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6741B1 -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 Google Patents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741B1
KR101726741B1 KR1020160098004A KR20160098004A KR101726741B1 KR 101726741 B1 KR101726741 B1 KR 101726741B1 KR 1020160098004 A KR1020160098004 A KR 1020160098004A KR 20160098004 A KR20160098004 A KR 20160098004A KR 101726741 B1 KR101726741 B1 KR 10172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gs
jujube
powder
hangover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김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성 filed Critical 김우성
Priority to KR102016009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7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굼벵이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및 d) 물에 상기 굼벵이 및 대추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having cicada larva and jujube and natural beverage and pill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추를 사료로 하여 사육한 굼벵이와 대추 분말을 주원료로 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hangdver) 증상을 예방 및 해소할 수 있으며, 굼벵이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남녀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에 관한 것이다.
술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인류사회에서 제조, 음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이슬람 종교 국가를 제외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제조 판매되고 있다.
삼성병원에서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직장인의 음주문화와 간에 대한 건강인식도’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20 ~ 50대 성인의 음주횟수는 1주일에 1 내지 3회가 약 87.1%로서, 이는 국민 건강의 측면에서 상당히 우려할 만한 수준이다.
이와 같이, 현대인들은 그 정도가 지나쳐 소화할 수 없을 정도로 과량의 알코올을 섭취하고 그로 인한 부작용인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현상 등의 숙취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고, 알코올 중독에 걸릴 위험성도 그만큼 증가된다.
정상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알코올류(에틸알코올, 메틸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등)가 섭취되는 경우,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그 중 10%는 호흡, 땀, 소변 등으로 배설되고, 나머지 90%의 알코올은 혈관 중에 들어가 간장에서 대사된다(M.Nakanishi; Saishin Igaku, 31, p2086, 1976). 이어서 간세포에 존재하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가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간세포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에 의하여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 조직으로 옮겨져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그러나 이러한 분해 대사과정에서 과음으로 인해 알코올 대사의 이상이 오면, 대사되지 못한 에틸알코올이나 아세트알데하이드 등으로 인해 머리가 무겁고 아프거나 속이 쓰리는 등의 숙취현상(hangover)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생약제인 감껍질, 미나리, 인진, 오미자, 녹두, 칡, 밤, 감초를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료로 배합을 달리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숙취 해소와 간 기능의 개선 효과가 있는 고유한 배합식품인 "배합식품에 의한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제와 그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2002-81995호)",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알코올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한국공개특허 제2002-64151호)", "지구자 열매의 활성 성분인 호베노둘리놀,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제 또는 숙취 해소제(한국공개특허 제2002-86963호)" 등의 특허를 비롯하여 쌀눈엑스(구루메), 오리나무, 참나무 목초액, 갈화, 밀크씨슬 추출물 등의 여러 가지 식물에서 기원한 제제들이 숙취에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긴 하지만, 음주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변화들 중에서 일부 항목에만 효과가 있거나 약효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종래 생약제제로 이용되어온 추출물을 단순히 이용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적인 기술을 찾아볼 수가 없고, 대개가 자양강장제나 공지의 효능을 단순히 이용하는데 목적을 두고있을 뿐이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는 새로운 경구용 숙취 해소 및 간장 보호를 위한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81955호 (2002년 10월 3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64151호 (2002년 08월 07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2-0086963호 (2002년 11월 2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추를 사료로 하여 사육한 굼벵이와 대추 분말을 주원료로 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hangover) 증상을 예방 및 해소할 수 있으며, 굼벵이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남녀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굼벵이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및
d) 물에 상기 굼벵이 및 대추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굼벵이를 세척한 후, 수분함량이 10 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 및 분쇄하는 굼벵이 분말 제조단계; 및
d) 상기 굼벵이 분말에 대추 분말을 혼합하여 숙취해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에 꿀 및 감초를 첨가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로 더욱 상세하게는
c-1) 상기 굼벵이를 물에 1 내지 3회 세척한 후, 1 내지 7일간 건조시키는 단계;
c-2) 상기 건조된 굼벵이를 -40 내지 50℃에서 12 내지 48시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및
c-3) 상기 동결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는 톱밥 40 내지 90 중량% 및 대추 분말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d) 단계는 굼벵이 분말 10 내지 90 중량% 및 대추 분말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d) 단계에 당귀 분말 또는 계피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e) 단계에 향미료, 과일추출물, 식물추출물, 겔화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은 대추를 사료로 하여 사육한 굼벵이와 대추 분말을 주원료로 하여 음주로 인한 숙취(hangover) 증상을 예방 및 해소할 수 있으며, 굼벵이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여 남녀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은 취식 방법에 따라 가루, 환, 음료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 가능하며, 굼벵이의 찬 성질을 보완하고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해 당귀나 계피 등을 더 첨가하여 식감 확보와 함께 굼벵이의 유익한 성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당 중합체를 포함하는 단무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자는 굼벵이가 가지는 여러 약리 효과 중 숙취해소 효과의 발현을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던 중, 굼벵이 사육 시 대추 분말을 먹일 경우, 숙취해소 효과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최종 완성 형태에 따라 액체형 또는 분말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액체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굼벵이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및
d) 물에 상기 굼벵이 및 대추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분말형으로 제조하는 경우,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굼벵이를 세척한 후, 수분함량이 10 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 및 분쇄하는 굼벵이 분말 제조단계; 및
d) 상기 굼벵이 분말에 대추 분말을 혼합하여 숙취해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을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굼벵이는 딱정벌레 (Coleoptera) 유충으로 풍뎅이과 (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 (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이 여기에 속한다(우건석. 1988. 곤충분류학. 483 p. 집현사. 서울).
매미의 유충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의 유충에도 매미의 굼벵이와 동일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굼벵이라는 용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통용되는 굼벵이 역시 이와 같은 곤충들의 유충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에서 '굼벵이'라 함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유충을 포함하며, 딱정벌레 (Coleoptera) 유충으로 풍뎅이과 (Scarabaeidae)와 사슴벌레과 (Lucanidae)를 중심으로 한 곤충류의 유충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에서 부화하여 3령을 경과하여 번데기 방을 만든 후 우화하는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다. 흰점박이꽃무지는 알 11일, 유충 50일, 번데기 28일, 성충 40일 정도의 생활사를 가지고 있고, 성충을 분리하여 쌍으로 사육 시 집단으로 사육하는 것보다 오래 사는 특징이 있다.
예로부터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을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해 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등을 땅에 기대고 하늘을 보며 기는 곤충이 제일 좋은 약재라고 했는데 그 곤충이 바로 흰점박이꽃무지의 유충이고, 흰점박이꽃무지는, 항암제, 간경화 치료제, 이뇨 작용제, 자양 강장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굼벵이는 단백질, 지방, 무기물질 등이 풍부하며,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환 활성화 기능이 있다. 근육과 뼈가 손상되어 쑤시고 아픈 증상, 여자의 생리가 끊어지고 배가 아픈 경우, 산모의 젖이 잘 안 나오는 경우, 산후에 차가운 바람을 맞은 경우, 목구멍이 마비된 증상, 단독, 치루, 옹저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약재로 굼벵이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굼벵이는 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간경화로 발생하는 복수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고 간암에도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사람이 알코올을 섭취하면 체내에서 알코올 가수분해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산화적으로 대사가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히드를 생산하며,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비 특이적인 알데히드 가수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해 산화되어 아세트산(acetic acid), 이산화탄소 등으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문제는 알코올의 섭취량이 많을 경우, 중간 생성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활성 및 지질과산화의 원인이 되어 간세포에 손상을 가져오게 되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며, 특히 아세트알데히드는 뇌로 전해져 많은 유해화합물로 바뀌어 맥박의 증가나 발한, 홍조,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을 초래할 수 있다.
굼벵이는 이러한 알코올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억제하며, 추가적으로 항산화효소인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 sulfur transferase, glutathione peroxidase 등의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 및 알코올로 인해 생성된 여러 유해성분을 제거하여 간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ge)는 식물분류학적으로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에 속하는 교목성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학명: Zizyphus jujuba Miller., 영명: Chinese jujube)와 인도계 대추(학명: Zizyphus mauritiana L A M., 영명: Indian jujube) 등이 있고.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리고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 내지 2.5㎝에 달하며 빨갛게 익히면 단맛이 있다. 대추잎은 호생하며 좁은 난형으로서 둔한 거치가 있고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한다. 취산화서로서 2 내지 3개가 달리며 양성으로서 꽃은 6월에 핀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보인다. 잎의 윗면은 연한 초록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이 있다.
대추는 예로부터 ‘동의보감’에 “속을 편하게 하고 위를 튼튼하게 한다.”라고 기술돼 있으며, 성질이 따뜻하여 굼벵이의 찬 성질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맛이 달아 조성물의 식감을 개선해주며, 무엇보다도, 굼벵이 사육 시 사료에 첨가할 경우 굼뱅이와 대추의 약리 효과가 결합하여 항산화효소 활성 작용을 보다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는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굼벵이의 사육방법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단지 굼벵이 사육 시 대추 분말을 섭취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굼벵이는 사육 시 사료로 참나무 톱밥, 짚, 퇴비, 왕겨, 사과나 배 등의 당분을 포함하는 과실, 셀룰로스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베이스 물질과 대추 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물질은 참나무 목재 외에도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든 식물과, 발효된 유기물이 굼벵이 먹이로 사용 가능하다. 굼벵이 먹이는 참나무 톱밥과 같이 톱밥 형태로 잘게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해 미생물과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사료로 바람직하게는 톱밥 등의 베이스물질 40 내지 90 중량%에 대하여 대추분말 10 내지 6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물질 40 내지 70 중량%에 대하여 대추 분말 3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에서 굼벵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굼벵이의 숙취해소 효과가 최대로 발현될 수 있다.
상기 대추 분말은 공급 상태 그대로 베이스 물질과 균일하게 혼합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와 같이 대추 분말을 언급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대추 분말이 아닌 대추 추출물의 형태여도 무방하다. 대추 추출물의 경우, 베이스 물질 표면에 살포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는 베이스 물질과 대추 분말 이외에 굼벵이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 물질이 더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질의 일예로는 비타민, 유지방, 당류, 항생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사료는 먼저 베이스 물질과 대추 분말 또는 베이스 물질과 대추 분말 및 당류 등의 첨가 물질을 혼합한다.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 함량을 60 내지 65 중량%로 조절한 후, 발효 미생물(microzyme)을 혼합한다. 혼합이 끝난 사료는 비닐 등으로 덮어 15일 정도 숙성시킨 후, 이를 다시 섞어주면서 40일간 숙성시키고 사용한다.
상기 굼벵이는 먼저 산란용 사육상자를 이용하여 채란을 한다. 이때 사육상자는 45 내지 50L 크기의 리빙박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준비된 리빙박스에 수분 함량이 50 내지 65 중량%로 조절된 사료를 2/3 정도 채우고, 참나무 껍질이나 나무토막을 넣어둔다.
준비된 상자에 흰점박이꽃무지 성충을 넣고 10일이 지나면 산란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산란장의 온도, 빛, 수분 조건이 중요한데, 3일에 한 번 정도 스프레이로 물을 뿌려 수분 증발을 보충하고, 산란상자에 채광창을 두거나 LED를 설치하여 2일에 한 번 정도 점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온도는 25 내지 26℃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은 약 1주일에서 10일이 지나면 부화하며, 부화한 1령 애벌레는 약 10일이 지난 후 탈피하여 2령으로 접어들게 된다. 애벌레를 사육하면서 상기 사육상자 내부에 애벌레의 배설물이 1/3 이상 되면 배설물을 걷어내고 새로운 사료로 교체해주는 것이 좋다.
상기 굼벵이는 3령 중기 이후의 애벌레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 애벌레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육상자 내부에 60 내지 65 중량%로 수분을 조절한 발효톱밥을 80% 이상 가득 채우고, 여기에 굼벵이를 상자 당 300 내지 500 마리 정도 넣은 후 저온저장고에 보관하면 된다. 이때 저온저장고의 온도는 7 내지 10℃가 좋으며, 저장 중에는 발효톱밥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뚜껑을 덮어두어야 한다.
저장된 굼벵이는 상기 b) 단계와 같이 굼벵이 특유의 이취를 없애기 위해 절식을 통해 체내 배설물을 제거한다. 절식 기간은 1 내지 3일인 것이 좋으며, 절식 후에도 필요에 따라 내장을 제거하여 체내 배설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배설물이 제거된 굼벵이는 상기 c) 단계와 같이 세척 후, 대추와 혼합하고 이를 교반 및 가열하여 농축액으로 제조하거나, 굼벵이를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먼저 굼벵이를 액체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굼벵이를 물에 1 내지 3회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다. 세척 후에는 필요에 따라 내장을 제거하여 체내 배설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세척 및 손질이 끝난 굼벵이는 d) 단계와 같이 대추와 함께 물에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추 30 내지 50 중량부 및 굼벵이 30 내지 5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추와 굼벵이의 첨가비는 굼벵이 10 내지 90 중량% 및 대추 10 내지 90 중량%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굼벵이 50 내지 80 중량% 및 대추 20 내지 5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굼벵이의 약효를 살리면서도 특유의 비린맛을 잡을 수 있어 좋다.
상기 농축액 제조단계는 80 내지 100℃에서 9 내지 35시간 가열 및 교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가열에 따른 물의 손실을 보충하기 위하여 제조단계 중간에 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물의 첨가량은 1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5회 첨가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열시간이 9시간 미만인 경우 굼벵이 및 대추의 유효 성분이 제대로 우러나지 않게 되며, 35시간 초과하여 가열하는 경우 굼벵이 또는 대추가 형태를 잃고 부서져 여과가 어려울 뿐 아니라 지나친 가열로 인해 농축액의 맛이나 질감이 변하고 농도가 너무 강해져 원하는 맛을 내기 어렵다.
제조단계에서 사용하는 교반 및 가열장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교반속도 또한 물의 함량 및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교반속도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rpm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먼저 굼벵이를 상기와 같이 세척한 후, 이를 건조시켜 분말화하여야 한다. 이때 굼벵이의 건조 방법으로는 열풍 건조와 동결 건조법이 있으나, 열풍 건조의 경우 건조 온도가 높으며, 건조 전 굼벵이를 데치는 과정에서 굼벵이의 주성분인 단백질의 변성이 발생하므로 열풍 건조보다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로 더욱 상세하게는
c-1) 상기 굼벵이를 물에 1 내지 3회 세척한 후, 1 내지 7일간 건조시키는 단계;
c-2) 상기 건조된 굼벵이를 -40 내지 50℃에서 12 내지 48시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및
c-3) 상기 동결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다.
먼저 상기 c) 단계는 굼벵이를 세척 후 건조하는 단계로써, 굼벵이에 남아있는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세척을 통해 제거한 후, 물기를 없애는 단계이다.
상기 c) 단계는 먼저 굼벵이를 흐르는 물에 1 내지 3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1 내지 7일,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일간 보관하여 건조시킨다.
건조가 끝난 굼벵이는 -40 내지 50℃로 조절된 동결 건조기에 넣고 동결 건조한다. 상기 동결 건조는 조직 내의 수분을 작은 입자의 얼음 결정으로 변화시켜 굼벵이의 주성분과 얼음을 분리한 상태로 고도의 감압 하에서 얼음을 승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므로, 먼저 상기 온도 범위로 급속 동결을 시킨 다음, 진공도 0.1 내지 1.0 mmHg에서 빙결정을 승화시켜 건조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때 전체 공정의 진행시간은 12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와 같이 동결 건조를 진행하는 경우, 저장 중 흡습이 발생하기 쉬우며, 산화가 급격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의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다.
동결 건조가 끝난 굼벵이는 상기와 같이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는 원료의 부피를 줄이고, 음료, 가루, 환 등 어떠한 취식 형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말화된 굼벵이는 대추 분말을 혼합하여 숙취해소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대추 분말은 혼합 형태를 한정하지 않으나, 굼벵이와 같이 분말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비로는 굼벵이 분말 10 내지 90 중량% 및 대추 분말 10 내지 9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굼벵이 분말 50 내지 80 중량% 및 대추 분말 20 내지 5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굼벵이의 약효를 살리면서도 특유의 비린맛을 잡을 수 있어 좋다.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은 농축액 또는 가루 형태로 복용할 수 있으며, 가루 형태인 경우 필요에 따라 물이나 다른 음료에 타서 섭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e) 단계와 같이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에 꿀이나 감초를 더 첨가한 후, 이를 농축하여 진액 형태로 제조하여도 좋다. 특히 진액 형태로 제조할 경우, 적은 섭취량으로도 뛰어난 숙취해소 효과를 보이며, 꿀 및 감초의 첨가로 식감 개선 및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은 상기 굼벵이의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당귀 분말, 계피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굼벵이는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며, 혈액순환이 개선되고 간의 기능을 강화시키는 효능이 있으나,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이 찬 사람들, 특히 다이어트를 빈번하게 시도하는 젊은 여성들이 섭취할 경우 몸이 더 차가워져 수족냉증이 악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굼벵이의 찬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당귀 분말, 계피 분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찬 체질을 가진 사람들도 부작용 없이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다.
상기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의학적으로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매우며 심장, 간, 비장에 들어가 작용한다. 혈을 보충하고 조화롭게 하며 생리를 조절하고 변을 잘 통하게 한다. 또한 방향성분인 정유 및 데쿠신, 진정작용하는 베타시토스테롤, 자당, 니코틴산, 엽산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종 여성 질환, 생리불순, 생리통, 빈혈, 자궁 발육 부진, 산후 혈액 부족, 갱년기 장애 등에 두루 효과가 있고, 여성 호르몬 분비를 원활하게 도와주는 작용이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로는 당귀가 세포성 면역반응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계피는 녹나무과(Cinnamomum)의 사철푸른 교목의 껍질로 중국의 남부나 월남등지에 자생한다. 계피에는 정유(계피 알데히드75~90%, 신나밀 알데히드 등) 1 내지 3.4%, 탄닌질 2 내지 3%, 점액, 탄수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5 내지 6년 자란 나무에서 정유함량이 높다고 한다. 계피는 예로부터 발한제, 해열제, 진통제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장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계피는 예로부터 체질이 허약하고 기혈이 허한 사람을 위한 한방약재로 쓰여 면역능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 계피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식료품의 향료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굼벵이와 같이 사용할 경우, 굼벵이 특유의 비린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식감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당귀나 계피는 모두 따뜻한 성질을 가지므로,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동시에 사용할 경우, 굼벵이의 찬 성질을 억제할 수 있으며, 계피의 향이 굼벵이의 비린내를 잡아줘 부작용과 식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당귀나 계피 분말은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1 내지 10 중량부 첨가할 수 있으며, 좋게는 각각 3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당귀나 계피 분말의 효능이 발현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과다 첨가하는 경우 당귀나 계피가 매운 맛을 가지며, 특히 계피의 경우 강한 향을 가지므로 오히려 식감이 하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e)단계에서 꿀 이외에 향미료, 과일추출물, 식물추출물, 겔화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향미료로서 바람직하게는 타우마틴(Thaumatin),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Rebaudioside A),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 등의 천연향미료 및 사카린, 아스파탐 등의 합성향미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일추출물 및 식물추출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것이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으며, 기호 및 제품의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로 바람직하게는 젤라틴(gelatine), 한천, 펙틴(pectin), 콜라겐(collagen), 카제인(casein) 등의 단백질 또는 구아검(guar gum), 아라비아검(arabic gum) 등의 증점 다당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 바람직하게는 비타민C, 토코페롤, 레시틴 등의 천연산화방지제와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아스코르빌파르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등의 합성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첨가제는 단독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5 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제조되며, 병이나 플라스틱 케이스 등에 담아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을 물에 타서 음료 형태로 섭취할 수 있으며, 부형제를 첨가한 후, 통상의 환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환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및 환성형장치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종류 및 형태를 한정치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및 숙취해소용 환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음료 또는 환은 취식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숙취해소 효과가 서로 상이한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여러 방법들 중 하나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알코올 분해 농도 및 숙취증상)
25 내지 35세의 연령 분포를 가지는 성인 남성 20명을 10인씩 각 2군으로 나누어 각각 시판되는 소주(알코올 농도 19.5도)를 5㎖/㎏의 양으로 섭취하였다. 다음으로 음주 1시간 경과 후, 하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음료 형태의 숙취해소 조성물을 10㎖/㎏의 양으로 섭취하였다. 그리고 조성물 섭취 후 15분, 30분, 1시간, 3시간 이후 호흡 측정기(Etinose)를 이용하여 혈중 알코올 양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은 각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음용한 후 음주하였다.
상기 알코올 분해 농도와는 별개로, 음주 4시간 후 숙취 증상을 확인하였다. 확인 항목은 각각 발열, 갈증, 취기, 두통, 피로, 소화불량, 메스꺼움, 구토, 복통 및 설사의 10개 항목이며,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채점 기준은 아주 심함(1), 심함(2), 보통(3), 약간 있음(4) 그리고 거의 없음(5)이며, 평균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관능검사)
25 내지 35세의 연령 분포를 가지는 성인 50명을 관능검사 요원으로 선정하여 시식 전 관능적 감각을 익힌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으며, 채점 기준은 매우 나쁘다(1), 나쁘다(2), 보통이다(3), 좋다(4) 그리고 매우 좋다(5)로 평가하였으며, 평균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또한 검사 항목은 조성물의 외관, 향, 맛, 입안의 질감 및 전체적인 선호도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대추 분말과 참나무 톱밥을 각각 15 중량% 및 85 중량%의 조성비로 혼합한 사료를 먹인 3령 굼벵이를 수득하고, 2일간 금식시켜 굼벵이 체내의 배설물을 제거하였다. 금식시킨 굼벵이를 세척하여 표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굼벵이와 대추를 1 : 4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물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의 비율로 가열장치에 넣었다. 그리고 90℃의 온도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숙취해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당귀 분말 5 중량부 더 첨가하여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계피 분말 5 중량부 더 첨가하여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당귀 분말 및 계피 분말을 각각 5 중량부씩 더 첨가하여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당귀 분말 15 중량부 더 첨가하여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숙취해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계피 분말 15 중량부 더 첨가하여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굼벵이 사육 시 대추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일반 참나무 톱밥을 사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 시 대추를 넣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16074677833-pat00001
[표 2]
Figure 112016074677833-pat00002
삭제
상기 표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은 숙취해소 효과가 높으며, 관능검사에서도 선호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성물에 당귀 분말, 계피 분말을 혼합한 실시예 2 내지 4는 굼벵이 및 대추만을 포함한 실시예 1에 비해 더 우수한 수치를 보이고 있다.
다만 당귀 분말 또는 계피 분말이 다른 실시예에 비해 더 많이 첨가된 실시예 5, 6은 숙취 항목에서는 실시예 2 내지 4와 비슷한 측면을 보이나 당귀나 계피의 과다 첨가에 따라 지나치게 맛이 강하여 오히려 소화불량, 메스꺼움, 구토 증세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능검사에서도 다른 실시예에 비해 더 낮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사료에 대추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과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 시 굼벵이 가루만을 사용한 비교예 2는 다른 실시예에 비해 더 낮은 숙취해소 효과 및 선호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굼벵이를 세척 및 손질하는 단계; 및
    d) 물에 상기 굼벵이 및 대추를 투입하고, 교반 및 가열하여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2. a) 대추 분말을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굼벵이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굼벵이를 금식시켜 배설물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굼벵이를 세척 및 손질한 후, 수분함량이 10 중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 및 분쇄하는 굼벵이 분말 제조단계; 및
    d) 상기 굼벵이 분말에 대추 분말을 혼합하여 숙취해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e) 상기 숙취해소 조성물에 꿀 및 감초를 첨가하고 농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톱밥 40 내지 90 중량% 및 대추 분말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굼벵이 10 내지 90 중량% 및 대추 1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당귀 또는 계피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인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굼벵이를 물에 1 내지 3회 세척한 후, 1 내지 7일간 건조시키는 단계;
    c-2) 상기 건조된 굼벵이를 -40 내지 50℃에서 12 내지 48시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 및
    c-3) 상기 동결 건조된 굼벵이를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 향미료, 과일추출물, 식물추출물, 겔화제 및 산화방지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더 첨가하는 것인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9. 제 1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10. 제 2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숙취해소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환.
KR1020160098004A 2016-08-01 2016-08-01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Active KR101726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004A KR101726741B1 (ko) 2016-08-01 2016-08-01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004A KR101726741B1 (ko) 2016-08-01 2016-08-01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741B1 true KR101726741B1 (ko) 2017-04-13

Family

ID=58579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004A Active KR101726741B1 (ko) 2016-08-01 2016-08-01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74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770B1 (ko) 2017-09-08 2018-11-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천곤충산업 굼벵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961420B1 (ko) 2018-10-08 2019-03-25 이재수 굼뱅이 갈비탕 제조방법
KR20190053614A (ko) * 2017-11-10 2019-05-20 시흥시 밀웜을 이용한 한방차 제조방법
KR20190061110A (ko) * 2017-11-27 2019-06-05 초근목피영농조합법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00427B1 (ko) * 2019-05-10 2019-07-15 조대호 굼벵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220115068A (ko) * 2021-02-09 2022-08-17 경상남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아임계수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649359B1 (ko) 2023-07-06 2024-03-19 주식회사 한미양행 습식분쇄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 처리물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가된 고단백 기능성 음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34A (ko) * 2000-08-04 2000-12-05 김도진 항암용 건강식품
KR20020064151A (ko) 2001-01-31 2002-08-07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KR20020081955A (ko) 2001-04-21 2002-10-30 손준홍 항 염증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KR20020086963A (ko) 2000-09-19 2002-11-21 현 용 이 지구자 열매의 활성 성분인 호베노둘리놀,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제 또는 숙취 해소제
KR20140064404A (ko) * 2012-11-20 2014-05-2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취 해소용 식품조성물
KR101424858B1 (ko) * 2011-12-12 2014-08-07 박근호 간기능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134A (ko) * 2000-08-04 2000-12-05 김도진 항암용 건강식품
KR20020086963A (ko) 2000-09-19 2002-11-21 현 용 이 지구자 열매의 활성 성분인 호베노둘리놀,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제 또는 숙취 해소제
KR20020064151A (ko) 2001-01-31 2002-08-07 (주)생명의나무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 해소 활성을 갖는저급알콜 불용성 추출 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함유한 조성물
KR20020081955A (ko) 2001-04-21 2002-10-30 손준홍 항 염증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합성 펩타이드
KR101424858B1 (ko) * 2011-12-12 2014-08-07 박근호 간기능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4404A (ko) * 2012-11-20 2014-05-2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숙취 해소용 식품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770B1 (ko) 2017-09-08 2018-11-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영천곤충산업 굼벵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20190053614A (ko) * 2017-11-10 2019-05-20 시흥시 밀웜을 이용한 한방차 제조방법
KR102033721B1 (ko) * 2017-11-10 2019-10-24 시흥시 밀웜을 이용한 한방차 제조방법
KR20190061110A (ko) * 2017-11-27 2019-06-05 초근목피영농조합법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029205B1 (ko) 2017-11-27 2019-10-08 초근목피영농조합법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961420B1 (ko) 2018-10-08 2019-03-25 이재수 굼뱅이 갈비탕 제조방법
KR102000427B1 (ko) * 2019-05-10 2019-07-15 조대호 굼벵이 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220115068A (ko) * 2021-02-09 2022-08-17 경상남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아임계수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759795B1 (ko) * 2021-02-09 2025-02-03 경상남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아임계수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649359B1 (ko) 2023-07-06 2024-03-19 주식회사 한미양행 습식분쇄된 갈색거저리 유충의 효소 처리물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가된 고단백 기능성 음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741B1 (ko)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천연 음료, 숙취해소용 환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9770B1 (ko) 굼벵이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6260409B (zh) 一种护肝醒酒软糖及其制备工艺
CN101103798A (zh) 一种药膳调料
KR101773252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96902B1 (ko) 한방 개량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 고추장 조성물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20230104839A (ko) 천연 추출물의 발효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0879016B1 (ko) 한방 개량간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개량간장 조성물
KR101784870B1 (ko) 숙취 해소용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123B1 (ko) 천연 식품용 한약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613998A (zh) 作为有效成分含有阿魏菇水提取物的代谢性疾病的预防和治疗用药物组合物或健康功能性食品
KR100615039B1 (ko)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KR101930433B1 (ko) 밀웜을 함유한 양갱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밀웜 양갱
KR20110080686A (ko) 달콤한 향미의 미세(微細)한 후코이단을 함유하는 마른김(海苔)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100896905B1 (ko) 한방 개량된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한방 개량된장 조성물
KR20110007903A (ko) 변비 숙변 다이어트 건강 식품의 제조 방법
KR101808406B1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Okwu et al. Studies on the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of the seeds of African oil bean tree (Pentaclethra macrophylla Benth)
CN107494938A (zh) 一种提高肉牛免疫力的中草药复合饲料及其制备方法
JP2004321087A (ja) 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