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508176B1 -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76B1
KR102508176B1 KR1020210182816A KR20210182816A KR102508176B1 KR 102508176 B1 KR102508176 B1 KR 102508176B1 KR 1020210182816 A KR1020210182816 A KR 1020210182816A KR 20210182816 A KR20210182816 A KR 20210182816A KR 102508176 B1 KR102508176 B1 KR 10250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shaft
helical
file
coup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모
이창호
김진기
김진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82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헬리컬파일본체의 상단과 샤프트파일본체의 하단에 각각 제1, 제2경사타원면을 가지는 제1, 제2위치결정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볼트관통공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헬리컬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 샤프트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의 연결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며,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샤프트파일과 샤프트파일 간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볼트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제1, 제2위치결정부의 제1, 제2경사타원면을 통해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에 분산되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Improved coupler connection structure of helical piles}
본 발명은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헬리컬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 샤프트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의 연결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샤프트파일과 샤프트파일 간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볼트에 집중되던 응력이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에 분산되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토목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초를 시공함에 있어서 지반에 파일(pile)을 관입하여 지반을 강화하게 되는데, 예로부터 파일에 타격을 가하여 타입하는 타격방법과 파일에 압입력을 가하여 압입하는 압입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타격방법과 압입방법은 시공시 소음과 진동에 의하여 안전상의 문제와 환경상의 문제가 지적되면서 회전압입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회전압입방식에서는 헬리컬파일(helical anchor pile)이 사용된다. 헬리컬파일은 파이프 형태로 된 헬리컬파일본체와, 헬리컬파일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헬릭스(helix)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헬리컬파일본체는 오거 드릴 머신(auger drill machine)과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백호우(backhoe)의 붐 선단에 설치된 유압회전장치에 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헬리컬파일을 회전시키기 위한 장비의 높이를 무한정 높게 할 수 없으므로 헬리컬파일의 길이를 3m 정도로 구성하며, 필요한 관입 깊이가 헬리컬파일보다 깊을 경우에는 헬리컬파일의 상단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샤프트 앙카 파일(헬릭스가 없는 단순 파이프 형태의 파일)을 연결하여 관입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적인 헬리컬파일 시공방법은 헬리컬파일 관입 단계, 샤프트파일의 연결 및 관입 단계, 그라우팅 단계, 두부(頭部) 정리 단계 및,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치게 되며, 특성화된 유압회전장치와 백호우의 결합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일체화된 파일 시공으로 공기를 250m/day로 단축할 수 있으며, 시공품질이 우수하고, 비배토(非排土), 무소음, 무진동 공법으로 시공안정성과 환경개선, 시공현장에서의 민원 및 분쟁 해소 등의 장점은 물론 연약지반 시공시 지반교란을 최소화하여 경사각도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공을 위하여 종래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관으로 된 헬리컬파일본체(11)와 헬리컬파일본체(11)의 하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천공헤드부(12) 및 하단부에 결합되는 헬릭스(13)를 가지는 헬리컬파일(10)과, 강관으로 된 샤프트파일본체(21)를 가지는 샤프트파일(20) 및, 강관으로 형성되어 하반부에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하단이 헬리컬파일본체(11)의 외주면에 용접되며 상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2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커플러본체(31)와 커플러본체(31)와 샤프트파일본체(21)를 관통하는 볼트(b)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를 가지는 커플러(30)가 사용된다.
1단계로, 백호우의 붐 선단에 설치된 유압회전장치(도시생략)에 헬리컬파일(10)의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을 결합하여 회전시키면서 백호우 붐에 의해 유압회전장치를 하강시킴으로써 헬리컬파일본체(11)의 하단에 경사지게 절취하여 형성한 천공헤드부(12)가 지반을 천공하게 되고, 이어서 헬리컬파일본체(11)의 하단부에 천공헤드부(12)보다 높은 위치에 결합된 헬릭스(13)가 지반을 굴착하면서 헬리컬파일(10)이 지반에 관입되도록 한다.
2단계로, 시공깊이가 헬리컬파일(10)의 길이보다 깊은 경우에는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로부터 분리한 다음,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에 커플러(30)를 사용하여 샤프트파일(20)의 샤프트파일본체(21)를 연결하고 샤프트파일본체(21)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에 결합하여 회전 및 하강시키면, 샤프트파일(20)과 헬리컬파일(10)이 회전 및 하강하면서 헬리컬파일(10)의 천공헤드부(12)가 지반을 천공함과 아울러 헬릭스(13)가 지반을 굴착하면서 관입되도록 한다.
시공깊이가 하나의 헬리컬파일(10)의 길이와 샤프트파일(20)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깊은 경우에는 샤프트파일본체(21)의 상단에 또 다른 샤프트파일본체(21)를 커플러(30)로 연결하여 상술한 관입을 계속한다.
헬리컬파일(10)과 샤프트파일(20)의 관입이 완료되면, 최상단의 샤프트파일본체(21)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로부터 분리하고, 샤프트파일본체(21)의 상단을 통해 그라우팅제를 주입하면, 그라우팅제가 샤프트파일본체(21)와 헬리컬파일본체(11)의 내부와 헬리컬파일본체(11)의 하단에 천공헤드부(12)와 헬릭스(13) 사이 부분에 천공된 그라우팅제 유출홀(14)을 통해 헬리컬파일(10)과 샤프트파일(20)들과 지반에 형성된 굴착홀 사이에 충전되도록 한다.
이후, 충전된 그라우팅제가 경화되면, 지면에서 돌출된 최상단의 샤프트파일본체(21)의 상단부를 절단하는 두부정리 단계와 동재하시험 단계를 거쳐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종래 커플러(30)는 헬리컬파일본체(11)와 샤프트파일본체(2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커플러본체(31)를 포함한다.
커플러(30)에 의해 헬리컬파일본체(11)와 샤프트파일본체(21)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커플러본체(31)의 하반부에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을 삽입하고, 커플러본체(31)의 하단을 헬리컬파일본체(11)의 외주면에 용접(W)하며, 커플러본체(31)의 상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21)를 삽입하여 샤프트파일본체(21)의 하단이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에 맞닿도록 하고, 샤프트파일본체(21)와 커플러본체(31)에 서로 대응되게 천공된 볼트관통공(h1, h2)에 볼트(b)를 관통시키고 너트(n)를 체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에 용접된 커플러본체(31)에 샤프트파일본체(21)의 하단을 삽입하였을 때 커플러본체(31)의 볼트관통공(22)과 샤프트파일본체(21)의 볼트관통공(32)이 일치되게 하여야 하는데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면과 샤프트파일본체(21)의 하단면은 수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트관통공(h1, h2)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단이 없어 작업자가 샤프트파일본체(21)를 좌우로 돌리면서 일일이 볼트관통공(h1, h2)을 일치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시공성과 편의성이 저하되며 작업시간의 지연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헬리컬파일본체(11)의 상단면과 샤프트파일본체(21)의 하단면은 단순히 수평면으로 서로 맞닿아 있어 샤프트파일본체(21)와 헬리컬파일본체(11) 간의 직접적인 회전력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고,
샤프트파일본체(21) → 볼트(b) → 커플러본체(31) → 헬리컬파일본체(11)로 전달되기 때문에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볼트(b)에 응력이 집중되어 기계적 강도면에서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851호 "빅 헬리컬파일"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2704호 "헬리컬 파일"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4951호 "빅더블플레이트 헬리칼 파일"이 있으나, 이들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851호 "빅 헬리컬파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2704호 "헬리컬 파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4951호 "빅더블플레이트 헬리컬 파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리컬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 샤프트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의 연결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샤프트파일과 샤프트파일 간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볼트에 집중되던 응력이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에 분산되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관으로 된 헬리컬파일본체와, 헬리컬파일본체의 하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천공헤드부와, 헬리컬파일본체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헬릭스를 구비하는 헬리컬파일과, 강관으로 된 샤프트파일본체를 구비하는 샤프트파일 및, 헬리컬파일본체와 샤프트파일본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하반부에 헬리컬파일본체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하단이 헬리컬파일본체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커플러본체와, 커플러본체와 샤프트파일본체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파일본체의 상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타원면을 가지는 제1위치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파일본체의 하단에는 상기 제1위치결정부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타원면에 맞닿는 제2경사타원면을 가지는 제2위치결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파일본체의 상단부가 하반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샤프트파일본체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커플러본체와, 커플러본체와 샤프트파일본체를 관통하는 볼트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구비하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파일본체의 상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3경사타원면을 가지는 제3위치결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의하면, 헬리컬파일본체의 상단과 샤프트파일본체의 하단에 각각 제1, 제2경사타원면을 가지는 제1, 제2위치결정부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볼트관통공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헬리컬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 샤프트파일의 상단과 샤프트파일의 하단의 연결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의하면,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샤프트파일과 샤프트파일 간의 회전력 전달과정에서 볼트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제1, 제2위치결정부의 제1, 제2경사타원면을 통해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에 분산되게 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및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및 커플러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및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헬리컬파일과 샤프트파일 및 커플러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리컬파일(100)과, 헬리컬파일(1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샤프트파일(200) 및, 헬리컬파일(100)과 샤프트파일(200)을 연결하는 커플러(300)를 포함한다.
상기 헬리컬파일(100)은 강관으로 된 헬리컬파일본체(110)와, 헬리컬파일본체(110)의 하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천공헤드부(120)와, 헬리컬파일본체(110)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헬릭스(130)를 구비한다.
상기 헬리컬파일본체(110)의 하단에는 그라우팅제 유출홀(140)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파일(200)은 강관으로 된 샤프트파일본체(210)를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300)는 헬리컬파일본체(110)와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하반부에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2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하단이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외주면에 용접(W)되는 커플러본체(310)와, 커플러본체(310)와 샤프트파일본체(210)를 관통하는 볼트(B)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파일본체(210)와 커플러본체(310)에는 상기 볼트(B)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H1, H2)이 형성된다.
상기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타원면(321)을 가지는 제1위치결정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파일본체(21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위치결정부(320)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타원면(321)에 맞닿는 제2경사타원면(331)을 가지는 제2위치결정부(330)가 구비된다.
또한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에도 커플러(300)를 구비하여 커플러본체(310)의 하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부를 삽입하고, 커플러본체(310)의 하단부를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외주면에 용접(W)하여 추후 샤프트파일(300)의 상부에 또 다른 샤프트파일(20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3경사타원면(341)을 가지는 제3위치결정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경사타원면(341)은 샤프트파일(200) 상부에 또 다른 샤프트파일(200)을 연결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샤프트파일(200)의 하단에 형성된 제2경사타원면(331)이 맞닿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커플러(300)는 헬리컬파일(100)과 샤프트파일(200)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헤드로서도 활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커플러본체(310)의 외주면에 결합돌기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가 적용된 헬리컬파일(100)과 샤프트파일(200) 및 커플러(300)를 사용하여 지반을 강화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단계로, 백호우의 붐 선단에 설치된 유압회전장치(도시생략)에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에 결합된 커플러본체(310)를 결합하고, 유압회전장치에 회전시키면서 하강시켜 천공헤드부(120)가 지반을 천공하고, 이어서 헬릭스(130)가 지반을 굴착하면서 헬리컬파일(100)이 지반에 관입되도록 한다.
2단계로, 시공깊이가 헬리컬파일(100)의 길이보다 깊은 경우에는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로부터 분리한 다음,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에 커플러(300)를 사용하여 샤프트파일(200)의 샤프트파일본체(210)를 연결하고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을 유압회전장치에 결합하여 회전 및 하강시키면, 샤프트파일(200)과 헬리컬파일(100)이 회전 및 하강하면서 헬리컬파일(100)의 천공헤드부(120)가 지반을 천공함과 아울러 헬릭스(130)가 지반을 굴착하면서 관입되도록 한다.
시공깊이가 하나의 헬리컬파일(100)의 길이와 샤프트파일(200)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깊은 경우에는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에 또 다른 샤프트파일본체(210)를 커플러(300)로 연결하여 상술한 관입을 계속한다.
이후, 그라우팅 단계와 두부정리 단계 및 동재하시험 단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헬리컬파일(100)의 상단에 샤프트파일(200)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하반부에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에 용접(W)된 커플러본체(310)의 상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210)의 하단부를 삽입하면, 샤프트파일본체(210)의 하단에 형성된 제2위치결정부(330)의 제2경사타원면(331)이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제1위치결정부(321)의 제1경사타원면(321)과의 작용에 의해 샤프트파일(200)이 제1경사타원면(321)과 제2경사타원면(331)이 맞닿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조정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파일본체(210)와 커플러본체(310)에 형성된 볼트관통공(H1, H2)이 정확하게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샤프트파일본체(210)와 커플러본체(310)의 볼트관통공(H1, H2)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일치된 볼트관통공(H1, H2)에 볼트(B)를 관통시키고, 너트(N)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커플러(300)를 헬리컬파일(100)과 샤프트파일(200)을 신속,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샤프트파일(200)의 상부에 또 다른 샤프트파일(200)을 연결함에 있어서도 위와 같은 작용에 의해 신속,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시공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시간의 단축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헬리컬파일(100)의 상단에 샤프트파일(200)을 연결하고, 샤프트파일본체(210)를 유압회전장치에 결합하여 샤프트파일(200)을 회전시키면, 샤프트파일본체(21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커플러본체(310)와 볼트(B)를 통해 헬리컬파일본체(110)에 전달되어 샤프트파일(200)과 헬리컬파일(100)이 함께 회전하면서 천공 및 굴착에 의한 관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샤프트파일본체(210)에 가해진 회전력은 커플러본체(310)와 볼트(B)를 통해서만 헬리컬파일본체(110)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맞닿아 있는 제1, 제2위치결정부(320, 330)의 제1, 제2경사타원면(321, 331)을 통해서도 전달되는 것이므로 볼트(B)에 응력집중 현상이 최소화되어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헬리컬파일 110 : 헬리컬파일본체
120 : 천공헤드부 130 : 헬릭스
140 : 그라우팅제 유출홀 200 : 샤프트파일
210 : 샤프트파일본체 300 : 커플러
310 : 커플러본체 320 : 제1위치결정부
321 : 제1경사타원면 330 : 제2위치결정부
331 : 제2경사타원면 H1, H2 : 볼트관통공
B : 볼트 N : 너트

Claims (2)

  1. 강관으로 된 헬리컬파일본체(110)와, 헬리컬파일본체(110)의 하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천공헤드부(120)와, 헬리컬파일본체(110)의 하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헬릭스(130)를 구비하는 헬리컬파일(100)과, 강관으로 된 샤프트파일본체(210)를 구비하는 샤프트파일(200) 및, 헬리컬파일본체(110)와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하반부에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부가 삽입되고 상반부에 샤프트파일본체(210)의 하단부가 삽입되며 하단이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커플러본체(310)와, 커플러본체(310)와 샤프트파일본체(210)를 관통하는 볼트(B)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를 구비하는 커플러(300)를 포함하는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파일본체(110)의 상단에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타원면(321)을 가지는 제1위치결정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파일본체(21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위치결정부(320)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경사타원면(321)에 맞닿는 제2경사타원면(331)을 가지는 제2위치결정부(330)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부가 하반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외주면에 용접되는 커플러본체(310)와, 커플러본체(310)와 샤프트파일본체(210)를 관통하는 볼트(B)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를 구비하는 커플러(300)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파일본체(210)의 상단에 경사지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3경사타원면(341)을 가지는 제3위치결정부(340)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2. 삭제
KR1020210182816A 2021-12-20 2021-12-20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Active KR10250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816A KR102508176B1 (ko) 2021-12-20 2021-12-20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816A KR102508176B1 (ko) 2021-12-20 2021-12-20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176B1 true KR102508176B1 (ko) 2023-03-10

Family

ID=8557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816A Active KR102508176B1 (ko) 2021-12-20 2021-12-20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9806B1 (ko) * 2024-03-07 2024-09-26 주식회사 수호엔지니어링 태양광패널 설치용 지중앵커파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654A (ja) * 2013-06-04 2014-1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回転杭を構成する鋼管の接合構造
KR101700851B1 (ko) 2016-04-15 2017-02-01 조준열 빅 헬리칼 파일
KR20180112642A (ko) * 2017-04-03 2018-10-12 와이투건설(주) 헬리컬 파일
KR20200124951A (ko) 2019-04-25 2020-11-04 와이투건설(주) 빅더블플레이트 헬리컬 파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34654A (ja) * 2013-06-04 2014-12-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回転杭を構成する鋼管の接合構造
KR101700851B1 (ko) 2016-04-15 2017-02-01 조준열 빅 헬리칼 파일
KR20180112642A (ko) * 2017-04-03 2018-10-12 와이투건설(주) 헬리컬 파일
KR101952704B1 (ko) 2017-04-03 2019-02-27 와이투건설(주) 헬리컬 파일
KR20200124951A (ko) 2019-04-25 2020-11-04 와이투건설(주) 빅더블플레이트 헬리컬 파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9806B1 (ko) * 2024-03-07 2024-09-26 주식회사 수호엔지니어링 태양광패널 설치용 지중앵커파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4447A (en) Drive device used for soil stabilization
KR100841735B1 (ko) 회전ㆍ압입에 의한 관입되는 무소음ㆍ무진동 스크류기성말뚝 기초공법
WO1990002243A1 (en) Drills for piles and soil stabilization
KR101700851B1 (ko) 빅 헬리칼 파일
JP6660446B1 (ja) 鋼管杭の施工方法
KR102508176B1 (ko) 헬리컬파일의 개선된 커플러 연결구조
KR101552139B1 (ko) 헬리칼 앙카 파일
JP2002155530A (ja) 既製杭の埋設方法及び先端金具
US10837154B2 (en) Coupler for soil nail and method of emplacing same
KR101812463B1 (ko) 선단 확장 강관을 이용한 회전 압입식 파일 시공방법
KR101662694B1 (ko) 내부굴착에 의한 phc 말뚝의 시공방법
KR101042271B1 (ko)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 파이프 연결구
KR101042272B1 (ko) 연결구가 구비된 마이크로 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KR101500087B1 (ko) 기존 건물과 일체 거동을 위한 기초슬래브의 보강 공법 및 보강 구조
KR102746033B1 (ko) 굴삭압밀용 오거를 구비한 phc파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10095394A (ko) 관입성이 우수한 헬릭스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71311B1 (ko) 굴착시공시 호환 가능한 동종 또는 이종재질의 원통관 연결구조
KR101124203B1 (ko) 파일 구조체
KR102130108B1 (ko) 헬리컬 파일
KR101700848B1 (ko) 오거 파일
KR101304877B1 (ko) 건설 기초공사용 파일 시공 구조체
KR101567377B1 (ko) 지반 시공용 나선 파일
KR102649072B1 (ko) 심도에 따른 다중 회전관입 파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660754B1 (ko) 천공 장치 파일럿 로드
JPS622754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