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3832B1 -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832B1
KR101723832B1 KR1020150130870A KR20150130870A KR101723832B1 KR 101723832 B1 KR101723832 B1 KR 101723832B1 KR 1020150130870 A KR1020150130870 A KR 1020150130870A KR 20150130870 A KR20150130870 A KR 20150130870A KR 101723832 B1 KR101723832 B1 KR 101723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methyl
ethyl
reaction
thiaz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047A (ko
Inventor
김동운
문종택
김현경
김승한
Original Assignee
(주)국전약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국전약품 filed Critical (주)국전약품
Priority to KR1020150130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8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33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8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24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 치료제인 페북소스타트의 제조용 중간체로서 사용되는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를 환경친화적인 조건으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eparing Ethyl-4-methyl-5-thiazolecarboxyate}
본 발명은 통풍 치료제인 페북소스타트의 제조용 중간체로서 사용되는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를 환경친화적이면서 고효율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북소스타트(febuxostat)는 통풍 환자의 고요산혈증의 치료를 위해 처방되는 크산틴 옥시다제 억제제로서, 시판 제품인 페부릭(Feburic)이 정제 형태로 투여되고 있으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1
페북소스타트는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라듐 금속 촉매 및 리간드의 존재하에 화학식 V의 페닐 유도체를 화학식 I의 티아졸 중간체, 즉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와 선택적으로 커플링 반응시킴으로써 짧은 공정으로 화학식 VI의 페북소스타트 에틸에스터를 합성한 후, 가수분해 반응을 거쳐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P 2610248 A1].
[반응식 1]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2

한편, 페북소스타트의 제조시에 중간체로 사용되는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와 화학식 VII의 메탄티오아미드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참조문헌: Heterocycles, 1980, 14, 3337; EP 2039686 A1].
[반응식 2]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3
구체적으로,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 및 화학식 VII의 메탄티오아미드를 THF와 같은 유기용매로 환류 교반하고, 수득한 생성물을 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물로 추출하고, 추출하여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농축한 다음 증류시켜,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 사용된 화학식 VII의 메탄티오아미드는 심한 악취로 인해 취급이 용의하지 않으며, 반응 조건이 환류 과정을 거치므로 이로 인해 시안화수소(HCN), 황화수소(H2S) 등의 황 화합물이 다량 발생하여 환경적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반응 후 농축 및 추출 과정에서 메탄티오아미드의 분해 산물로 유독 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에 밀폐된 시스템을 갖춘 반응기 및 유독 가스를 처리할 수 있는 설비가 필요하다. 아울러, 최종 화합물을 얻기 위한 정제 과정으로 단순 증류 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메탄티오아미드로부터 유래하는 옥살졸린 유도체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는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헌[Chem . Commun . 2004. 470-47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 및 화학식 VIII의 티오우레아의 티아졸 고리화 반응에 의해 화학식 IX의 2-아미노티아졸 유도체를 합성한 후(단계 1), 미국 특허 제6,277,871호에 기재된 합성 방법을 참조하여 아미노기를 이탈시켜(단계 2)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4
그러나, 상기 반응식 3에서 단계 1의 수율은 11%에 불과하며, 저조한 수율을 개선하기 위해 문헌[Indian J. Chem . Sect . B 1986, 25, 966]에서는 라디칼 개시제로서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한 바 있고, 문헌 [Lett . Org . Chem. 2011, 8, 549-553]에서는 산 촉매로서 잔탄 황산(xanthan sulfuric acid)을 사용하였으나, 만족할 만한 수율을 얻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북소스타트 제조용 중간체로 사용되는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를 보다 환경친화적인 조건으로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i)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와 화학식 III의 암모늄 디티오카바메이트를 반응시켜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 상기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를 탈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II]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5
[화학식 III]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6
[화학식IV]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7
[화학식 I]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8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하기 반응식 4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반응식 4]
Figure 112015089980116-pat00009

제1단계 : 화학식 IV 의 화합물의 합성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는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를 악취가 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한 화학식 III의 암모늄 디티오카바메이트와 반응시켜 수득한다.
이때,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와 화학식 III의 암모늄 디티오카바메이트는 1:1 내지 1:2의 몰비,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1.5의 몰비로 사용된다.
상기 반응은 유기 용매로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은 온화한 실온 조건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시간은 약 1시간 내지 12시간, 예컨대 3시간 내지 8시간일 수 있다.
이어서, 반응 용액에 헥산과 물을 가하여 결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정화를 위해 첨가된 헥산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예컨대, 정제수)은 무기물과 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결정화 온도는 5℃ 내지 15℃일 수 있다.
이러한 결정화 과정을 통해, 종래 방법에서 수행되었던 복잡한 농축 또는 추출 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반응 과정에서 수반되는 불순물, 무기물 및 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반응 용액 중에서 원하는 화합물의 결정을 직접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된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는 추가 정제 과정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할 수 있다.
제2단계 :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된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는 탈황 반응(desulfurization)을 거쳐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로 전환된다.
상기 탈황 반응은 과산화수소, 과산화벤조일(benzoly peroxide), 3-부틸 과산화수소(t-Butyl hydroperoxide),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mCPBA) 등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중에서 과산화수소가 생산 공정에 있어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황 반응은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반응 용매로서 초산 용액에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산은 진한 염산, 황산 및 물과 같은 다른 용매에 비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목적 화합물의 에스테르기가 가수분해되어 얻어지는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목적 화합물의 최종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응온도는 0 내지 5℃일 수 있으며, 반응시간은 약 30분 내지 3시간, 예컨대 1시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탈황 반응을 완료한 후, 반응 생성물을 중화시키고, 정제수를 가하여 25℃ 이하로 냉각하는 후처리 공정을 통해 최종의 목적 화합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출발 물질로서 악취가 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한 화학식 III의 암모늄 디티오카바메이트를 사용하여 농축 또는 추출 등의 복잡한 후처리 공정 없이 화학식 IV의 중간체 화합물을 간단하고 환경친화적으로 수득한 후, 초산을 이용한 탈황 반응을 수행하여 부반응물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최종 화합물인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를 고수율로 대량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에틸 4- 메틸 -2- 티옥소 -2,3- 디히드로 -1,3-티아졸-5- 카복실레이 트(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합성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100 g, 0.61 mol), 화학식 III의 암모늄디티오카바메이트(70g, 0.64 mol)를 에탄올 500 ml에 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TLC로 반응 유무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10℃로 냉각시키고, 결정화를 위해 정제수 500ml와 헥산 500ml을 가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한 후, 정제수 및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화합물은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IR (KBr) [cm-1] : 3631, 3093, 3029, 2882, 1704, 1472, 1287, 1106;
1H-NMR (CDCl3, 300 MHz) δ 12.19 (bs, 1H), 4.30 (q, 2H, J = 6), 2.55 (s, 3H), 1.33 (q, 3H, J = 6);
13C NMR (CDCl3, 75 MHz) δ 189.56, 159.95, 146.89, 114.94, 61.77, 14.22, 13.36.
실시예 2: 에틸-4- 메틸 -5- 티아졸카복실레이트(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합성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를 초산 100ml에 가하고 냉각하였다. 반응 용액에 30% H2O2 5ml를 가하고 0 내지 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차가운 탄산나트륨 용액을 가하여 중화시켰다. 상기 용액에 정제수를 가하고,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총 수율 85%).
IR (KBr) [cm-1] : 3620, 3080, 2984, 1715, 1520, 1446, 1277, 1088;
1H-NMR (CDCl3, 300 MHz) δ 8.65 (bs, 1H), 4.19 (q, 2H, J = 6), 2.61 (s, 3H), 1.33 (t, 3H, J = 6);
13C NMR (CDCl3, 75 MHz) δ 161.83, 160.27, 155.16, 122.15, 61.14, 17.11, 14.12.

Claims (8)

  1. (i) 화학식 II의 에틸 2-클로로아세토아세테이트와 화학식 III의 암모늄 디티오카바메이트를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반응 생성물에 헥산과 물을 가하여 결정화를 수행하여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 상기 화학식 IV의 에틸 4-메틸-2-티옥소-2,3-디히드로-1,3-티아졸-5-카복실레이트를 추가 정제 과정 없이 초산 용매에서 0 내지 5℃의 온도로 탈황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을 중화시키고, 정제수를 가하여 25℃ 이하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화학식 II]
    Figure 112017014463112-pat00010

    [화학식 III]
    Figure 112017014463112-pat00011

    [화학식IV]
    Figure 112017014463112-pat00012

    [화학식 I]
    Figure 112017014463112-pat00013
    .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에서 반응 용매로서 에탄올이 사용되는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ii)에서 탈황 반응이 과산화수소의 존재하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30870A 2015-09-16 2015-09-16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Active KR101723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70A KR101723832B1 (ko) 2015-09-16 2015-09-16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70A KR101723832B1 (ko) 2015-09-16 2015-09-16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47A KR20170033047A (ko) 2017-03-24
KR101723832B1 true KR101723832B1 (ko) 2017-04-06

Family

ID=5850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870A Active KR101723832B1 (ko) 2015-09-16 2015-09-16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8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8701A1 (en) * 2005-04-14 2006-10-19 Glaxo Group Limited 3- (1,2,4-triazol-3ylalkyl) azabriclo (3.1.0) hexa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dopamine d3 recepto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8701A1 (en) * 2005-04-14 2006-10-19 Glaxo Group Limited 3- (1,2,4-triazol-3ylalkyl) azabriclo (3.1.0) hexan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dopamine d3 recep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047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660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4,4-дифтор-3,4-дигидроизохинолина
CN115772155A (zh) 一种α-硫辛酸中间体的制备方法
WO2016146048A1 (zh) 一种咪达唑仑衍生物的工业制造方法
KR101723832B1 (ko) 에틸-4-메틸-5-티아졸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JP2008260725A (ja) 2−イミノ−4−チアゾリジノンの製造方法
CN108467353B (zh) 一种对映纯叔丁基亚磺酰胺的制备方法
EP1330446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thiazole derivatives with pesticidal activity
JPWO2006106800A1 (ja) スルファミン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CN108358866B (zh) 一种非布司他中间体的制备方法及其在制备非布司他中的应用
KR102221534B1 (ko) 치환된 감마 락탐의 합성을 위한 공정
EP1182199B1 (en) Process for preparing amic acid esters
WO2008109786A2 (en) Regio-selective ullmann synthesis of 4-bromo-3-methyl-5-propoxy-thiophene-2-carboxylic acid
CN100389110C (zh) 一种制备芳环取代的异噁唑啉类化合物的方法
CN108658931B (zh) 一种雷替曲塞关键中间体的制备方法
EP1188752B1 (en) Process for producing substituted alkylamine derivative
JPS627196B2 (ko)
KR100856133B1 (ko) 아토르바스타틴의 개선된 제조방법
JP3846120B2 (ja) ヘキサヒドロチエノ[3,4−d]イミダゾール−2,4−ジオン類の製造方法
JP2018108978A (ja) ビオチンの中間体の製造方法、およびビオチンの製造方法
WO2008115912A1 (en) Regio-specific synthesis of 4-bromo-3-methyl-5-propoxy-thiophene-2-carboxylic acid
JPS585194B2 (ja) Dl−システインまたはシスチンの製造方法
JP6239458B2 (ja) 2−(ベンジルスルフィニル)−1−シクロアルケン−1−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4925518B2 (ja) 置換アルキルアミン誘導体の製造方法
JP5142241B2 (ja) ニコチン酸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JPH07267950A (ja) 5−クロロ−n−(4,5−ジヒドロ−1h−イミダゾール−2−イル)−2,1,3−ベンゾチアジアゾール−4−アミン又はその酸付加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8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