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2707B1 -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707B1
KR101702707B1 KR1020140052949A KR20140052949A KR101702707B1 KR 101702707 B1 KR101702707 B1 KR 101702707B1 KR 1020140052949 A KR1020140052949 A KR 1020140052949A KR 20140052949 A KR20140052949 A KR 20140052949A KR 101702707 B1 KR101702707 B1 KR 10170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compound
epoxy compound
meth
acry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5879A (ko
Inventor
유미연
서유진
이도헌
이승훈
이태현
정리라
정우진
한인천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707B1/ko
Priority to CN201510212618.9A priority patent/CN105038622B/zh
Priority to US14/700,041 priority patent/US9434860B2/en
Priority to TW104113806A priority patent/TWI542657B/zh
Publication of KR2015012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initiator used in polymerisation
    • C08G2650/24Polymeric initi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계 화합물 및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C=O)- 피크(1720 내지 1725cm-1)의 높이에 대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CH=CH)- 또는 -(CH=CCH3)- 피크(1630 내지 1640cm-1)의 높이의 비가 0.015 이하인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광학필름을 포함하고, 편광자와 광학필름은 편광판용 접착필름에 의해 접착된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 광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광경화형 편광판용 접착제는 양이온 경화형 에폭시계 화합물과 라디칼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2종의 혼합성 경화 구조를 갖는다. 양이온 경화형 에폭시계 화합물은 광에너지에 의해 개시되는 양이온에 의해 중합되고, 라디칼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광에너지에 의해 개시되는 라디칼에 의해 중합이 된다. 양이온 경화형 에폭시계 화합물과 라디칼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경화 정도에 따라 편광판의 접착성과 내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3361호는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열충격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착성과 내구성이 좋은 편광판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수 후에도 접착성이 좋은 편광판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에폭시계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O)-(1720 내지 1725cm-1) 피크의 높이에 대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H=CH)- 또는 -(CH=CCH3)- (1630 내지 1640cm-1) 피크의 높이의 비가 0.015 이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증감제,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A1)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이고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 (A2)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방향족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편광판용 접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착성과 내구성이 좋은 편광판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접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침수 후에도 접착성이 좋은 편광판 구현이 가능한 편광판용 접착필름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 시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크의 높이'는 x축이 wavenumber(cm-1)이고 y축이 transmittance(%)인 적외선 스펙트럼 그래프 결과에서 transmittance를 absorbance로 변환시켰을 때, 최고 absorbance가 나타나는 wavenumber에 있어서 base line으로부터 최고 absorbance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에폭시계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O)-(1720 내지 1725cm-1) 피크의 높이에 대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CH=CH) 또는 -(CH=CCH3)-(1630 내지 1640cm-1) 피크의 높이의 비가 0.015 이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접착필름에서 피크의 높이의 비는 아크릴레이트의 -(C=O)-(1720 내지 1725cm-1) 피크의 높이에 대한 아크릴레이트의 -(CH=CH)-(1630 내지 1640cm-1) 피크의 높이의 비를 의미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접착필름에서 피크의 높이의 비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C=O)-(1720 내지 1725cm-1) 피크의 높이에 대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CH=CCH3)-(1630 내지 1640cm-1) 피크의 높이의 비를 의미한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에 의해 경화되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광증감제에 의해 경화되어 접착필름을 형성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에폭시계 화합물에 비해 경화 속도가 느리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과 에폭시계 화합물은 경쟁적으로 경화하는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되지 못하면 접착필름의 접착력, 내구성 및 침수 후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렇다고 광증감제를 과량 사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적게 사용되어 에폭시계 화합물이 미경화되고 접착필름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과의 계면접착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피크의 높이 비는 접착필름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경화도를 평가한 것으로, 피크의 높이 비가 0.015 초과이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과 광증감제 간의 반응이 충분히 되지 않아 접착필름의 접착력, 내구성 및 침수 후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응하지 않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잔류하여 아웃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크의 높이 비는 0.001 내지 0.015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접착필름의 접착력, 내구성, 침수 후 접착성이 좋고 아웃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소정의 조건에서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증감제,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고, 에폭시계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2종의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데, 구체적으로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에폭시계 화합물과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인 에폭시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방향족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로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단독 사용할 경우 접착성과 내구성이 좋지 않고 단부 crack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로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인 에폭시계 화합물을 단독 사용할 경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미경화로 접착성, 침수 후 접착성이 좋지 않고 단부 crack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이종의 에폭시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되어 접착필름의 접착력, 내구성, 침수 후 접착력이 좋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접착필름 단부 crack 개선 효과를 더 가질 수 있다.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계 화합물의 경화에 의한 효과를 제공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도 경화가 충분히 되게 한다.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상인 에폭시계 화합물로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 에폭시계 당량이 0 내지 200g/eq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도 경화가 충분히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t-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계 화합물 중 1 내지 30중량%, 구체적으로 1.2 내지 13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되어 피크 높이 비가 0.015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방향족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상 또는 고상인 에폭시계 화합물로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 예를 들면 50 내지 150℃, 에폭시계 당량이 50 내지 300g/eq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도 경화가 충분히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에폭시계, 비스페놀 F 에폭시계, 페놀 노볼락 에폭시계,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계, 비스페놀 A 노볼락 에폭시계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상인 에폭시계 화합물로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 예를 들면 100 내지 200℃, 에폭시계 당량이 50 내지 200g/eq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도 경화가 충분히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3,4-에폭시시클로헥실-5,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산-메타-디옥산,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아디페이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트리메틸카프로락톤 변성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β-메틸-δ-발레로락톤 변성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메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 에틸렌글리콜의 디(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에틸렌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폭시시클로헥사히드로프탈산디옥틸, 에폭시시클로헥사히드로프탈산 디-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수소화된 에폭시계 화합물은 상온에서 액상인 에폭시계로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 예를 들면 50 내지 150℃, 에폭시계 당량이 0 내지 200g/eq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도 경화가 충분히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S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등과 같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 에폭시 수지, 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페놀노볼락에폭시 수지와 같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테트라히드록시페닐메탄의 글리시딜 에테르,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의 글리시딜 에테르, 에폭시화 폴리비닐 페놀과 같은 다관능형의 에폭시 수지를 수소화반응시킨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 예를 들면 50 내지 150℃, 에폭시계 당량이 0 내지 200g/eq가 될 수 있고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킬렌옥시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류; 지방족 장쇄 이염기산의 디글리시딜에스테르류; 지방족 고급 알코올의 모노글리시딜에테르류; 고급 지방산의 글리시딜에테르류;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스테아르산부틸; 에폭시스테아르산옥틸; 에폭시화아마인유;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은 에폭시계 화합물 중 70 내지 99중량%, 구체적으로 87 내지 98.8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 대한 에폭시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 초과 구체적으로 3 내지 4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피크 높이 비가 0.015 이하가 될 수 있고 접착제 조성물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 접착필름의 접착력, 내구성, 침수 후 접착성이 좋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반드시 수산기를 갖지 않아도 되지만, 편광자 및 광학필름과의 계면 접착성, 양이온 활성화된 에폭시계 화합물과의 결합을 위해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것이 좋고,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의 개수에 따라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2개 이상, 예를 들면 2-6개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를 갖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접착제 조성물 중 10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접착력 상승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수산기를 갖지 않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수산기를 갖지 않지만 방향족기와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짐으로써, 경화율을 높이고 접착필름의 굴절률을 맞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를 갖지 않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수산기를 갖지 않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접착제 조성물 중 0 내지 20중량%, 예를 들면 0.1 내지 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100중량부 중 에폭시계 화합물은 45 내지 90중량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0 내지 5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되고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져 접착필름의 내구성, 접착성 및 침수 후 접착성이 좋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100중량부 중 에폭시계 화합물은 50 내지 85중량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5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증감제는 소량의 라디칼을 발생시켜 경화 반응을 촉매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이종 혼합성 hybrid 경화 구조를 갖는데, 광증감제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경화시킬 뿐만 아니라 에폭시계 화합물의 경화에 필요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개시 반응을 촉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반응성을 개선할 수 있다.
광증감제는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벤조인계, 옥심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티오크산톤계 광증감제를 사용함으로써 반응성 개선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광증감제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100중량부에 대해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공정의 광량 조건 하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되고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반응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광경화성 반응을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광양이온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오늄 이온인 양이온과 음이온의 오늄염을 포함할 수 있다. 오늄 이온의 구체예로서는 디페닐요오드늄, 4-메톡시디페닐요오드늄, 비스(4-메틸페닐)요오드늄, 비스(4-터트-부틸페닐)요오드늄,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 등의 디아릴요오드늄,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 등의 트리아릴술포늄,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비스[4-(디(4-(2-히드록시에틸)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5-2,4-(시클로펜타디에닐)[1,2,3,4,5,6-η]-(메틸에틸)-벤젠]-철(1+)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F4 -),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F6 -),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F6 -),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AsF6 -),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SbCl6 -) 등을 들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폭시계 화합물의 중합이 충분히 될 수 있고 잔량의 개시제가 남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광증감제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총 합은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 구체적으로 3 내지 6중량부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미경화가 생기지 않고 광경화에 의한 편광자의 burning 및 접착력과 내구성 저하가 없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 에폭시계 화합물 40 내지 90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9 내지 59중량%, 광증감제와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합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접착성, 내구성, 침수 후 접착성이 좋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배합하고, 광 양이온 개시제를 먼저 투입하고 추후 광증감제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30 내지 120mPa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에 대한 코팅성, 도공성이 좋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이온계 도전제, 도전성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의 도전성 부여 첨가제, 광확산성 부여 첨가제, 점도 조절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파장 200-450nm, 조도 1-500mW/cm2의 빛을 조사량이 10-10,000mJ/cm2으로 조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두께 0.1 ~ 10㎛, 파장 400-700nm에서 헤이즈(haze)가 0-20%, 바람직하게는 0.2-4.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 또는 광학용 필름에 접착하더라도 투명하여 광학적 투과도가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필름의 두께는 3㎛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용 접착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55 내지 105℃, 구체적으로 75 내지 105℃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접착필름의 접착성, 내구성 및 침수 후 접착성이 좋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100)은 편광자(110), 편광자(110) 상부에 형성된 제1편광판용 접착필름(120), 제1편광판용 접착필름(120) 상부에 형성된 제1광학필름(130), 편광자(110) 하부에 형성된 제2편광판용 접착필름(140), 및 제2편광판용 접착필름(140) 하부에 형성된 제2광학필름(150)을 포함하고, 제1편광판용 접착필름(120)과 제2편광판용 접착필름(140)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 실시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시키고,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또는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검화도는 99 이상, 바람직하게는 99-99.5, 중합도는 2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2500, 두께는 5㎛-200㎛가 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5㎛-100㎛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할 수 있다.
제1광학필름, 제2광학필름은 보호필름, 위상차필름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는데, 투명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로서, 보호필름은 무위상차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리형 폴리올레핀(COP)계, 폴리카보네이트(PC)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된 필름일 수 있다.
위상차필름은 위상차필름은 λ/2 또는 λ/4 위상차 기능을 갖는 필름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등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아크릴계, 셀룰로오스계,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제1광학필름, 제2광학필름은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 전 또는 편광판 제조 전에 표면 처리, 예를 들면 250mJ/cm2 이상 코로나 전처리 단계를 거칠 수도 있다.
제1광학필름, 제2광학필름은 각각 25㎛-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 소자에 적층시 편광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5㎛-1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편광판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필름 한쪽 면에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 조성물 층을 갖는 보호필름을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 건조 등을 행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다이코팅법, 롤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스핀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 층을 갖는 보호필름을 편광자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로부터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자외선 조사는 파장 200-450nm, 조도 1-500mW/cm2의 빛을 조사량이 10-10,000mJ/cm2으로 조사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 상기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 필름, 또는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편광판이 포함되는 통상의 광학표시장치로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광학표시장치(200)는 액정패널(210), 액정패널(210) 상부에 형성된 제1편광판(220), 및 액정패널(220) 하부에 형성된 제2편광판(230)을 포함하고, 제1편광판(220)과 제2편광판(230)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이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에폭시계 화합물
A1) ①Phenyl Glycidyl Ether(DENACOL EX-141, NAGASE, Tg:10℃), ②Resorcinol Diglycidyl Ether(DENACOL EX-201, NAGASE, Tg:124℃)
A2) ③Bisphenol-A Epoxy(KDS-8128, 국도화학, Tg:80℃), ④Hydrogenated Epoxy(YX-8000, JER, Tg:103℃), ⑤Aliphatic Cycloepoxy(SEE-4221, Seechem, Tg:200℃)
B)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⑥2-Hydroxyethyl Acrylate (100%, SK CYTEC), ⑦4-Hydroxybutyl Acrylate (100%, Osaka Organic(JAPAN)), ⑧Phenoxyethyl Acrylate (M140, Miwon), ⑨2-Hydroxy 3-Phenoxypropyl Acrylate(M600A, Kyoeisha)
C) 광증감제: ⑩Thioxanthone (DETX-S, Nippon Kayaku)
D)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⑪Iodonium salt, hexaflourophosphate (Irgacure-250, Basf)
실시예 1 내지 12와 비교예 1 내지 4
용제 없이 에폭시계 화합물,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를 하기 표 1(단위:중량부)의 함량으로 배합하였다. 여기에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광증감제를 표 1의 함량으로 배합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폭시계 아크릴레이트계 광증감제 광양이온 중합개시제
실시예1 1 - 79 - - 20 - - - 2 1
실시예2 5 - 75 - - 20 - - - 4 0.5
실시예3 10 - 70 - - 20 - - - 3 1
실시예4 5 - - 75 - 20 - - - 4 0.5
실시예5 5 - - - 75 20 - - - 4 1
실시예6 5 - - - 75 - 20 - - 4 0.5
실시예7 5 - - - 75 - 10 10 - 2 1.5
실시예8 5 - - - 75 - 10 - 10 3 1.5
실시예9 - 5 - - 75 - 10 10 - 4 1.5
실시예10 - 5 - - 75 - 10 - 10 3 1
실시예11 - 5 - - 75 - 10 - 10 4 1
실시예12 - 5 - - 75 - 10 - 10 5 1
비교예1 - - 40 - - 60 - - - 1 -
비교예2 - - 50 - - 50 - - - - 0.5
비교예3 60 - - - - 40 - - - 0.5 0.5
비교예4 - 40 60 - - - - - - 10 1
편광판의 제조
기재필름으로 80㎛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검화도:99.5, 중합도:2000)을 사용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을 0.3%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시켜 염착한 후, 연신배율이 5.0이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연신된 기재필름을 3% 농도의 붕산 용액과 2%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에 침지시켜 색상 보정을 한 후, 50℃에서 4분간 건조하여 편광자(두께 25㎛)를 제조하였다.
상부 보호필름으로 80㎛ 두께의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AC) 필름,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40㎛ 두께의 아크릴(ACRYL) 필름을 사용하였고 250 mJ/㎠ 이상 코로나 처리를 하였다. 하부 보호필름으로 30㎛ 두께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를 총칭(COP)를 사용하였고, 250 W.min/m2 이상 코로나 처리를 하였다.
온도 22~25℃, 습도 20~60% 환경 하에서 상부 보호필름 -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 - 편광자 -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 - 하부 보호필름의 순서로 합지하고,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로 400mW/㎠, 1000 mJ/㎠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편광판(두께 140㎛)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또는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고 표 2에 나타내었다.
상부보호필름 하부보호필름 접착필름Tg(℃) 접착성 24시간 침수 후 접착성 FT-IR peak ratio(C=O 대비 C=C) FT-IR peak
(C=O)
상부면 하부면 상부면 하부면
실시예1 TAC COP 76 0.013 0.217
실시예2 TAC COP 78 0.011 0.209
실시예3 PET COP 82 0.009 0.211
실시예4 ACRYL COP 98 0.005 0.205
실시예5 TAC COP 84 0.005 0.207
실시예6 PET COP 86 0.008 0.209
실시예7 ACRYL COP 88 0.007 0.209
실시예8 TAC COP 90 0.006 0.203
실시예9 ACRYL COP 95 0.005 0.202
실시예
10
TAC COP 94 0.006 0.203
실시예
11
PET COP 100 0.002 0.199
실시예
12
PET COP 92 0.004 0.204
비교예1 PET COP 5 × × × × 0.215 0.335
비교예2 TAC COP 7 × × 0.097 0.287
비교예3 ACRYL COP 65 × 0.035 0.256
비교예4 PET COP 123 × 0 0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FT-IR peak ratio가 0.015 이하가 됨으로써 접착필름의 Tg가 높고, 접착성, 침수 후 접착성이 좋아 내구성이 좋았다.
반면에,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2,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은 FT-IR peak ratio가 0.015 초과이고 접착성, 침수 후 접착성, 내구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더라도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 역시 접착성, 침수 후 접착성, 내구성이 좋지 않았다.
1)접착성: 편광판에 대해 편광자와 보호필름 간의 접착성을 확인하였다. 편광판 단부에서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 커터 칼끝을 삽입하였다. 칼끝이 보호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들어가지 않는 것을 ◎, 칼끝이 조금 들어가지만 보호필름이 분리되지 않는 것은 ○, 칼끝이 들어가고 분리된 보호필름을 찢었을 때 칼끝이 들어가지 않는 부분에서 분리가 발생하는 것을 △, 칼끝이 용이하게 들어가거나 손쉽게 분리가 되는 것을 ×로 평가하였다.
2)24시간 침수 후 접착성: 편광판을 상온수(25℃)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접착성 평가 방법과 동일한 평가방법으로 평가하였다.
3)FT-IR peak rati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0.01g을 메탈 할라이드 램프로 파장 300 내지 400nm에서 300m/W2, 1000mJ/cm2에서 경화시키고 FT-IR(Nicolet Nexus 670 spectrometer with Smart Golden Gate installed) ATR 모드로 피크의 높이 비를 측정하였다. 아크릴레이트 -C(=0)- 피크의 높이는 1720 내지 1725cm-1을 통과하는 직선을 베이스라인으로 하여, 1724cm-1 피크의 피크 톱까지의 높이(A)를 측정하고, 아크릴레이트 -CH=CH- 피크의 높이는 1630 내지 1640cm-1을 통과하는 직선을 베이스라인으로 하여 1636cm-1 피크의 피크 톱까지의 높이(B)를 측정하고, 피크의 높이 비는 B/A로 계산하였다.
4)접착필름의 Tg: 편광판용 접착필름에 대해 Discovery DSC (제조사 : TA Instrument)를 사용하고, 측정 조건은 가열 조건은 1st run과 2nd run으로 구성되고, 20℃/min의 승온 속도로 200℃까지 승온하고 0℃까지 냉각시키고, 2nd run은 10℃/min의 승온 속도로 200℃까지 승온시키고, 측정시 GAS는 N2 조건이고, 접착필름의 Tg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8)

  1. 에폭시계 화합물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C=O)-(1720 내지 1725cm-1) 피크의 높이에 대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CH=CH)- 또는 -(CH=CCH3)-(1630 내지 1640cm-1) 피크의 높이의 비가 0.015 이하인 편광판용 접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유리전이온도가 55 내지 105℃인 편광판용 접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 대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 초과인 편광판용 접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인 에폭시계 화합물과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에폭시계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인 에폭시계 화합물과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인 에폭시계 화합물의 유리전이온도는 서로 다른 편광판용 접착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 방향족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광증감제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40 내지 90중량%,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9 내지 59중량%, 상기 광증감제와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합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필름.
  10.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증감제, 및 광양이온 중합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A1)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150℃이고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및 (A2)유리전이온도가 50 내지 200℃이고 방향족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이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수산기를 갖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이고,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접착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C=O)-(1720 내지 1725cm-1) 피크의 높이에 대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CH=CH)- 또는 -(CH=CCH3)-(1630 내지 1640cm-1) 피크의 높이의 비가 0.015 이하이고,
    상기 (A1)에폭시계 화합물은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중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A2)에폭시계 화합물은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중 80 내지 99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고형분 기준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40 내지 90중량%,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9 내지 59중량%, 상기 광증감제와 광양이온 중합개시제의 합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기를 1개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은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부틸페닐글리시딜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조성물 중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 대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의 중량비는 1 초과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접착필름 또는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18. 제17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40052949A 2014-04-30 2014-04-30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ctive KR10170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949A KR101702707B1 (ko) 2014-04-30 2014-04-30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201510212618.9A CN105038622B (zh) 2014-04-30 2015-04-29 偏光板的粘性膜及粘着剂组成物、偏光板以及光学显示器
US14/700,041 US9434860B2 (en) 2014-04-30 2015-04-29 Adhes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TW104113806A TWI542657B (zh) 2014-04-30 2015-04-30 偏光板的黏性膜及黏著劑組成物、偏光板以及光學顯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949A KR101702707B1 (ko) 2014-04-30 2014-04-30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79A KR20150125879A (ko) 2015-11-10
KR101702707B1 true KR101702707B1 (ko) 2017-02-07

Family

ID=5435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949A Active KR101702707B1 (ko) 2014-04-30 2014-04-30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34860B2 (ko)
KR (1) KR101702707B1 (ko)
CN (1) CN105038622B (ko)
TW (1) TWI5426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801B1 (ko) * 2015-06-18 2018-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780547B1 (ko) * 2015-07-31 2017-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718685B2 (ja) * 2016-01-08 2020-07-0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硬化性接着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積層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142430B1 (ko) 2016-09-07 2020-08-07 애경화학 주식회사 양이온경화 및 자외선경화 메커니즘을 동시에 가지는 지환족 에폭시 아크릴계 화합물
KR101995977B1 (ko) 2016-11-28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2216353B2 (en) * 2016-11-28 2025-02-0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084112B1 (ko) 2016-12-13 2020-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JP7348719B2 (ja) * 2017-11-10 2023-09-21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位相差板、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90059138A (ko) * 2017-11-22 2019-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101941649B1 (ko) * 2017-11-24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210256B1 (ko) * 2018-01-02 2021-02-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JP2020011487A (ja) * 2018-07-20 2020-01-23 ナガセケムテックス株式会社 積層体
JP7213037B2 (ja) * 2018-08-23 2023-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7214397B2 (ja) * 2018-08-23 2023-01-3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403282B1 (ko) * 2018-11-06 2022-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20200101548A (ko) * 2019-02-19 2020-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65731B1 (ko) * 2019-06-27 2022-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64155B1 (ko) * 2020-08-27 2023-08-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11B1 (ko) 2009-10-14 2010-02-16 (주)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전면부 접착 방법
KR101072371B1 (ko) 2010-09-20 2011-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4496B2 (ja) 2007-04-16 2011-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2050019A1 (ja) 2010-10-13 2012-04-19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前面板付き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前面板付き液晶表示装置
JP5854600B2 (ja) 2010-12-28 2016-02-09 太陽インキ製造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
WO2013027979A2 (ko) * 2011-08-19 2013-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KR101717314B1 (ko) * 2011-08-19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JP5480215B2 (ja) * 2011-09-08 2014-04-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引張強さ780MPa以上の低降伏比厚肉円形鋼管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引張強さ780MPa以上の低降伏比厚肉円形鋼管
JP6066211B2 (ja) * 2011-10-14 2017-01-2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及び光学素子
KR101475996B1 (ko) * 2012-02-29 2014-12-24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유전체, 이를 구비한 캐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JP5530470B2 (ja) * 2012-03-09 2014-06-25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偏光板用接着剤
KR101389673B1 (ko) * 2012-05-29 2014-04-25 윤진노 강관용 박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311B1 (ko) 2009-10-14 2010-02-16 (주)신광화학산업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전면부 접착 방법
KR101072371B1 (ko) 2010-09-20 2011-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79A (ko) 2015-11-10
CN105038622A (zh) 2015-11-11
US9434860B2 (en) 2016-09-06
TWI542657B (zh) 2016-07-21
TW201540804A (zh) 2015-11-01
US20150315431A1 (en) 2015-11-05
CN105038622B (zh) 201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707B1 (ko)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0325887A (zh) 光学层叠体
KR101577114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569297B (zh) 偏振板
KR20120030981A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TW201800533A (zh) 硬化性樹脂組成物、偏光薄膜及其製造方法、光學薄膜以及影像顯示裝置
KR102403282B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696790B1 (ko) 양이온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780543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030068A (ko) 양이온 중합성 조성물
KR20150018295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TW201816041A (zh) 附黏著層之偏光薄膜及該附黏著層之偏光薄膜之製造方法
KR20150114149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82549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7659570B2 (ja) 発光表示装置用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発光表示装置
KR101780530B1 (ko)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I730005B (zh) 偏光板
KR101659136B1 (ko) 편광판,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I646349B (zh) 偏光板之製造方法
KR102097484B1 (ko) 접착제 조성물
KR20140141814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TW201838819A (zh) 光學積層體
KR101768273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60084094A (ko) 활성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53523A (ko) 광학 소자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