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6904B1 -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904B1
KR101726904B1 KR1020127016140A KR20127016140A KR101726904B1 KR 101726904 B1 KR101726904 B1 KR 101726904B1 KR 1020127016140 A KR1020127016140 A KR 1020127016140A KR 20127016140 A KR20127016140 A KR 20127016140A KR 101726904 B1 KR101726904 B1 KR 10172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nection device
overmolding
connection
elect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283A (ko
Inventor
소우자 스테파네 드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2012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9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접속 장치는,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전도체(3), 및 상기 전력을 공급받을 전기 기기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전도체(5)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제 1 전도체(3) 및 상기 제 2 전도체(5)를 그 접속부에서 둘러싸는 기계적으로 유지된 전기 절연성 오버몰딩(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CONNECTION DEVICE FOR POWERING ELECTRICAL EQUIPMEN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히터 및/또는 에어컨의 전열 장치와 같은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라디에이터라고도 알려진 이런 전열 장치는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를 통한 공기의 흐름과 액체, 일반적으로 엔진 냉각액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흐림제거 및 제빙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승객실을 가열하기 위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하류측에 가열될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도관 속에 장착된다.
전열 장치는 열교환기에 의한 가열이 충분하지 않다면 열의 실질적인 즉시 보급을 위해 가열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에 직접 노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히터 모듈을 포함한다.
전열 장치는 열교환기가 그 자체에서 필요한 방식으로 공기를 가열할 수 있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동작된다.
전열 장치와 같은 자동차용 전기 기기는 일반적으로 한편으로는 전기 배선 장비에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력이 공급된 전기 기기에 연결되는 전도체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다.
공지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이들 전도체는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배선 장비 및 일반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고 전기 배선 장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전기 기기에 마련된 "버스바(busbar)"라고도 알려진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전력을 공급받을 전기 기기에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해서는, 전기 배선 장비 커넥터에 금속 플레이트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 접속은 종래 금속 플레이트에 커넥터를 크림핑하거나 압력끼워맞춤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커넥터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커넥터가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 두 전도체 사이의 기계적인 접속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접속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결점을 경감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접속 장치는,
-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전도체, 및
- 상기 제 1 전도체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을 공급받을 전기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전도체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제 1 전도체 및 상기 제 2 전도체를 이들의 접속 레벨에서 둘러싸는 전기 절연성 기계적 보유 오버몰딩(electrically insulative mechanical retention overmolding)을 포함하는 접속 장치를 제공한다.
이런 오버몰딩은 2개의 전도체간의 접속이 강화되게 할 수 있다. 오버몰딩된 플라스틱 재료로 공동으로 둘러싸인 이 전도체들은 전기적 상대부, 예를 들어 자동차의 배선 장비에 접속 또는 분리시에 분리 없이 종래 기술에서보다 높은 힘에 견딜 수 있다.
상기 접속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 중의 하나 이상을 독립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더 가질 수 있다:
- 상기 오버몰딩은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 상기 전도체는 상기 오버몰딩에 의해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평행이동 차단 캐비티를 포함한다.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는 주위 홈이다.
- 상기 제 2 전도체는 제 1 전도체의 상보적 단부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 형태로 제조된다.
- 제 1 전도체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전체 형상(general shape)을 갖는다.
- 제 1 전도체는 상기 제 2 전도체에 마련된 대응 연결면과 상호 작용하는 연결면을 갖는 연결 플랜지를 포함한다.
- 제 2 전도체는 상기 오버몰딩에 의해 채워지는 사전결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회전 차단 오리피스를 갖는다.
- 회전 차단 오리피스는 실질적으로 장타원형(oblong)의 전체 형상을 갖는다.
- 전력을 공급받을 전기 기기는 자동차용 전열 장치다.
- 상기 오버몰딩은 상기 전열 장치의 높은 동작 온도에 견디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예시적 및 비제한적 예로서 주어진 이후의 설명을 읽어보면 그리고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속 장치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접속 장치의 제 1 전도체의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접속 장치의 제 2 전도체의 부분도이다.
도 4a는 도 3의 제 2 전도체에 조립된 도 2의 제 1 전도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 1a 및 도 1b에는 자동차 내의 공기를 전기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같은 전기 기기(도시하지 않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1)가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는데, 가열된 공기는 혼합 및 분배 밸브의 위치에 따라서 승객실 내에 선택적으로 분배되도록 가열 및 서림방지/제빙 통기공 쪽으로 운반된다.
접속 장치(1)는,
- 배터리와 같이 차량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전기 배선 커넥터와 같은 점선으로 부분적으로 도시한 제 1 전도체(3),
- 전기 기기 내에 에너지를 안내하기 위해 전기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전도체(3)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예를 들어 전력이 공급될 전기 기기의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 제 2 전도체(5), 및
- 제 1 및 제 2 전도체(3, 5)를 그 접속 레벨에서 둘러싸는 기계적 보유 오버몰딩(7)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전도체(3)는 원통 형태로 제조된다. 원통 형상은 차량의 전기 배선 장비에 대응한다. 물론 다른 어떤 형상도 상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원통(3)은 제 2 전도체(5)와 상호 작용하는 일단부(9)에서,
- 소형 부분(11),
- 연결 플랜지(13) 및,
- 여기서는 주위 홈 형태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평행이동 차단 캐비티를 갖는다.
따라서, 이 단부(9)는 제 2 전도체(5)와 접속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전도체(5)는 그 자체가 버스바로도 알려진 금속 플레이트(5)의 형태로 제조된다. 이 금속 플레이트(5)는 소형 부분(11)(도 2, 도 3)을 수용하기 위해 본 예에서는 원형의 개구부(17)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원통(3)의 소형 부분(11)은 금속 플레이트(5)의 개구부(17)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한편, 연결 플랜지(13)는 개구부(17)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므로, 실린더(3)가 플레이트(5)(도 4a, 도 4b)와 조립되었을 때 플랜지(13)가 플레이트(5)에 접할 때까지 소형 부분(11)이 개구부(17)를 통과한다. 이 때, 플랜지(13)의 연결면(19)은 개구부(17) 주위의 플레이트(5)상의 해당 연결면(19')과 접촉한다(도 1 내지 도 3).
게다가, 2개의 홈(15)이 연결 플랜지(1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원통(3)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기 절연재가 원통(3)과 플레이트(5) 사이의 연결 레벨에 오버몰딩되어 기계적 보유 오버몰딩(7)을 형성할 때, 이 재료는 플레이트(5)의 양측의 2개의 홈(15) 속에 삽입되어 원통(3)이 플레이트(5)에 대하여 평행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게다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오버몰딩된 재료는 보다 양호한 보유성을 위해 플레이트(5)의 원통 하류측의 단부(9)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플레이트(5)에는 회전 차단 오리피스(21), 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오리피스(21)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오리피스(21)는 개구부(17) 주위에 배치되며, 예컨대 굽어질 수도 있는, 즉 실질적으로 콩팥 모양인 장타원형의 전체 형상을 갖는다. 오버몰딩 중에, 오버몰딩된 재료는 또한 이들 오리피스(21)에 삽입되어 원통(3) 및 플레이트(5)의 상대 회전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오버몰딩(7)은 견고한 조립을 형성하며, 2개의 전도체(3, 5)를 제자리에 유지하여 영구 접속을 보장한다.
오버몰딩에 사용된 재료는 원하는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ⅰ) 폴리(시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포화 폴리머, ⅱ) 바람직하게는 유리 섬유로 30% 이하 충전된 폴리프탈아미드, ⅲ) 폴리트리메틸 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비정질 반방향족(semi-aromatic)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열안정성 열가소성 폴리머와 같은 경질 플라스틱 재료이다. 전력을 공급받을 기기가 전열 장치인 경우, 이 재료는 또한 이런 장치가 동작하는 250℃ 내지 260℃ 정도의 고온에 견뎌야 한다.
따라서, 이런 오버몰딩(7)은 접속 장치(1)의 2개의 전도체(3, 5) 사이의 접속을 보장하며, 전기 기기로의 전력의 공급의 원치 않은 중단을 방지한다.

Claims (11)

  1.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접속 장치는,
    - 전력 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1 전도체(3)로서, 상기 제 1 전도체(3)는 상기 제 1 전도체(3)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고 연결면(19)을 갖는 연결 플랜지(13)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전도체(3), 및
    - 상기 제 1 전도체(3)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을 공급받을 전기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 2 전도체(5)로서, 상기 제 1 전도체(3)의 상기 연결면(19)은 상기 제 2 전도체(5)에 마련된 대응 연결면(19')과 맞닿는, 상기 제 2 전도체(5)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는 상기 제 1 전도체(3) 및 상기 제 2 전도체(5)를 이들의 접속 레벨에서 둘러싸는 전기 절연성 기계적 보유 오버몰딩(electrically insulative mechanical retention overmolding)(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7)은 경질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3, 5)는 상기 오버몰딩(7)에 의해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평행이동 차단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행이동 차단 캐비티는 주위 홈(peripheral groove)(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도체(5)는 상기 제 1 전도체(3)의 상보적 단부(9)를 수용하는 개구부(17)를 포함하는 금속 플레이트(5)의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체(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전체 형상(general shap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체(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전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도체(3)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전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전도체(5)는 상기 오버몰딩(7)에 의해 채워지는 사전결정된(predetermined) 개수의 회전 차단 오리피스(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차단 오리피스(21)는 실질적으로 장타원형(oblong)의 전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을 공급받을 전기 기기는 자동차용 전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몰딩(7)은 상기 전열 장치의 250℃ 내지 260℃의 동작 온도에 견디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KR1020127016140A 2009-12-23 2010-12-15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 Active KR101726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6305 2009-12-23
FR0906305A FR2954607B1 (fr) 2009-12-23 2009-12-23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alimenter un equipement electrique
PCT/EP2010/069817 WO2011076638A1 (fr) 2009-12-23 2010-12-15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alimenter un equipement electr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283A KR20120123283A (ko) 2012-11-08
KR101726904B1 true KR101726904B1 (ko) 2017-04-13

Family

ID=421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140A Active KR101726904B1 (ko) 2009-12-23 2010-12-15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45342B2 (ko)
EP (1) EP2517316B1 (ko)
JP (1) JP2013515641A (ko)
KR (1) KR101726904B1 (ko)
CN (1) CN102771019B (ko)
CA (1) CA2784701A1 (ko)
ES (1) ES2564639T3 (ko)
FR (1) FR2954607B1 (ko)
WO (1) WO2011076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4009B1 (fr) * 2013-03-26 2017-02-17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de commande d'un appareil electrique
JP6273119B2 (ja) * 2013-10-08 2018-01-31 株式会社東芝 電気機器の接続装置
FR3037193B1 (fr) * 2015-06-04 2020-10-16 Auxel Distributeur de courant a born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100A (ja) * 1999-04-15 2001-11-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5158616A (ja) * 2003-11-27 2005-06-16 Nissei Electric Co Ltd 面状ヒータ
JP2009043491A (ja) * 2007-08-07 2009-02-26 Denso Corp 電気式ヒ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355A (ja) * 1993-12-20 1995-07-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ネルヒーターリード線の接続・絶縁構造
US6261108B1 (en) * 1999-04-15 2001-07-17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Shield connector
EP1128472B1 (en) * 2000-02-24 2003-06-11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Shield connector
JP2002075557A (ja) * 2000-06-12 2002-03-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2008791A (ja) * 2000-06-23 2002-01-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595789B2 (en) * 2000-10-20 2003-07-2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Electronic unit, shield cable connecting structure, connecting method, wires waterproof-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JP2002231394A (ja) * 2001-01-30 2002-08-1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66407B2 (ja) * 2002-09-24 2007-08-29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油水性を備えた電磁波シールド構造
US7494374B2 (en) * 2007-02-01 2009-02-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DE202009016970U1 (de) * 2009-12-16 2011-04-28 Huber + Suhner Ag Verbind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3100A (ja) * 1999-04-15 2001-11-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5158616A (ja) * 2003-11-27 2005-06-16 Nissei Electric Co Ltd 面状ヒータ
JP2009043491A (ja) * 2007-08-07 2009-02-26 Denso Corp 電気式ヒ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54607B1 (fr) 2019-10-18
US20130059483A1 (en) 2013-03-07
KR20120123283A (ko) 2012-11-08
WO2011076638A1 (fr) 2011-06-30
CN102771019A (zh) 2012-11-07
JP2013515641A (ja) 2013-05-09
CA2784701A1 (fr) 2011-06-30
EP2517316B1 (fr) 2016-01-27
FR2954607A1 (fr) 2011-06-24
EP2517316A1 (fr) 2012-10-31
ES2564639T3 (es) 2016-03-28
US8845342B2 (en) 2014-09-30
CN102771019B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5089B2 (en) Electrical heating device
CN101453089A (zh) 电连接器
CN102771015B (zh) 电路板连接器,以及对应的电路板和电加热装置
CN105164862B (zh) 用于电设备的控制模块
KR101726904B1 (ko) 전기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 장치
CN112787122A (zh) 连接结构、配电箱及电动汽车
US7878813B2 (en) Connec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electric current, in particular for a steering wheel heater of a vehicle
US20150175130A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a wiper blade member for a motor vehicle wiper system
WO2024134457A1 (en) Electrical socket for charging the accumulators of a vehicle, in particular, an electric or hybrid electric vehicle
EP4389502A2 (en) Automotive charging assembly
CN210074317U (zh) 具有电路板的插拔连接件
CN110418445B (zh) 一种ptc发热单管及ptc发热芯体及ptc加热器
US9686823B2 (en) Electric heater
WO2022168575A1 (ja) 電子機器モジュール、及び電源システム
KR20140027848A (ko) 차량용 냉각수 가열장치
KR102746006B1 (ko) 조인트 커넥터
CN219801378U (zh) 采样线束与电池包内电阻的固定结构、电池包及电动汽车
CN112003045B (zh) 导电装配座
KR20250084714A (ko) 전기 자동차 배터리용 전원 분배장치
KR20110036280A (ko) 차량용 프리 히터
CN119095741A (zh) 插接连接器
CN113494776A (zh) 加热装置
CN119297675A (zh) 充电座加热件、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KR20080029053A (ko) 서미스터를 이용하는 방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