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0848B1 - 오거 파일 - Google Patents

오거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848B1
KR101700848B1 KR1020160045509A KR20160045509A KR101700848B1 KR 101700848 B1 KR101700848 B1 KR 101700848B1 KR 1020160045509 A KR1020160045509 A KR 1020160045509A KR 20160045509 A KR20160045509 A KR 20160045509A KR 101700848 B1 KR101700848 B1 KR 10170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file
helix
cutting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열
박진만
Original Assignee
조준열
박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열, 박진만 filed Critical 조준열
Priority to KR1020160045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8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8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거 파일에 관한 것으로, 제1 오거 파일의 하단에는 천공 헤드와 함께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며, 제1 오거 파일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오거 파일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어 지반의 천공과 절삭에 의한 관입 단계에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함으로써 절삭된 지반토사와 주입된 시멘트 밀크가 충분히 교반되어 관입이 완료된 후 별도의 그라우팅 단계를 거치지 않고, 교반된 지반토사와 시멘트 밀크가 경화되면, 두부 정리 단계와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치는 것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절반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거 파일{Auger pile}
본 발명은 오거 파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단에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가 구비되고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의 상부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어 순방향으로 회전할 때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에 의한 지반 절삭과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에 의한 절삭 지반토사의 교반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지반 절삭 단계와 동시에 그라우팅용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오거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토목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를 시공함에 있어서 지반에 파일(pile)을 관입하게 되는데, 예로부터 파일에 타격을 가하여 타입하는 타격방법과 파일에 압입력을 가하여 압입하는 압입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타격방법과 압입방법은 시공시 소음과 진동에 의하여 안전상의 문제와 환경상의 문제가 지적되면서 회전압입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회전압입방식에서는 헬리칼 파일(helical anchor pile)이 사용된다. 헬리칼 파일은 파이프 형태로 된 헬리칼 파일 본체와, 헬리칼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헬릭스(helix)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헬리칼 파일 본체는 오거 드릴 머신(auger drill machine)과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백호우(backhoe)의 붐 선단에 설치한 유압회전장치에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헬리칼 파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비의 높이를 무한정 높게 할 수 없으므로 헬리칼 파일의 길이를 3m 정도로 구성하며, 필요한 관입 깊이가 헬리칼 파일보다 깊을 경우에는 헬리칼 파일의 상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샤프트 앙카 파일(헬릭스가 없는 단순 파이프 형태의 파일)을 연결하여 관입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인 헬리칼 파일 시공방법은 헬리칼 파일 관입 단계, 샤프트 파일의 연결 및 관입 단계, 그라우팅 단계, 두부(頭部) 정리 단계 및,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쳐게 되며, 특성화된 유압회전장치와 백호우의 결합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일체화된 파일 시공으로 공기를 250m/day로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품질이 우수하고, 비배토(非排土), 무소음, 무진동 공법으로 시공안정성과 환경개선, 시공현장에서의 민원 및 분쟁 해소 등의 장점은 물론 연약지반 시공시 지반교란을 최소화하여 경사각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헬리칼 파일 시공 방법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헬리칼 파일의 헬리칼 파일본체의 선단을 경사지게 절단하거나 하단이 첨예한 원추형 헤드를 결합하여 지반을 파고 들어가기 쉽도록 하고 있으나, 시공과정에서 암반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에는 천공이 불가능하게 되어 시공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헬리칼 파일의 헬리칼 파일 본체와 샤프트 앙카 파일은 동일 직경의 파이를 사용하고, 헬리칼 파일과 샤프트 앙카 파일을 연결하기 위하여 헬리칼 파일 본체의 상단과 샤프트 앙카 파일의 하단에 연결슬리브를 끼우고 연결슬리브와 헬리칼 파일 본체 및 샤프트 앙카 파일을 관통하는 연결핀을 끼우며, 여러 개의 샤프트 앙카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샤프트 앙카 파일과 샤프트 앙카 파일끼리 연결하기 위하여 하부의 샤프트 앙카 파일 상단과 상부의 샤프트 앙카 파일의 하단에 연결슬리브를 끼우고 연결슬리브와 상하부 샤프트 앙카 파일을 관통하는 연결핀을 끼우는 것으로, 연결부위가 취약하기 때문에 시공시 큰 토오크(torque)가 걸리는 경우에는 헬리칼 파일과 샤프트 앙카 파일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시공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중 암반을 통과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천공부하를 최소화하여 시공시 큰 토오크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소형 유압회전장치로서도 시공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2139호(2015.09.04. 등록) "헬리칼 파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헬리칼 파일에 구비된 복수개의 헬릭스의 외주부에 절취부를 형성하여 지반에 관입시 절삭된 토사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절취부에 절삭날을 구비하여 지반의 절삭 성능이 향상되고, 헬리칼 파일의 하단에 절삭력이 우수한 재질로 된 외주측 절삭팁과 하단측 절삭팁을 가지는 천공용 크라운을 결합하여 헬릭스에 의한 지반 절삭에 앞서 천공용 크라운이 지반을 천공하도록 함으로써 지반의 천공과 절삭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시공중 암반을 통과해야 하는 경우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헬릭스의 절삭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켜 줄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헬리칼 파일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고, 소형 유압회전장치로도 시공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헬릭스가 순방향 회전시 지반을 절삭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헬릭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반의 절삭공의 내경이 헬릭스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기 되어 헬릭스에 의한 절삭 및 관입 단계에서 그라우팅을 위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할 경우 헬릭스가 시멘트 밀크의 하향 유동에 대하여 지장을 주게 되고 절삭 토사와 시멘트 밀크가 충분히 교반되지 않기 때문에 절삭 및 관입 단계와 그라우팅을 위한 시멘트 밀크의 주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지반을 완전히 절삭하여 헬리칼 앙카 파일이 완전히 관입된 후에 그라우팅 단계를 시작할 수밖에 없으므로 지반절삭 단계와 그라우팅 단계가 순차 수행함에 따라 전체적인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반절삭 단계와 그라우팅 단계를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2139호(2015.09.04. 등록) "헬리칼 앙카 파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단에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가 구비되고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의 상부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어 순방향으로 회전할 때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에 의한 지반 절삭과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에 의한 절삭 지반토사의 교반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여 지반 절삭 단계와 동시에 그라우팅용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팅 단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절반으로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오거 파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최선단에 조립되는 제1 오거 파일과 제1 오거 파일에 연결되는 제2 오거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오거 파일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1 오거 파일 본체와,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와,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의 상방에서 제1 오거 파일 본체의 상단 부근에 이르기까지 결합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는 1회전의 오른나선으로 구성되어 하단에 절삭날이 형성되며, 상기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는 복수 회전의 왼나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의 하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선단이 예리한 천공헤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오거 파일은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와 동일한 직경의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2 오거 파일 본체와,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오거 파일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의 피치는 상기 제1 오거 파일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와 제2 오거 파일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의 피치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오거 파일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와 제2 오거 파일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의 외경을 제1 오거 파일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반의 절삭홀의 내경보다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의 외경이 작게 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파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거 파일에 의하면 제1 오거 파일의 하단에는 천공 헤드와 함께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며, 제1 오거 파일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오거 파일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어 지반의 천공과 절삭에 의한 관입 단계에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함으로써 절삭된 지반토사와 주입된 시멘트 밀크가 충분히 교반되어 관입이 완료된 후 별도의 그라우팅 단계를 거치지 않고, 교반된 지반토사와 시멘트 밀크가 경화되면, 두부 정리 단계와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치는 것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절반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제1 오거 파일과 제2 오거 파일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제1 오거 파일과 제2 오거 파일을 보인 좌측면도,
도 3은 제1 오거 파일과 제2 오거 파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거 파일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거 파일은 최선단에 조립되는 제1 오거 파일(100)과 제1 오거 파일(100)에 연결되는 제2 오거 파일(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와,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와,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상방에서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상단 부근에 이르기까지 결합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는 1회전의 나선(도면에서는 오른나선)으로 구성하여 하단에 절삭날(121)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는 복수 회전(도면에서는 8.5회전)의 나선(도면에서는 왼나선)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피치(pitch) P1은 상기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의 피치 P2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피치(P1)를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의 피치(P2)보다 작게 함으로써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한 절삭성능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의 피치(P2)를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피치(P1)보다 크게 함으로써 절삭된 지반토사를 상방으로 밀쳐 올리면서 교반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에 의한 교반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상단에는 유압회전장치(도시생략) 또는 제2 오거 파일(2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헤드(14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 헤드(140)는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파이프로 구성되며, 연결핀(150)을 끼우기 위한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연결핀공(14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150)은 연결핀공(141)의 내경보다 큰 머리부를 가지는 핀과, 핀이 연결핀공(141)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할핀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시예와 같이 연결핀공(141)에 관통되는 연결볼트(151)와 연결볼트(151)의 돌출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너트(152)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하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선단이 예리한 천공헤드부(160)가 구비된다. 상기 천공헤드부(160)의 절단 각도는 45도 정도가 적합하다.
상기 제2 오거 파일(200)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와,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210)는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의 연결 헤드(14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핀공(220)이 형성된다.
상기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는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의 상단에는 제1 오거 파일(10))의 하단 또는 유압회전장치(도시생략)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헤드(24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 헤드(240)는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핀(150)을 끼우기 위한 복수개(도면에서는 2개)의 연결핀공(24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와 제2 오거 파일(2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의 외경(D2)을 제1 오거 파일(100)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외경(D1)보다 작게 형성하여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반의 절삭홀(H)의 내경(DH)보다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 230)의 외경(D2)이 작게 되도록 함으로써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 230)가 그라우팅을 위하여 주입되는 시멘트 밀크의 하향 유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여 시멘트 밀크의 하향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결과적으로 그라우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칼 파일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오거 파일(100)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 헤드(140)를 연결핀(120)에 의하여 유압회전장치(도시생략)에 연결한 상태에서 백호우의 붐을 조정하여 제1 오거 파일(100)의 하단의 천공헤드부(160)가 지반에 닿도록 한다.
제1 오거 파일(100)이 결합된 유압회전장치를 가동시키면, 연결 헤드(140)와 제1 오거 파일 본체(110) 및 천공헤드부(160)로 이루어지는 제1 오거 파일(100)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백호우의 붐을 서서히 하강시켜 유압회전장치와 제1 오거 파일(10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한다. 백호우 붐의 하강속도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한 절삭속도에 맞춰서 설정된 속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한 지반 절삭 과정에서 지반의 경도에 따라 또는 암반을 절삭하는 경우 절삭속도가 저하되므로 백호우 붐의 하강속도도 낮추면서 작업을 진행한다.
유압회전장치와 제1 오거 파일(100)이 회전하면서 하강하도록 하면, 가장 먼저 천공헤드부(160)에 의하여 지반이 천공된다.
천공헤드부(160)에 의하여 지반천공이 진행됨에 따라 제1 오거 파일(100)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하단에 형성된 절삭날(121)에 의한 지반절삭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제1 오거 파일(100)의 관입 단계가 진행된다.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절삭날(121)에 의한 지반절삭이 이루어지면 지반에는 절삭홀(H)이 형성되는데 절삭홀(H)은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외경(H1)에 대응하며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의 외경(D2)보다 큰 내경(DH)을 가지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제1 오거 파일(100)의 관입 단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절삭홀(H)의 상단과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외주면 사이를 통하여 그라우팅용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면, 제1 오거 파일(100)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하여 절삭된 지반토사의 틈새로 세멘트 밀크가 스며들어가면서 하향유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오거 파일(1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와 제2 오거 파일(2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가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 및 관입 과정에서 지반에 형성되는 절삭공의 내경보다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 230)의 외경이 작기 때문에 그라우팅을 위한 시멘트 밀크의 주입시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가 세멘트 밀크의 하향유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어 시멘트 밀크의 하향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하여 절삭된 지반토사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쳐져 올라가면서 교반되므로 주입되는 시멘트 밀크와 절삭된 지반토사가 충분히 교반된다.
제1 오거 파일(100)의 상단 부근까지 관입이 이루어지면, 유압회전장치를 정지시키고, 제1 오거 파일(100)을 유압회전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제1 오거 파일(100)의 상단에 제2 오거 파일(200)의 하단을 연결한 다음, 제2 오거 파일(200)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에 연결한다.
제1 오거 파일(100)과 제2 오거 파일(200)의 연결은 제1 오거 파일(100)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 헤드(140)에 제2 오거 파일(200)의 하단부를 삽입하고, 연결핀(150)을 구성하는 연결볼트(151)를 연결 헤드(140)의 볼트관통공(141)에 관통시키고 연결볼트(151)의 돌출단부에 연결너트(15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제1 오거 파일(100)의 상단에 연결된 제2 오거 파일(200)의 상단에 결합된 연결 헤드(240)를 연결핀(150)을 구성하는 연결볼트(151)와 연결너트(152)에 의하여 유압회전장치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유압회전장치를 가동시킴과 아울러 백호우 붐을 하강시키면, 제1 오거 파일(100)의 천공헤드부(160)에 의한 천공 과정과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절삭날(121)에 의한 지반 절삭 과정이 계속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오거 파일(1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와 제2 오거 파일(2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가 절삭된 지반토사를 상방으로 밀쳐 올리면서 교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절삭된 지반토사와 계속하여 주입되는 시멘트 밀크가 충분히 교반된다.
이후, 관입 깊이에 따라 제2 오거 파일(200)의 상단에 또 다른 제2 오거 파일(200)을 연결하여 관입할 수 있으며, 최종 제2 오거 파일(200)을 연결하고 관입이 완료되면, 시멘트 밀크의 주입과 유압회전장치의 가동 및 백호우 붐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최초 제1 오거 파일(100)의 관입 과정에서 주입된 세멘트 밀크는 최종 제2 오거 파일(200)의 관입 과정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하여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 230)에 의하여 지반토사와 교반되므로 최종 관입 완료시까지 경화되지 않아 천공헤드부(160)에 의한 지반 천공과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한 지반 절삭 및 관입 과정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최종 관입이 완료되면, 지반 천공, 지반 절삭에 의한 관입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미 절삭홀(H) 내에 그라우팅을 위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여 절삭된 지반토사와 충분히 교반한 상태이므로 별도의 그라우팅 단계를 거칠 필요가 없으며, 혼합된 지반토사와 시멘트 밀크가 경화되면, 두부 정리 단계와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침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거 파일은 제1 오거 파일의 하단에는 천공 헤드와 함께 절삭날을 가지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며, 제1 오거 파일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오거 파일에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지반의 천공과 절삭에 의한 관입 단계에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함으로써 절삭된 지반토사와 주입된 시멘트 밀크가 충분히 교반되므로 관입이 완료된 후 별도의 그라우팅 단계를 거치지 않고, 교반된 지반토사와 시멘트 밀크가 경화되면, 두부 정리 단계와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치는 것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절반 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 오거 파일 110 : 제1 오거 파일 본체
120 :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 130 :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
140 : 연결 헤드 150 : 연결핀
160 : 천공헤드부 200 ; 제2 오거 파일
210 : 제2 오거 파일 본체 230 :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
240 : 연결 헤드

Claims (1)

  1. 최선단에 조립되는 제1 오거 파일(100)과 제1 오거 파일(100)에 연결되는 제2 오거 파일(20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와,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와,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상방에서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상단 부근에 이르기까지 결합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는 1회전의 오른나선으로 구성되어 하단에 절삭날(121)이 형성되며,
    상기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는 복수 회전의 왼나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하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선단이 예리한 천공헤드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오거 파일(200)은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와 동일한 직경의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와,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피치(P1)는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와 제2 오거 파일(2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의 피치(P2)보다 작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오거 파일(1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와 제2 오거 파일(200)의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230)의 외경(D2)을 제1 오거 파일(100)의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의 외경(D1)보다 작게 형성하여 절삭용 순방향 헬릭스(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반의 절삭홀(H)의 내경(DH)보다 교반용 역방향 헬릭스(130, 230)의 외경(D2)이 작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상단에는 유압회전장치 또는 제2 오거 파일(2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헤드(14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 헤드(140)는 상기 제1 오거 파일 본체(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 헤드(140)와 상기 제2 오거 파일 본체(210)의 하단에는 연결핀(150)을 끼우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핀공(141, 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거 파일.
KR1020160045509A 2016-04-14 2016-04-14 오거 파일 Active KR10170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509A KR101700848B1 (ko) 2016-04-14 2016-04-14 오거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509A KR101700848B1 (ko) 2016-04-14 2016-04-14 오거 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848B1 true KR101700848B1 (ko) 2017-02-01

Family

ID=5810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509A Active KR101700848B1 (ko) 2016-04-14 2016-04-14 오거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55A (ko) * 2018-08-31 2020-03-10 오태근 오거 파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016A (ja) * 1988-03-22 1989-09-28 Yukio Matsumoto 逆流スパイラル基礎工法
JP2003328386A (ja) * 2002-05-02 2003-11-19 Bauer Maschinen Gmbh ボーリング装置および地中ボーリング穴掘削方法
KR101552139B1 (ko) 2014-12-23 2015-09-11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헬리칼 앙카 파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4016A (ja) * 1988-03-22 1989-09-28 Yukio Matsumoto 逆流スパイラル基礎工法
JP2003328386A (ja) * 2002-05-02 2003-11-19 Bauer Maschinen Gmbh ボーリング装置および地中ボーリング穴掘削方法
KR101552139B1 (ko) 2014-12-23 2015-09-11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헬리칼 앙카 파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55A (ko) * 2018-08-31 2020-03-10 오태근 오거 파일
KR102130109B1 (ko) * 2018-08-31 2020-07-03 오태근 오거 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851B1 (ko) 빅 헬리칼 파일
KR101552139B1 (ko) 헬리칼 앙카 파일
JP2002155530A (ja) 既製杭の埋設方法及び先端金具
KR101527723B1 (ko) 복합형 지반개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개량공법
JP5936996B2 (ja) 回転貫入杭の根固め工法
KR20130113003A (ko)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선단확장형 중굴 공법에 사용되는 굴착 장비
JPS5985028A (ja) 鋼管杭及びその埋設工法
KR101700848B1 (ko) 오거 파일
KR20140019860A (ko) 천공장비
JP4853132B2 (ja) 基礎杭の施工方法
KR20210095394A (ko) 관입성이 우수한 헬릭스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08176B1 (ko)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JP2001317050A (ja) ソイルセメント合成杭の造成方法
KR101871311B1 (ko)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JPH1193163A (ja) 鋼管杭の先端構造及びそれを用いる鋼管杭工法
KR102130109B1 (ko) 오거 파일
JPS6342046B2 (ko)
JP2025079137A (ja) インプラント杭
KR20130113004A (ko)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선단확장형 중굴 공법
JP4372661B2 (ja) 拡頭杭の施工方法
JP4166191B2 (ja) 中空パイルの埋設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掘削装置
JP2013142256A (ja) 地盤性状改良を伴う施工方法
KR101304877B1 (ko) 건설 기초공사용 파일 시공 구조체
JP2003096771A (ja) ソイルセメント合成羽根付き既製杭
JP2011226264A (ja) 鋼管杭およびその鋼管杭を用いた支持構造と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