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210256B1 -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56B1
KR102210256B1 KR1020180000456A KR20180000456A KR102210256B1 KR 102210256 B1 KR102210256 B1 KR 102210256B1 KR 1020180000456 A KR1020180000456 A KR 1020180000456A KR 20180000456 A KR20180000456 A KR 20180000456A KR 102210256 B1 KR102210256 B1 KR 102210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weight
parts
epoxy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624A (ko
Inventor
서미란
한인천
이도헌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85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및 액정패널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편광판을 포함한다.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편광판용 접착제는 PVA 필름과 셀룰로오즈계 편광자 보호 필름과의 접착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친수성 및 수용성의 PVA 접착제가 널리 이용된다. 수계 접착제를 이용한 편광판에서는 백라이트의 열에 의해 편광판의 치수가 변하고, 그 치수 변화에 기인한 뒤틀림이 화면의 일부에 국재화(局在化)되고, 그 결과, 본래의 화면 전체가 검게 표시되어야 하는 경우에, 부분적으로 빛이 새어 버리는 소위 빛샘(얼룩)이 현저해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수계 접착제 대신 양이온 중합성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공개 2008-233874 등 참조).
양이온 중합성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서는 자외선 조사 후에 암 반응(후중합)이 일어나므로, 경화물을 권취 롤 형상으로 하는 경우 보관 시 쉽게 말린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양이온 중합성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 시의 습도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경화 상태의 편차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균일한 경화 상태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환경 습도는 물론 PVA계 편광자의 함수율을 엄격히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라디칼 중합성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에는 이와 같은 문제가 비교적 적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라디칼 중합성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는 습열 환경 하에 장시간 폭로되면 편광 성능이 저하되기 쉬우며 절단 단부에서는 요오드나 염료로 착색된 편광자의 빛샘 현상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습열 환경하인 경우보다도 더 가혹한 조건(예를 들어, 60℃의 온수에 침지)에서는 편광자의 빛샘 현상이 현저하게 발생한다. 즉, 편광판의 사용 환경이 더욱 가혹지고 있는 오늘날 종래의 편광판보다 더 우수한 내습열성을 갖는 편광판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편광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플라스틱 필름을 간편하게 충분한 강도로 접착시키기 위해 (메타)아크릴계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접착성 조성물도 제안되고 있다(일본공개특허 2008-260879 등 참조).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에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온 또는 고온 고습에서의 편광판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충격시 편광판의 내크랙성을 높일 수 있고 재단성을 높일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85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에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고온 또는 고온 고습에서의 편광판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열 충격시 편광판의 내크랙성을 높일 수 있고 재단성을 높일 수 있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하, 첨부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자 보호 필름"은 접착층에 의해 편광자에 적층되는 것으로, 위상차가 없는 무 연신 필름 또는 소정 범위의 위상차를 갖는 연신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설명한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85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판에 적용하였을 때, 고온 또는 고온 고습에서의 편광판의 내구성을 개선하고, 열 충격시 편광판의 내크랙성을 높이며, 재단성과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하기 식 1의 광 투과율 변화율이 1% 이하가 될 수 있다:
<식 1>
광 투과율 변화율 = |T1 - T0|/T0 × 100
(상기 식 1에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파장 550nm에서 광 투과율을 T0(단위:%), 상기 편광판을 60℃ 또는 60℃ 및 95% 상대습도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파장 550nm에서 광 투과율을 T1(단위:%)이라고 한다).
상기 식 1에서 T1은 30% 이상, 구체적으로 3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온 또는 고온 고습에서 장시간 방치한 경우에도 편광판의 광 투과율이 높아서 신뢰성이 우수하고 화면 품질이 좋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길이 × 폭(편광자의 MD × 편광자의 TD, 150mm × 70mm)으로 편광판을 재단하고 유리 기판에 합지한 후 -30℃에서 30분 방치하고, 80℃에서 30분 방치하는 것을 1 cycle로 하여 200 cycle 수행하여 열 충격을 주었을 때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3mm 이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85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예를 들면 85중량부 내지 9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Tg)가 높아 경화 후 modulus 상승 효과 및 내구성이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로서 1개의 에폭시기 함유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만을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PET 필름, TAC 필름 등과 같은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한 접착성이 좋지 않고, 내구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혼합물 중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대비 과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율을 높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70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예를 들면 8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1중량부 내지 30중량부 예를 들면 5중량부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율을 높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기로서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가 에폭시화된 작용기,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가 에폭시화된 작용기를 갖는 C2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가 에폭시화된 작용기를 갖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지환족 에폭시기는 에폭시시클로헥실기, 에폭시시클로펜틸기, 글리시딜기 중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개 이상의 에폭시기 함유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예를 들면 2관능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2관능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기를 2개 갖는 화합물이다. 2관능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 편광자, 접착층, 및 편광자 보호 필름의 적층 구조를 지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반응시 발생하는 수산기에 의해 화학 결합 및 우수한 젖음성으로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의 계면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2관능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50℃ 이상, 예를 들면 150℃ 내지 4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 충격시 편광자의 크랙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2관능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계,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계, 디카르복시산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계, 알칸디올의 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에테르계, 디에폭시트리스피로계, 디에폭시모노스피로계, 비닐시클로헥센 디에폭시드계, 에폭시시클로펜틴 에테르계, 디에폭시 트리시클로데칸계, 디에폭시바이사이클로헥산계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관능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아디페이트, 비시클로헥실디에폭시드(3,4,3',4'-디에폭시-바이사이클로헥세인), 3,4-Epoxycyclohexylmethyl-3',4'-epoxycyclohexanecarboxylate modified epsilon-caprolacton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관능 지환식 에폭시계 화합물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나 비시클로헥실디에폭시드(3,4,3',4'-디에폭시-바이사이클로헥세인)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는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는 페놀, 크레졸, 부틸페놀 등 적어도 1개의 방향족환을 갖는 1가 페놀 또는 그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인 폴리글리시딜에테르화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또는 이들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화합물인 글리시딜에테르화물이나 에폭시노볼락 수지; 레조르시놀, 하이드로퀴논, 또는 카테콜 등의 2개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화물; 벤젠디메탄올, 벤젠디에탄올, 벤젠디부탄올 등의 알코올성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화물; 프탈산,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의 2개 이상의 카르복실산을 갖는 다염기산 방향족 화합물인 글리시딜에스테르; 안식향산, 톨루일산, 나프토산 등의 안식향산류의 글리시딜에스테르; 스티렌옥사이드; 디비닐벤젠의 에폭시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는 방향족 화합물의 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의 디글리시딜에테르는 2개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형성된 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하이드로퀴논, 또는 카테콜 등의 2개 이상의 페놀성 수산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의 디글리시딜에테르화물 또는 폴리글리시딜에테르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향족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는 레조르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하이드로퀴논디글리시딜에테르, 피로카테콜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카테콜디글리시딜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에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접착력 상승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0중량부 내지 30중량부, 예를 들면 1중량부 내지 30중량부,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력 상승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에폭시화되지 않은 지환족기 및 2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글리시딜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및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혼합물 중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혼합물 대비 과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율을 높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및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예를 들면 5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5중량부 내지 30중량부, 예를 들면 10중량부 내지 20중량부,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5중량부 내지 40중량부, 예를 들면 10중량부 내지 4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상승시켜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율을 높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에폭시계 화합물과의 사슬 이동 결합을 통해 접착제 조성물과 편광자 보호 필름의 계면과의 응집력을 형상시켜 접착력과 내구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 또는 3-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중량부 중 5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 예를 들면 1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수산기가 없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비-수산기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를 접착시 외부의 수분에 의해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에 대한 접착층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수산기가 없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20의 아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10의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개시제는 광산 발생제, 광 라디칼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산 발생제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는 오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이온은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페닐티오)페닐 술포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 등의 트리아릴술포늄,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F6 -),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BF4 -),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SbF6 -),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AsF6 -),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SbCl6 -) 등을 들 수 있다.
광산 발생제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예를 들면 1중량부 내지 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폭시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고, 접착력 저하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잔량의 광산 발생제가 남아서 접착층의 투명도가 저하되거나 광산 발생제의 블리드 아웃을 막을 수 있다.
광 라디칼 개시제는 광산 발생제와 함께 사용시 접착층의 색좌표 bs 값이 낮아지게 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광개시제는 광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개시제는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벤조인계, 옥심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광 라디칼 개시제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예를 들면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고, 잔량의 광 라디칼 개시제가 남아서 접착층의 투명도가 저하되거나 광 라디칼 개시제의 블리드 아웃을 막을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광 증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증감제는 티오크산톤계 광 증감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광 증감제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해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예를 들면 0.5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무용제형 접착제 조성물이 될 수 있다. 무용제형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편광자 보호 필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부착 증진제, 대전방지제, 레벨링제, 소포제, UV 흡수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첨가제의 효과를 낼 수도 있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50cps 내지 200cps, 예를 들면 60cps 내지 150cps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 조성물의 도포가 용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을 설명한다.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실리콘 올리고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고습 조건에서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의 접착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실리콘 모노머의 다이머(dimer), 트라이머(trimer), 또는 테트라머(tetramer)로 설명한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비 반응성기, 반응성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 반응성기는 알킬기(예: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킬기), 아릴기(예: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아릴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기는 알콕시기(예: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콕시기), 비닐기, 에폭시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메르캅토기 등이 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RSiO3 /2로 표시되는 T 단위로 이루어진 실록산일 수 있다. 이때 R은 상기 반응성기 또는 상기 비 반응성기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실리콘 올리고머는 실리콘(Si)에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가 결합된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는 서로 다르고, 동일 실리콘(Si)에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리콘(Si)에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는 각각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에 각각 결합된 작용기와 반응함으로써 이들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용기, 제2 작용기는 각각 실리콘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연결기를 통해서 실리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작용기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콕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용기로서 알콕시기는 가수분해 후 수산기가 된 다음 수소 결합, 공유 결합 등에 의해 편광자 또는 편광자 보호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 중 제1 작용기는 5중량% 내지 70중량%, 예를 들면 8중량%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고습 환경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수분에 의한 접착력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작용기는 비닐기, 에폭시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메르캅토기 등이 될 수 있다. 제2 작용기는 공유 결합 등에 의해 편광자 또는 편광자 보호 필름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 중 제2 작용기의 당량은 200g/mol 내지 1,000g/mol, 예를 들면 200g/mol 내지 850g/mol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에폭시 화합물과의 결합으로 인한 가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 작용기로 에폭시기를 갖는 경우, 실리콘 올리고머는 에폭시 당량(epoxy equivalent)이 300g/mol 내지 1,000g/mol, 예를 들면 350g/mol 내지 850g/mol이 될 수 있다. 제2 작용기로 메르캅토기를 갖는 메르캅토 당량(mercapto equivalent)은 200g/mol 내지 1,000g/mol, 예를 들면 200g/mol 내지 850g/mol이 될 수 있다. 제2 작용기로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경우, 실리콘 올리고머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당량((meth)acrylate equivalent)이 200g/mol 내지 1,000g/mol, 예를 들면 200g/mol 내지 500g/mol이 될 수 있다. 제2 작용기로 비닐기를 갖는 경우, 실리콘 올리고머는 비닐기 당량(vinyl equivalent)이 200g/mol 내지 1,000g/mol, 예를 들면 300g/mol 내지 700g/mol이 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제3 작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작용기는 페닐기 등의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아릴기, 또는 메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킬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작용기는 메톡시기 또는 에톡시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작용기는 에폭시기, 메르캅토기,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비닐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작용기는 메틸기 또는 페닐기가 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 예를 들면, KR-516, KR-517, X-41-1059A, X-24-9590, X-41-1805, X-41-1818, X-41-1810, KR-513, X-40-9296, KR-511(이상, 신예츠사)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실리콘 올리고머는 실리콘에 제1 작용기와 제3 작용기 결합된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작용기와 제3 작용기는 서로 다르고, 동일 실리콘(Si)의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리콘(Si)에 결합할 수도 있다. 제1 작용기는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에 각각 결합된 작용기와 반응함으로써 이들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 작용기, 제3 작용기는 각각 실리콘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연결기를 통해서 실리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작용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실리콘 올리고머 중 제1 작용기는 5중량% 내지 70중량%, 예를 들면 8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제3 작용기는 비 반응성기로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아릴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작용기는 메틸기, 페닐기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작용기는 메톡시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작용기는 메틸기 또는 페닐기가 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 예를 들면, KC-89S, KR-515, KR-500, X-40-9225, X-40-9246, X-40-9250, KR-401N, X-40-9227, KR-510, KR-9218, KR-213(이상, 신예츠사)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실리콘 올리고머는 실리콘에 제1 작용기만 결합된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올리고머는 제1 작용기로서 에폭시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기로 지환족 에폭시기를 가질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 당 에폭시기의 개수는 1개 내지 5개이며, 사이클로실록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작용기는 실리콘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연결기를 통해서 실리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작용기로서 에폭시기를 갖는 경우, 실리콘 올리고머는 에폭시 당량이 100g/mol 내지 500g/mol, 예를 들면 200g/mol 내지 300g/mol이 될 수 있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 예를 들면, X-40-2670, X-40-2678(이상, 신예츠사)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리콘 올리고머는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예를 들면 0.1중량부 내지 1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고습 환경에서의 접착력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한다.
편광판은 편광자,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편광자 보호 필름은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편광자에 접착될 수 있다.
편광자는 편광판으로 입사되는 외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하나 이상이 흡착된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가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탈수시켜 제조된 폴리엔계 편광자가 될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100㎛, 구체적으로 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어 편광자를 보호할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의 셀룰로스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정성 환상 폴리올레핀(cyclic olefin polymer, COP) 등을 포함하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비환형-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폴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은 두께가 5㎛ 내지 200㎛, 구체적으로 10㎛ 내지 150㎛, 더 구체적으로 40㎛ 내지 1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자 보호 필름은 PET 필름 또는 TAC 필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광경화형 조성물이다. 따라서, 편광자 보호 필름에 도포하고 편광자를 라미네이트하고 광경화시켜 접착층을 형성한다. 접착층의 두께는 0.5㎛ 내지 10㎛, 예를 들면 1㎛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1: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 카르복실레이트
A2: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비시클로헥실디에폭시드(3,4,3',4'-디에폭시-바이사이클로헥세인)
B1: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레조르시놀 디글리시딜 에테르
B2: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C: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D1: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D2: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E1: 광산 발생제, 디페닐 4-(페닐티오)페닐 술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E2: 광산 발생제,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 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F: 광 라디칼 개시제, 1-히드록시시클로헥실-1-페닐메타논
G: 광증감제, 2,4-디에틸티오크산톤
H: 실리콘 올리고머(KR-516, 신예츠社)
실시예와 비교예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산 발생제, 광라디칼 개시제, 광증감제로서 하기 표 1, 표 2의 성분을 하기 표 1, 하기 표 2의 함량(단위:중량부)으로 배합하여 접착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1 A2 B1 B2 C D1 D2
실시예 1 50 - 10 - 30 - 10
실시예 2 60 - 10 - 20 - 10
실시예 3 70 - 10 - 10 - 10
실시예 4 - 70 15 - - - 15
실시예 5 60 - 10 - 20 10 -
실시예 6 60 - 10 - 25 - 5
실시예 7 60 - 10 - 20 - 10
실시예 8 70 - 15 - - - 15
실시예 9 60 - 10 - 20 - 10
비교예 1 60 - - 10 20 - 10
비교예 2 40 - 10 - 20 - 30
비교예 3 85 - 14.5 - - - 0.5
E1 E2 F G H
실시예 1 6 - 1 - -
실시예 2 6 - 1 - -
실시예 3 6 - 1 - -
실시예 4 6 - 1 - -
실시예 5 6 1 - -
실시예 6 6 - 1 - -
실시예 7 - 6 - 1 -
실시예 8 6 - 1 - 0.5
실시예 9 6 - 1 - 0.5
비교예 1 6 - 1 - -
비교예 2 6 - 1 - -
비교예 3 6 - 1 - -
실시예와 비교예의 접착층용 조성물에 대해 하기 표 3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접착성: 60㎛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검화도:99.5, 중합도:2000)을 0.3%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시켜 염착한 후, 연신 배율이 5.7이 되도록 연신하였다. 이어서 연신된 기재필름을 3% 농도의 붕산 용액과 2%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에 침지시켜 색상 보정을 한 후, 50℃에서 4분간 건조하여 편광자(두께 23㎛)를 제조하였다. TAC 필름(후지필름 주식회사, 두께:40㎛)을 비누화 처리하고, 250mJ/cm2으로 코로나 처리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사용하였다. PET 필름(도요보社, 두께:80㎛)을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사용하였다.
PET 필름과 TAC 필름 각각에 접착층용 조성물을 두께 2㎛로 도포하고, 온도 22℃ 내지 25℃, 습도 45% 환경에서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일면과 다른 일면에 각각 합지하고, Metal halide lamp 400mW/cm2, 1000mJ/cm2 조건으로 광경화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판을 길이 × 폭(100mm × 25mm)으로 절단하고, 편광판 단부의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커터 칼끝을 삽입하였다. 칼끝이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들어가지 않는 것을 ◎, 칼끝이 조금 들어간 것은 ○, 칼끝이 조금 들어갔지만 일정한 강도가 있어 도중에 편광자 보호 필름이 찢어진 것을 △, 칼끝이 용이하게 들어 간 것을 ×로 평가하였다.
(2)재단성: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편광판을 커터날을 사용하여 가로x세로(500mm×500mm)의 크기로 편광자 보호 필름 측으로부터 펀칭하였다. 펀칭된 편광판 4면의 끝부분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편광자 보호 필름이 박리되지 않은 것을 ◎, 편광자 보호 필름이 5mm 이하 박리된 것을 ○, 편광자 보호 필름이 5mm 초과 2mm 이하 박리된 것을 △, 편광자 보호 필름이 2mm 초과로 박리된 것을 X로 평가하였다.
(3)열충격시 내크랙성: 편광판의 열충격 하에서의 내크랙성을 평가하였다.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길이 × 폭(편광자의 MD × 편광자의 TD, 150mm × 70mm)으로 편광판을 재단하고 유리 기판에 합지한 후 50℃ 및 1기압에서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30℃에서 30분 방치하고, 80℃에서 30분 방치하는 것을 1 cycle로 하여 200 cycle 수행하여 열충격을 주었다. 시편에 열 충격을 준 후에 상온에서 1시간 방치하였다. 시편을 형광등 아래의 반사 모드 및 Back Light 모드에서 편광자의 MD로 크랙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 편광판 단부에서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3mm 이하
○: 편광판 단부에서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3mm 초과 5mm 이하
△: 편광판 단부에서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5mm 초과 20mm 이하
X : 편광판 단부에서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20mm 초과
(4)내구성: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판을 길이 × 폭 (25mm × 25mm)으로 절단하고 길이 x 폭 (100mm × 25mm)의 슬라이드 글라스 중간에 라미네이션시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편에 대해 V-7170(JASCO사)를 사용해서 파장 550nm에서 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T0이라고 하였다. 상기 시편을 60℃, 95% 상대습도의 챔버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T1이라고 하였다. 광 투과율 변화율 = |T1 - T0|/T0 × 100을 계산하여, 광 투과율 변화율이 1% 이하이면 ◎, 광 투과율 변화율이 1% 초과 3% 이하이면 △, 3% 초과이면 x로 평가하였다.
접착성 재단성 열 충격시 내크랙성 내구성
PET 필름 TAC
필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X
비교예 2 X X X X X
비교예 3 X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편광자 보호 필름 간에 접착력이 높고, 고온 고습에서의 편광판의 내구성을 개선하였으며, 열충격에 의한 편광판의 내크랙성을 높일 수 있다.
반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대신에 1개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함유한 비교예 1은 TAC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좋지 않았고, 고온 고습에서의 편광판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함량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15중량부 초과로 포함된 비교예 2는 접착력, 내구성, 내크랙성 개선 효과가 모두 없었다. 또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함량 범위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된 비교예 3은 TAC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 좋지 않았고,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약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8)

  1. 에폭시계 화합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및 광 개시제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과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 85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중량부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접착층을 구비하는 편광판은 길이 × 폭(편광자의 MD × 편광자의 TD, 150mm × 70mm)으로 재단하고 유리 기판에 합지한 후 -30℃에서 30분 방치하고, 80℃에서 30분 방치하는 것을 1 cycle로 하여 200 cycle 수행하여 열 충격을 주었을 때 상기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3mm 이하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과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상기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70중량부 내지 99중량부,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1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레조르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하이드로퀴논디글리시딜에테르, 피로카테콜디글리시딜에테르를 포함하는 카테콜디글리시딜에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은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및 상기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 중 상기 지환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40중량부 내지 80중량부, 상기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5중량부 내지 30중량부, 상기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5중량부 내지 4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 첨가된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100중량부 중 50중량부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수산기가 없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개시제는 광산 발생제, 광 라디칼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실리콘 올리고머를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올리고머는 실리콘에 제1 작용기와 제2 작용기가 결합된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작용기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콕시기이고,
    상기 제2 작용기는 비닐기, 에폭시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또는 메르캅토기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올리고머는 상기 실리콘에 탄소수 6 내지 탄소수 1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5의 알킬기가 더 결합된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올리고머는 에폭시 당량이 300g/mol 내지 1,000g/mol인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올리고머는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과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총합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15. 편광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편광자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 보호 필름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적층된 편광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의 광 투과율 변화율이 1% 이하인 것인, 편광판:
    <식 1>
    광 투과율 변화율 = |T1 - T0|/T0 × 100
    (상기 식 1에서,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용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파장 550nm에서 광 투과율을 T0(단위:%), 상기 편광판을 60℃ 또는 60℃ 및 95% 상대습도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고 2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파장 550nm에서 광 투과율을 T1(단위:%)이라고 한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길이 × 폭(편광자의 MD × 편광자의 TD, 150mm × 70mm)으로 편광판을 재단하고 유리 기판에 합지한 후 -30℃에서 30분 방치하고, 80℃에서 30분 방치하는 것을 1 cycle로 하여 200 cycle 수행하여 열충격을 주었을 때 편광자의 MD로 발생한 최대 크랙 길이가 3mm 이하인 것인, 편광판.
  18. 제15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80000456A 2018-01-02 2018-01-02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Active KR10221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56A KR102210256B1 (ko) 2018-01-02 2018-01-02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56A KR102210256B1 (ko) 2018-01-02 2018-01-02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624A KR20190082624A (ko) 2019-07-10
KR102210256B1 true KR102210256B1 (ko) 2021-02-01

Family

ID=67254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456A Active KR102210256B1 (ko) 2018-01-02 2018-01-02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2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537A1 (ko) * 2020-01-02 2021-07-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폭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 상기 에폭시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 및 상기 도막 부착 기재
KR102598279B1 (ko) * 2020-03-06 2023-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2698902B1 (ko) * 2021-06-24 2024-08-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090A1 (ja) 2013-04-01 2014-10-09 Jnc株式会社 光硬化性エポキシ接着剤、樹脂組成物、積層体、ディスプレイ、およ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0312B (zh) * 2005-04-14 2013-07-01 Sumitomo Chemical Co 黏著劑
KR101603370B1 (ko) * 2012-05-31 2016-03-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제 조성물
KR101611005B1 (ko) * 2013-08-09 2016-04-08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1702707B1 (ko) * 2014-04-30 2017-02-07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622450B2 (ja) * 2014-07-10 2019-12-18 サムスン エスディアイ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Samsung Sdi Co.,Ltd. 偏光板用接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3090A1 (ja) 2013-04-01 2014-10-09 Jnc株式会社 光硬化性エポキシ接着剤、樹脂組成物、積層体、ディスプレイ、およ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624A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112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US9606265B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optical member including the same
KR101630938B1 (ko)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20140020978A (ko) 광 경화성 접착제, 편광판 및 적층 광학 부재
KR20100018463A (ko) 편광판,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6119109B2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5219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WO2017183332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積層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210256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US20150104650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7479152B2 (ja) 偏光板、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む光学表示装置
CN107407769A (zh) 偏光板及包含其的光学显示器件
KR20140003321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KR102008187B1 (ko) 배리어층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I861367B (zh) 用於發光顯示器的偏光片和包括其的發光顯示器
KR101631355B1 (ko) 편광판용 접착필름, 이를 위한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CN109810637B (zh) 用于偏振板的粘着剂组成物、偏振板以及光学显示器
KR102301278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9179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94164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707379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72312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719472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79716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2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