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67963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963B1
KR101767963B1 KR1020100116746A KR20100116746A KR101767963B1 KR 101767963 B1 KR101767963 B1 KR 101767963B1 KR 1020100116746 A KR1020100116746 A KR 1020100116746A KR 20100116746 A KR20100116746 A KR 20100116746A KR 101767963 B1 KR101767963 B1 KR 10176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image forming
switching circuit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767A (ko
Inventor
오한상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63B1/ko
Priority to US13/067,448 priority patent/US8862919B2/en
Priority to EP11173254.1A priority patent/EP2455814B1/en
Priority to CN201110361704.8A priority patent/CN102547020B/zh
Publication of KR2012005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767A/ko
Priority to US14/483,825 priority patent/US95473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최종 전원상태로 동작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거나,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구현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전원 오프상태에서 대기전력 1W 이하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회로의 DC 전원을 온/오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매체에 인쇄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데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일측에 기계적 스위치(Mechanical Switch)를 마련하여,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완전히 차단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1차 회로의 AC 전원을 온/오프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의 편의를 위해 스위치를 화상형성장치의 전면부에 마련하기 위해서는 주로 화상형성장치의 후면부에 마련된 파워 인렛(Power Inlet)의 AC 하네스(Harness)를 전면부까지 연결해야 하므로, 장치의 설계상에 어려움이 있으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스위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의 동작과는 관계없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되므로, 인쇄와 같은 작업수행 도중에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 데이터의 백업(Backup)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로직(Logic)과 같은 부품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트랜지스터, FET 등과 같은 소용량의 스위칭 소자가 구비된 2차 회로를 이용하여 DC 전원을 제어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2차 회로의 DC 전원을 온/오프 방식은 소용량의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오프상태에서 대기전력 1W 이하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스위치 오프 시에도 데이터 백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데이터 손상이나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며, 1차 회로와 2차 회로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2차 회로의 온/오프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파워 스위치 오프에 의한 데이터 보호는 가능하지만, 정전과 같은 예기치 않은 전원 오프 시에는 데이터 백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전이나, 1차 회로의 스위치 조작 등으로 인해 예기치 않은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가 이전 전원상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미리 설정된 대로 일방적으로 장치를 온 또는 오프 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온으로 설정된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될 수 있고, 반대로 오프로 설정된 경우에는 전원 오프 이전에 수신되어 작업 대기 중이던 인쇄데이터나, 수신 중이던 팩스 데이터 등이 손실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원제어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마이콤을 구비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가 정전과 같은 예기치 않은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오프 직전의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가 최종 전원상태로 동작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거나,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원제어용 마이콤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 스위치의 구비 여부와 관계없이 대기전력 1W 이하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제품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전원이 공급되 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온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온으로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위치의 온/오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로부터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와;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온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온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잇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은 화상형성장치가 정전과 같은 예기치 않은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이 온 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오프 직전의 전원상태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가 최종 전원상태로 동작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거나,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전원제어용 마이콤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구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계적 스위치의 구비 여부와 관계없이 대기전력 1W 이하를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제품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회로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에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키 입력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에 따라 스위칭 회로부의 각 노드에서 검출되는 동작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해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기계적 스위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회로부(140)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터, 복사기, 팩스,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기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110),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 사용자로부터 동작전원의 온/오프(ON/OFF)에 관한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부(130),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140),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스위칭 회로부(14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스위칭 회로부(140)의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60), 인쇄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70) 및 호스트장치와 같은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제어부(150)의 동작에 필요한 메모리인 RAM(151)과 ROM(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 안됨), 문서를 스캔하는 화상독취부(도시 안됨), 화상독취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팩스 신호로 바꾸어 팩스 망(PSTN)을 이용하여 외부의 팩스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팩스 신호를 수신하는 팩스부(예컨대, 모뎀)(도시 안됨) 등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110)는 인쇄명령이 있으면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린팅매체(용지)에 인쇄되는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는 원고를 스캔한 후의 복사를 위한 인쇄, 수신된 팩스데이터의 인쇄, 서버를 포함하는 호스트장치(3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HDD) 또는 외부(USB 메모리)에 저장된 인쇄데이터의 인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화상형성부(110)는 상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유니트, 광주사유니트, 전사유니트 및 정착유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가 단색 현상제(일반적으로 블랙)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색 화상형성장치와 4색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화상형성장치 및 4색 현상제 이외에 백색 현상제와 같은 보조 현상제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다색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Power Supply Unit)(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인가된 AC 전원(교류전원)을 DC 전원(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스위칭 회로부(140)에 공급할 수 있다.
키 입력부(130)는 동작전원의 공급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키 입력부(13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면부에 마련된 소프트 파워 버튼(Soft Power Button)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순차적으로 온/오프된다. 키 입력부(130)는 기기 전면부에 마련되어 사용자 조작의 편의를 제공한다.
키 입력부(130)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오프되면 후술하는 스위칭 제어부(140)의 제1 스위치(PW_SW)도 온/오프된다.
스위칭 회로부(140)는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회로부(140)는 키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PW_SW)와, 제어부(150)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Q2)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 회로부(140)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2차 회로로서,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스위칭 회로부(140)의 적어도 일부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데이터 손실이나, 부품 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대기전력이 인가된다. 예컨대, 전원 오프 상태에서도 제1 스위치(PW_SW), 콘덴서(C1), 트랜지스터(Q1), 저항(R1, R2, R3, R4, R5, R7)에는 대기전력이 인가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부(140)는 소용량의 소자로 구성되므로, 인가되는 대기전력은 1W 이하로 유지된다.
제어부(150)는 스위칭 회로부(140)를 통해 전원공급부(120)으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으며, 전원 공급 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에 대응하도록 스위칭 회로부(14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도록 메모리부(160)의 전원상태 정보를 기록한다.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에는 스위칭 회로부(140)의 전원상태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키 입력부(130)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정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 정보를 온(ON)으로 기록한다.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 정보가 온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60)의 전원상태 정보를 오프(OFF)로 변경하도록 기록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다.
여기서,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 정보가 온으로 저장된 상태에서, 정전과 같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는 온(ON)인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다.
메모리부(160)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 구현되며,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전원상태 정보가 기억되는 버퍼(buffer)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인쇄데이터 외에, 화상형성장치(100)의 각종 설정값, 팩스데이터, 화상독취부를 통해 생성된 스캔이미지, 사용자 계정 별로 설정된 사용자 등록정보, 사용자 인증정보, 사용권한 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로부터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거나, 전원공급부(120)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동작중이던 데이터를 저장부(170)에 백업(Backup)한다.
저장부(15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내장용 저장매체나, USB 메모리, 메모리카드(메모리 스틱, CF 카드, MMC)와 같은 외장용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처리속도의 편의를 위해전원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별도의 메모리부(140)가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저장부(150)에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는 호스트장치 를 포함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장치와 소정 프로토콜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유무선 통신모듈이나,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나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 회로부(1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1 스위치(PW_SW)와 연결된 콘덴서(C1)가 충전되면서 콘덴서(C1)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ansistor)(Q1)의 베이스(Base) 전류가 증가하여 트랜지스터(Transistor)(Q1)가 온 된다. 그리고, 제어부(1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어부(150)가 부팅되어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원 인가는 사용자의 키 입력부(130)의 조작에 의한 정상적인 전원인가 뿐 아니라, 정전과 같은 예기치 않은 전원 오프 후 전원이 재 인가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계속해서 콘덴서(C1)가 충전되면 트랜지스터(Transistor)(Q1)의 베이스 전류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트랜지스터(Transistor)(Q1)이 오프되며, 이는 제1 스위치(PW_SW)를 일정시간 누른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여기서, 콘덴서(C1)와 저항에 의한 충전 시정수는 제어부(150)가 GPO 포트(General Purpose Output Port)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온 시키는 제어명령을 전송할 때까지 트랜지스터(Transistor)(Q1)의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PW_SW)에 연결된 GPI 포트(General Purpose Input Port)를 통해 제1 스위치(PW_SW)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한다.
즉,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전원인가인 경우, 제1 스위치(PW_SW)가 온 상태이므로, GPI 포트를 통해 온 정보가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반면, 키 입력부(130)의 조작과 관계없이 전원이 인가된 경우(예컨대, 정전 후 전원 재인가), 제1 스위치(PW_SW)는 오프 상태이므로, GPI 포트를 통해 오프 정보가 제어부(150)로 전송된다.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PW_SW)가 온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온 된 것이므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PowerStatus)와 관계없이, 전원상태 정보를 온 으로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정상적으로 부팅하여 초기화를 수행하고,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PW_SW)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의 조작없이 전원이 온 된 것이므로, 정전과 같은 사유로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재인가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PowerStatus)를 읽어온다.
여기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가 오프인 경우, 정상적인 전원 오프 상태에서 스위칭 회로부(140)에 일시적으로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대기전력이 다시 인가된 경우일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전원 오프 전 최종 전원상태를 오프로 판단하고, GPO 포트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 스위치(Q2)가 오프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오프 상태가 되며, 모든 동작이 종료된다.
또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가 온인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전원 온 상태에서 정전 등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전원이 재인가 경우일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전원 오프 전 최종 전원상태를 온으로 판단하고, 화상형성장치(100)를 정상적으로 부팅하여 초기화를 수행하고,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전원 온되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한다.
즉, 제어부(150)는 GPI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스위치(PW_SW)에 대한 신호(GPI_PowerButton)를 계속 체크한다.
여기서, 제1 스위치(PW_SW)가 온 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이를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를 오프 시키기 위해 키 입력부(130)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 정보를 오프로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작업중인 인쇄데이터나,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백업하고, 백업이 종료되면 GPO 포트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2 스위치(Q2)가 오프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오프 상태가 되며, 모든 동작이 종료된다. 이에,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최종 전원상태는 오프가 된다.
도 4 및 도 5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전원상태 정보에 따라 스위칭 회로부(140)의 각 노드에서 검출되는 동작 파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의 전원공급은 사용자의 키 입력부(130) 조작과 관계없이 정전 등에 의해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재 인가된 경우에 해당한다.
도 4는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가 온으로 저장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에 따라 a 노드에서는 하이(High) 신호가 검출되고, 콘덴서(C1)의 충전에 따라 b 노드의 신호는 하이에서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제1 스위치(PW_SW)에 대한 조작없이 전원이 인가되었으므로, c 노드의 신호는 로(low) 상태로 그대로 유지된다.
제어부(150)는 GPI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c 노드의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치(PW_SW)에 대한 조작없이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인지하고,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최종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온다.
여기서,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부(160)에 최종 전원상태가 온으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GPO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d 노드의 신호와 같이 제2 스위치(Q2)를 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최종적으로 제2 스위치(Q2)에 입력되는 신호는 e 노드와 같이 전원 온(Power ON) 신호가 된다.
이후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 하여, c 노드의 신호와 같이 GPI 포트로 제1 스위치(PW_SW)의 온을 감지하여 GPO 포트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오프하여 전원 오프 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5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GPI 포트로 제1 스위치(PW_SW)의 온 신호가 입력되면 GPO 포트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온하여 전원 온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5는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가 오프로 저장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에 따라 a 노드에서는 하이(High) 신호가 검출되고, 콘덴서(C1)의 충전에 따라 b 노드의 신호는 하이에서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제1 스위치(PW_SW)에 대한 조작없이 전원이 인가되었으므로, c 노드의 신호는 로(low) 상태로 그대로 유지된다.
제어부(150)는 GPI 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c 노드의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치(PW_SW)에 대한 조작없이 전원이 인가되었음을 인지하고,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최종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온다.
여기서, 도 5의 실시예의 경우 메모리부(160)에 최종 전원상태가 오프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GPO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d 노드의 신호와 같이 제2 스위치(Q2)를 오프 상태로 변경하도록 하이 신호를 로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이에, d 노드의 신호가 하이 상태인 구간 동안만 전원이 인가되며, 최종적으로 제2 스위치(Q2)에 입력되는 신호는 e 노드와 같이 전원 오프(Power OFF) 신호가 된다.
이후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 하여, c 노드의 신호와 같이 GPI 포트로 제1 스위치(PW_SW)의 온을 감지하여 GPO 포트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온하여 전원 온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a 노드에 입력되는 신호는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재 인가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으로 대기전원을 입력받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와 비교하여 볼 때, 전원공급부(120)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단에 기계적 스위치(Mechanical Switch)(190)를 더 마련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스위칭 회로부(140)의 오프 시 대기전력이 국가별로 제공하는 소정기준(예컨대, 0.1W, 0.5W, 1W 등)을 초과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에는 별도의 기계적 스위치(190)가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대기모드에서 소비전력이 0.1W 이하(국내기준) 또는 0.5W 이하(해외 EPA 규격) 인 경우 기계적 스위치(19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지만,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의 경우 대기전력 기준을 만족하더라도 제품 안전을 고려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별도의 기계적 스위치(190)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계적 스위치(19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일 실시예의 동일 도면부호 및 동일 부재명을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에 마련된 기계적 스위치(19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스위치(190)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연결부(191)의 근처(예컨대, 화상형성장치(100)의 후면부)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 공급되는 AC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스위칭 회로부(140) 및 제어부(150)는 일 실시예의 스위칭 회로부(140) 및 제어부(150)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도 4 및 도 5의 파형도 동일하게 검출된다.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부(130)의 조작과 관계없이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재 인가된 경우는 정전뿐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스위칭 회로부(140)의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계적 스위치(190)를 오프 시켰다가 다시 온 시키도록 조작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Power Save) 모드(이하, 슬립(Sleep) 모드 라고도 한다)로의 진입 또는 절전모드에서 대기모드로 복귀 즉, 웨이크업(Wake Up)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파워 세이브 버튼(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쇄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1분, 5분, 10분, 15분, 30분, 1시간 등)이 경과하거나, 파워 세이브 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절전모드에 진입한다.
파워 세이브 버튼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경우, 소프트 파워 버튼, 즉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파워 오프와 파워 세이브(절전모드 진입)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따라 절전모드에 진입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절전모드에서 키 입력부(130)를 소정 시간(예컨대, 2.5초) 이상 조작하는 경우 파워 오프가 될 수 있다.
절전모드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마련되는 LCD 창(미도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소프트 파워 버튼 및 파워 세이브 버튼에 대한 키 입력만이 인식 가능하며, 소프트 파워 버튼 및 파워 세이브 버튼에 대한 키 입력에 의해 웨이크업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절전모드에서 소프트 파워 버튼 및 파워 세이브 버튼에 대한 키 입력 뿐 아니라, USB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쇄명령의 감지, 팩스 수신, 현상기 등의 교체를 위한 커버 개폐, 스캔 등과 같은 옵션 장치의 조작 등에 의해 웨이크업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그 전원제어방법을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스위칭 회로부(14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S202). 여기서, 전원공급은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원공급, 정전 후 전원의 재인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기계적 스위치(190)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 된 경우 등을 포함한다.
단계 S202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50)가 부팅되어 GPO 포트로 전원 온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칭 회로부(140)의 제2 스위치(Q2)가 온 된다(S204).
제어부(150)는 GPI 포트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단계 S202의 전원공급에 대한 키 입력부(130)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S206).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 스위치(PW_SW)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208). 즉, 키 입력부(130)의 입력에 의한 전원공급인 경우 제1 스위치(PW_SW) 가 온 상태이고, 정전 후 재인가 물리적인 스위치(190)의 조작에 의한 전원공급인 경우 제1 스위치(PW_SW)는 오프 상태가 된다. 제어부(150)는 GPI 포트로 입력되는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치(PW_SW)의 온/오프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08에서 제1 스위치(PW_SW)가 온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이는 단계 S202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전원이 공급된 경우이므로, 기저장된 메모리부(160)의 최종 전원상태 정보와 관계없이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 정보를 온으로 기록한다(S210).
단계 S208에서 제1 스위치(PW_SW)가 오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이는 단계 S202에서 키 입력부(130)의 사용자 입력과 관계없이 전원이 인가된 경우이므로,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최종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온다(S212).
단계 S212에서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오프 인 경우, 이는 스위칭 회로부(140)의 오프 상태 즉, 대기전원만이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었다가 재 인가된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50)는 제2 스위치(Q2)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GPO 포트를 통해 출력하고, 스위칭 회로부(140)는 오프된다(S216).
단계 S212에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온 인 경우, 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예상치 못한 전원의 차단(예컨대, 정전, 기계적 스위치(190)의 오프 등)에 의해 오프된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초기화한다(S218).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218에서 초기화가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정상적으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한다(S220).
화상형성장치(100)가 전원 온 되어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S222).
단계 S222의 모니터링에 의해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에서 전원 오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224). 여기서,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으로 제1 스위치(PW_SW)가 온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24에서 제1 스위치(PW_SW)에 대한 온 이 감지되면, 이는 키 입력부(130)에 대하여 전원을 오프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이므로,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60)에 전원상태 정보를 오프로 기록한다(S226).
그리고,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부(170)에 백업한다(S228).
단계 S228의 데이터의 백업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GPO 포트를 통해 제2 스위치(Q2)를 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스위칭 회로부(140)는 오프된다(S216).
단계 S216에서 스위칭 회로부(140)이 오프되면, 화상형성부(110), 제어부(150), RAM(151), ROM(152), 메모리부(160), 저장부(170), 통신 인터페이스부(180)를 포함한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소용량의 소자로 구성된 스위칭 회로부(140)의 적어도 일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대기전원 1W 이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기계적 스위치(190)가 아닌 2차 회로의 DC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칭 회로부(140)에 의한 전원제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예기치 않은 전원차단 후 전원이 재 인가된 경우, 최종 전원상태를 읽어와서 동작이 가능하므로, 화상형성장치(100)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스위칭 회로부(140)는 마이콤과 추가와 같은 높은 비용을 사용하지 않고 소용량의 소자를 이용하여 2차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제어가 가능하고, 24시간 타이머(Timer) 등을 이용한 전원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높아지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화상형성부
120: 전원공급부 130: 키 입력부
140: 스위칭 회로부 150: 제어부
151: RAM 152: ROM
160: 메모리부 170: 저장부
180: 통신 인터페이스부 190: 기계적 스위치

Claims (26)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와;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회로부는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스위칭 회로부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전원공급 또는 비정상적인 전원의 차단 후 재인가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오고,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온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온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고,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와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부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전원 공급 또는 비정상적인 전원의 차단 후 재인가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로부터 전원상태 정보를 읽어오는 단계와;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와 일치하도록 상기 제2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온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온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제1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0. 제11항 및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오프인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오프시키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읽어온 전원상태 정보가 오프인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부를 오프시키는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3.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동작전원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 회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와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부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한 전원 공급 또는 비정상적인 전원의 차단 후 재인가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제1 스위치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 결과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 경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온으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부로의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를 부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팅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모니터링 결과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전원상태를 오프로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
KR1020100116746A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6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46A KR101767963B1 (ko)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13/067,448 US8862919B2 (en) 2010-11-23 2011-06-01 Power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to selectively control switching circuit unit to manage power supply according to last known power status when power is resumed after an abnormal power failure
EP11173254.1A EP2455814B1 (en) 2010-11-23 2011-07-0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CN201110361704.8A CN102547020B (zh) 2010-11-23 2011-11-15 成像装置及其电力控制方法
US14/483,825 US9547362B2 (en) 2010-11-23 2014-09-1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for determining whether power switch is turned on during power-off st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46A KR101767963B1 (ko)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767A KR20120055767A (ko) 2012-06-01
KR101767963B1 true KR101767963B1 (ko) 2017-08-14

Family

ID=4540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7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7963B1 (ko) 2010-11-23 2010-11-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862919B2 (ko)
EP (1) EP2455814B1 (ko)
KR (1) KR101767963B1 (ko)
CN (1) CN102547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244B2 (ja) * 2011-06-16 2017-09-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16429B2 (ja) * 2012-04-18 2016-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
JP5978835B2 (ja) * 2012-07-30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6065453B2 (ja) * 2012-08-15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光書き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書き込み装置の制御方法
JP6032435B2 (ja) * 2013-07-03 2016-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電気機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35465B2 (ja) * 2013-09-30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8713B2 (ja) * 2013-12-13 2017-08-09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5984790B2 (ja) 2013-12-18 2016-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6609944B2 (ja) * 2015-03-13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300110B2 (ja) 2015-03-30 2018-03-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GB2538552B (en) * 2015-05-21 2020-03-11 Intersurgical Ag Video laryngoscopes
JP6488927B2 (ja) * 2015-07-13 2019-03-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電源装置
JP6611497B2 (ja) 2015-07-14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680004B2 (ja) * 2016-03-11 2020-04-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848282B2 (ja) * 2016-09-12 2021-03-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10552A (ja) * 2018-07-11 2020-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電源回路
KR20210026750A (ko) * 2019-09-02 2021-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이미지 형성장치의 전원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폭 방식을 가변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
KR102500902B1 (ko) * 2020-10-12 2023-02-17 주식회사 이지시그널 부분별 전원 제어가 가능한 스위칭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129B1 (ko) 1997-08-27 2000-02-01 윤종용 전원 온/오프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인쇄기
JP2010131929A (ja) * 2008-12-08 2010-06-17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0087855A1 (en) 2009-01-30 2010-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powered-off state auxiliary power rail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581B1 (ko) * 1997-07-02 2000-01-15 윤종용 택트 스위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및방법
US5962930A (en) * 1997-11-26 1999-10-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pply power loss
TW374870B (en) * 1998-08-26 1999-11-21 Asustek Comp Inc UPS method of suspending, resuming and turning on computers
EP1187058A3 (en) * 2000-08-30 2003-01-02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data storage medium, interface device, printer control method, and interface control method
US20020034111A1 (en) * 2000-09-14 2002-03-21 Hsu Cheng-Wen Digital switch
US6577825B1 (en) * 2000-10-19 2003-06-1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User detection system for an image-forming machine
JP2003107967A (ja) 2001-09-28 2003-04-11 Ricoh Co Ltd 電源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89466B2 (ja) * 2004-03-16 2008-12-0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790035B1 (ko) * 2005-08-31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제어장치 및 방법
TW200719133A (en) * 2005-11-04 2007-05-16 Tatung Co Micro control unit reset circuit and method operated according to power button
JP5013706B2 (ja) 2005-11-28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7613938B2 (en) * 2006-03-08 2009-11-03 Alcatel Lucent Power cycle circuit
US7669063B2 (en) * 2006-06-15 2010-02-23 Top Victory Electronics (Taiwan) Co., Ltd. Method of power down control for a display device, and power down controller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5235475B2 (ja) 2008-04-07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743747B (zh) * 2008-06-17 2012-05-02 索尼计算机娱乐公司 信息处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3129B1 (ko) 1997-08-27 2000-02-01 윤종용 전원 온/오프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인쇄기
JP2010131929A (ja) * 2008-12-08 2010-06-17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0087855A1 (en) 2009-01-30 2010-08-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powered-off state auxiliary power rai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62919B2 (en) 2014-10-14
EP2455814A2 (en) 2012-05-23
KR20120055767A (ko) 2012-06-01
EP2455814A3 (en) 2015-06-10
US20120127517A1 (en) 2012-05-24
CN102547020A (zh) 2012-07-04
EP2455814B1 (en) 2020-12-16
CN102547020B (zh) 2017-04-12
US20140380078A1 (en) 2014-12-25
US9547362B2 (en)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96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US961899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68951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0677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7557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nergy-saving mode, control method therefor,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890784B2 (en) Power supplying mode switching controll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EP289702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11244A1 (en) Electric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7645618B (zh) 图像形成装置和用于图像形成装置的电力控制方法
JP5477773B2 (ja) 画像形成装置
US94238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life of a storage unit by delaying transitioning to a hibernation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calculated based on a number of writing times of the storage unit
US8305598B2 (en) Image-forming apparatus
KR101596095B1 (ko) 인쇄 장치 및 기록 매체
US201601879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703179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ith network interface having proxy response function
JP2013041458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200473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1109546A (ja) データ処理装置
JP5759774B2 (ja) 電子機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815907B2 (ja) 省エネルギ待機の画像形成装置
JP674320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002646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2137588A (ja) 画像形成装置、省電力制御方法、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5125698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80027A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