光部材
CN101488405A (zh) 侧向发光键帽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