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7918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918B1
KR101737918B1 KR1020110119261A KR20110119261A KR101737918B1 KR 101737918 B1 KR101737918 B1 KR 101737918B1 KR 1020110119261 A KR1020110119261 A KR 1020110119261A KR 20110119261 A KR20110119261 A KR 20110119261A KR 101737918 B1 KR101737918 B1 KR 10173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uxiliary
air conditioner
duct
intake du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695A (ko
Inventor
원승식
이정기
이준민
엄부용
조중원
백영기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9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9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실내 공기토출 성능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인테이크덕트(20);와, 상기 인테이크덕트(20)의 내부에 장착된 모터와 블로어팬(B)의 양측을 차폐하도록 개폐되는 연결덕트(10);와, 상기 인테이크덕트(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를 경유하여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 또는 히터코어(102)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다수의 모드도어;와, 상기 모드도어의 개폐에 따라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벤트(40);를 포함하며,상기 연결덕트(10)에는 상기 인테이크덕트(20)를 통한 공기 유입량이 일정 유량 이하로 되어 내부의 부압이 증가하는 경우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연결덕트(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보조내기도입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조장치의 공기 유입량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에 의해 공기 토출량을 공조 기능에 적합한 최적의 양으로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실내 공기토출 성능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차실 내로 유입된 외기 또는 내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페이스벤트(FaceVent) 및 플로어벤트(Floo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컴팩트(Compact)화 및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종래에는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코어 유니트가 일체화된 세미 센터 타입 차량 공조장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이렇나 종래기술의 센터마운팅 타입 차량용 공조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대시패널(엔진룸과 차실내를 구분하는 벽) 후방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기도입구(131)(132)를 통해 내,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는 인테이크 덕트(13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인테이크 덕트(130) 하류측에 설치되는 블로어(12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에 스크롤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롤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블로어(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블로어(120)의 송풍휠(121) 부분은 상기 스크롤부(1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120)는 상기 스크롤부(1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휠(121)과, 상기 송풍휠(121)을 회전시키는 모터(123)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부(111)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모터하우징(1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롤부(111)의 타측에는 상기 블로어(120)의 작동시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를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상기 송풍휠(121)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인렛링(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인 상기 스크롤부(111)의 일측에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가 결합되고, 출구측에는 모드도어(113)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a),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2b) 및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2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벤트(112a,112b,112c)들은 모드 도어(113)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되어 다양한 공조모드(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상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102)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 (1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인 상기 스크롤부(111)의 인렛링(111a)이 위치한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의 내부에는 내기도입구(131)와 외기도입구(132)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인테이크도어(135)가 설치되며, 상기 인테이크도어(135)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기도입구(131)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의 일측면에 상기 스크롤부(111)의 인렛링(111a)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100)가 오른쪽 핸들 차량 및 왼쪽 핸들 차량에 모두 공용화 가능하도록 상기 외기도입구(13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배치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외기도입구(132)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공조케이스(110)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써 오른쪽 핸들 차량 및 왼쪽 핸들 차량에 공용화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기술의 공조장치(100)는 또한 배치 상의 제약으로 인해 내기도입구(131)가 인테이크 덕트(130)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내기도입구(131)가 인테이크 덕트의 상부에 형성되는 경우 내기도입구(131)와 인테이크덕트(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인스트루먼트 덕트(IP 덕트)(30)의 간격이 좁아 내기도입구(131)로 충분한 양의 공기가 흡입되지 않게 되어 공조장치(100)의 차실내 공기 토출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냉방이나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내기도입구(131)와 도 2와 같이 외기도입구(132)의 면적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도 공조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아 이 경우도에 차실내 공기 토출량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냉방이나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조장치(1)의 공기 유입량을 최대화시켜 실내 공기 토출량의 불충분으로 하여 실내 냉난방 성능의 저하 및 탑승자의 불쾌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공조장치의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킨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는, 공조케이스(2)의 상부에 외기도입구(21)와 내기도입구(23)가 형성된 인테이크덕트(20)가 배치되며, 상기 인테이크덕트(20) 내부에 장착되어 외기도입구(21)와내기도입구(23)를 개폐하는 인테이크도어(20a)와, 인테이크덕트(20) 내측에 공조장치의 좌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스크롤하우징(111b) 및 그 내부에 장차된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와, 상기 스크롤하우징(111b)의 공조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블로어팬측 제1흡입구(10a) 및 모터측 제2흡입구(10b)와,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ob)통해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를 블로어 팬(B)에 의해 공조케이스의 내부의 증발기(101) 또는 히터코어(102)로 공급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덕트(20)의 하부와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덕트(1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덕트(10)는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덕트(10)는,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에 대응되는 일 측면을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11)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면(11)은, 상기 블로어팬(B)의 회전축 중심선보다 낮은 하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기 제2흡입구(10b)는, 상기 블로어모터(M)를 스크롤하우징(111b)에 고정하는 브라켓(10c)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보조내기도입공(51);과,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형성된 위치의 내부 부압에 의해 보조내기도입공(51)을 개폐하도록 상기 보조내기도입공(51)에 장착되는 보조내기도어(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내기도입공(51)에는, 상기 보조내기도어(55)가 연결덕트(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토퍼(5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1)는 인테이크덕트(20)를 통한 내기 또는 외기의 유입량이 차실 내의 냉난방 및 쾌적성에 적합한 유량보다 적은 공기의 유입량을 가지는 경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개방되어, 내기 또는 외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공기 토출량 부족으로 인한 차실 내의 냉난방 성능 저하를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장치(1)는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연결덕트(10)의 경사면 상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외부에서 낙하는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장치(1)는 내기도입구(23)를 상부에 형성하고, 인테이크덕트(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 및 보조내기도입수단(5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블로어와 모터의 양측에서 유입되는 것에 의해 공기 유입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모터 측으로 보조내기도입수단(50)을 통해 내기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것에 의해, 유량 부족 시 모터의 과부하로 인한 모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센터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1)의 측면도,
도 3은 연결덕트(10)가 분리된 상태의 도 2의 공조장치(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인테이크덕트(20)를 분리한 도 2의 공조장치(1)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형성된 우측 연결덕트(10)의 확대사시도,
도 6은 보조내기도입수단(50)을 형성하는 연결덕트(10)와 고정브라켓(53)과 보조내기도어(5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연결덕트(10)가 결합된 상태의 공조장치(1)의 정면도,
도 8은 내부 공기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공조장치(1)의 단면도,
도 9는 보조내기도어(55)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내기도입수단(5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연결덕트(10)가 분리된 상태의 도 2의 공조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인테이크덕트(20)를 분리한 도 2의 공조장치(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1)는 인테이크덕트(20)와 공기토출벤트(40)와 디프로스트벤트(4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조케이스(2)와, 공조케이스(2)의 내부에 장착되는 증발기(101, 도 1 참조) 및 히터코어(102)와, 공조케이스(2)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풍압을 제공하는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로 이루어져 인테이크덕트(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2)는, 상부에 외기 또는 내기를 선택적으로 유입받도록 하는 인테이크도어(20a)를 구비하여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받는 인테이크덕트(20)가 형성되고, 인데이크덕트(20)의 하부에는 스크롤하우징(111b)에 의해 스크롤부(111)가 형성되고, 스크롤하우징(111b)의 제1흡입구(10a) 측에는 블로어팬(B)이 장착되고, 제2흡입구(10b) 측에는 블로어모터(M)가 장착되며, 스크롤하우징(111b) 양 측에는 각각 블로워팬(B)과 블로어모터(M)를 보호하면서 제1흡입구(10a)와 제2흡입구(10b)로의 공기 유입을 유도하는 연결덕트(10)가 형성되며, 연결덕트(10)의 내부에 장착되는 송풍장치의 하류에는 도 1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냉방과 난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증발기(101, 도 1 참조), 히터코어(102)가 내부에 장착되고, 각각의 냉난방 모드별로 형성되는 다수의 공기 유로에는 유로를 개폐하여 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렐모드, 믹스모드 등의 공조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모드도어들이 장착되며, 상부에는 공조케이스(2)의 최하류를 형성하는 디프로트벤트(49)와 공기토출벤트(40)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2 흡입구(10a, 10b)는 블로어모터(M)를 스크롤하우징(111b)에 고정하는 브라켓(10c, 도 8 참조) 상에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공조케이스(2)의 내부는 수직 중심으로 양측을 분할하는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차실내의 좌측(운전석)과 우측(조수석)을 독립적인 공조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인테이크덕트(20)는 공조케이스(2)의 내부의 분할된 좌우 영역 모두에 공기를 동시에 유입시키도록 공조케이스(2)의 상부 형성되는 외기도입구(21)와 내기도입구(23)를 구비한다. 상기 외기도입구(21)는 차량의 앞 방향을 향해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내기도입구(23)는 외기도입구(21)의 배면 측에서 상부를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어, 외기 또는 내기 모드 시 공기를 유입 받아 연결덕트(10)의 하류에서 공조케이스(2) 양측으로 분할된 영역에 동시에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덕트(10)는 인테이크덕트(20)의 하부에 장착되는 송풍장치를 보호하며, 외기도입구(21) 또는 내기도입구(2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블로어팬(B)을 경유하여 공조케이스(2) 내부의 양측으로 분할된 유로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부압을 형성하는 송풍장치(도 6에서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로 구성)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2)의 인테이크덕트(20)의 하부 양측 각각에서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가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형상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저면은 하 방향으로 갈수록 제1흡이구(10a)와 제2흡입구(10b) 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상기 경사면(11)은 블로어팬(B)의 회전축 중심선보다 낮은 하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1)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내기도입구(23)가 인스트루먼트덕트(30)에 의해 방해되거나, 외기도입구(21)의 크기가 작아 유입되는 유량이 원활한 공조기능의 수행을 위한 토출 유량보다 적어지는 경우 내부의 상승되는 부압에 의해 개폐되는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1)에 보조내기도입수단(50)을 형성한 것은 경사면이 아닌 측면에 형성하는 경우 주변장치들의 간섭에 의해 공기의 유입이 방해받을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공기 유입의 방해를 최소화하여 공조기능의 수행을 위한 충분한 양의 공기 유입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보조내기도입수단(50)의 구성 및 작용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형성된 우측 연결덕트(10)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보조내기도입수단(50)을 형성하는 연결덕트(10)와 고정브라켓(53)과 보조내기도어(5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연결덕트(10)가 결합된 상태의 공조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내부 공기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도 2의 공조장치(1)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보조내기도어(55)의 개폐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보조내기도입수단(5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은 연결덕트(10)의 저면 경사면(11)에 형성되는 보조내기도입공(51)과, 상기 보조내기도입공(51)의 상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커버고정핀홀(52)과, 상기 커버고정핀홀(52)에 삽입되는 고정핀(54)들이 형성된 고정브라켓(53)과, 상기 고정핀(54)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도어고정핀홀(56)들이 형성된 보조내기도어(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내기도입공(51)은 외부 장치에 의한 공기유입이 방해받지 않도록 연결덕트(10)의 경사면(11)에서 일정 경사를 가지고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내기도입공(51)의 영역 내부에는 보조내기도어(55)가 보조내기도입공(51)을 통해 공조케이스(2)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내기도입공(51)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연결덕트(10) 측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조내기도입공(51)을 수직,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51a)가 형성된다.
또한, 보조내기도입공(51)의 상부측 연결덕트(10)에는 보조내기도입공(51)의 상부 경계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커버고정핀홀(52)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53)은 연결덕트(10)에 형성되는 보조내기도입공(51)의 상부에서 보조내기도어(55)를 보조내기도입공(51)에 플랩(flab) 기능에 의해 개폐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과 같이, 커버고정핀홀(5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내기도어(55)는 보조내기도입공(51) 전체 영역을 차폐하도록 보조내기도입공(51)의 형상에 대응하며 보조내기도입공(51)의 넓이보다 넓은 넓이를 가지는 고무, 가죽 등의 판상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내기도어(55)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핀(54)들에 대응하는 위치 각각에 상기 고정핀(54)들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도어고정핀홀(56)들이 관통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보조내기도어(55)는 공조장치(1)의 송풍장치의 상류 측, 즉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의 상류 측에 형성되는 부압이 기 설정된 부압 이상으로 되는 경우 변형되어 보조내기도입공(51)을 개방하고, 기 설정된 부압 이하로 되는 경우 탄성 복원되어 보조내기도입공(51)을 차폐하는 탄성값을 가지는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내기도어(55)의 탄성 값은 공조장치(1)의 실험에 의해 적절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보조내기도입수단(50)은 고정브라켓(53)의 고정핀(54)들이 보조내기도어(55)의 도어고정핀홀(56)들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보조내기도어(55)와 결합된다. 이 후, 보조내기도어(55)에 결합된 고정브라켓(53)들의 고정핀(54)들이 커버고정핀홀(52)들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보조내기도어(55)가 보조내기도입공(51)을 개폐하도록 연결덕트(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분할된 탄성을 가지는 핀으로 형성되고 단부의 외주면에는 고정핀(54)에 대한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구비하여 커버고정핀홀(52)에 삽입되는 경우 탄성 및 돌기들에 의해 커버고정핀홀(52)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핀(54)은 상술한 구성과 달리, 하나의 고정핀(54)의 단부가 고정핀(54)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에 돌출된 면이 커버고정핀홀(52)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연결덕트(10)의 면에 걸리어지는 등의 보조내기도어(55)의 고정을 긴밀히 하는 다양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장착된 연결덕트(10)는 도 7과 같이 도 6의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를 커버하도록 인테이크덕트(20) 하부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에 의해 도 7과 같이 조립이 완료된 공조장치(1)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공조장치(1)가 차량에 장착되면 도 8과 같이 인테이크덕트(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덕트(10),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경유하여 증발기(101) 측으로 유입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공조장치(1)가 차량에 장착되면 내기도입구(23)는 도 1과 같이 인스트루먼트덕트(30)와 대향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내기도입구(23)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인스트루먼트덕트(30)에 의해 방해되어 송풍장치의 적정 송풍유량이 인테이크덕트(20)를 통해 유입되지 않게 되면, 블로어모터(M)에는 블로어모터(M) 상류 측의 부압 증가로 인한 과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 유입량의 송풍장치의 유체 이송 용량보다 작은 상황이 지속되면 송풍장치의 상류 즉,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드(M)의 상류측에는 부압이 더욱 커진다. 이렇게 부압이 증가하다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 도 9와 같이 부압에 의해 보조내기도어(55)가 탄성 변형되면서 연결덕트(10) 내부로 굽혀져 보조내기도입공(51)과 개방된다. 보조내기도입공(51)이 개방되면 보조내기도입공(5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송풍장치의 송풍 용량에 적합한 유량의 공기가 공조케이스(2) 내부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의 상류측의 부압이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되는 경우 보조내기도어(55)는 자체 탄성력 및 하중에 의해 위치복원되어 보조내기도입공(51)을 차폐한다.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은 공조장치(1)의 동작 중에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내기도입공(51)의 개방 및 차폐를 부압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 블로어모터(M)의 과부하로 인한 열화 또는 파손, 공기 토출량이 적은 것에 의해 공조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한다.
1: 공조장치, 2: 공조케이스, 10: 연결덕트, 11: 경사면
20: 인테이크덕트, 21: 외기도입구, 23: 내기도입구,
30: 인스트루먼트덕트, 40: 공기토출벤트, 49: 디프로스트벤트
50: 보조내기도입수단, 51: 보조내기도입공, 51a: 스토퍼, 52: 커버고정핀홀
53: 고정브라켓, 54: 고정핀, 55: 보조내기도어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Claims (6)

  1. 공조케이스(2)의 상부에 외기도입구(21)와 내기도입구(23)가 형성된 인테이크덕트(20)가 배치되며, 상기 인테이크덕트(20) 내부에 장착되어 외기도입구(21)와내기도입구(23)를 개폐하는 인테이크도어(20a)와,
    인테이크덕트(20) 내측에 공조장치의 좌우 폭 방향으로 배열된 스크롤하우징(111b) 및 그 내부에 장차된 블로어팬(B)과 블로어모터(M)와,
    상기 스크롤하우징(111b)의 공조케이스의 좌우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블로어팬측 제1흡입구(10a) 및 모터측 제2흡입구(10b)와,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ob)통해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를 블로어 팬(B)에 의해 공조케이스의 내부의 증발기(101) 또는 히터코어(102)로 공급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테이크덕트(20)의 하부와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되어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연결덕트(1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덕트(10)는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에 대응되는 위치에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0)는,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에 대응되는 일 측면을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10a, 10b)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면(11)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1)은,
    상기 블로어팬(B)의 회전축 중심선보다 낮은 하부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흡입구(10b)는,
    상기 블로어모터(M)를 스크롤하우징(111b)에 고정하는 브라켓(10c)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보조내기도입수단(50)은,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보조내기도입공(51);과,
    상기 보조내기도입수단(50)이 형성된 위치의 내부 부압에 의해 보조내기도입공(51)을 개폐하도록 상기 보조내기도입공(51)에 장착되는 보조내기도어(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내기도입공(51)에는,
    상기 보조내기도어(55)가 연결덕트(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토퍼(5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0119261A 2011-11-16 2011-11-16 차량용 공조장치 Active KR10173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61A KR101737918B1 (ko) 2011-11-16 2011-11-1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261A KR101737918B1 (ko) 2011-11-16 2011-11-1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95A KR20130053695A (ko) 2013-05-24
KR101737918B1 true KR101737918B1 (ko) 2017-05-19

Family

ID=48662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261A Active KR101737918B1 (ko) 2011-11-16 2011-11-1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3700A (zh) * 2015-04-30 2016-12-07 青岛市星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卡车空调左右舵通用的hvac总成
JP6592466B2 (ja) * 2016-01-18 2019-10-16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621A (ja) 2000-08-25 2002-05-14 Denso Corp 内外気切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7621A (ja) 2000-08-25 2002-05-14 Denso Corp 内外気切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695A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3847462A (zh) 车辆的后部空调
JPWO2014058009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601047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6302B1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JP417886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1126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5073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88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74456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89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4477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126829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1667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2569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13205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11744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23130860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247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50506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08268040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036390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