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0894B1 -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894B1
KR101730894B1 KR1020150136380A KR20150136380A KR101730894B1 KR 101730894 B1 KR101730894 B1 KR 101730894B1 KR 1020150136380 A KR1020150136380 A KR 1020150136380A KR 20150136380 A KR20150136380 A KR 20150136380A KR 101730894 B1 KR101730894 B1 KR 10173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ing
lighting mode
unit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173A (ko
Inventor
유은상
양지영
김대규
박기양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8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8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2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H05B37/0227
    • H05B37/0245
    • H05B37/029
    • H05B37/03
    • F21W2101/02
    • F21W210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부,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에 따른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판단하는 점등 방식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점등 방식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시그널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시그널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들은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 중에서 턴 시그널 램프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행하는 도중 차선을 변경하거나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점멸되어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려줌으로써,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이를 알고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턴 시그널 램프는 운전자의 조작이나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램프가 점멸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러나, 턴 시그널 램프가 단순히 점멸되는 경우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턴 시그널 램프의 점멸뿐만 아니라 점멸되는 턴 시그널 램프의 위치도 함께 인지하여야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차량의 턴 시그널 램프 동작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2013/0127612 (2013.05.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램프의 진행 방향에 따라 광이 퍼져나가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장 발생시 오동작으로 인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부,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에 따른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판단하는 점등 방식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점등 방식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을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광이 퍼져나가는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장 발생시 점등 방식을 변경하여 오동작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점등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점등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점등 방식의 동작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점등 방식의 동작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동작 상태 감지부(200), 점등 방식 판단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주행 차선을 변경하거나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할 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알리는 턴 시그널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도 2와 같이 차량의 헤드 램프(10) 부근에 설치되거나 도 3과 같이 차량의 리어 램프(20) 부근에 설치되거나 도 4와 같이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3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광원 그룹(110~14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을 각각 제1 광원 그룹(110), 제2 광원 그룹(120), 제3 광원 그룹(130), 제4 광원 그룹(140)이라 칭하기로 하며,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은 각각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그룹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각 광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은 차량용 램프(1)의 레이 아웃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다양한 점등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고, 일괄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순차 점등 방식을 제1 점등 방식이라 칭하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일괄적으로 점등되는 일괄 점등 방식을 제2 점등 방식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턴 시그널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광원부(100)는 동작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순차 점등 방식의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모든 광원 그룹(110~140)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등 구간에서 일괄 소등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일괄 점등 방식의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ON)에서 모든 광원 그룹(110~140)이 일괄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등 구간(OFF)에서 일괄 소등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도 5와 같은 순차 점등 방식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광이 퍼져나가는 효과를 있어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광원 그룹(110)부터 제4 광원 그룹(140)까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광이 퍼져 나가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차량이 진행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동작 상태 감지부(200)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상태 감지부(200)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각각에 전원 공급이나 동작 제어를 위하여 구비된 복수의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상태 감지부(200)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단선 또는 단락 등과 같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점등 방식 판단부(300)는 동작 상태 감지부(200)에서 생성된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
점등 방식 판단부(300)는 동작 상태 감지부(200)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0), 수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점등 방식을 나타내는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결정부(320) 및 생성된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하는 송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동작 상태 감지부(200)가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에 따라 생성하는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부(310)는 전술한 제1 상태 신호 및 제2 상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정부(320)는 수신되는 상태 신호에 따라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점등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부(320)는 수신부(310)로 제1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1 점등 방식으로 결정하고, 수신부(310)로 제2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2 점등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부(320)는 제1 점등 방식일 때 제1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점등 방식일 때 제2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부(330)는 결정부(320)에 의해 생성된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점등 방식 판단부(300)로부터 송신된 점등 제어 신호에 따른 점등 방식으로 광원부(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제어부(400)는 점등 방식 판단부(300)로부터 제1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원부(100)를 제1 점등 방식인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제어부(400)는 광원부(100)를 제1 점등 방식, 즉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도 7과 같이 동작 주기(T1)의 점등 구간(ON)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순차 점등시킨 다음 순차 점등이 완료된 시점,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모두 점등된 시점으로부터 점등 구간(ON)이 끝날 때까지 각 광원 그룹(110~140)의 점등 상태를 유지시키고, 동작 주기(T1)의 소등 구간(OFF)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일괄적으로 소등시키도록 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점등 방식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점등 시작부터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170 내지 190ms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70ms보다 짧으면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 점등되는 주기가 짧아 산만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어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현혹감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90ms보다 길면 각 광원 그룹 사이의 점등 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충분한 시그널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점등 방식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75ms이고, 점등 구간(ON) 및 소등 구간(OFF)이 각각 375ms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170 내지 190ms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점등 방식 판단부(300)로부터 제2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원부(100)를 제2 점등 방식인 일괄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제어부(400)는 광원부(100)를 제2 점등 방식, 즉 일괄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도 8과 같이 동작 주기(T2)의 점등 구간(ON)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일괄 점등시킨 다음 점등 구간(ON)이 끝날 때까지 점등 상태를 유지시키고, 동작 주기(T2)의 소등 구간(OFF)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일괄적으로 소등시키도록 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점등 방식의 점등 구간(ON) 및 소등 구간(OFF)이 각각 200ms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이 제1 점등 방식으로부터 제2 점등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점등 방식의 동작 주기(T2)는 제1 점등 방식의 동작 주기(T1)보다 짧게 설정되기 때문에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동작 주기로 광원부(100)를 점멸시킴으로써 광원부(1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부터 점등 방식이 결정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제2 점등 방식의 점등 구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지만 제1 점등 방식으로 오동작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400)는 광원부(100)의 동작이 요청된 시점에 광원부(100)를 제어하게 되며, 광원부(100)의 동작 요청은 차량의 핸들 또는 바퀴의 회전각, 턴 시그널 조작 레버의 조작 신호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광원부(100)의 동작이 요청된 시점에 사전 설정된 점등 방식에 따라 광원부(100)를 동작시키게 되며, 사전 설정된 점등 방식은 제어부(400)의 동작 신호의 초기 전압 레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초기 점등 방식이 순차 점등 방식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동안 하이 레벨을 가지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초기 점등 방식이 일괄 점등 방식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 로우 레벨을 가지는 가지는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1 점등 방식으로부터 제2 점등 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부(100)는 운전자의 조작(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버튼이나 스위치 등)에 의해 제1 점등 방식으로부터 제2 점등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구성 요소들(100, 200, 300, 400) 중 적어도 일부는 퓨즈(Fuse), 릴레이(Relay)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을 조합하여 박스 내에 내장시켜 램프, 히터, 와이퍼, 공조기 등과 같은 차량의 각 부위에 전원과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Junction Box 또는 Smart Junction Box에 내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광원부(1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상태로서, 광원부(100)가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점등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초기에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된다(S110). 이때, 도 9에서는 초기에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은 초기에 일괄 점등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의 고장 여부는 각 광원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판단될 수 있다.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일괄 점등 방식으로 변경하게 된다(S130). 이때,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이 순차 점등 방식에서 일괄 점등 방식으로 변경된 경우 점멸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140: 광원 그룹
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광원
200: 동작 상태 감지부
300: 점등 방식 판단부
310: 수신부
320: 결정부
330: 송신부
400: 제어부

Claims (13)

  1. 복수의 광원 그룹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부;
    상기 광원부가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하는 동안 고장이 감지된 경우,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고장 발생을 나타내는 제2 점등 방식으로 결정하는 점등 방식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점등 방식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차량 내측으로부터 차량 진행 방향으로 순차 점등되는 방식이고,
    상기 제2 점등 방식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를 점등 구간 및 소등 구간을 가지는 동작 주기로 점멸시키되, 상기 제2 점등 방식이 상기 제1 점등 방식보다 짧은 동작 주기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상기 점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모두 점등된 이후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소등 구간에서 일괄적으로 소등되고,
    상기 제2 점등 방식은,
    상기 점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점등되고, 상기 소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의 순차 점등이 완료되는 시간이 170 내지 190ms인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발생한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상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점등 방식 판단부는,
    상기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발생한 단선 또는 단락을 감지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방식 판단부는,
    상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태 신호에 따른 점등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점등 방식에 따른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결정부; 및
    상기 점등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결정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상기 광원부를 상기 제1 점등 방식 및 상기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차량용 램프.
  9. 삭제
  10.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상기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을 상기 고장 발생을 나타내는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점등 방식을 상기 제1 점등 방식보다 짧은 동작 주기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기 시작하여 차량 내측에서 차량 진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모두 점등된 이후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등 구간에서 일괄적으로 소등되고,
    상기 제2 점등 방식은,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점등되고, 소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단선 또는 단락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3. 삭제
KR1020150136380A 2015-09-25 2015-09-25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Active KR101730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80A KR101730894B1 (ko) 2015-09-25 2015-09-25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380A KR101730894B1 (ko) 2015-09-25 2015-09-25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73A KR20170037173A (ko) 2017-04-04
KR101730894B1 true KR101730894B1 (ko) 2017-04-28

Family

ID=5858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380A Active KR101730894B1 (ko) 2015-09-25 2015-09-25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696A1 (ko) * 2018-08-28 2020-03-05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WO2020045699A1 (ko) * 2018-08-28 2020-03-05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WO2020045698A1 (ko) * 2018-08-28 2020-03-05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1872A (ja) 2010-06-30 2012-01-19 Denso Corp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及びその点灯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9230B4 (de) 2011-11-23 2013-07-11 Audi Ag Kraftwagen-Blinkleucht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linkleuch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1872A (ja) 2010-06-30 2012-01-19 Denso Corp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及びその点灯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173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3303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及びその点灯制御システム
KR101767994B1 (ko) 자동차 브레이크 등
KR101730894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EP37007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ior lights on a vehicle
KR20120108579A (ko) 차량의 램프 단락시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39741A (ko) 방향지시등 및 그 가변 순차점등방법
KR20160097583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7181B1 (ko) 자동차용 오토라이트 장치
US20060108932A1 (en) Vehicular automatic light control apparatus
KR20140104622A (ko) 차량 등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06492B1 (ko) 차량의 램프의 단선 알림 방법
KR20190054262A (ko) 후방 차량 전조등 점등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200461161Y1 (ko) 차량 위치 알림 장치
KR20150105822A (ko) 램프 고장 감지 시스템
US10029612B1 (en)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56685B1 (ko) 차량용 램프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52771B1 (ko) 차량의 오토 라이트 시스템
KR101210675B1 (ko) 방향지시등 자동점멸장치 및 그 자동점멸방법
KR101784616B1 (ko) 차량의 램프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175909B1 (ko) 차량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KR101582039B1 (ko) 전동차의 전조등 제어회로
KR20140144954A (ko) 자동차의 속도표시등
KR200151815Y1 (ko) 전동차용 전조등 원격 제어 장치
KR100877973B1 (ko) 아이엠에스를 이용한 오토라이트 점등시간 제어시스템 및방법
KR200411116Y1 (ko) 차량용 전조등의 점등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