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894B1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0894B1 KR101730894B1 KR1020150136380A KR20150136380A KR101730894B1 KR 101730894 B1 KR101730894 B1 KR 101730894B1 KR 1020150136380 A KR1020150136380 A KR 1020150136380A KR 20150136380 A KR20150136380 A KR 20150136380A KR 101730894 B1 KR101730894 B1 KR 101730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lighting
- lighting mode
- unit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538 light obscur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31 signali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21S48/2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 H05B37/0227—
-
- H05B37/0245—
-
- H05B37/029—
-
- H05B37/03—
-
- F21W2101/02—
-
- F21W2101/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부,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에 따른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판단하는 점등 방식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점등 방식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mp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an more intuitively inform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prevent visibility degradation when a failure occurs.
The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n operation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at least one light source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lighting mode or the second light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ing m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고, 고장 발생시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시그널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들이 구비되어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lamps having a lighting function for easily checking an object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at the time of night driving and a signal function for informing a nearby vehicle or a pedestrian of the traveling state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시그널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들은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For example, head lamps and fog lamps are mainly used for illumination purposes, and turn signal lamps, backup lamps, and brake lamps are mainly used for signals. These lamps for automobiles are regulated by the regulations for their installation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so that each function can be fully utilized.
이 중에서 턴 시그널 램프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이 주행하는 도중 차선을 변경하거나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점멸되어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려줌으로써,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이를 알고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Among these, the turn signal lamp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an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it changes the lane on the way, turns left or right at an intersection or the like and flickers to inform the surrounding vehicle or pedestrian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llow the vehicle or pedestrian to know this and prepare for it.
이러한 턴 시그널 램프는 운전자의 조작이나 차량의 주행 상태 등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에 설치된 램프가 점멸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알리게 된다.Such a turn signal lamp flashes a lamp install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or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thereby informing the surrounding vehicle or the pedestrian of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그러나, 턴 시그널 램프가 단순히 점멸되는 경우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턴 시그널 램프의 점멸뿐만 아니라 점멸되는 턴 시그널 램프의 위치도 함께 인지하여야 차량의 진행 방향을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차량의 진행 방향을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the turn signal lamp is simply blinking, the nearby vehicle or pedestrian must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turning signal lamp as well as the turn signal lamp,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accurately det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따라서,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차량의 턴 시그널 램프 동작시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of recogniz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more intuitively and improving the visibility when the turn signal lamp operation of the vehicle is performed by a nearby vehicle or a pedestria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램프의 진행 방향에 따라 광이 퍼져나가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mp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enable a peripheral vehicle or a pedestrian to perceiv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more intuitively, .
또한, 고장 발생시 오동작으로 인하여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ular lamp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visibility due to a malfunction when a fault occur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부, 상기 감지된 동작 상태에 따른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판단하는 점등 방식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점등 방식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lamp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n operation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at least one light source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lighting mode or the second light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ing mode. The lighting mod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lighting mode of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detected operation stat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그룹을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을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mp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operat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each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in a first lighting manner; And operat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in a second lighting mod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lamp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광이 퍼져나가는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spreading the light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visi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the nearby vehicle or pedestrian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또한, 고장 발생시 점등 방식을 변경하여 오동작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고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ighting method in the event of a failure,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visibility due to a malfunction and promptly cop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점등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점등 방식이 도시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점등 방식의 동작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점등 방식의 동작 신호가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vehicle in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lighting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lighting schem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signal of a first ligh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operation signal of a second ligh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lam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u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 and / or comprise are used in a generic sense to refer to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ther than the stated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 It is used not to exclude.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shapes that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vehicle lamp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동작 상태 감지부(200), 점등 방식 판단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이 주행 차선을 변경하거나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할 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알리는 턴 시그널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도 2와 같이 차량의 헤드 램프(10) 부근에 설치되거나 도 3과 같이 차량의 리어 램프(20) 부근에 설치되거나 도 4와 같이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3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2, the
광원부(100)는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광원 그룹(110~140)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을 각각 제1 광원 그룹(110), 제2 광원 그룹(120), 제3 광원 그룹(130), 제4 광원 그룹(140)이라 칭하기로 하며,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은 각각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그룹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각 광원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은 차량용 램프(1)의 레이 아웃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광원부(100)는 다양한 점등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광원부(100)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고, 일괄적으로 점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순차 점등 방식을 제1 점등 방식이라 칭하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일괄적으로 점등되는 일괄 점등 방식을 제2 점등 방식이라 칭하기로 한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턴 시그널 램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광원부(100)는 동작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점멸될 수 있으며, 순차 점등 방식의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모든 광원 그룹(110~140)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등 구간에서 일괄 소등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일괄 점등 방식의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ON)에서 모든 광원 그룹(110~140)이 일괄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등 구간(OFF)에서 일괄 소등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이때, 전술한 도 5와 같은 순차 점등 방식은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광이 퍼져나가는 효과를 있어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quential lighting system as shown in FIG. 5 has the effect of spreading light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nearby vehicle or pedestrian can more intuitively recogniz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광원 그룹(110)부터 제4 광원 그룹(140)까지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경우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광이 퍼져 나가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차량이 진행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동작 상태 감지부(200)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에 대한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operation
예를 들어, 동작 상태 감지부(200)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각각에 전원 공급이나 동작 제어를 위하여 구비된 복수의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동작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on
동작 상태 감지부(200)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 제1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단선 또는 단락 등과 같은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2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operation
점등 방식 판단부(300)는 동작 상태 감지부(200)에서 생성된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lighting
점등 방식 판단부(300)는 동작 상태 감지부(200)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10), 수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점등 방식을 나타내는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결정부(320) 및 생성된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하는 송신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수신부(310)는 동작 상태 감지부(200)가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에 따라 생성하는 상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부(310)는 전술한 제1 상태 신호 및 제2 상태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결정부(320)는 수신되는 상태 신호에 따라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점등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determining
예를 들어, 결정부(320)는 수신부(310)로 제1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1 점등 방식으로 결정하고, 수신부(310)로 제2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2 점등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status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또한, 결정부(320)는 제1 점등 방식일 때 제1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점등 방식일 때 제2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determining
송신부(330)는 결정부(320)에 의해 생성된 점등 제어 신호를 제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제어부(400)는 점등 방식 판단부(300)로부터 송신된 점등 제어 신호에 따른 점등 방식으로 광원부(100)를 동작시키게 된다.The
제어부(400)는 점등 방식 판단부(300)로부터 제1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원부(100)를 제1 점등 방식인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lighting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ighting
제어부(400)는 광원부(100)를 제1 점등 방식, 즉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도 7과 같이 동작 주기(T1)의 점등 구간(ON)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순차 점등시킨 다음 순차 점등이 완료된 시점,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모두 점등된 시점으로부터 점등 구간(ON)이 끝날 때까지 각 광원 그룹(110~140)의 점등 상태를 유지시키고, 동작 주기(T1)의 소등 구간(OFF)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일괄적으로 소등시키도록 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점등 방식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점등 시작부터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170 내지 190ms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70ms보다 짧으면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 점등되는 주기가 짧아 산만한 점등 이미지가 형성되어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에게 현혹감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90ms보다 길면 각 광원 그룹 사이의 점등 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충분한 시그널 효과를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ime taken from the start of lighting to the completion of the sequential lighting of the plurality of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점등 방식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175ms이고, 점등 구간(ON) 및 소등 구간(OFF)이 각각 375ms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의 순차 점등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170 내지 190ms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me taken until the sequential lighting of the plurality of
한편, 제어부(400)는 점등 방식 판단부(300)로부터 제2 점등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원부(100)를 제2 점등 방식인 일괄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게 된다.Meanwhile, when receiving the second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lighting
제어부(400)는 광원부(100)를 제2 점등 방식, 즉 일괄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도 8과 같이 동작 주기(T2)의 점등 구간(ON)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일괄 점등시킨 다음 점등 구간(ON)이 끝날 때까지 점등 상태를 유지시키고, 동작 주기(T2)의 소등 구간(OFF)에서 각 광원 그룹(110~140)을 일괄적으로 소등시키도록 하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점등 방식의 점등 구간(ON) 및 소등 구간(OFF)이 각각 200ms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ON period and the OFF period (OFF) of the second lighting mode are respectively 200 m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이 제1 점등 방식으로부터 제2 점등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점등 방식의 동작 주기(T2)는 제1 점등 방식의 동작 주기(T1)보다 짧게 설정되기 때문에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동작 주기로 광원부(100)를 점멸시킴으로써 광원부(1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을 신속하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시점부터 점등 방식이 결정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제2 점등 방식의 점등 구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지만 제1 점등 방식으로 오동작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ime required from the time of detecting the operation state to the point of time when the lighting method is determined exceeds the lighting section time of the second lighting method, substantially the plurality of
제어부(400)는 광원부(100)의 동작이 요청된 시점에 광원부(100)를 제어하게 되며, 광원부(100)의 동작 요청은 차량의 핸들 또는 바퀴의 회전각, 턴 시그널 조작 레버의 조작 신호 등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400)는 광원부(100)의 동작이 요청된 시점에 사전 설정된 점등 방식에 따라 광원부(100)를 동작시키게 되며, 사전 설정된 점등 방식은 제어부(400)의 동작 신호의 초기 전압 레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어부(400)는 초기 점등 방식이 순차 점등 방식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동안 하이 레벨을 가지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며, 초기 점등 방식이 일괄 점등 방식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 로우 레벨을 가지는 가지는 동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itial lighting method is a sequential lighting method, th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제1 점등 방식으로부터 제2 점등 방식으로 변경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부(100)는 운전자의 조작(예를 들어, 차량에 구비된 버튼이나 스위치 등)에 의해 제1 점등 방식으로부터 제2 점등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구성 요소들(100, 200, 300, 400) 중 적어도 일부는 퓨즈(Fuse), 릴레이(Relay)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들을 조합하여 박스 내에 내장시켜 램프, 히터, 와이퍼, 공조기 등과 같은 차량의 각 부위에 전원과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Junction Box 또는 Smart Junction Box에 내장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광원부(1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이 모두 정상 동작하는 상태로서, 광원부(100)가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되는 상태에서 점등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의 일 예이다.9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tate in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도 9를 참조하면, 초기에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된다(S110). 이때, 도 9에서는 초기에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이 순차 점등 방식으로 동작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은 초기에 일괄 점등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a plurality of
복수의 광원 그룹(110~140)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의 고장 여부는 각 광원에 대한 전압을 측정하여 판단될 수 있다.It is determined whether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복수의 광원(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을 일괄 점등 방식으로 변경하게 된다(S130). 이때, 광원부(100)의 점등 방식이 순차 점등 방식에서 일괄 점등 방식으로 변경된 경우 점멸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광원부
110~140: 광원 그룹
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광원
200: 동작 상태 감지부
300: 점등 방식 판단부
310: 수신부
320: 결정부
330: 송신부
400: 제어부100:
110 ~ 140: Light source group
111, 112, 121, 122, 131, 132, 141, 142:
200: Operation state detection unit
300: lighting method judgment unit
310:
320:
330:
400:
Claims (13)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동작 상태 감지부;
상기 광원부가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하는 동안 고장이 감지된 경우,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고장 발생을 나타내는 제2 점등 방식으로 결정하는 점등 방식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점등 방식에 따라 상기 광원부를 제1 점등 방식 및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차량 내측으로부터 차량 진행 방향으로 순차 점등되는 방식이고,
상기 제2 점등 방식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반복적으로 점멸되는 방식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를 점등 구간 및 소등 구간을 가지는 동작 주기로 점멸시키되, 상기 제2 점등 방식이 상기 제1 점등 방식보다 짧은 동작 주기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상기 점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모두 점등된 이후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소등 구간에서 일괄적으로 소등되고,
상기 제2 점등 방식은,
상기 점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점등되고, 상기 소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A light sourc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n operation state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at least one light source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 lighting mode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the lighting mode of the light source unit as a second lighting mode indicating a failure when the light source unit detects a failure while operating in the first lighting mode; And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ing mode by either the first lighting mode or the second lighting mode,
The first lighting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sequentially turned on in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second light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repeatedly blinked at the same time,
Wherein,
Wherein the second lighting method has a shorter operation period than the first lighting method, and the second lighting method has a shorter operation period than the first lighting method,
In the first lighting mode,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starts to be lit in the lighting perio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sequentially turned on, and the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maintained in a lighted state, and are extinguished in the unlit period ,
In the second lighting mode,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simultaneously lighted in the lighting section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lighted out at the same time in the lighting section.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의 순차 점등이 완료되는 시간이 170 내지 190ms인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lighting mode,
And the time when the sequential lighting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is completed is 170 to 190 ms.
상기 동작 상태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발생한 고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른 상태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점등 방식 판단부는,
상기 상태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판단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state sensing unit comprises:
Detecting a failure occurring 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generating a status sign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lighting mod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nd determines the lighting mode of the light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status signal.
상기 동작 상태 감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발생한 단선 또는 단락을 감지하는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ration state sensing unit comprises:
Where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detects a break or a short circuit.
상기 점등 방식 판단부는,
상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상태 신호에 따른 점등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점등 방식에 따른 점등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결정부; 및
상기 점등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5. The method of claim 4,
The lighting mode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tatus signal;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lighting mode according to the status signal and generating a light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ighting mode; And
And a transmission section for transmitting the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section.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상기 광원부의 점등 방식을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결정하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rein the lighting method of the light source unit is determined by the second lighting method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상기 광원부를 상기 제1 점등 방식 및 상기 제2 점등 방식 중 어느 하나로 동작시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차량용 램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source unit is initially operated in either the first lighting mode or the second lighting mode,
And operates in the second lighting mod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상기 제1 점등 방식으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대한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을 상기 고장 발생을 나타내는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점등 방식으로 동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점등 방식을 상기 제1 점등 방식보다 짧은 동작 주기로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등 방식은,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에서 복수의 광원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기 시작하여 차량 내측에서 차량 진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모두 점등된 이후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등 구간에서 일괄적으로 소등되고,
상기 제2 점등 방식은,
동작 주기의 점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점등되고, 소등 구간에서 상기 복수의 광원 그룹이 동시에 소등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Operat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each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in a first lighting manner;
Determining whether a failure occurs 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while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operate in the first lighting mode; And
And operat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in a second lighting mode indicating occurrence of the failur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Wherein the step of operating in the second lighting mode comprises:
And operating the second lighting method at a shorter operation period than the first lighting method,
In the first lighting mod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starts to be lit in the lighting period of the operation perio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sequentially turned on from the vehicle interior to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And is extinguished all at once in the section,
In the second lighting mode,
Wherein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simultaneously lighted in the lighting period of the operation period, and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 groups are simultaneously extinguished in the light extinction period.
상기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단선 또는 단락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ethod of claim 1,
And detecting a disconnection or a short circuit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6380A KR101730894B1 (en) | 2015-09-25 | 2015-09-25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36380A KR101730894B1 (en) | 2015-09-25 | 2015-09-25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7173A KR20170037173A (en) | 2017-04-04 |
KR101730894B1 true KR101730894B1 (en) | 2017-04-28 |
Family
ID=5858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36380A Active KR101730894B1 (en) | 2015-09-25 | 2015-09-25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089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39353B (en) * | 2018-08-28 | 2024-05-10 | Zkw集团有限责任公司 |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KR102557269B1 (en) * | 2018-08-28 | 2023-07-19 |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
EP3845798A4 (en) * | 2018-08-28 | 2022-01-26 | ZKW Group GmbH |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11872A (en) | 2010-06-30 | 2012-01-19 | Denso Corp | Light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lighting fixture, and its lighting control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1119230B4 (en) | 2011-11-23 | 2013-07-11 | Audi Ag | Car flashing light and method for operating a flashing light |
-
2015
- 2015-09-25 KR KR1020150136380A patent/KR10173089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11872A (en) | 2010-06-30 | 2012-01-19 | Denso Corp | Lighting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lighting fixture, and its lighting control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7173A (en) | 2017-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93303B2 (en) | 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lamp and lighting control system thereof | |
KR101767994B1 (en) | Vehicle brake lighting | |
KR101730894B1 (en)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EP3700779B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ior lights on a vehicle | |
KR20120108579A (en) | Apparatus for warning display of lamp electrical short in a vehicle and method thereof | |
KR20150139741A (en) | Turn signal lamp and the method of variable sequential lighting | |
KR20160097583A (en) |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
US20060108932A1 (en) | Vehicular automatic light control apparatus | |
KR20140104622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lights of vehicle | |
KR102406492B1 (en) | Method for alarming lamp open of vehicle | |
KR2019005426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head lamp turn-on of rear vehicle | |
KR200461161Y1 (en) | Car location notifying apparatus | |
KR20150105822A (en) | Lamp error detection system | |
US10029612B1 (en) | Lamp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65668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automotive lamp | |
KR100552771B1 (en) | Vehicle's auto light system | |
KR101210675B1 (en) | Automatic flickering unit for a direction indicator and its automatic flickering method | |
KR101784616B1 (en) | Auto lamp control apparatus in a car and method thereof | |
KR102175909B1 (en) | Automatic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vehicle's headlight | |
KR101582039B1 (en) | Head light control circuit of train | |
KR20140144954A (en) | Automotive Speed Indicator | |
KR200151815Y1 (en) | Electric headlight remote control | |
KR100877973B1 (en) | Auto light turn-on tim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IMS | |
KR200411116Y1 (en) | 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headlights | |
KR20050071092A (en) | Lamp system for aut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