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8350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350B1
KR101768350B1 KR1020157017197A KR20157017197A KR101768350B1 KR 101768350 B1 KR101768350 B1 KR 101768350B1 KR 1020157017197 A KR1020157017197 A KR 1020157017197A KR 20157017197 A KR20157017197 A KR 20157017197A KR 101768350 B1 KR101768350 B1 KR 101768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core
product
pattern
width direction
reg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127A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가나 사와
마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3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회용 기저귀(10)는, 광폭부와,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를 갖는 흡수성 코어(40a)를 갖는다. 흡수성 코어(40a)보다도 피부 비접촉면측에 위치하는 백 시트에는,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마커 무늬(M11, M12)가 부착되어 있다. 마커 무늬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커 무늬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성 코어와 백 시트가 겹치는 중첩 영역 중, 협폭부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를 지나고 또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FL1)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있고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코어를 구비하고, 뒤 몸통둘레 영역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의류측의 표면(착용했을 때의 외면)에 마크를 형성한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의 일회용 기저귀의 마크는, 흡수성 코어의 형상을 강조하도록 형성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의 단락 0045 참조).
특허문헌 1의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성 코어의 외형을 따라 마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크에 의해 흡수성 코어의 대강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자가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 마크를 마커로 하여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5-51749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일회용 기저귀의 마크는, 흡수성 코어의 외형 라인을 따라 마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단부의 라인이 강조된다. 따라서, 예컨대, 익숙하지 않은 장착자에 의해서는, 흡수성 코어의 외형 라인을 확실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장착자는, 일회용 기저귀의 장착시의 위치 맞춤을 어렵게 파악하여, 위치 맞춤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익숙하지 않은 장착자라도 흡수성 코어의 외형 라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장착시의 위치 맞춤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적어도 한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코어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보다도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외장 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광폭부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백 시트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백 시트에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마커 무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마커 무늬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커 무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백 시트가 겹치는 중첩 영역 중, 상기 협폭부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를 지나고 또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배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서,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1-F1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F2-F2 선을 따른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전개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톱 시트(50), 사이드 플랩(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레그 신축부(75) 및 레그 사이드 개더(80)의 탄성 부재(71)를 신장시킨 상태의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영역(25)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 몸통둘레부(배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뒤 몸통둘레부(등 부분)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영역(25)은,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뒤 몸통둘레 영역(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에는, 한 쌍의 레그 개구부(35)가 형성된다. 레그 개구부(35)는,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의 측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 부르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에 걸쳐 있고, 또한 가랑이 영역(25)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40)를 구비한다. 흡수체(40)는, 흡수성 코어(40a)와 코어 랩(40b)에 의해 구성된다. 평면에서 보아, 흡수성 코어(40a)의 형상은 대략 모래시계 형상이며, 코어 랩(40b)의 형상은 직사각 형상이다.
흡수성 코어(40a)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광폭부(41)와, 흡수성 코어의 제품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42)와, 광폭부(41)와 협폭부(42)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의 길이가 협폭부(42)로부터 광폭부(41)를 향해 길어지는 중간부(43)를 갖는다. 도 1에 있어서, 광폭부(41), 협폭부(42), 및 중간부(43)의 경계에 일점쇄선을 그어 나타낸다.
또한, 광폭부는,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넓은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넓은 영역보다도 길이 방향 외측에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좁아지는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영역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흡수성 코어(40a)의 평면에서 본 외형은, 착용자의 다리를 따른 형상이며,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코어에 있어서 가장 폭이 좁은 지점은,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보다도 배측으로 10-50 mm 근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앞 몸통둘레 영역측의 협폭부(42)와 광폭부(41)의 경계는, 타깃부(95)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된 상태에서, 타깃부(95)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의 근방에, 패스닝 테이프(90)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가 배치된다. 패스닝 테이프(90)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는,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타구니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이 사타구니 부분으로부터 가랑이측을 향해 착용자의 양 다리의 간격이 좁아진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40a)의 협폭부(42)의 제품 길이 방향 외측 단부(흡수성 코어의 폭이 좁아지기 시작하는 지점)가, 패스닝 테이프(90)의 제품 길이 방향의 내측 단부가 고정되는 지점에 대응함으로써, 흡수성 코어(40a)는, 보다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흡수성 코어(40a)는,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분쇄 펄프나 고흡수 폴리머 등, 공지된 부재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40a)는, 시트형의 코어 랩(40b)에 의해 싸여 있다.
코어 랩(40b)은, 흡수성 코어(40a)를 피복하는 시트이다. 코어 랩(40b)의 적어도 피부면측의 일부는, 투액성을 갖는 각종 섬유 부직포 혹은 티슈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예컨대, 질량 약 10∼30 g/m2의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질량 약 10∼30 g/m2의 티슈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40)의 표면측(피부 접촉면측)에는, 액 투과성의 톱 시트(50)가 구비된다. 또한, 흡수체(40)의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가 구비된다.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60a)보다도 이면측(피부 비접촉면측)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외장 시트(60)가 구비된다. 또한, 백 시트보다 피부 접촉면측에는,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65)가 구비되어 있다.
흡수체(40)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부에는, 사이드 플랩(70)이 각각 구비된다. 사이드 플랩(70)은, 앞 몸통둘레 영역(20), 가랑이 영역(25),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걸쳐 있고, 또한 흡수체(40)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사이드 플랩(70)은,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장 겹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플랩(70)에는,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구비된다.
패스닝 테이프(90)는, 한 쌍이며,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피부 비접촉면에 고정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유지한다.
타깃부(95)는, 한 쌍이며, 앞 몸통둘레 영역 내의 피부 비접촉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90)가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앞 몸통둘레 영역(20), 뒤 몸통둘레 영역(30), 및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몸통둘레 유지부가 구성된다.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몸통둘레 유지부는, 패스닝 테이프(90)의 계합 부재가 설치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몸통둘레 유지부는, 타깃부(95)가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범위이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가랑이 영역(25)의 흡수체에 겹치는 영역에 배치된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사이드 플랩(70)에는, 레그 개구부(35)보다도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한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가 구비된다.
레그 신축부(75)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도 길고,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보다도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레그 개구부(35)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레그 개구부(35)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도 좋으며, 일부가 레그 개구부(3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레그 신축부(75)는, 신축성 시트나 실 고무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75)는, 실질적으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는 부분이며, 수축력이 발휘되지 않는 상태에서 신축성 시트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또한, 한 쌍의 레그 신축부(75)의 내측(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중앙 근처)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80)가 구비된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사이드 플랩(70)의 제품 폭 방향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레그 신축부(75)보다도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기립성의 신축 개더이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레그 신축부(75)보다도 제품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개더(80)는, 종래에 있어서 주지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플랩(70)과 별도의 시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둘레 신축부(85)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둘레 신축부(85)는, 패스닝 테이프 사이를 제품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허리둘레 신축부(85)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리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가능한 한 얇고 굽힘 강성이 낮으며, 폭 수축률이 작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힘 강성이 낮은 재료에 의해 허리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허리둘레 신축부(85)가 신체를 따라 구부러지기 쉬워져, 착용자의 신체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허리둘레 신축부(85)를 신체를 따라 피트시킬 수 있다. 또한, 폭 수축률이 작은 재료에 의해 허리둘레 신축부(85)를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가 제품 폭 방향으로 신장된 경우에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의 수축을 억제하고,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가 가랑이쪽으로 끌려 내려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둘레 신축부(85)로서, 단위 중량이 20∼45 g/m2인 신축성 필름을 이용하였다.
허리둘레 신축부(85)는, 비신장 상태(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길이의 1.5∼2.5배로 늘여진 후, 핫멜트 접착제 또는 가열 처리 등에 의해 외장 시트(60)에 접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허리둘레 신축부(85)는, 외장 시트(60)와 백 시트(6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코어 랩(40b)이 흡수성 코어(40a)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허리둘레 신축부(85)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허리둘레 신축부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수체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70)과, 백 시트(60a) 또는 외장 시트(6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허리둘레 신축부는,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허리둘레 신축부가 제품 폭 방향과 제품 길이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패스닝 테이프(90)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대응하는 사이드 플랩(70)의 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90)는, 사이드 플랩(70)에 연결된 기재 시트(91)와, 복수의 계합 부재로서의 계합 훅(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기재 시트(91)에 고정된 훅 시트(92)를 구비한다. 훅 시트(92)는, 계합 부재가 마련된 영역이며, 전술한 몸통둘레 유지부는, 훅 시트(92)로부터 제품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이다.
훅 시트(92)는, 기재 시트(91)에 고정, 구체적으로는 접합되어 있다.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의 접합은, 패스닝 테이프(90)의 강성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점형, 선형 혹은 스파이럴형과 같은 간헐적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훅 시트(92)와 기재 시트(91)는 열 시일 등으로 접합되어도 좋다.
기재 시트(91)는, 1장 또는 2장 이상의 복수 장 겹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91)로는, 스펀본드(SB) 또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등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기재 시트(91)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단위 중량(복수 장의 경우는 합계 단위 중량)은, 30∼120 g/m2이며, 바람직하게는 40∼90 g/m2이다.
(2) 크로치 신축부의 구성
다음에, 크로치 신축부(200)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체(40)의 다른 부분보다도,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의 장착시에 있어서, 가랑이 영역(25)의 일부에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으로 신축 가능하여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으로 신축 가능하여도 좋으며,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의 양쪽으로 신축 가능하여도 좋다.
예컨대, 크로치 신축부(200)는, 레그 신축부(75)와는 개별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코어(40a)와 겹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코어(40a)를 싸는 코어 랩(40b)과 백 시트(60a) 사이의 위치)에서, 이러한 위치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자연 상태)의 60% 이상을 수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분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고,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하여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L) 외측에 위치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수축되지 않는다.
따라서, 패스닝 테이프(90)에 의해, 착용자의 허리나 허리둘레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에 평탄한 형상으로 유지되는 크로치 신축부(200)가 과도하게 신체에 밀착되지 않고,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가 적절히 신체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가,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축 가능한 경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기립하기 쉬워지고,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신체를 따라 평탄한 가랑이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치 신축부(200)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기립하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자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배치되도록, 안정되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는, 신축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의 일부가 수축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의측(피부 비접촉면측)의 표면에 요철 주름이 형성된다. 이 결과, 착용 보조자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또한 촉감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있어서 크로치부가 명확히 존재하는 것을 상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성 시트에 의해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신축성 시트를 배치한 영역의 흡수성 코어(40a)가 균일하게 수축되어, 평탄한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신축성 시트는, 예컨대, 레그 신축부(75)와 동일한 신축성 시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신축성 시트로서는, 우레탄이나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용융하여 필름형으로 한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 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성 부직포나, 신축성 필름이나 신축성 부직포에 부분적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취약화된 비신장성 시트를 접합시킨 복합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신축성 시트 대신에,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실형·띠형의 신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서로 병렬로 배열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를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흡수성 코어(40a)의 강성 및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다른 부재의 강성을 고려하여, 이용하는 탄성 부재의 굵기나 배치하는 피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일회용 기저귀(10) 본체를 자연 상태(비신장 상태)로 했을 때에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부 전역이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를 균일하게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탄성 부재끼리의 간격을, 7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 코어(40a)를 균일하게 수축시키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탄성 부재의 간격의 차를, 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률은 1.2배 이상 1.8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률은 1.4배로 설정되어 있다.
신축률은, 수축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 정도를 의미하며, 이하와 같이 규정된다.
신축률=(최대 신장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러한 신축률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측정되는 것으로 한다.
첫 번째로, 일회용 기저귀(10)가 패키지 등에 봉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키지로부터 일회용 기저귀(10)를 꺼내어, 그 상태에서 20℃±2℃, 상대습도 60%±5% RH의 분위기 하에서 60분간 방치하고, 수축 방향을 따라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자연 상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로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상태(즉,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소망 영역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및, 자연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에 의한 주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까지 연신했을 때의 소망 영역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신장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길이」로 한다.
이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전술한 식에 의해 산출함으로써 신장률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률을 1.2배 이상 1.8배 이하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의 신축에 적합하게 추종할 수 있다.
예컨대, 착용자가, 신체 앞쪽이 수축되는 것과 같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착용자의 둔부측의 피부에 있어서, 신체를 편 상태에 대하여 30% 정도 신장하는 부위가 존재한다.
즉,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률을 1.2배 미만으로 하면,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이 충분하지 않아,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의 흡수체 배치 영역의 수축이 작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있어서 신체를 따르도록 평탄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불충분해지게 되어,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어긋나기 쉬워지게 된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신축률을 1.8배보다도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 치수가 지나치게 커지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가 존재하는 영역이, 신체를 따르는 것보다도 밀착되는 상태가 되기 쉽고, 일회용 기저귀(10)가, 착용자의 아래쪽으로 어긋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은,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의 2∼8%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수축량은, 주름이 충분히 작아지고, 샘플의 표면이 평활에 가까워지도록 신장된 상태에서의 길이 「b(㎜)」와, 샘플의 신축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에서의 길이 「a(㎜)」의 차이이며, (b-a)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의 2∼8%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에 대하여 장착하는 과정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가, 바람직하게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기 쉬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8%보다 크게 하면, 크로치 신축부(200)가 지나치게 수축되어 버려,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가 부족하여,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붙이기 어려워지거나, 일회용 기저귀(10) 및 착용자의 신체가,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 과도하게 밀착되어 어긋나기 쉬워지게 된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수축량을 2% 미만으로 하면,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시킨다고 하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효과 그 자체가 발현되기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중심(O2)은,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보다도,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에 걸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중심(O1)을 포함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보다도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와 앞 몸통둘레 영역(2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1.1 이상 1.6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 1.5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율이 1.6을 초과하면, 일회용 기저귀(10)의 배측과 등측의 밸런스가 무너져, 가랑이 영역(25)에 크로치 신축부(200)를 따르게 한 경우에, 앞 몸통둘레 영역(20)이 과도하게 밀착되어 버리거나,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필요 이상으로 덮여 버린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는, 일반적으로, 하복부보다도 둔부가 보다 불룩 나온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치 신축부(200)와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맞춘 후에, 전술한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복잡한 착용자의 신체의 형상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0)가 보다 알맞은 형상이 된다.
즉, 치수가 부족한 부분이 생김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의 부분적인 당김이나, 치수가 남는 부분이 생김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와 신체 사이의 불필요한 간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보행 시작 전 혹은 보행을 시작했을 무렵에 이용하는 유유아(乳幼兒)의 경우, 신체가 배측을 향해 둥글려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고, 그러한 자세에서는 둔부측의 피부가 신장된 상태가 되기 쉬우며, 전술한 비율을 전술한 범위로 함으로써, 이러한 자세를 취하기 쉬운 유유아의 신체에 알맞은 상태가 된다.
일례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40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에 대하여, 앞 몸통둘레 영역(20)이 13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고, 크로치 신축부가 8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되며, 뒤 몸통둘레 영역(30)이 100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자연 상태의 길이)로 설정된다.
이 경우, 앞 몸통둘레 영역(20)과 뒤 몸통둘레 영역(30)의 길이(자연 상태)의 비율은 약 1.46이다. 이러한 비율로 함으로써, 크로치 신축부(200)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10)의 제품 길이 방향(L) 전체를 더욱 착용자의 신체에 따르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에 일회용 기저귀(10)가 정확하게 적합하여, 일회용 기저귀(10)의 디자인을 연동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크로치 신축부(200)가 수축한 상태는, 크로치 신축부(200)보다도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흡수체 배치 영역에 있어서의 비수축 상태와 비교하면 상이한 양태이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일회용 기저귀(10)를 착용시키는 경우에는, 크로치 신축부(200)를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맞춰 장착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가 수축한 상태에서는, 이러한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가,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의 강성 또는 두께와 상이해지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가,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에 있어서 착용자의 가랑이부와 일치시키는 부위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나아가서는, 일회용 기저귀(10)의 장착 후에는, 크로치 신축부(200)는, 착용자의 가랑이부에서 평탄한 형상을 유지하고, 일회용 기저귀(10) 그 자체가, 3차원적인 형상이 되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을 착용자의 가랑이부를 따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25)과 착용자의 가랑이부가 일치하여 장착되는 것이 보다 확실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체(40)의 가랑이 영역(25)에는,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흡수체(40)를 구성하는 흡수성 코어(40a)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이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도 낮은 저강성부에 해당한다.
또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를 형성하는 대신에, 흡수성 코어(40a)의 단위 중량을 다른 흡수성 코어(40a)의 부위보다도 낮아지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앞 몸통둘레 영역(20)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와, 가랑이 영역(25)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연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결부(110) 및 절결부(120)는,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감에 따라,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길이(자연 상태)가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이, 보다 축소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에, 평탄한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110)보다도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 및 절결부(120)보다도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40a)는, 평탄한 「바닥부」에서부터 기립하고, 착용자의 신체(복부 및 둔부)의 라운딩을 따르도록 만곡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0) 그 자체의 형상이 착용자의 몸의 형태에 보다 근접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110)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 및 절결부(120)보다도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형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절결부(110)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부보다도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위치하는 것 같은 형상이며, 절결부(120)의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가장자리부는, 원호의 중심이, 이러한 가장자리부보다도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에 위치하는 것 같은 형상이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자의 신체의 라운딩을 따른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또한 현저하게 일어나기 쉽다.
절결부(11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의 가장자리부는 제1 변곡부(115)를 구성하고, 절결부(12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뒤 몸통둘레 영역측의 가장자리부는 제2 변곡부(125)를 구성한다.
또한, 제1 변곡부(115) 및 제2 변곡부(125)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일회용 기저귀(10)의 굽힘 기점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자연 상태에 있어서,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에 걸쳐 있어 좌우 대칭이어도 좋고,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크로치 신축부(200)의 좌우 폭의 차가 10% 이내로 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 의하면, 크로치 신축부(200)가, 착용자의 신체의 중심에 걸쳐 있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장착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는, 전술한 몸통둘레 유지부 및 탄성 부재(71)와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비신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10)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앞 몸통둘레 영역(20)으로부터 가랑이 영역(25)을 향해 짧아지고, 뒤 몸통둘레 영역(30)으로부터 가랑이 영역(25)을 향해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로치 신축부(200)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 있는 중간부(43) 및 협폭부(42)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43) 및 협폭부(42)에서는, 흡수체(40)의 흡수 용량이 적기 때문에, 착용자의 배설액은, 이러한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40)에서는 흡수되지 않고, 이러한 영역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에 있어서의 흡수체(40)에 의해 흡수되기 쉽다.
그 결과, 인디케이터(65)의 변색이,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으로 전파되기 쉽다.
일반적으로, 크로치 신축부(200)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한 주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착용 보조자는, 이러한 영역과 비신축 영역에서, 이러한 인디케이터(65)의 변색의 상태가 상이해 보인다.
이상의 점을 고려해 보건대,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착용 보조자는, 이러한 영역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65)의 변색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0)를 교환하지 않고, 이러한 영역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앞 몸통둘레 영역(20)측 및 뒤 몸통둘레 영역(30)측의 비신축 영역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65)의 변색으로, 일회용 기저귀(10)를 교환하는 기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결과, 일회용 기저귀(10)의 과도한 교환을 억제하면서, 적절한 일회용 기저귀(10)의 교환 타이밍을 알릴 수 있다.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흡수성 코어(40a)의 크로치 신축부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성 코어(40a)의 폭의 1/2 이상이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된 부위의 일정 폭 이상을 수축시킴으로써, 흡수성 코어(40a)가 수축하고,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도록 흡수성 코어(40a)가 들려 올라간다.
이와 같이 흡수성 코어(40a)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가랑이 영역에서 실현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줄일 수 있다.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이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의 흡수체(40)(흡수성 코어(40a))의 폭의 60% 이상인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인 경우에는, 일회용 기저귀(10)와 착용자 사이의 간극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나아가서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이 흡수성 코어(40a)의 폭과 비교하여 지나치게 좁으면, 전술한 흡수성 코어(40a)를 들어 올리는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없다. 한편,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이 흡수성 코어(40a)의 폭과 비교하여 지나치게 넓으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가,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는 부위보다도 수축한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가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위를 구성하는 부재가 중첩되어, 크로치 신축부(200)가 딱딱해지고, 일회용 기저귀(10)의 착용감이 나빠진다.
예컨대, 흡수성 코어(40a)의 크로치 신축부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좁은 부위의 치수(신장 상태에 있어서의)가 120 ㎜인 경우에,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60∼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크로치 신축부(200)의 폭은, 90∼1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는, 제품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10∼60 ㎜ 앞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는, 제품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20∼40 ㎜ 앞쪽에 형성된다. 크로치 신축부(200)는,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는, 착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보다도 앞쪽이다. 따라서, 크로치 신축부(200)의 수축력에 의해,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40a)의 폭이 가장 좁은 부위를 착용자의 좌우 대퇴부가 서로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적극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친 등의 착용 보조자가 흡수성 코어(40a)의 위치 맞춤을 행하지 않더라도, 흡수성 코어(40a)의 위치 맞춤이 저절로 행해진다.
또한, 인디케이터(65)는, 흡수성 코어(40a)와 크로치 신축부(200)가 겹치는 영역으로부터 제품 길이 방향(L)으로 크로치 신축부(200)를 초과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크로치 신축부(200)에 의해 흡수성 코어(40a) 및 인디케이터(65)를, 착용자의 신체를 따르도록 들어 올리고, 착용자의 신체를 따른 상태에서, 일회용 기저귀(10)를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3) 백 시트의 구성
다음에, 백 시트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백 시트는, 액 불투과성의 시트이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이다. 백 시트(60a)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흡수성 코어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백 시트(60a)의 제품 폭 방향 양단부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폭 방향 양단부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이며,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 양단부(외장 시트 및 사이드 플랩의 제품 폭 방향 양단부)보다도 제품 폭 방향 내측이다. 백 시트(60a)의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는, 흡수성 코어(40a)의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 외측이며,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외장 시트 및 사이드 플랩의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 내측이다.
백 시트에는, 복수의 무늬가 부착되어 있다. 무늬는, 인쇄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그 인쇄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잉크젯 인쇄를 예시할 수 있다.
무늬는, 마커 무늬(M11, M12)와, 중앙 무늬(M21)와, 위치 무늬(M31)와, 모양 무늬(M41)를 적어도 포함한다. 마커 무늬(M11, M12)는,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무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곰돌이 무늬로 이루어진 제1 마커 무늬(M11)와, 꿀단지 무늬로 이루어진 제2 마커 무늬(M12)를 갖는다.
마커 무늬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커 무늬의 적어도 일부는, 흡수성 코어와 백 시트가 겹치는 중첩 영역 중, 협폭부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를 지나고 또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FL1)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첩 영역은, 평면에서 보아 흡수체가 배치된 영역과 일치한다.
백 시트에는,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마커 무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자는, 마커 무늬에 기초하여 흡수성 코어의 위치나 형상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마커 무늬(M11, M12)는,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무늬이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중앙이 아닌,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커 무늬는,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외측 단부의 근방(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수 ㎜ 떨어진 위치나 폭 방향 외측 단부에 일치한 위치를 포함함)에 배치되어 있다. 마커 무늬는,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외측 단부 근처의 위치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의 장착 위치가 어긋나게 되면,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단부가 접혀 버리는 경우가 있다. 마커 무늬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마커 무늬가 구부러진 경우에는, 정확하게 장착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장착자는, 마커 무늬에 의해 흡수성 코어의 위치가 올바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중첩 영역 중 가상선(FL1)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은, 흡수성 코어가 고간부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며, 착용자의 다리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부분에 마커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다리둘레의 내측에 깔끔하게 마커 무늬가 표시됨으로써, 다리둘레를 따라 흡수성 코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장착자는, 디자인성이 있는 마커 무늬를 기초로 장착 위치가 올바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코어의 외형 라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무늬에 의해 흡수성 코어의 위치 맞춤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장착자라도 위치 맞춤의 부담이 경감된다. 장착시에, 흡수성 코어를 올바른 위치에 맞춤으로써, 전술한 크로치 신축부(200)도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신체를 따라 흡수성 코어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백 시트는, 흡수성 코어의 외형에 맞추어 디자인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자가 백 시트의 마커 무늬를 지표로 일회용 기저귀를 장착함으로써, 올바른 위치에 흡수성 코어를 배치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는, 착용자의 신체를 따른 외형이며, 백 시트의 디자인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를 따른 외형의 흡수성 코어를 정확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상선(FL1)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 내에 마커 무늬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가상선(FL1)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 내에 중앙 무늬 전체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모양 무늬(M41)는, 마커 무늬와 상이한 무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꽃 무늬이다. 모양 무늬는, 복수 부착되어 있고, 백 시트의 전체에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모양 무늬는, 흡수성 코어와 백 시트가 겹치지 않는 비중첩 영역, 및 중첩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백 시트 전체에 모양 무늬를 부착함으로써,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양 무늬는, 대략 동일한 크기의 동일한 무늬이지만, 크기가 상이한 무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디자인이 상이한 무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복수의 모양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 무늬는, 레그 신축부와 겹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모양 무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양 무늬는, 허리둘레 신축부와 겹쳐 배치되어 있다. 레그 신축부가 형성된 부분이나 허리둘레 신축부가 형성된 부분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되는 지점이다.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에 의해 모양 무늬 등이 보이는 상태라고 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착용자의 움직임이 드러나기 쉬운 부분에 모양 무늬를 부착함으로써, 착용 보조자(예컨대, 모친)가 착용자의 움직임으로 기저귀의 디자인이 변화되어, 즐길 수 있다. 또한, 마커 무늬는 보인 상태에서 모양 무늬 등만이 변화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변화를 즐길 수 있다.
마커 무늬(M11, M12) 및 모양 무늬(M41)는, 인디케이터(65)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인디케이터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중앙 무늬(M21)는, 마커 무늬 및 모양 무늬와 상이한 무늬이다. 중앙 무늬(M21)는, 백 시트(60a)의 한 쌍의 타깃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가랑이 영역이 아닌 앞 몸통둘레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 무늬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의 영역 및 일회용 기저귀의 제품 폭 방향 중앙을 가리키는 무늬이다. 위치 무늬(M31)는, 마커 무늬, 모양 무늬 및 중앙 무늬와 상이한 무늬이다. 위치 무늬(M31)는, 백 시트의 한 쌍의 타깃부가 겹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 무늬는, 패스닝 테이프의 위치를 가리키는 무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무늬는, 곰돌이의 얼굴 무늬이며, 위치 무늬는, 숫자 무늬이다.
외장 시트(60)에는, 요철 형상(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장 시트(60)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압착된 부분이며, 볼록부보다도 외장 시트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볼록부는, 오목부보다도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며, 엠보스 가공에 의해 압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 또는 오목부보다도 압착의 정도가 낮은 부분이다. 또한, 요철부는, 적어도 부피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고, 오목부와 볼록부의 밀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오목부와 볼록부의 밀도가 동일하고 단위 중량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중앙 무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의 요철부와 모양 무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의 요철부는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중앙 무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의 요철부와 위치 무늬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외장 시트의 요철부는 상이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외장 시트의 요철부를 형성함으로써, 중앙 무늬와 모양 무늬를 일체감을 가지며 나타낼 수 있어,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위치 무늬는, 중앙 무늬 등과 상이한 양태로 나타낼 수 있어, 위치 맞춤시에 눈에 띄게 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가 상이한 구성이란, 요철부의 배치 패턴이 상이하면 좋고, 요철부의 디자인이 상이한 구성(예컨대, 줄무늬형과 도트형)뿐만 아니라, 요철부의 디자인이 비슷한 형상인 구성(얇은 줄무늬형과, 굵은 줄무늬형)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 겹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란, 대상 부재끼리가 직접 겹쳐져 있는 구성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통해 겹쳐져 있는 구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위치 관계이다.
중앙 무늬는,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 중심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중앙 무늬의 제품 폭 방향 중심과 마커 무늬의 제품 폭 방향 중심은,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장착자는, 중앙 무늬에 의해 흡수성 코어의 폭 방향 중심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중앙 무늬는, 착용자의 허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회용 기저귀가 장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배꼽 위치에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이 맞춰지기 때문에, 중앙 무늬는,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에 배치된다. 그리고, 마커 무늬는, 흡수체에 대한 다리 둘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고, 폭 방향 외측에 중심으로부터 겹치지 않게 비켜서 배치된다. 장착 보조자는, 중앙 무늬로부터 마커 무늬로 시선을 움직임으로써, 착용자의 배꼽으로부터 다리 둘레 서혜부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보다 원활하게 장착 위치를 배꼽으로부터 다리 개구 주위로 체크할 수 있다.
(4) 그 밖의 실시형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하였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장 시트의 무늬는, 적어도 마커 무늬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다른 무늬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무늬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외장 시트는, 요철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인디케이터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은 여러 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2-259169호(2012년 11월 27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익숙하지 않은 장착자라도 흡수성 코어의 외형 라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장착시의 위치 맞춤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할 수 있다.
10 : 일회용 기저귀
20 : 앞 몸통둘레 영역
25 : 가랑이 영역
30 : 뒤 몸통둘레 영역
35 : 레그 개구부
40 : 흡수체
40a : 흡수 코어
40b : 코어 랩
41 : 광폭부
42 : 협폭부
43 : 중간부
50 : 톱 시트
60a : 백 시트
60 : 외장 시트
70 : 사이드 플랩
75 : 레그 신축부
80 : 레그 사이드 개더
90 : 패스닝 테이프
200 : 크로치 신축부

Claims (7)

  1. 앞 몸통둘레 영역과, 뒤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하는 제품 길이 방향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제품 폭 방향을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 걸쳐 있고, 또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과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흡수성 코어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흡수성 코어보다도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액 불투과성의 백 시트와,
    상기 백 시트보다도 상기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외장 시트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양단부에 위치하는 광폭부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의 길이가 가장 짧은 협폭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백 시트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흡수성 코어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단부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백 시트에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위치를 가리키는 복수의 마커 무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마커 무늬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마커 무늬의 일부 또는 전체는, 상기 흡수성 코어와 상기 백 시트가 겹치는 중첩 영역 중, 상기 협폭부의 제품 폭 방향 외측 단부를 지나고 또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보다도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마커 무늬는, 각각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중앙으로부터 상기 제품 폭 방향 외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무늬의 전체가, 상기 가상선보다도 상기 제품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 시트에는, 상기 마커 무늬와 상이한 모양 무늬가 복수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모양 무늬는, 상기 백 시트의 전체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 사이에는,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둘레 신축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모양 무늬 중 하나 이상의 모양 무늬는, 상기 허리둘레 신축부와 겹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분과 접촉하면 시각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마커 무늬 및 상기 모양 무늬는, 상기 인디케이터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가 고정되는 한 쌍의 타깃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타깃부는, 상기 제품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백 시트의 상기 한 쌍의 타깃부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마커 무늬 및 모양 무늬와 상이한 중앙 무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백 시트의 상기 한 쌍의 타깃부가 겹치는 영역에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위치를 가리키는 위치 무늬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외장 시트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 무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요철부와, 상기 모양 무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요철부는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중앙 무늬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요철부와, 상기 위치 무늬와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외장 시트의 상기 요철부는 상이한 형상인 일회용 기저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무늬는,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중심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앙 무늬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중심과, 상기 마커 무늬의 상기 제품 폭 방향 중심은,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KR1020157017197A 2012-11-27 2013-11-27 일회용 기저귀 Active KR101768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59169A JP5291238B1 (ja) 2012-11-27 2012-11-27 使い捨ておむつ
JPJP-P-2012-259169 2012-11-27
PCT/JP2013/081863 WO2014084237A1 (ja) 2012-11-27 2013-11-27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127A KR20150091127A (ko) 2015-08-07
KR101768350B1 true KR101768350B1 (ko) 2017-08-14

Family

ID=4939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197A Active KR101768350B1 (ko) 2012-11-27 2013-11-27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291238B1 (ko)
KR (1) KR101768350B1 (ko)
CN (1) CN104812351A (ko)
AU (1) AU2013353136A1 (ko)
SA (1) SA515360488B1 (ko)
TW (1) TW201442693A (ko)
WO (1) WO20140842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1909449T4 (tr) 2011-06-10 2019-07-22 Procter & Gamble Emici maddeler için emici yapı.
JP2014515983A (ja) 2011-06-10 2014-07-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おむつ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JP6118647B2 (ja) * 2013-06-06 2017-04-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3284450B1 (en) 2013-06-14 2020-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2886093B1 (en) 2013-12-19 2016-09-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colored areas
CN104736117B (zh) * 2014-10-21 2016-06-2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一次性尿布
JP6220923B1 (ja) * 2016-06-03 2017-10-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860399B2 (ja) * 2017-03-29 2021-04-14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892776B2 (ja) * 2017-03-29 2021-06-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3217273U (ja) * 2018-05-18 2018-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741341A1 (en) * 2019-05-20 2020-11-25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for p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diaper for pet
JP2021137197A (ja) * 2020-03-03 2021-09-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1159348A (ja) * 2020-03-31 2021-10-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152B2 (ja)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20060247594A1 (en) 2005-04-29 2006-11-02 Nickel Lisa L Absorbent garments with graphic variety
US20100300309A1 (en) 2009-06-02 2010-12-02 Uwe Schneider Process for manufacturing absorbent products having customized graphics
US20110054432A1 (en) 2008-03-21 2011-03-0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5733B2 (en) * 1997-12-19 2005-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pre-produced webs with variable pitch length
US6444064B1 (en) * 1997-12-19 2002-09-03 Procter & Gamble Company Registration system for phasing simultaneously advancing webs of material having variable pitch lengths
US20030105443A1 (en) * 2000-07-10 2003-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mircroporous film with registration mark
JP4393108B2 (ja) * 2003-05-16 2010-01-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80254058A1 (en) * 2004-12-14 2008-10-16 Alk-Abello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acterial Cell Displaying a Heterologous Proteinaceous Compound
JP4933786B2 (ja) * 2006-02-02 2012-05-1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890216B2 (ja) * 2006-12-01 2012-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着用物品とその製造方法
JP2010508116A (ja) * 2006-11-06 2010-03-1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上着様グラフィックを含む使い捨てプルオン吸収性物品
JP2010284430A (ja) * 2009-06-15 2010-12-24 Oji Nepia Co Ltd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シート切断装置
JP5631165B2 (ja) * 2010-11-17 2014-1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592768B2 (ja) * 2010-11-30 2014-09-17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152B2 (ja) 1992-05-22 2000-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オムツ
US20060247594A1 (en) 2005-04-29 2006-11-02 Nickel Lisa L Absorbent garments with graphic variety
US20110054432A1 (en) 2008-03-21 2011-03-03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20100300309A1 (en) 2009-06-02 2010-12-02 Uwe Schneider Process for manufacturing absorbent products having customized graph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12351A (zh) 2015-07-29
AU2013353136A1 (en) 2014-06-05
TW201442693A (zh) 2014-11-16
JP5291238B1 (ja) 2013-09-18
JP2014104148A (ja) 2014-06-09
WO2014084237A1 (ja) 2014-06-05
SA515360488B1 (ar) 2018-06-11
KR20150091127A (ko) 2015-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350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947227B1 (ko) 일회용 기저귀
JP5291214B1 (ja) 使い捨ておむつ
TWI593398B (zh) Disposable diapers
KR102182564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2052221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60138132A (ko) 흡수성 물품
KR20140122741A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TWI563989B (zh) Disposable disposable diaper
AU2015265236A1 (en) Disposable diaper
KR20150085829A (ko) 일회용 기저귀
JP2014204758A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453251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2052222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2315291B1 (ko) 일회용 기저귀
JP6118647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986494B2 (ja) 吸収性物品
KR20160144386A (ko) 일회용 기저귀
KR20150067087A (ko)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