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5934B1 -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934B1
KR101755934B1 KR1020150176712A KR20150176712A KR101755934B1 KR 101755934 B1 KR101755934 B1 KR 101755934B1 KR 1020150176712 A KR1020150176712 A KR 1020150176712A KR 20150176712 A KR20150176712 A KR 20150176712A KR 101755934 B1 KR101755934 B1 KR 101755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pf
rpm
dti
condi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477A (ko
Inventor
나기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9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9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9/002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of filter regeneration, e.g. detection of clog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7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2D41/029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o purge or regenerate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being a particulat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generation or reactivation, e.g. of cataly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900/00Details of electrical control or of the monitoring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01N2900/0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 F01N2900/16Parameters used for exhaust control or diagnosing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xhaust apparatus, e.g. particulate filter or catalyst
    • F01N2900/1602Temperature of exhaust gas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8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parameters
    • F02D2200/0802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은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차량이 DTI 조건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DPF 후단의 측정부에서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을 측정하는 단계(S300);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의 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효율을 감소 및 연비를 악화 없이도, 비정상재생(UNCONTROLLED BURNING, DPF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에 따른 DPF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A METHOD FOR PROTECTING DPF IN DTI CONDITIONS AND AN APPARASTUS THEREFOR}
본 발명은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TI 조건에서 DPF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하여 DPF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PF(DIESEL PARTICULATE FILTER)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PM(PARTICULATE MATTER)을 포집하여 대기 중에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PM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또한, DPF는 퇴적된 PM(SOOT를 포함)을 연소 제거함으로써 포집 능력을 회복하며 이를 일반적으로 DPF 재생이라 한다. DPF 재생을 위해서는 DPF 내부 온도를 일정수준까지 상승시켜야 하며, 이를 위해 연료 후분사가 수행된다.
그런데 DPF의 재생 도중 DTI(DROP TO IDLE) 조건으로 진입하는 경우(예를 들어, 차량 주행중 신호대기 등에 의해 주행정지시), 엔진 RPM이 기설정된 아이들 RPM으로 감소하므로, DPF 내부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재생중인 DPF 내부에서 비정상재생(UNCONTROLLED BURNING, DPF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DPF의 한계온도(예를 들어, 섭씨 1200도)를 초과함으로써, DPF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할 때, DPF 재생중 DTI 조건 진입시 DPF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DPF의 재생온도를 저감하거나, 후분사되는 HC(HYDROCARBON, 즉 연료)의 분사량을 감소시켜, DPF를 보호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재생효율을 감소시키고, 연비를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127호 (2077.06.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DPF 내부의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에 따라 엔진 RPM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DTI 조건에서 DPF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은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차량이 DTI 조건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DPF 후단의 측정부에서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을 측정하는 단계(S300);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의 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아이들 RPM으로 유지하는 제 1 제어단계(S5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제 1 RPM으로 상승시키는 제 2 제어단계(S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RPM은 기설정된 아이들 R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제 2 RPM으로 상승시키는 제 3 제어단계(S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RPM은 기설정된 제 1 R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은 상기 DPF의 재생이 종료될 때 또는 상기 DTI 조건을 탈출할 때까지,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내지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를 반복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은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DPF 후단의 측정부에서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을 측정하는 단계(S300`); 및 기저장된 DPF 온도변화량(x`) - 기준 엔진 RPM 맵(MAP)에 따라, 상기 온도변화량(x`)에 대응하는 기준 엔진 RPM이 되도록, 차량의 엔진 RPM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은 상기 DPF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상기 DTI 조건을 탈출할 때까지,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내지 상기 제어하는 단계(S400`)를 반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장매체에는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장치는 상기 저장매체(100); DPF 후단의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을 측정하는 측정부(200); 및 상기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100)에 저장된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에 따라, 엔진(300)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효율을 감소 및 연비를 악화 없이도, 비정상재생(UNCONTROLLED BURNING, DPF 내부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에 따른 DPF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장치의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은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차량이 DTI 조건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DPF 후단의 온도센서에서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을 측정하는 단계(S300);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의 결과에 따라, 상기 엔진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는 DPF 내부에 퇴적된 PM이 기설정된 기준량 이상인 경우, PM을 연소 제거하여 DPF의 포집 능력을 회복하기 위해, DOC(DIESEL OXIDATION CATALYST) 전단에 HC(HYDROCARBON)를 분사하여 DPF 내부 온도를 기설정된 재생온도까지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기설정된 기준량 및 상기 기설정된 재생온도는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는 엔진 RPM이 기설정된 아이들 RPM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기설정된 아이들 RPM은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하는 단계(S300)에서는 상기 DPF 내부의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을 측정한다. 상기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은 DTI 조건에서, 재생중인 DPF 내부의 비정상재생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는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지 판단한다. 즉,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은 비정상재생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고,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은 비정상재생의 정도가 심하여, 급격한 DPF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상기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및 상기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은 실험적으로 측정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은
Figure 112015121444893-pat00001
일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은
Figure 112015121444893-pat00002
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종류, DPF의 내구온도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제 1 제어단계(S510), 제 2 제어단계(S520) 및 제 3 제어단계(S520)를 포함한다. 제 1 제어단계(S51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아이들 RPM으로 유지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미만이므로, 비정상재생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DTI 조건에서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아이들 RPM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기설정된 아이들 RPM은 800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 2 제어단계(S52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제 1 RPM으로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이므로, 비정상재생이 발생한 상태이다. 따라서,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제 1 RPM으로 상승시켜, 신기의 유입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DPF가 냉각되므로 비정상재생에 따른 DPF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RPM은 기설정된 아이들 R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DTI 상태에서의 아이들 RPM보다 더 높은 제 1 RPM으로 엔진을 구동시킴으로써, 아이들 RPM에서 유입되던 신기의 양보다 많은 신기를 유입시켜 DPF를 냉각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 RPM은 상기 기설정된 아이들 RPM보다 100 RPM 만큼 증대된 RPM 일 수 있고, 신기의 유입량은 100 RPM 마다 약 5%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 3 제어단계(S52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제 2 RPM으로 상승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이상이므로, 급격한 DPF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재생이 발생한 상태이다. 따라서, 엔진의 RPM을 기설정된 제 2 RPM으로 상승시켜, 신기의 유입을 큰 폭으로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DPF가 빠르게 냉각되므로, 비정상재생에 따른 DPF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RPM은 기설정된 제 1 R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DTI 상태에서의 제 1 RPM보다 더 높은 제 2 RPM으로 엔진을 구동시킴으로써, 제 1 RPM에서 유입되던 신기의 양보다 많은 신기를 유입시켜 DPF를 냉각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2 RPM은 상기 제 1 RPM보다 100 RPM 만큼 증대된 RPM 일 수 있고, 신기의 유입량은 100 RPM 마다 약 5% 증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종류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반복하는 단계(S600)는 상기 DPF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DTI 조건을 탈출할 때까지,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내지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를 반복한다. 즉, DTI 조건 내의 DPF의 재생 중에는 언제든지 비정상재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재생에 의한 DPF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내지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를 반복 수행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은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DPF 후단의 측정부에서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을 측정하는 단계(S300`); 및 기저장된 DPF 온도변화량(x`) - 기준 엔진 RPM 맵(MAP)에 따라, 측정된 온도변화량(x`)에 대응하는 기준 엔진 RPM이 되도록, 차량의 엔진 RPM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재생중인 DPF의 보호방법은 상기 DPF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또는 상기 DTI 조건을 탈출할 때까지,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내지 상기 제어하는 단계(S400`)를 반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시하는 단계(S100`),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측정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반복하는 단계(S500`)는 상기 개시하는 단계(S100),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측정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반복하는 단계(S60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하는 단계(S400`)는 기저장된 DPF 온도변화량(x`) - 기준 엔진 RPM 맵(MAP)에 따라, 측정된 온도변화량(x`)에 대응하는 기준 엔진 RPM이 되도록, 차량의 엔진 RPM을 제어한다. 상기 기저장된 DPF 온도변화량(x`) - 기준 엔진 RPM 맵(MAP)은 실험에 의해 측정되어, 온도변화량(x`)에 따른 DPF 냉각을 위한 최적의 엔진 RPM으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복수 개의 구간으로 온도변화량(x)을 구별하고, 이에 따라 각 구간별로 기저장된 엔진 RPM으로 제어를 하였다. 이에 비해, 상기 제어하는 단계(S400`)는 각각의 온도변화량(x`)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엔진 RPM으로 제어를 수행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비정상재생 발생에 따른 DPF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재생중인 DPF의 보호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장치는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100); DPF 후단의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을 측정하는 측정부(200); 및 상기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100)에 저장된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에 따라, 엔진(300)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저장매체
200 측정부
300 엔진
400 제어부

Claims (11)

  1. 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재생을 개시하는 단계(S100);
    차량이 DTI(DROP TO IDLE)조건으로 진입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200);
    차량이 DTI 조건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DPF 후단의 측정부(200)에서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x)를 측정하는 단계(S300);
    측정된 온도변화량(x)이 기설정된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400); 및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의 결과에 따라, 엔진(300)의 RPM을 제어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300)의 RPM을 기설정된 제 2 RPM으로 상승시키는 제 3 제어단계(S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300)의 RPM을 기설정된 아이들 RPM으로 유지하는 제 1 제어단계(S5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S400)에서 상기 온도변화량(x)이 상기 제 1 기준 온도변화량(a) 이상이고, 상기 제 2 기준 온도변화량(b)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엔진(300)의 RPM을 기설정된 제 1 RPM으로 상승시키는 제 2 제어단계(S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PM은 기설정된 아이들 R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PM은 기설정된 제 1 RP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PF의 재생이 종료될 때 또는 상기 DTI 조건을 탈출할 때까지, 상기 판단하는 단계(S200) 내지 상기 제어하는 단계(S500)를 반복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6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이 저장된 저장매체.
  11. 제 10항의 저장매체(100);
    DPF 후단의 단위시간당 온도변화량을 측정하는 측정부(200); 및
    상기 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변화량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100)에 저장된 상기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에 따라, 엔진(300)의 RPM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는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장치.
KR1020150176712A 2015-12-11 2015-12-11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755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12A KR101755934B1 (ko) 2015-12-11 2015-12-11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712A KR101755934B1 (ko) 2015-12-11 2015-12-11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77A KR20170069477A (ko) 2017-06-21
KR101755934B1 true KR101755934B1 (ko) 2017-07-07

Family

ID=5928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712A Active KR101755934B1 (ko) 2015-12-11 2015-12-11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9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616A (ja) * 2000-03-13 2001-09-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4204774A (ja) * 2002-12-25 2004-07-22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12047078A (ja) * 2010-08-25 2012-03-08 Toyota Industries Corp 排ガス浄化装置
KR101180948B1 (ko) * 2010-06-29 2012-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및 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616A (ja) * 2000-03-13 2001-09-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2004204774A (ja) * 2002-12-25 2004-07-22 Nissan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101180948B1 (ko) * 2010-06-29 2012-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 및 이 제어방법
JP2012047078A (ja) * 2010-08-25 2012-03-08 Toyota Industries Corp 排ガス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477A (ko)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6855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998326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6325089B2 (ja) 排気処理再生制御システム
EP2148071B1 (en) Particulate filter regenerating system
JP2007198282A (ja) 排気ガス浄化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11157924A (ja) エンジンの排ガス浄化装置
JP2010031833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20180070749A (ko) Dpf 재생 제어방법
KR20160009676A (ko) 배기 가스 정화 장치
EP32305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regeneration of a particulate filter
KR101755934B1 (ko) Dti 조건에서의 dpf의 보호방법 및 장치
JP4466158B2 (ja) 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08232073A (ja) 排気浄化装置
JP2011089479A (ja) Dpf再生制御装置
KR102506858B1 (ko) 차량의 군집 주행 기동 장치 및 방법
JP2004190568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フィルタ再生制御装置
JP4103732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システム
JP3622624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349219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4033189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11499456B2 (en) Exhaust purification device and exhaust purification method
JP2007023792A (ja) 排気浄化装置
KR102029779B1 (ko) Dpf 보호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후처리 시스템
KR102249588B1 (ko)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7154729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