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964B1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7964B1 KR101757964B1 KR1020140167761A KR20140167761A KR101757964B1 KR 101757964 B1 KR101757964 B1 KR 101757964B1 KR 1020140167761 A KR1020140167761 A KR 1020140167761A KR 20140167761 A KR20140167761 A KR 20140167761A KR 101757964 B1 KR101757964 B1 KR 1017579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itive electrode
- conductive material
- binder
- active material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수학식 1]
2.4≤(D90-D10)/D50≤3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은, 조성물내 양극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가 균일 분산되고, 또 양극활물질간의 공극 사이 바인더의 침투가 방지되어, 이를 이용한 양극 제조시 감소된 내부 저항 및 향상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도 1은 실험예 1에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양극에서의 도전재 분포를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도전재 및 바인더를 다양한 혼합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양극에서의 전극내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서 도전재 및 바인더를 다양한 혼합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양극에서의 박리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a 및 4b는 실험예 2에서 도전재와 바인더를 0.8의 혼합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양극(양극 1-2)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관찰한 SEM 사진이다.
도 5a 및 5b는 실험예 2에서 도전재와 바인더를 0.5의 혼합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양극(양극 1-1)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관찰한 SEM 사진이다.
도 6은 실험예 2에서 제조한 양극에 대해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을 이용하여 충방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전극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서 다양한 입자크기 분포를 갖는 도전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에서의 전극내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양극 No. | 1-1 | 1-2 | 1-3 | 1-4 | 1-5 |
도전재/바인더의 혼합중량비 | 0.5 | 0.8 | 1 | 1.25 | 1.5 |
활물질(중량%) | 94 | 92.8 | 92 | 91 | 90 |
바인더(중량%) | 4 | 4 | 4 | 4 | 4 |
도전재(중량%) | 2 | 3.2 | 4 | 5 | 6 |
로딩량(mAh/cm2) | 2.6 | 2.6 | 2.6 | 2.6 | 2.6 |
양극 No. | 입자크기(㎛) | 입자크기 분포비 ((D90-D10)/D50) |
||
D10 | D50 | D90 | ||
2-1 | 0.63 | 1.4 | 3.89 | 2.32 |
2-2 | 0.48 | 1 | 2.98 | 2.5 |
2-3 | 0.31 | 0.81 | 2.58 | 2.8 |
Claims (21)
- 양극활물질,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입자크기 분포비((D90-D10)/D50) 조건을 충족하는 입자크기를 갖는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며,
상기 양극활물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90중량% 이상 포함되고,
상기 도전재 및 바인더는 0.8 내지 1의 혼합중량비(도전재/바인더의 비)로 포함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수학식 1]
2.4≤(D90-D10)/D50≤3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비표면적이 50,000m2/g 내지 170,000m2/g인 것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평균입경(D50)이 5㎛ 내지 10㎛인 것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의 수학식 1에 따른 입자크기 분포비가 2.4 내지 2.7인 것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1차 입자가 응집되어 이루어진 2차 입자의 응집체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의 평균입경(D50)이 1㎛ 이하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탄소계 물질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탄소계 물질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는 양극활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불소계 고분자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및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불소계 고분자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양극활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활물질의 BET 비표면적이 50,000m2/g 내지 170,000m2/g이고,
상기 도전재의 수학식 1에 따른 입자크기 분포비가 2.4 내지 2.7이며, 상기 도전재의 평균입경(D50)이 1㎛ 이하이고,
상기 도전재 및 바인더는 0.8 내지 1의 혼합중량비로 포함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1000cps 내지 50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인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 제1항에 따른 양극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 제16항에 따른 양극을 포함하는 것인 리튬이차전지.
- 제17항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를 단위셀로 포함하는 전지모듈.
- 제18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 제19항에 있어서,
중대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인 전지팩.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대형 디바이스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 저장용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전지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7761A KR101757964B1 (ko) | 2014-11-27 | 2014-11-27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7761A KR101757964B1 (ko) | 2014-11-27 | 2014-11-27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3894A KR20160063894A (ko) | 2016-06-07 |
KR101757964B1 true KR101757964B1 (ko) | 2017-07-13 |
Family
ID=5619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7761A Active KR101757964B1 (ko) | 2014-11-27 | 2014-11-27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9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3037214C (en) * | 2016-10-11 | 2022-01-04 | Grst International Limited | Cathode slurry for lithium ion battery |
CN107744767A (zh) * | 2017-10-10 | 2018-03-02 | 中航锂电(江苏)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正极浆料分散方法 |
US11637290B2 (en) | 2019-04-26 | 2023-04-25 | Denka Company Limited | Slurry including carbon black, electrode paste,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and method for producing secondary batter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80486A (ja) | 2008-04-22 | 2009-12-03 | Jfe Chemical Corp | メソフェーズ小球体および炭素材料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JP2013089575A (ja) * | 2011-10-21 | 2013-05-13 | Toyota Motor Corp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198B1 (ko) | 2008-07-09 | 2012-01-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도전제 입자들의 분산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의 전극활물질층 형성방법 |
-
2014
- 2014-11-27 KR KR1020140167761A patent/KR10175796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80486A (ja) | 2008-04-22 | 2009-12-03 | Jfe Chemical Corp | メソフェーズ小球体および炭素材料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JP2013089575A (ja) * | 2011-10-21 | 2013-05-13 | Toyota Motor Corp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3894A (ko) | 2016-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90859B2 (en) | Method of preparing composition for forming posi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ositive electr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manufactured by using the composition | |
EP3696894B1 (en) |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cathod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comprise same | |
KR102111480B1 (ko) |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CN111480251B (zh) | 锂二次电池用负极、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锂二次电池用负极的锂二次电池 | |
KR101753892B1 (ko) |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 |
CN108604674A (zh) | 二次电池用正极、其制造方法以及包含该正极的锂二次电池 | |
KR20160026402A (ko) |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
EP4184699A2 (en) |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CN109863629B (zh) | 用于制备锂二次电池用的正极浆料的方法和由此获得的用于锂二次电池的正极 | |
KR20180122238A (ko) | 이차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 |
CN110225887A (zh) | 制备二次电池用正极活性材料的方法、由此制备的正极活性材料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 |
KR102434067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60083718A (ko) |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형성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CN111954945A (zh) | 用于涂覆负极活性材料的组合物、负极活性材料和包括该负极活性材料的用于锂二次电池的负极 | |
EP4084131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node | |
KR101764471B1 (ko) |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
CN111684627B (zh) | 锂二次电池用负极活性材料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用负极 | |
EP3312914A1 (en) | An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EP3863082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 |
EP3863090B1 (en) |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101753943B1 (ko) |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형성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
KR101757964B1 (ko)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형성용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 |
CN114402461A (zh) | 制造锂二次电池用正极活性材料的方法和由该方法制造的锂二次电池用正极活性材料 | |
KR20200031304A (ko) |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2754766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